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지

        엄미선,전동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사회복지리뷰 Vol.11 No.-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양육부담의 실태와 이러한 양육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연구하고자, 한부모가족가 경험하는 양육부담의 수준, 사회적 지지의 수준, 그리고,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조사대상인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특성은 월 소득 수준은 75.5(서울시 저소득층 120.9)만원, 월지출은 71.9(서울시 저소득층 104.6)만원, 부채는 가구당 평균 1,132.4(서울시 저소득층 720.6)만원으로 서울시 저소득층에 비해 경제적으로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족이 처해 있는 문제 영역은 경제적인 문제(생계비 등), 자녀교육의 문제, 주거 및 주택문제, 건강문제 순이었으며, 양육부담의 정도는 경제, 신체, 정서, 사회적 부담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녀 양육비용, 자녀의 학습지도,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부족 순으로 높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지지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긍정적 평가를 제공하는 평가적 지지, 기회를 알려주는 정보적 지지, 물적자원을 제공하는 도구적 지지 순이었며, 사회적 지지와 양육부담과 관련성은 확인되었다. 발견점 중의 하나는 다른 집단과는 달리 저소득 한부모 가족에게 있어서는 사회적 지지 중 도구적 지지만이 신체·정서·경제적 양육부담을 경감시키는 반면, 사회적 양육부담에는 어떠한 하위영역의 사회적 지지도 효과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한부모가족에게는 양육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도구적 지지가 다른 형태의 지지, 즉, 정서, 정보, 평가적 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제공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부모 대상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제공해야할 프로그램이 도구적 지지 제공을 고려하면, 양육경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several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aregiving burdens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Second, what is the social support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Third, what are the positive elements from the social support that can alleviate the caregiving burde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hown below. It appeared that the burden levels of the lower class families of single parents were, in order of, economical, physical, emotional and at last the social Also when we examine the social support by dividing it into four categories, it appears that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utility support came up in an order from highest to the lowest. The utility support is the financial aid by giving money and materials, while the evaluation support is the aid by encouraging and praising to make needy people to think themselves as valued ones. Information support is the aid by introducing them the new programs and service benevolences and in addition, the emotional support is the aid by having a conversation with needy, which might be helpful to fill up their desires. And it was shown that the information support has contributed to the downsizing of burden by itsel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social service agency should be designed and supplied the social support program as well as the information of care and education. One of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as tha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s parents are the group of people whose aspirations have been ignored. Therefore it appeared that they are the ones who need the support from the society desperately.

      • 의료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뇌졸중 노인가족의 부양부담 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태연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3

        본 연구에 앞서 연구자는 2003년 1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약 1년에 걸쳐 재활의학과 입원환자가족들을 면담한 결과 병원에서 제공되는 공식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의 경우 병원생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복지상담을 받은 가족의 경우 환자의 치료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심리적인 부담감이 낮아짐을 볼 수 있음을 관찰하여 연구에 대한 가능성 및 필요성을 갖게 되어 실제로 병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지지가 부양자의 부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뇌졸중 환자를 부양함으로써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겪고 있는 부양가족들에 대한 실태조사와 의료사회복지사와의 역할을 파악하여, 부양부담에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환자 가족의 부양부담을 실질적으로 경감시켜 줄 수 있는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설문조사에 의한 통계분석을 해 본 결과, 의료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는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료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4가지 차원의 사회적 지지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부양자가 부담하는 6가지 차원의 부담인, 시간-의존적 부담, 발달단계상의 부담, 신체적 부담, 사회적 부담, 정서적 부담, 경제적 부담에 모두 골고루 유의한 영향을 미쳐서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Prior to this study, from November, 2003 to December, 2004 for one years, having given counsel to family caregivers in rehabilitation medicine clinic, I observed that patients’ use of the formal social welfare services in virtue of hospitals had good influences on the adaptation of ones, and that families given social welfare counsel were relieved emotional burden owing to the increase of the will to rehabilitate. Therefore, I was able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and need of this study and now actu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medical social worker’s social support in hospital on burden on caregivers. Accordingl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family that is under obligations to support stroke patients and charged of caregiving burden,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func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and the factors of caregiving burden medical social workers can influence on, and then to seek for the reasonable social work policy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of caregivers.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al survey says that the social support of medical social workers has the significant effect for caregivig burden of family caregiver.That is, four social supports of the medical social worker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ppraisal support) have the meaningful effect for the alleviation of all of six caregiving burdens (time-dependence burden, developmental burden, physical burden, social burden, emotional burden, financial burden).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련 변인 연구 : 양부모 가구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고은(Go-eun Kim),김소영(So-young Kim),김영란(Young-ran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As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high demand in care support, which requires parents’lifelong commitment over the course of their lifetime,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are burden according to children’s life cycle is especially needed. Different kinds of care burden should be notified such as physical, emotional, social, financial burden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ildren’s life cyc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ents’burden of care,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rden of care throughout different stages of children’s life cycl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analysis of variance result, the physical and financial burdens were the highest among parents with children in their childhood. However, the emotional and social burdens did not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physical and financial burdens were decreased as children grow older, but the emotional and social burdens kept in similar level. The sense of emotional and social burden to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hild care was quite stable, regardless of the children’s life cycle.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physical burden of caregiving by each stage of children’s life cycle, in their childhoo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adolescence, the degree of disability, care hours,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parents having children in their adolescence, care hours was a significant factor.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emotional burden of caregiving by each stage of children’s life cycle, in their childhood, the level of depression,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adolescence, the degree of disability, parents’age, the level of depression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social burden of caregiving by each stage of children’s life cycle, in their childhoo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positive sense of child care,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adolescence, the degree of disability,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social burden of caregiving by each stage of children’s life cycle, in their childhood, household income, care hours,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adolescence,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four different burden mode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nly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adulthood. It means that according to children’s life cycle, the factor influencing the care burdens are different,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different the support services. Second,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children’s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n physical, emotional, social burdens. It means the degree of disability is significant factor for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conflict between spouse on the family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children’s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n physical, emotional, social, financial burdens. It means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for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urth, it is significantly founded that the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factor in four burdens.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련 변인에 대해 자녀 생애 주기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돌봄이 자녀가 성인이 되어도 지속되며, 부모의 전 생애에 걸쳐 수행되는 노동이라는 점에서 필요하다. 특히 자녀 생애주기에 따라 돌봄부담감의 내용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하위영역(신체적 부담, 정서적 부담, 사회적 부담, 경제적 부담)별 차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의 생애주기(아동기, 청소년, 성인기)에 따라 부모의 돌봄부담감 수준 차이를 알아보고, 돌봄부담감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돌봄부담감 차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신체적 부담과 경제적 부담 영역에서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담감 정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정서적 부담과 사회적 부담은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녀의 생애주기가 성인기로 전환될수록 부담정도가 줄어드는 신체적 부담과 경제적 부담과 달리, 정서적 부담과 사회적 부담은 자녀가 성인기로 전환되어도 동일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결국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생애주기에 무관하게 정서적 부담과 사회적 부담을 지속적으로 느끼고 있다는 현실을 드러내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자녀의 생애주기(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 따라 돌봄부담감 하위영역(신체적 부담, 정서적 부담, 사회적 부담, 경제적 부담)에 대한 영향요인은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적 부담 영향요인 분석 결과, 아동기는 장애등급, 신체적 건강상태, 배우자와의 갈등이, 청소년기에는 장애등급, 돌봄시간, 신체적 건강상태, 배우자와의 갈등이 유의미하였다. 특히 돌봄시간은 청소년기에 유의미하고 아동기에는 관계가 없어 차이를 보인다.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는 돌봄시간이 길수록 신체적 부담이 커지지만, 아동기는 돌봄시간이 늘어나도 신체적 부담 정도와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서적 부담에 대한 유의미한 요인은 아동기는 우울정도, 배우자와의 갈등이며, 청소년기는 장애등급, 부모연령, 우울정도, 배우자와의 갈등이다. 비교하면 장애등급은 아동기의 경우에는 유의미하지 않지만 청소년기에는 유의미한 요인이 된다는 점, 부모의 연령이 아동기와 달리 청소년기 자녀의 부모에게 유의미하게 영향을 준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사회적 부담은 아동기의 경우, 장애등급, 자녀 돌봄의 긍정감, 신체적 건강 상태, 배우자와의 갈등이, 청소년기의 경우 장애등급, 배우자와의 갈등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아동기와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적 부담 요인 차이를 보면, 아동기에는 개인적 요인 중 자녀 돌봄의 긍정감과 신체적 건강상태가 영향을 끼치지만, 청소년기에는 개인적 요인과 관계가 없다는 점에서 다르다. 경제적 부담은 아동기 자녀 부모에게는 가구소득, 돌봄시간, 신체적 건강상태, 배우자와의 갈등이, 청소년기 자녀 부모는 신체적 건강상태와 배우자와의 갈등 요인의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성인기 자녀를 둔 부모에 대한 돌봄부담감에 대한 회귀분석은 4개 영역 모두 모델이 유의미하지 않아 아동기와 청소년기와 다른 양상을 보임이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돌봄 부담감의 영역에 따라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으며 각각에 대응하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장애등급이 아동기와 청소년기 모두, 다수 영역에서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에 장애등급이 중요한 요인임을 드러내주는 결과이다. 셋째, 가족지원 요인 가운데 배우자와의 갈등이 아동기와 청소년기 모두, 돌봄 부담감 4개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요인이다. 이는 장애 자녀 부모에게 배우자와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원 요인이 돌봄부담감 4개 영역 모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이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진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2

        This study had analyzed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ir tax burden. The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out how much more tax burden the enterprises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re shouldering than others which are not faithful to it since enterprises trying to evade tax payment will have less tax burden than those not try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the following : First, the total score of KEJI which is the Prox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enterprises’ tax burden. Second, the soundness index of enterprise, the degree of contribution community service and employees’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it. Third,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mpared to executives’ satisfaction with consumer protection were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 on it. Fourth, though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environment protection and that of contribution to economic development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it, their significance is not consistent. Fifth, the index of enterprise’s fairness was found to have not much significant effect on it.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since executives regard social responsibility as being important, they try to improve the image of their companies and increase their reputation by trying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n spite of shouldering more tax burden rather than suffering from such risks as tax investigation and penalty tax resulting from tax evasion. However, relating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onsumer protection(KEJI 4) which is a social responsibility accompanied by R&D cost and facility investment, the tax burden is shown to be low due to the regulation of the system of tax amount deduction and inclusion in deductible expenses, which indicates that the enterprises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re taking advantage of the current tax system sufficiently.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조세부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기업이 조세회피를 할 경우 조세부담이 낮아질 것이고 조세회피를 하지 않을 경우 조세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조세부담이 높은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대용치(Proxy)인 경제정의지수(KEJI) 총점은 기업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건정성 지표, 사회봉사 기여도, 종업원 만족도는 조세부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자의 소비자보호 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환경보호 만족도와 경제발전 기여도는 기업의 조세부담에 각각 음(-)과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유의성이 일관적이지 않았다. 다섯째, 기업의 공정성 지표는 기업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영자는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조세를 회피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과세당국의 세무조사, 추징 등과 같은 기업의 악재보다 조세를 상대적으로 더 부담하더라도 사회적 책임 활동에 노력함으로써 기업의 명성을 높이고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경영자의 조세부담이 세법상의 세액공제, 손금산입 등의 규정을 이용하고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경영자는 세법상의 혜택은 충분히 수혜받으면서 적정 조세를 부담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김계숙 ( Kim Gye Sook ),김진욱 ( Kim Jin W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 모델(Stress Process Model)’을 적용하여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에서 결속형 및 가교형 사회적 자본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도적 샘플링에 의해 서울, 경기 수도권 지역 및 충남,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말기 암환자 가족 총 263명을 설문조사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돌봄 부담은 불안과 우울을 각각 직접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였다. 둘째, 돌봄 부담은 결속형 사회적 자본을 유의미하게 낮추고,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불안과 우울을 각각 유의미하게 낮추었다. 셋째, 돌봄부담은 가교형 사회적 자본을 유의미하게 낮추었고, 가교형 사회적 자본은 우울만을 유의미하게 낮추었다. 넷째,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돌봄 부담과 불안 및 우울 간을 각각 매개하고, 가교형 사회적 자본이 돌봄 부담과 우울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속형 사회적 자본 및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강화를 통해 말기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불안 및 우울을 감축시키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on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 burden and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via stress process model. Total 263 people were surveyed from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Choongnam Province, and Bus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 addition,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 burden significantly increases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Second, care burden significantly decreases bonding social capital, and the bonding social capital decreases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ird, care burden significantly decreases bridging social capital, and the bridging social capital decreases depression, but the bridging social capital does not significantly decreases anxie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bonding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 burden and anxiety and depression was verifi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bridging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 burden and depression was verified as wel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roposals how to decrease care burden, anxiety and depression by increasing bonding social capital, and how to decrease care burden and depression through increasing bridg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재가 치매 노인의 부양 부담과 정신병리 및 부양자의 사회적 서비스 욕구와의 관련성

        이영호,강태민,이상수,김민걸,안동성,윤성환,정청,방남희,이상경,심주철,김용관,김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목 적 : 본 연구는 재가 치매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부양자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회적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위의 목적을 위해서 대도시 지역 1개 동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검사를 실시하였고. 재가 치매 노인의 부양부담과 정신병리 및 부양자의 사회적 서비스 욕구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본 연구 대상은 대도시 지역 1개 동의 재가 노인 중 65세 이상 노인들로서 1.2차 방문 조사를 통하여 MMSE-K 24점 이하이면서 DSM-IV의 치매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치매 노인들로 설정하였다. 이들의 정신 병리 평가를 위하여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HDRS( Hamiltons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RS(Hamiltons Rating Scale for Anxiety)를 실시하였고, 부양자의 부양 부담을 측정하기 위하여 Zarit의 부양 부담 척도를 권중돈이 개발한 부양 부담 척도를 사용하였다 치매 노인의 정신병리. 부양 부담 그리고 부양자의 서비스 욕구 조사 모두를 완성한 23명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ANOVA,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1) 치매 노인의 BPRS 점수가 높을수록 부양자가 경험하는 부담 차원 중 사회 활동의 제한 차원에서 부담이 높게 나타났다(p<.05). 2) 부양자의 종교와 부양 부담의 하위 변인 치매 노인과 부양자간 관계의 부정적 변화 변인에서 부양자들이 종교가 없거나 불교를 믿는 경우보다 기독교를 믿고 있을 때 치매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가장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3) 치매 노인이 남자일 경우에 부양자의 전체 부양 부담, 치매 노인과 부양자간 관계의 부정적 변화 그리고 부양자와 가족 구성원간의 부정적 변화가 많이 나타났다(p<.05). 4) 노인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부양자의 심리적 부담이 큰것으로 나타났다(p<.05) . 5) 부양자의 전체 부양 부담이 부양자가 원하는 사회적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6) 부양자의 심리적 부담(p<.01)과 재정 및 경제적 활동의 부담(p<.05)이 클수록 다른 사회적 서비스보다 교육 및 상담 서비스를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재가 치매 노인의 정신병리가 심할수록 부양자의 사회 활동이 제한을 많이 받았고, 남자 치매 노인일수록 부양자의 부양 부담이 높았으며. 가족 관계가 악화되므로 가정봉사원 파견 서비스나 가족 상담, 교육 및 치료의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부양자가 전체 부양 부담, 심리적 부담, 재정 및 경제적 활동의 부담을 많이 느낄수록 교육 및 상담(정보 제공)서비스를 원하고 있으므로 치매 노인 관련 전문가들 이 이러한 점을 참고하여 적절한 서비스 개발을 하여야 하겠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ffer the foundation data to develop a specific and practical social service of caregiver-centered. For this purpose we assessed the cognitive functions of a group aged 65 or more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in a Dong area of urban community. And then we re-asse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ring burdens of caregivers and the psychopathology of in-home demented elderlies, and the needs of caregivers for the social services. Method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ver the age of 65 and resided in a Dong area of urban community. At first, their cognitive functions were screened by MMSE-K Subjects, whose total score of MMSE-K were below 24 and met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VI for dement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defined to be the patients with dementia. Their psychiatric symptoms were assessed by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Hamilton's Rating Scale for Depression(HDRS) and Hamilton's Rating Scale for Anxiety(HARS). At the same time, the caring burdens of caregivers and their needs for social services were assessed by caregiver's burden inventory(CBl). Total 23 subjects completed all of the assessments and their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by ANOVA, X2-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AS program. Results: 1) The mean total score of BPRS tended to b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mean score of social activity restriction subscale of caring burden dimensions. 2) Some of religions of the caregivers could affect differently and significantly on the negative chang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demented elderlies and their caregivers(p <.05). Especially, the Christians exprrienced less negative chang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an the others did. 3) When the demented elderlies were males, total burdens of caregivers and negative chang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demented elderlies and their caregivers, and between the caregivers and their relat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burden dimensions were(p <.05). 4)When the demented elderlies were more educated, the psychological burdens of their caregivers were more severe(p <.05). 5) The more were the total burdens of the caregivers, they wanted more social services for them(p<.05). 6) The more were the psychological and financial burdens of the caregivers, their needs for the education and counselling services were more than the needs for the other social services(p <.05). Conclusion : Caregivers living with male demented elderlies, who had more severe psychopathology, had more burdens of caregiving and restricted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income demented elderlies more severely. As a resul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became more worse. Our results suggested that free-home helper services for the severely demented elderlies and education counselling services including information-referral service for their caregivers were in needs. Consequently, we should develop more specific services for in-home elderlies and their: to the needs in their family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유방암 환자 가족원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에 관한 연구

        김영란,유미숙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burden and social support that family caregiv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have, and to find factors that will cause this burden. In contrast to other cancers, breast cancer occurs mainly in women and their family caregivers can be men. It may change the man's role and function in the family. Patients can have a lot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fter a mastectomy. Consequently, their family caregivers often feel more burden than caregivers of other cancer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that family caregivers need most is love, trust, understanding and support coming from their partner. Second, the relation between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the family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social-demographic factors and statistics. Finally, the more family caregivers have social support, the less they feel burdened. The feeling of burden varies according to social support and profession. Consequently, social support for family caregiv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must be given in many dimensions:in emotion, economics, information, and knowledge. This will contribute to decreasing family burden and improving family-binding power and function. 본 연구는 유방암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방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환자의 대부분이 여성으로 환자의 보호자가 대부분 남성이 되며 가정에서의 역할 및 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유방암은 다른 암에 비해 생존율이 높으며 치료이후 보호시간이 길어진다. 최근에 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사회적 지지, 무력감 등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으나 유방암환자의 가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결과 첫째, 가족이 가장 필요로 하는 사회적 지지는 사랑․신뢰․이해 등이며 배우자를 통해 지지받기를 원하고 있다. 질병 정보나 금전지원 등은 전문가, 정부의 지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둘째, 가족의 부담감 및 사회적 지지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간의 상관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담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감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 지지이며 그 다음은 가족원의 직업이었다. 앞으로 유방암환자의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경제적, 정보 및 지식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고 가족결속력 및 기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의 관계에서 돌봄부담감과 내적성장의 매개효과

        이영선(Rhee Young-S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2

        암은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1위로, 환자뿐 아니라 가족의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돌봄책임을 맡고 있는 가족원의 삶의 질은 사회적 지지, 돌봄 부담에 대한 평가, 재평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요인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밝혀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암센터를 이용하는 암환자 가족 295명의 사회적 지지, 돌봄 부담감, 내적 성장,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을 때 적합도 지수가 CFI(.951), TLI(.940), RMSEA(.062)으로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둘째, 직접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사회적 지지의 돌봄 부담감, 내적 성장에 대한 직접효과, 돌봄 부담감의 내적 성장, 삶의 질에 대한 직접효과, 내적 성장의 정신적 삶의 질에 대한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돌봄 부담감, 내적 성장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돌봄 부담감의 매개효과, 사회적 지지와 돌봄 부담감이 정신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적 성장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돌봄부담, 내적성장간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하고 사회복지 실천 및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ain and mediating effects which caregiving appraisal and positive reappraisal exert on quality of life (QOL)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The processes of this study are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which research model were chosen on the basis of stress-appraisal-coping theory through reviews of the previous studies.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upon 295 primary caregiver of patient with cancer at National Cancer Cent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using AMOS 5.0.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entire model including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 shows sufficient fit index of CFI(.951), TLI(.940) and RMSEA(.062).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Social suppor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feeling of burden' and 'growth'. The 'feeling of burde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growth' and 'QOL-mental and physical'. The 'growth'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QOL-mental'.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and QOL' and 'feeling of burden and QOL' are as follow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QOL-mental'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feeling of burden' and 'growth'.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QOL-physical'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feeling of burden'. The effects of 'feeling of burden' on 'QOL-mental'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growth'. Through this research, these implications in social work study and practice are found: (1) this study extended the scope of study in the caregiver's health area from negative sides into positive ones by using growth variables as positive reappraisalof caregiving in research model, which has not been tried on the Korean family caregivers of the cancer patient. (2) The effects of positive reappraisal on QOL-mental can provide a foundational necessity for social workers to help family caregivers find positive meaning in their caregiving experience. This approach of social work practice will improve QOL of family caregivers. (3) This study present a framework including social support, negative appraisal, positive reappraisal, and QOL variables available to social work practice and explaining affectiv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in various aspects.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치매 수발 부담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남일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3 No.4

        Background: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forms of dementia affect an ever-growing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family members in charge of caring for relatives with dementia often experience debilitating caregiving burden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this responsibility. Methods: Using a sample of 612 family caregivers from the Resources for Enhancing Alzheimer’s Caregiver Health, this study examined perceived social support (i.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received) as a protective factor of caregiving burden and depression. Results: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aregiving burden (B=-0.35, P<0.01) and depressive symptoms (B=-0.55, P<0.01). Media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through caregiving burden (B=-0.103, CI=-0.207/-0.035). Discus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may reduce caregiving burden, and in turn, reduce depressive symptom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 into the mechanisms linking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caregivers. 배경: 치매 환자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가족들이 겪는치매 수발 부담이 우울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파악되면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가 치매 수발 부담과 우울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기초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미국에서 실시된 치매 수발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사회심리프로그램(Resources for Enhancing Alzheimer’sCaregiver Health)에 참가한 612명의 치매 수발 가족들을분석했다. 사회적 지지가 치매 수발 부담을 낮추고, 사회적지지에 의해 낮춰진 치매 수발 부담이 우울증을 낮추는지를 검증했다. 결과: 연구 결과는 연구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수발 부담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에 의해 낮아진 수발 부담이 우울증을 낮췄다. 고찰: 본 연구 결과는 치매 수발 가족들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증이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에 관한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검증한 것으로, 치매 수발의 맥락에서 사회적 지지와 우울증이 어떻게 관련이 되어있는지에 관한 기초 연구틀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사회적 지지와 부양 부담

        한경혜(Gyoung-Hae Han),이서연(Seo-youn Le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고령화와 가족 구조의 변화로 노인 부양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배우자 부양은 '돌봄' 외에도 '결혼 생활의 연장'이라는 특징이 있어 성인 자녀를 비롯한 기타 가족 부양자와는 질적으로 다른 경험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남편과 아내가 처한 맥락이 상이하므로 이들의 성별 차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를 돌보는 부양자에 초점을 맞추어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의 수발 실태와 복지욕구」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검증, X²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부담의 하위 항목에 따라 차이점과 공통점이 각각 발견되었다. 부양 동기의 경우, 부인을 돌보는 남성의 부양 부담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남편을 돌보는 여성부양자에게서는 부양 동기와 부양 부담과의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적 지지는 남성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 부양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적을수록 경제적 부담을 느낄 승산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자의 건강상태와 피부양자의 ADL 수준은 남녀 모두의 신체적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배우자 부양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연구와 정책적 노력에 성인지적 관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Family caregiving to the elder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s in recent Korea. Among various kinds of family caregivers, spouse caregivers particularly constitute a special group, generally characterized by continuous intimate association with the care recipients at many levels and by special commitments and responsibilities associated with the marriage bond. And the number of spouse caregiv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Moreover, since a conjugal relation is consisted of husband and wife, their caregiving experiences and caregiving burden may vary by gender. Thus,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giving experience, especially caregiv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We analysed 「2001 Survey of Care-g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data by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husband was likely to feel more burden when he started caregiving because of few alternatives. For wife caregivers, the less awareness of social support they had, the more possibility of economic burden they felt. With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necessity of having gender-sensitive perspective in research and policy making for caregi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