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자기보고식 측정에 미치는 영향

        권희경,이현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desirability bias, the desire to appear socially desirable, on the measurement of self-reported responses of Korean studen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 1) the proportion of students with higher social desirability bias decreased as the grade went up, and the proportion of boys with higher social desirability bia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in Seoul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etropolitan citi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2)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 students from metropolitan cities and townships, and groups with high social desirability bias tended to report their academic competencies as being more exaggerated than their actually competencies; 3) Regarding the self-reported global community and knowledge processing ability, there was a larger inconsistent tendency for 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high social desirability bias to respond to positive statements in a more desirable way than to negative ones; 4) Regarding artistic activities, students with high social desirability bias gave rather inconsistent responses. These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ocial desirability bias affects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self-reporting measurements, and suggests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nterpreting clear the gender differences in such self-reporting measurement resul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 즉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보이고자 하는 욕구가 자기보고식 측정(자기보고된 학업성취의 정확도, 응답일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6, 중3, 고2 학생 10,19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급이 올라갈수록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높은 학생의 비율이 감소하며, 남학생 중에서, 특별시(초등학생)와 광역시(중학생)에서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높은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자기보고된 학업성취의 정확도 측정을 위하여 실제 학업역량과 자기보고된 학업역량을 비교한 결과, 초등학생, 남학생, 광역시와 읍면지역 학생들,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높은 집단이 실제보다 자신의 학업역량을 과장해서 보고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응답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식정보처리능력. 지구공동체의식, 예술활동에 대한 동일 문항내용의 긍정진술과 부정진술에 대한 응답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높은 학생들은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낮은 학생들에 비하여 모든 영역에서 부정문항보다 긍정문항에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하는 비일관적 경향이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하여 예술활동을 제외한 지식정보처리능력과 지구공동체의식에서 부정문항보다 긍정문항에서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는 자기보고식 측정 결과의 활용에 있어서 성별 차이에 주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에서 발달적 차이와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며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자기보고식 측정의 정확도와 일관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 장애아동 어머니의 방어유형과 사회적 바람직성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일화,황경열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再活科學硏究 Vol.27 No.1

        장애아의 출생은 부모를 비롯한 가정의 구성원들 모두에게 일반적인 도전과 책임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어려움을 더하게 하며 커다란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잠재된 방어유형과 사회적 바람직성이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임으로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심리를 이해하고 장애아동의 가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13개 장애전담 어린이집 188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판 방어유형 질문지와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양육태도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방어유형 중 적응적 방어유형과 사회적 바람직성은 애정적 양육태도, 자율적 양육태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부적응적 방어유형 중 미성숙한 방어유형과 갈등 회피적 방어유형은 애정적 양육태도, 자율적 양육태도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어유형 중 적응적 방어유형과 자기 억제적 방어유형이, 그리고 사회적 바람직성 중 자기기만적 고양은 애정-거부적 양육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성숙한 방어유형과 갈등 회피적 방어유형은 애정-거부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성숙한 방어유형은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rth of a disordered child functions not only general challenge and responsibility to all the family members including parents, but also big stress while allowing additional difficult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is because the potential defense style and social desirability in mothers of disordered children will have influence upon child-rearing attitude, thereby having aimed to allow it to be possibly applied to a program of understanding psychology of a mother who has a disordered child, and supports a disordered child's fami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88 mothers for 13 day care centers exclusively for disabilities where are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out of defense style in mothers of disordered children, the adaptive defense style and social desirability were shown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 and 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 Out of maladaptive defense style, the immature defense style and conflict-avoidant defense style were indicate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 and 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 Second, the adaptive defense style and the self-inhibitory defense style out of defense style, and the self-deceptive enhancement out of social desirability were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affectionate-rejective child-rearing attitude. The immature defense style and the conflict-avoidant defense style were indicated to have negative influence upon affectionate-rejective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immature defense style was indicated to have negative influence upon autonomous-controlled child-rearing attitude. Key Words: defense style, social desirability

      • KCI등재후보

        청소년 대상 단축형 13문항 Marlowe-Crowne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의 요인 구조

        박중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6 No.3

        단축형 Marlowe-Crowne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507 명의 중고생에게 실시하여 구성 요인 및 통계적으로 적합한 이론모형을 규명하였다. 자기-기만과 타인-기만(인상관리)의 2요인 구성모 형과 하위요인을 가정하지 않은 1요인 구성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1요인 모형이 통계 적으로 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사회적 바람직성은 청소년의 자신감과는 .19, 일상생 활만족도와는 .23의 유의한 상호상관을 나타냈다. 아울러 사회적 바람직성이 상위 3% 이상에 해당되는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자신감과 일상생활만족도를 보고하였다. 1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좀 더 양호하게 산출된 것은 문항 수의 제한과 척도내용 의 모호성에 근거한 결과였을 수 있으며, 측정도구에 따라 사회적 바람직성의 이론적 구성개 념이 상이하게 검증될 가능성을 시사 했다. MC-13 척도는 전체로서 긍정적인 성격특성 및 긍정적 응답 편향을 측정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보고식 조사 의 신뢰도와 타당도 제고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structs of 13 items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SD) scale in korean adolescence. 507 adolescent students conducted this scale with a confidence inventory and self-rated daily life satisfaction scale. The results showed 1 factor model was superior to 2 factors model which assumed self-deception and other-deception(impression management)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MOS 7.0. S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fidence . 19, and daily satisfaction .23 on each. Adolescents who scored upper 3% SD score showed higher results in confidence and daily satisfact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other 97% students. It means MC-13 SD score had somewhat different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positive personality traits or response bias tendency. It showed the meaning of SD were changeable with its' measurement devices. If the SD scale have few items and somewhat nonobvious item contents, it would be likely to show 1 factor construct compared to the SD scales have a few items and more obvious items. Lastly we discussed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more studies for the SD.

      • KCI등재

        청소년의 스포츠 도덕동기화가 스포츠 도덕실행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바람직성 통제에 의한 효과를 중심으로

        이도흥(Doheung Lee),강상욱(Sangwook Kang),김용세(Yongse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3 No.2

        이 연구는 청소년의 스포츠 도덕동기화와 스포츠 도덕실행력의 관계에서 사회적 바람직성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중·고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12부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238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의 경우, 질문지의 측정(스포츠 도덕동기화 질문지, 스포츠 도덕실행력 질문지, 사회적 바람직성 질문지)과 함께 해당 학생의 사회적 바람직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학급 담임 선생님을 통해 학생의 도덕성 점수를 추가로 측정하여 준거점수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스포츠 도덕동기화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바람직성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실행력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하더라도 스포츠 도덕동기화는 스포츠 도덕실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스포츠 도덕동기화 질문지는 스포츠 도덕실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측정도구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social desir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morality motivation and sports morality implementation in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of 2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38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3.0 & Amos 21.0 program, excluding 12 data that showed insincere responses. In the case of the research method, in addition to measuring the questionnaire (sports moral motivation questionnaire, sports moral implementation questionnaire, social desirability questionnaire), the student"s morality score was additionally measured through the classroom teacher to confirm the social desirability of the student.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reference score. According to the analysis, sports morality motivation scores were higher for girls than for boys, and social desirability scores were higher for boys than for girl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sets sports moral implement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sports moral motivation significantly predicts sports moral implementation even if social desirability is controlled. As a result, sports morality motivation questionnaires have been shown to be a significant measure of sports morality implementation.

      • KCI등재

        Rasch 모형을 이용한 한국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단축형(SDS-9)의 타당화

        배병훈,이동귀,함경애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e Social Desirability Scale-17 (SDS-17; unidimensional 16 items), developed by Stöber (2001), has distinct strengths including: (a) its convenience in survey administration thanks to its relatively small number of items, (b) appropriateness in its contents that presumably reflect the societal reality, and (c) its sound psychometric properties (i.e., reliability and validity estimates) with adult samples over the age of 18.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SDS-17 with the sample of 302 Korean college students through systematic and robust processe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and difficulty level of each item using the Rasch model. As a result, nine final items with two factors were selected, and then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e estimate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revised version (SDS-9). This study ends with discussion of the utility of the scale in Korean context as well as its limitations. Stöber(2001)의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ocial Desirability Scale-17; SDS-17)는 단일요인의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문항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설문지 연구에 포함하기에 용이하며, 사회상을 잘 반영하여 문항의 내용과 표현이 적절하고, 18세 이상 성인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유용한 척도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DS-17에 대한 체계적 문항분석 과정을 거쳐 한국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타당화 하고자 대학생 30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대해 Rasch 평정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문항의 적합도와 곤란도 분석을 바탕으로 9개의 최종 문항을 선정한 후, 추가적으로 수렴 및 변별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수정된 SDS-9 척도(2요인 9문항)의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끝으로 한국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의 활용방안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인 간 관용과 불관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정주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8 No.3

        본 연구는 대인 간 관용과 불관용을 구분하여 관용과 불관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사회적 바람직성, 공감(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타인을 향한 자비불안, 사회신뢰, 제로섬 신념이 관용과 불관용을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445명(남성 218명, 여성 227명)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얻었다. 자료분석은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관용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은 성별, 주관적 사회경제적지위, 사회적 바람직성, 인지적 공감, 사회신뢰로 나타났고, 불관용은 사회적 바람직성, 타인을 향한 자비불안, 제로섬 신념이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용과 불관용의 개념은 구분되며, 각각을 예측하는 요인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관용을 높이기 위한 개입과 불관용을 낮추기 위한 개입방안을 함께 모색함으로써 다문화·다양성 사회에서 현실적인 공존방안을 마련해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조직신뢰와 오류관리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상철(Lee, Sang-Chu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3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사회복지연구에 있어서 개념적 중요성이 높은 조직신뢰와 오류관리문화와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오류관리문화의 이론적 위치를 검증한다. 둘째, 이전 연구와는 다르게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수성을 반영하는 일가치감과 측정의 타당도 제고를 위한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력에 주목하면서 연구모형 적확성 제고를 위한 제언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의 사회복지이용시설 즉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경력 2년 이상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조사된 564명의 자료를 활용한다. 주요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핵심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신뢰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바람직성의 증분설명량이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측정의 타당도 제고를 위해 제3변수 효과에 의한 체계적 편향방지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둘째, 조직신뢰에 대하여 인구 사회학적 변수와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수성을 나타내는 일가치감의 증분설명량이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 연구모형구성의 적확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조직신뢰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 사회적 바람직성,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오류관리문화의 증분설명력은 사회복지이용시설별로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오 류관리문화의 이론적 함의와 오류관리문화 정착을 위한 실천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First,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error management culture. Second, it also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on the combined model by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profession and social desirability. This study employs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on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two year work experiences in their current social service agencie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finally it analyzes the responses from 564 social workers by using the method of multiple regression model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ults: (1)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sirability and organizational trus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2) there is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3) there is also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 structure of error management culture and organizational trust.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 KCI등재

        심리검사의 운영모드와 실명기입 여부에 따른 사회적 바람직성 변인 탐색

        어윤경(Au Yun Ky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4

          상담 장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비인지 영역 심리검사가 웹기반 검사로 급속하게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검사 운영모드와 실명기입 여부에 따라 사회적 바람직성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검사 실시조건을 검토하여 웹기반 심리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검사 운영모드, 실명기입 여부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사회적 바람직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비인지 영역검사에서 검사 실시조건에 따른 검사결과의 동등성에 대한 회의가 부분적으로나마 해소되는데 도움을 주었다. 더구나 웹기반검사 운영모드 사용시 실명조건을 통해 검사의 타당도를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피검사자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비인지 영역 웹기반 심리검사를 활용하는데 함의를 제공한다.   Through the study, I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operation of social desirability according to test administered mode in the situation which psychology testings to be used for counseling are rapidly replaced with web-based testings. I assumed that the web-based psychology testings are more straight and less exaggerating, comparing with the typical paper-administered testing mode, therefore, it will show a lower level of social desirability. And I suggested that the strategies which make the interviewees recognize the demonstrability for their responses by giving them feedback for the test results will show a lower level of social desirability than other strategies that keep us from recognizing the demonstrability. In addition, I assumed that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concurrent validity of social desirability according to the testing mode and demonstrable stratage.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sting mode and demonstrable stratage, and interaction. Thus, it partly contributed to get rid of skepticism about equality of the test results in affective psychology testing. In particular, it"s possible to make concurrent validity larger by the web-based method and demonstrable condition.

      • KCI등재

        한국 청소년 대상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타당화

        이현주,권희경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2

        In this study, a social desirability bias scal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self-reported traits for students in Kore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data of 10,195 samples collected by applying a stratified cluster extraction method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The scale consisted of 16 questions about 2 sub-factors: self-deceptive enhancement and image management. Among these, there were four questions on positively stated items and four on negatively stated items. However, afte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eight negative items were excluded from the final scale. Data analy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supported the convergence, discrimination, law, and contrasting- group validities. However, the criterion validity was found to be debatable. As a result of the cross-validation test, the scale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ocial desirability bias scale.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자기보고식 측정 결과의 타당도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였다. 전국의 초6, 중3, 고2 학생 중 층화군집추출법을 적용하여 표집된 10,19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그 과정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기기만적 고양과 인상관리의 두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각각 긍정적 진술 4문항과 부정적 진술 4문항을 포함한 2요인 16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2) 중3 학생들을 대상으로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부정적 진술문항 8개를 제외한 2요인 8문항의 척도를 확정하였으며, 해당 척도는 문항내적합치도, 수렴․판별․법칙․대조집단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준거 타당도 측면에서 제한된 근거를 확보하였다. (3) 교차 타당도 검증 결과, 동일 척도를 초6과 고2학년에 활용하기에도 무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우리나라 초등~고등학생의 사회적 바람직성 도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선물의 역할(giver-receiver)에서 관계적 특성이 해석 수준(construal level)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유인식 ( You In Sik ),이동명 ( Lee Dong Myung ),진로 ( Chen Lu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4

        선물의 선호도는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두가지 해석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첫 번째 해석 수준은 가치와 목적에 치중하는 즉 왜(Why)에 가까운 바람직성(desirability)이며, 두 번째는 사용 수단과 용이성에 치중하는 즉 어떻게(how)와 밀접한 실행가능성(feasibility)으로 구분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물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에 따라 어떠한 해석 수준의 선물을 선호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관계적 특성을 사회적 관계와 심리적 친밀도로 구분하여, 관계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해석 수준의 선물을 선호하는지를 추가적으로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선물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상황 별로 각 150명을 설문하여 유효 응답자 291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미국의 선물 문화에 대한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선물을 주는 사람은 바람직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으며 받는 사람은 실행가능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다. 둘째, 친밀도가 높은 가족, 친척, 친구의 관계에서는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 모두 실행 가능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다. 세 번째 친밀도가 낮은 사적인 관계인 경우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모두 바람직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으며 이는 한국의 선물 문화에서 공동체의식과 체면 의식이 반영된 의무적인 선물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반면에 공적인 관계에서는 친밀도가 높은 경우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모두 실행 가능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으며 친밀도가 낮은 경우 주는 사람은 바람직성이 높은 선물을 받는 사람은 실행 가능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관계 특성과 친밀도가 선물 해석 수준 선호도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고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Gift preference depends on the construal level of two people, giver and receiver. 1st construal level depends on the value and the purpose. In other words, desirability close to why. 2nd construal level is about means of use and convenience. So, this study observes which gift is preferred depends on giver and receiver as per the level of interpretation of gift. Also, by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 of relationship depends on social relationship and emotional closeness, additional in-depth study on gift preference is done. Study on 150 of receiver and giver respectively, 291 responses were selected, and we have the following results. 1st, without considering relationship, similar to gift culture in the States, giver prefers a gift with high desirability and receiver prefers a gift with high level of feasibility. 2nd, within close family, friends and friends, both receiver and giver prefers a gift with high level of feasibility. 3rd, in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low closeness, both giver and receiver prefer a gift with high desirability. This seems to reflect Korean gifting culture where community spirit and respect for each other exists. In public relations, between giver and receiver who are close prefer a gift with high feasibility while who are not close prefer a gift with desirability. This study reveals the level of relationship and the closeness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gift preference and provides the academical i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