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적농업에서 사회연대농업으로 - 농시민 주체화를 통한 농(農)과 사회의 연대로 나아가기

        이해진 비판사회학회 2024 경제와 사회 Vol.- No.143

        이 연구는 사회적농업을 농과 사회의 연대를 회복하는 실천 전략으로 문제틀을 설정하고 사회적농업의 대안적 개념화와 농의 사회화 방안을 탐구한다. 사회적농업을 농의 가치를 실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으로 정의하면서, 사회적농업 참여자의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적농업의 사회적 가치를 분석했다. 기존의 기능주의적인 사회적농업 개념을비판하고 사회연대농업을 대안적 개념화로 제시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사회적농업이 구성하는 농시민 주체화와 이들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청년 사회적농업의 현장인 충북 제천의 청년마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한 경험적인 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 청년들의 사회적농업 참여 동기는 자본주의적 삶의 바깥에서 대안적인 다른 삶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사회적농업에 참여한 청년들은 능력주의로부터 해방된 능동적 주체화, 호혜적 관계와 대안적 삶의 방식, 농시민 주체화를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로 돌봄의 호혜성, 공동자원의 재분배, 혁신과 참여의 효능감 요인들이 이러한 사회연대농업과 농시민이 사회적 가치를 발명하도록 이끈 조건이라고 해석했다. 이를 통해 사회연대농업이 능력주의와 불평등의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농의 가치를 사회화하는 농시민을 형성함으로써 농과 사회의 연대 및 지속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결론에서는 사회연대농업을 비판적인 연구와 급진적인 실천으로 확장하기 위해 농의 사회화, 사회연대경제, 사회운동과의 연계 속에서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This study frames social farming as a practice strategy to restore solidarity between Nong and society and explores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s of social farming and ways to socialize of Nong. Defining social farming as an activity that realizes the value of Nong and creates social value,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value of social farming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social farming participants. It criticizes the existing functionalist and integrative concept of social farming and proposes Social Solidarity Farming(SSF) as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ubjectivization of Nong citizens and the social values that social farming creates. To this end, it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ith participants in the Youth Village in Jecheon, Chungcheongbuk-do, a site of youth social farm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youth’s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social agriculture was to pursue an alternative, self-reliant life outside of capitalist life.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social farming experienced active subjectivization, reciprocal relationships, alternative ways of life, and the formation of Nong citizenship, liberated from meritocracy. The factors of reciprocity of care, redistribution of common resources, and the experience of efficacy of innovation and participation were interpreted as the conditions that led to the invention of social values by SSF and Nong citizens. Through this, we found that social farming has the potential to create solidarity and sustainability between Nong and society by responding to social problems of meritocracy and inequality and forming Nong citizens who socialize values of Nong. In the conclusion, strategies for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socialization of Nong, social solidarity economy, and social movements were proposed to expand SSF into critical research and radical practice.

      • KCI등재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농업 육성법안」의 지원 대상 범위 확대방안 고찰

        전용일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7

        사회적 농업은 농업활동을 기반으로 보통 장애인, 노인, 다문화가정, 범죄피해자, 사회 부적응자 등 사회적 약자의 사회적 적응과 자립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또한 이들이 제공하는 노동력은 고령화 등으로 인한 농촌 지역의 부족한 일손을 채워주는 상호 부조적인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농업의 산업적 측면에서 중시하는 생산성과 대외경쟁력 보다는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는 사람 중심의 농업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 즉 사회적 농업은 농업에 복지와 고용이 결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적 농업이 현 정부 100대 국정과제중 하나의 실천과제로 선정되면서 사회적 농업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우리의 사회적 농업은 10년도 안된 짧은 기간에 성공한 실천적 모델도 갖추지 못했고 또한 오랜 논의를 통한 이론적 토대조차 형성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비록 인위적이고 순리에서 다소 벗어난듯하지만 우리에게 맞는 이론적 토대와 실체적 모델을 만들어 내기 위해 법․정책적인 측면에서 선제적으로 사회적 농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를 구체화 하고자 하는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다만「사회적 농업 육성법안」이 사회적 농업활동의 지원 대상을 ‘사회적 농장’ 즉, 농업인과 농업법인을 대상으로 하는 농업경영체로 한정하고 있는데, 사회적 농업의 초기 정착과 확산을 위해 보다 많은 사회적 농업활동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그 지원 대상의 범위를 적정범위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농업활동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경제조직체 및 비영리법인이 농장을 토대로 한 사회적 농업 영위가 가능한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결국 농업경영체가 아닌 다른 단체가 법이 정한 사회적 농업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농지법」상 농지 소유가 가능한지부터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므로, 이들 단체의 농지소유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찰해보겠다. Social agriculture aims to help social adapt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cluding the disabled, the elderly, multicultural families, victims of crime, and social maladjustment through the agricultur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labor power they provide can be seen as a mutually supportive activity to fill the poor hands of rural areas due to aging. This can be seen as a means of realizing people-centered agriculture that embraces the socially weak, rather than productivity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industrial aspect of agriculture. In other words, social agriculture is a combination of welfare and employment in agriculture. As social agriculture is selected as one of the top 100 governmental tasks in the current government, discussions on social agriculture are increasing. The reality is that our social agriculture does not have a practical model that has succeeded in a short period of less than a decade, and does not form a theoretical basis through long discussion. Despite artificial and somewhat out of order, the effort to materialize and focus on social agriculture preemptively in legal and policy terms is positively rated in order to create a theoretical basis and a practical model that suits us. The Social Agriculture Promotion Bill restricts the support of social agricultural activities to 'social farms', that is, agricultural management organizations targeting farmers and agricultural corporations. However, for the initial settlement and spread of social farming,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upport to an appropriate range so that more social agricultural actors can participat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hethe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non-profit corporations based on agricultural activities are capable of farm-based social farming. Finally in order to carry out the social agricultural activities prescribed by the Social Agriculture Promotion Bill, first of all we had better discuss whether other organizations other than the agricultural management body can own the farmland by the Farmland Act, so we will consider the possibility of farmland ownership of these groups.

      • KCI등재

        공동체 돌봄으로서 사회적 농업의 특성 : 완주와 제주의 사회적 농장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진,김흥주,김자경 한국농촌사회학회 2024 農村社會 Vol.34 No.1

        한국에서 사회적 농업은 정책적으로 빠르게 추진되고 법 제도가 정비되면서 양적으로 성장하였지만, 사회적 농업 실천 현장에서 느끼는 정체성의 혼란은 가중되고있다. 농업과 돌봄 활동이 한 공간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농업의 정책과 제도화 경로의 과정에서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사회적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치를 공동체 돌봄의 논의를 통해 파악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개념인 공동체 돌봄에대해서 분석했다. 공동체 돌봄은 개인과 가족에게 지워진 돌봄을 국가와 시장에만의존하지 않고 지역에서 함께 대응하는 것이다. 공동체 돌봄의 특성으로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농업은 당사자와 지역주민이 지역에서 더불어 살아가는(주체성) 일상 속에서, 서로 의지하면서 다양하게 상호지원할 수있는 연결망을 구축하고(연결성), 연결된 이들이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거나 느슨하지만,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농업 활동을 통해 교류하는(관계성), 사회 인프라로서 돌봄의 장(자산기반성)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공동체 돌봄의 특성을 4가지로 추출하여, 이 특성이 실제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는 현장에서 어떻게 구체화하는지 완주와 제주의 사회적 농장 사례를 분석했다. 두 곳의 사례를 통해 공동체 돌봄의 특성이공통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역주민들이 핵심 주체로 등장하며, 농업과 비농업 분야와 다양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속적 관계를 통해 사회적 농장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교량적 관계를 통해 참여자들의 삶의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돌봄의 장소로서 농장은 지역 공동체의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농업은 공동체 돌봄으로서가능성을 보이는 것은 확실하다. 물론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사회적 농업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도 상당히 많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농업의 실천 현장에서느끼는 혼란을 해소하는 데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Korea, social agriculture has experienced rapid quantitative growth and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policy initiatives and legal frameworks. However, there is increasing confusion regard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in practical settings due to the convergence of agricultural and care activities within the same spa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during the process of policy and institutionalization by understanding the direction and values it should pursue through discussions on community care. To achieve this, firstly, the concept of community care, which is crucial for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was analyzed. Community care involves collectively addressing care needs in the local community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the state or market. Summariz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are, we can define it as follows: (Agency) Stakeholders and local residents living together in the community's everyday life. (Connectivity) Building interconnected networks enabling diverse mutual support, relying on each other. (Relationality) Fostering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or, albeit loose, intimacy among connected individuals through agricultural activities. (Asset-based community care) Serving as a social infrastructure for care. Secondly, four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ar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of social farms in Wanju and Jeju to understand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embodied in the practice of social agricult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commonly manifested in both cases. Local residents emerge as central agents, forming diverse networks across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domains. Through enduring relationships, social farms ensure sustainability, while transitional relationships initiate changes in participants' lives. Moreover, as sites of care, farms emerge as valuable assets to the local community. It is evident that social agriculture holds potential as a form of community care. However, it's worth noting that there are significant challenges faced by social agriculture in practical settings, which were not extensively cover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albeit to some extent, to resolving the confusion experienced i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social agriculture.

      • KCI등재후보

        사회적농업 육성 및 인식확산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윤선희,윤향미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18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4 No.3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one of Korea's government organizations, started demonstration project for vitalization of social farming by selecting 9 farms in 2018. social farming, one of the government's top 100 issues in the Moon administration, refers to various activities that provide care, education and employment to local people who need help through agriculture. As such, Korea is actively discussing related policies and practices on social farming. However, the concept and business model of social farming have not been materialized and are not widely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The study polled 300 citizens of Jeollabukdo to promote social farming and promote awar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lacks awareness of social farming, that the scope of service targets should be provided to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Socially Vulnerable people, and that professional training and manpower support should be given priority in order for social farming to become active. This aims to expand the service targets of social farming and to help establish a direction for policy task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for the functions of a multi-functional agriculture, along with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agriculture.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하여 2018년 4월부터 농장 9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을 시작하였다.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사회적 농업은 농업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지역 사람들에게 돌봄・교육・일자리 등을 제공하는 제반 활동을 말한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사회적 농업에 대한 관련정책 및 실천논의가 본격화 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농업에 대한 개념이나 사업모델 등이 구체화 되지 못하고 일반인들에게 조차 널리 인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농업 육성 및 인식확산을 위해 전라북도 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농업의 인식이 부족하고 서비스대상자의 범위를 사회적 약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며 사회적 농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전문가 양성 및 인력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농업의 서비스 대상자들을 확대하고 전통농업의 보전과 함께 다기능적인 농업의 기능이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정책과제에 대한 방향설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사회적농업을 통한 공동체 돌봄의 실현 조건

        이현진,김흥주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1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revitalize such social agriculture as a way to fill the care gap in rural areas. This is because social agriculture is most effective in actively utilizing rural resources and providing rural care because it is friendly to rural residents.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 the reality of rural care. Second, the possibility of social agriculture is confirmed through case studies. Third, check the conditions for realizing community care through social agriculture, check the current state, and find practical tasks to supplement. The practice cases for the study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the ‘Happy Care Farm’, ‘KI-WOOL Cooperative’, and the ‘Yeomin-Dongrak Community’, which are carrying out caring activities among domestic social farms and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exploring social care practices through social agriculture, focusing on cases that have practiced social agriculture for a relatively long time and have established a foundation, it was found that the socially excluded weak are actively engaged in integration, social return, and self-reliance. However, in order for social agriculture to exist as a key entity that can practice community care and solve rural care problems, several principles and practical tasks are need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partyality so that the reciprocal solidarity between the care provider and the beneficiary is possible. Second, by spreading the public value of care, it was emphasized to approach care as a concept of community created by local residents, not by the government. It was proposed to revitalize the social economy as an ideological and practical measure for these practices. Third, it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community.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modern community, it will be possible to reproduce the rurality in which villages become one and take care of each other. 이 연구는 농촌의 돌봄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적농업의 활성화와 공동체 돌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사회적농업은 농촌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농촌 지역의 거주자들에게 친근하여 접근성이 높으며 농촌다운 공동체 돌봄을 제공하기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세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농촌 돌봄의 어려운 현실과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사회적 농업을 통한 공동체 돌봄의 가능성을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한다. 셋째, 공동체 돌봄을 실현할 수 있는 조건들을 확인하면서 보완해야 할 실천과제들을 찾아본다. 연구 사례는 충남 홍성의 행복농장, 전북 완주의 키울협동조합, 전남 영광의 여민동락 공동체이다. 이들 사례는 비교적 오랫동안 농업의 다(多)기능적 측면을 활용하여 사회적으로 배제된 약자들의 통합과 사회복귀, 자립을 위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는 사회적농업을 통한 공동체 돌봄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농업의 생산활동을 통해 치유의 가능성과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통해 돌봄 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농업이 공동체 돌봄을 실천하고 농촌의 돌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주체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완해야 할 과제들이 있었다. 첫째, 돌봄 제공자와 수혜자의 호혜적 연대가 가능하도록 당사자성이 지켜져야 한다. 둘째, 돌봄 서비스의 공공성과 지역성의 가치가 확산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과 주민이 만들어가는 커먼즈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농업의 가치가 마을로 확산되어 새로운 공동체가 만들어져야 한다. 이래야 마을이 하나가 되어 서로 돌보는 농촌다움(rurality)을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농업 식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련요인 연구

        전효진,조영복 한국비영리학회 2018 한국비영리연구 Vol.17 No.2

        As interests in social farming are growing in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relevant elements affecting potential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social farm foods as strategies for successful business related to sustainability in social farming. 187 adults were surveyed, and the SPSS 22.0 programme was utilized to extract exact statistics from questionnaires. The outcomes from verification of hypothesis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shall be as follows: firstly, only functional value significantly effected on consumer’s attitude among personal consumption values; secondly, ethical consumption propensity significantly affects consumer’s attitude; thirdly, among demographic features, only experience of purchasing ethical products positively impacts on consumer’s attitude; and finally, consumer’s attitude of social farm foods affects their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from the hypothesis verification mean that consumers who regard qualities and price, who has ethic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who have experiences of buying ethical products would take a positive attitude of social farm foods. Doing a promotion of social farm products, it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brochures with a hallmark and ethical value, or to sell them along with ethical products such as eco-friendly foods and fair-trade foods. Besides, encouraging consumer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hrough consumer education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ale in social farm food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회적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사회적농업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비즈니스 성공을 이끌어내기 위한 시장전략도출로써 잠재적인 사회적농업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187부의 설문지의 정확한 통계 값을 얻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소비가치 중 기능적 가치만이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윤리적 소비 성향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윤리적 제품의 구매 경험만이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사회적농업 식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가설 검증 결과는 품질과 가격을 중요시 여기는 소비자, 윤리적 소비 성향이 있는 소비자, 윤리적 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소비자가 사회적농업 식품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농업 식품을 판매할 때에는 품질 증명, 윤리적 가치 등이 실린 홍보물을 제공하거나 친환경 식품, 공정무역 제품 등 윤리적 제품과 함께 판매하는 방안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 교육 등을 통해 긍정적인 소비자 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사회적농업 식품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임재현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job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farming and to derive job-creation plan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ases of social farms target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overseas social farming activities. And we visited and observed 5 social farms in Korea and interviewed the person in charge. The content of the study was to grasp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social farming as a job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plore ways to create a sustainable job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farming. As a result of the study, social farming in Korea is in its infancy, and most of the activities are centered on agricultural experiences focused on healing and c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it was concluded that continuous agricultural education and activities are sufficient as suitable agricultural job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job mode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farming. The job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a healing-oriented experience model, a care-oriented protective work model, and a social job model. In addition, a smart farm model and a plant factory model were added to the social job model. 본 연구는 사회적 농업에서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가능성을 모색하여 창출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사회적 농업 활동 중에서 발달장애인 대상 사례를 참조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사회적 농장 다섯 곳을 방문하여 관찰하고, 담당자를 인터뷰하였다. 연구내용은 발달장애인의 일자리로서 사회적 농업의 의미와 가능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농업에서 지속가능한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사회적 농업은 초기단계 있으며, 발달장애인에 대한 치유와 돌봄 중심의 농업체험 중심의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향후 지속적인 농업교육과 활동을 통해서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농업 일자리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농업 분야에서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일자리 창출모형은 크게 치유중심의 체험형, 돌봄중심의 보호작업형, 사회적 일자리 모형으로 구분하였고, 사회적 일자리 모형에 스마트 팜 모형과 식물공장 모형을 추가하였다.

      • 발달장애인의 감성요인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순근(Soon-Geun Yoon) 한국복지상담실천학회 2022 한국복지상담실천학회지 Vol.2 No.1

        본 연구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감성요인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하여 사회적 농업 참여 활동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성과로 얻었다. 매개변수 즉 ‘사회적 농업활동’의 「서비스 기대」요인은 ‘사회통합’의 「복지생활」과 관련을 맺을 뿐 다른 4가지와는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농업활동’의 「농업활동 수준」은 「생산적 활동」과 관련을 맺을 뿐 나머지 4가지와는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사회적 농업활동’의 「이웃과 가정생활」은 「건강」을 제외한 모든 부문 즉 「경제생활」「복지생활」「생산적 활동」「사회적 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들에게 「이웃과 가정생활」의 요소는 일반인들과 달리 특별한 의미가 있으며 사회통합을 위한 매개변수로써 사회적 농업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발달장애인들이 사회적 농업을 직업으로 유의할 만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점은 발달장애인들의 사회통합을 위한 매개변수로서 사회적 농업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사회적 농업과 연계하여 지표를 세워 간다면, 새로운 한국적 사회적 농업의 모델을 창조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보며, 이 글은 그 도정에 초석의 하나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griculture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fact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social integration.,The parameter, Service Expectation, of ‘Social Agricultural Activities’, was found to be related to Welfare Life of ‘Social Integration’ but to be less related to the other four. The level of ‘Agricultural Activities’ of ‘Social Agricultural Activities’ was related to Productive Activities, but less related to the other four.,On the other hand, Neighbors and Family Life of ‘social agricultural activities’ was closely related to all sectors except health, economic life, welfare life, productive activity, and social relationship.,The elements of Neighbors and Family Life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have a special meaning unlike the general public and can be evidence that social agriculture can play a big role as a parameter for social integration.,It shows tha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experiencing changes that can be noted as social agriculture.,This can be evidence that social agriculture can play a big role as a parameter for social integr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If we build an indicator in connection with social agriculture, we will be able to create a new model of Korean social agriculture. I hope this article will be one of the cornerstones of the road.

      • KCI등재

        농업·농촌·농민(농農)의 사회적 가치와 먹거리 시민권 : 농의 사회화를 통한 사회의 지속가능성 모색

        이해진(Lee, Hae-Jin),김철규(Kim, Chul-Kyoo) 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학 Vol.22 No.3

        이 연구는 농업·농촌·농민의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문제설정으로 농(農)과 사회의 관계 회복과 농과 시민사회의 연대를 의미하는 농의 사회화라는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농정과 담론을 주도해 온 경제와 정책 위주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시민사회와의 연대를 통해 농의 문제에 대응하고 농으로부터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한 회복력을 모색할 수 있다는 새로운 문제설정을 제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농의 사회화를 농의 문제와 대응을 사회 전체의 공적 문제로 전환하고, 농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지지와 연대의 헤게모니를 확대함으로써 농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의 위기에 대응하는 전략적 과정으로 개념화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농의 사회화, 농과 시민사회의 연대를 구축하기 위한 구체적인 촉매제로서 농의 사회적 가치에 주목하였다. 먼저, 기존의 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공익적 가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농의 사회적 가치를 대안적 개념으로 제시했다. 나아가 농의 사회적 가치를 농이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한다는 의미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국민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누가 농의 사회적 가치를 지지하는지, 어떤 요인들이 농의 사회적 가치를 공유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였다. 특히, 농과 사회의 관계를 매개하는 먹거리와 시민권을 중심으로 농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규범적 담론으로 제한되었던 농과 식(食)의 관계와 먹거리 시민권 이론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주의, 먹거리에 대한 관심과 경험, 사회문제로의 인식, 먹거리 시민권의 정도에 따라 농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농과 단절된 개인화된 소비자중심주의는 농의 사회적 가치 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먹거리 시민권의 행동으로 연결된 먹거리 시민일수록 농의 사회적 가치 인식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요리, 채식주의와 같은 먹거리 행동이나 자연과 환경 친화적인 대안가치를 지닌 시민일수록 농의 사회적 역할을 높게 평가한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먹거리를 매개로 농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려준다. 먹거리 시민권이 농의 사회적 가치를 구축하는 시민사회의 토대로서 농과 사회의 관계를 회복하고 농과 시민사회의 연대를 강화할 수 있는 유의미한 조건임을 밝혀냈다. 농과 사회의 지속가능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 농의 사회적 가치를 지지하는 먹거리 시민권을 지닌 먹거리 시민을 확대하는 사회운동과 정책들, 그리로 이러한 농의 사회화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농촌사회학이 요구된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paradigm of ‘socialization of the rural(nong; SON)’ to cope with the triple crises of agriculture, rural community, and farmers in Korea. The SON is a concept to advance the recover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nong and society on the hand and building social ties between the nong and civil society on the other. SON means the recognition of nong and support for nong by the citizens as well as the society in general sharing the social values of nong. We critically examined the concepts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public value of agriculture. Instead, we proposed the social value of no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uilding social ties between nong and civil societ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ocial value of nong is attempted in order to carry out an empirical analysis by using a national surve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we explored who support the social value of nong and what factors positively affect the degree of recognizing it. Important moderating variables were ‘food’ and ‘citizenship’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people’s perception of social value of nong. More concretely, we examined how the interest in food and attitude & behavior differently affect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 of nong. We found that those who have more consistency between interest in food and food citizenry behavior have higher degree of perception on social value of nong. In addition, those who have more eco-friendly values and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ooking or veganism have greater appreciation of nong. These results implies that food can be an important measure in enhancing appreciation of nong among people. We believe food citizenship is an important political concept for spreading social value of nong in the society and rebuilding ties between the rural and civil society. Empowering the food citizens by social movement and social policies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current crises of the nong and society in Korea.

      • KCI등재

        지역 농촌의 농업치유관광 운영방안과 (특수)교육적 시사에 관한 담론-W마을 운영방안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애 ( Kim Sung-ae )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1

        이 논문은 치유농업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과 연구자의 철학적 기반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담론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필요성을 위한 철학적 기반에는 인간의 웰빙과 인간성의 회복, 그리고 농촌에서의 치유의 새로운 역할과 제4차산업혁명시대에서의 (특수)교육에 주는 이로움이 포함된다. 이 논문에서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치유관광의 개념적 특징을 담론한다. 둘째, 지역 농촌 마을의 농업치유관광에 대한 운영방안을 담론한다. 셋째, 농업치유관광 운영방안이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담론한다. 연구자가 농업치유관광 운영 방안을 적용하고자 하는 W마을은 전형적인 지역 농촌마을이다. 이 마을에서 연구자에 의해 제안되는 농업치유관광 운영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농업치유 관광을 위한 마을의 비전을 수립한다. 2. 운영의 질적 제고 방안으로, 농업치유관광 운영을 위한 각종 위원회 구성, 운영 원리 구안, 운영의 질적 균형성 제고 방안을 담론한다. 3. 농업치유관광의 효과성 및 효율성 차원에서는 농업 치유관광 활동 자원 개발, 지속가능한 이용자-제공자의 교류 방안 등이 포함된다. 또한, 연구자는 W마을에서의 농업치유관광 운영 방안이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담론한다. 그 담론의 분야는 교육의 비전으로서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간상과 교육방법론으로서의 융복합 활동, 그리고 통합교육 관련 내용이다. This paper is made in the form of a discourse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study and the subjective viewpoints of the researcher's philosophical basis.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includes human well-being, the restoration of human identity, the new role of healing in rural areas and the benefits given to (special)education in th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etc.. There are three objectives this paper intends to approach. The purpose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to discourse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Healing Tourism(AHT). Second, to discourse the AHT management plan in the rural village. Finally, to discourse the implication on which the AHT management plan gives for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village ‘W’ where the researcher intends to develop and manage AHT, is a typical rural village. The AHT management plan proposed by the researcher is included as follows: 1. To establish visions for AHT, 2. As a quality improvement plan for AHT, to establish various committees, to establish the operating principles, to prepare “checklists” for the qualitative balance of the management plan, and 3.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AHT, to develope resources for AHT activities, to establish a sustainable user-provider exchange plan, etc. In addition, the researcher discourses the implication on which the AHT management plan gives for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aspects for discourse are as follows: Human image required in this era as a educational vision; Convergence activities as a Educational methodology; Inclusive Education re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