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과 우울의 관계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현주(Lee, Hyunj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노년기 사회적 네트워크의 유형을 규명하고,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이 우울증상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를 사용하여, 6차 년도(2016년)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이 7차 년도(2018년)의 우울증상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 분석하였다(N=3,836).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사용하였고, 도출된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이 우울증상에 갖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 상이한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여성에서는 제한-부부형(16.2%), 제한-자녀형(14.8%), 다양형(17.1%), 친구-활동형(52.0%)의 4개 잠재집단이 도출되었고, 남성에서는 제한-부부형(29.1%), 친구-활동형(27.5%), 다양형(43.4%)의 3개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이 우울증상에 어떤 영향력을 갖는지 살펴본 결과에서도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에서는 제한-부부형에 비해 다양형과 친구-활동형에 속할수록 우울증상이 낮았지만, 남성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성별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과 우울에 대한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고, 이는 각 성별 집단 내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This study aimed (1) to identify gender-specific social network types among older adults, (2) to examine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se social network types influence their depressive symptom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respondents over 65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both the 2016 and 2018 surveys (N=3,836). The social network types were derived by Latent Class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type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women, four types were identified: Restricted-couple(16.2%), Restricted-children(14.8%), Diverse(17.1%), Friend-activity(52.0%). Among older men, Three types were found: Restricted-couple(29.1%), Diverse(43.4%), Friend-activity(27.5%). Among women in Diverse and Friend-activity type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men, however, there were no effect of social network types on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demonstrated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network types and those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types and their effects on depression is different by gender. This result suggested that in-depth understanding and discriminatory approaches to the most vulnerable subgroups within each gender group are required.

      • KCI등재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문이슬(Moon, I Seul),윤창국(Youn, Chang Gook)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운영 과정에서 어떠한 구체적 유형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고 산출되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운영이 활발한 서울 강남구 평생학습 실무협의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평생학습 네트워크는 협의회를 구성한 후 지속가능한 운영방식을 확보하고 참여자 중심의 운영을 도모하면서 차츰 네트워크의 수준과 영역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통해 산출된 사회적 자본은 ‘강화된 관계망의 밀도와 상호이해에 기반한 신뢰’, ‘공유된 다양한 네트워크 가치와 자원들’, ‘확장된 주체적 지역사회 활동’의 세가지 범주로 분석되었다. 강남구 협의회의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산출된 다양한 사회적 자본들은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지속적 전개와 성장을 이끄는 동력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구축에는 어느 정도 사회적 자본을 공유하고 있는 집단을 기반으로 시작할 필요가 있는 점, 네트워크에서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탈집중적 방식의 네트워크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는 점, 네트워크 구축의 당위성확보 및 활성화 전략을 위해서는 향후 네트워크의 활동의 다양한 산출물 중 하나인 사회적 자본에 대한 구체화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social capital are formed in a lifelong learning network.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use case study methods and select a case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ittee vigorously activated in Gangnamgu. After establishing a committee, members determine that this committee would be managed in member-centered and sustainable ways. As a result, this network has developed and expanded its activity area and level of activity. Through these activities, this lifelong learning network produced three kinds of social capital such as ‘enhanced network density and trust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shared network values and resources,’ and ‘expanded autonomous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ose social capitals produced by network activities take important roles in contiguou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network.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discuss three implications on lifelong learning research and fields. First, lifelong learning network should better start from group sharing for some level of social capital. Second, the network structure needs to be organized in decentralized way in order to gain a varied and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Third, research should focus more on social capital to secure imperativeness and develop strategies for activating lifelong learning network.

      •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김종향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1 임상사회사업연구 Vol.8 No.2

        고령자의 재취업은 개인적으로는 노후생활에 필요한 소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취업을 통해서 안정된 역할을 갖게 됨으로써 노년기의 무료함이나 고독감을 해소하고, 신체 및 정신적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국가적으로는 사회보장기금의 절약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다양한 요인을 밝히고, 그 요인들이 고령자 재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즉 취업한 고령자 집단과 미취업 고령자 집단의 사회적 관계망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재취업에 도움을 주는지를 밝히고, 취업욕구가 있는 고령자들의 취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서울시 노원구 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최근 2년간 등록한 노인 중 과거 취업경험이 있고, 55세 이후 재취업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에 의해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대면조사와 우편조사를 실시, 총23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Chi-square)과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재취업을 위해 개인적 관계망 유형보다 제도적 관계망 유형을 이용할 경우 재취업 할 확률이 1.8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관계망의 수가 증가 할수록 재취업을 할 확률이 2.3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의 연결강도 중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재취업을 할 확률이 0.35(1-0.647)배 감소하지만, 사회적 관계망의 연결강도 중 접촉빈도는 고령자의 재취업 여부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관계망의 도움유형 중 정보제공 유형 보다 영향력 제공 유형일 경우가 재취업을 할 확률이 3.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립변수로 투입된 이질적 결합정도, 상향지향적 결합정도는 고령자의 재취업 여부에 유의미한 값을 가지지 않아 고령자의 재취업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 관계망 요인 중 고령자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Wald값과 유의도를 기준으로 볼 때,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관계망의 수(Wald=20.726, p=.000)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자가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사회적 관계망이 많을수록 재취업률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 요인으로는 도움유형(Wald=11.324, p=.001)으로. 고령자에게 있어 재취업을 위해서는 추천?직원소개?직접고용 등의 영향력을 제공하는 도움이 재취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상품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함에 있어 SNS 메시지 유형의 역할

        현근식(Hyun Geun Sik),이동일(Lee Dong Il)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최근 기업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상품정보의 전달 유형에 따른 설득효과 차이를 분석한 연구이다.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전달되는 상품정보의 전달자 유형과 상품정보의 메시지 유형(사실적, 평가적), 전달자 의견 포함 유무의 세 가지 독립 변수로 2x2x2 실험을 진행하여 상품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상품평가의 경우 두 변수들 간의 이원 및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구매의도의 경우 각 변수들의 주 효과 및 전달자 유형과 상품정보 유형 간 이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지인이 상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기업이 직접 전달하는 것보다 언제나 효과적일 것이라는 기존연구 결과와 달리 지인은 사실적 상품정보를 기업은 평가적 상품정보를 전달했을 경우에 높은 설득효과를 보였다. 둘째, 상품정보를 지인이 전달하는 경우에는 의견을 포함하여 전달하는 것이, 기업이 전달하는 경우에는 의견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더 높은 설득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품정보가 사실적 메시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달자의 의견을 포함하는 것이, 평가적 메시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의견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더 긍정적인 설득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가장 높은 설득효과를 보이는 상품정보 전달 방법은 사실적 상품정보를 지인이 의견을 포함하여 전달하는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연구들이 확인하지 못했던 전달자 유형과 상품정보의 메시지 유형, 전달자의 의견 포함 유무가 설득효과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과 기업이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 전달하는 상품정보를 누구를 통해 어떻게 전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persuasion effects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s(SNS), regarded as important communication channels, and their delivery methods of product information. By utilizing a 2x2x2 experiment, method of delivery(brand or acquaintance), type of message(factual or evaluative), and presence or absence of deliverer's opinion. The effects of the aforementioned factors on between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re identified. Empirical evidence states that there is a two-way interaction effect and three-way interaction effect for product evaluation. As for purchase intention, therewere a two-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method of delivery and product information.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trary to popular belief,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effective delivery methods came from acquaintances' factual and brands' evaluative reviews. Second, acquaintances' product information that include opinions and vice versa for brands proved to be most effective. Third, product information delivery has proven to be more effective if factual messages were tied with the deliverer's opinions and vice versa for evaluative messages. Lastly, the delivery method with the greatest effect came from acquaintances with factual messages with opin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previous research overlooked the effects of method of delivery, product information type, presence or absence of deliverer's opinion,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factors on existing social network services. The research, in essence, helps brands identify themost effectivemeans of delivery in SNS communications.

      • KCI등재

        지역의 유형별 특성과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의 관계성 연구

        이복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3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3 No.1

        본 연구는 지역의 유형을 특성별로 분리하여, 유형별 노인정보화 수준이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연구 결과 첫째, 지역의 유형별 특성에 따라서 노인의 정보화 수준 및 사회적 네트워크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역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노인의 정보화 수준은 사회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유형별 노인의 인구사회경제적인 변수는 노인의 정보화 수준 및 사회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자체별 ‘60세 이상 고령노인’을 위한 정보화사업을 특성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도시의 규모・기능적 특성에 따라서 노인의 정보활용 기회가 좌우되는 단편적인 정책이 아니라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노인의 정보화 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정례화해야 한다.

      • KCI등재

        노인의 사회적 관계 유형과 학대경험 및 요인의 관련성

        최현숙,최경인,이희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관계와 노인학대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사회적 관계의 구조와 기능으로 유형화한 후 학대경험 및 학대요인과의 차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관계의 구조와 기능을 축으로 4개 군집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군집 1은 ‘고밀착-기능취약형’, 군집 2는 ‘저밀착-정서취약형’, 군집3은 ‘고밀착-기능양호형’, 군집 4는 ‘중밀착-기능보통형’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의 군집유형에 따라 학대 경험 및 학대요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군집 1 ‘고밀착-기능취약형’이 학대 경험이 가장 많고 학대 요인에 취약하였으며, 군집 3 ‘고밀착-기능양호형’이 학대경험이 가장 적고 학대 요인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학대 예방 및 개입에 있어 사회적 관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구조적으로 고밀착된 노인들에 대한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과 사회적 관계의 기능의 강화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elder abuse. To be specific, it was analyzed about difference of abuse experience and its factors after clustering by the social network structures and functions. Based on analysis, it was drawn 4 social network clusters by an axis of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and it was called cluster 1 ‘close contacts-vulnerable function type', cluster 2 'less contacts-emotion vulnerable type', cluster 3 ‘close contacts-good function type', cluster 4 'mid contacts-mid way function type'. It was represented difference between social network, elder abuse and its factors. Cluster 1 ‘close connections-vulnerable function type' is most elder abuse experienced and vulnerable to its factors and cluster 3 ‘close connections-good function type' is least elder abuse experienced and good in its factors. This study was shown that should be adequate consideration regarding structures and functions of social network in elder abus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pecially, it was proposed that the need for discriminatory approach to elderly who is close connected structurally and enhancing function of social network.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회적 연계망 유형:

        정경희(Chung, Kyunghee),강은나(Kang, Eun Na)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사회적 연계망 자체를 좀 더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자료(65세 이상 10,279명)를 활용하여 관계망 크기, 연계와의 접촉 빈도, 연계에 대한 친밀도를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적 연계망은 고립형(11.6%), 가족의례형(17.7%), 가족친밀형(23.6%), 제한적 다층친밀형(28.4%), 다층형(18.8%)의 다섯 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도출된 잠재집단 유형별 특징을 비교하였고, 사회적 관계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고립형 노인의 3/4은 여성이며 독거가구 비율이 약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평균연령이 높고,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신체적 제한이 있는 노인, 사회적 지위가 낮은직종에 종사한 노인이 고립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층형의 경우 여성보다는 남성노인이,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 관리 사무직에 종사한 노인일수록 다층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가족의례형과 가족친밀형은 배우자 혹은 자녀를 중심으로 연계망이 형성되어 있고, 노인부부가구의 비중이 높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가족의례형은 상대적으로 여성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제한적 다층친밀형은 배우자보다는 자녀와 친구 이웃과의 연계망의 크기, 빈도, 친밀도가 다층형 다음으로 높은 집단으로 여성노인 및 저학력이면서 농림어업에 종사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노년기의 사회적 연계망 유형의 다양성이 갖는 학술적 및 정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10,279 persons aged 65 or above) to understand social networks among older Koreans. In order to classify the types of social relationship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such structur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s network size, frequencies of contact, and closeness. The results show that older Koreans can be categorized into 5 distinct social network types: disengaged (11.6%), ritual-family-focused (17.7%), close-family-focused (23.6%), close-restricted (28,4%), and diverse (18.8%). Characteristics by each social network type are compared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re applied to figure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network type. Older persons with disengaged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overwhelmingly female, living alone, old-old, and of low socioeconomic status. On the other hand, older persons with diverse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young-old and had highly-ranked jobs in their mid-life. Spouse/children are the focal point of social relationships in both ritual-family-focused and close-restricted social network. However, the proportion of men is higher in the close-family-focused type than in the ritual-family-focused. Older Koreans with close-restricted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female, uneducated, and have engaged in agricultural and allied activitie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its findings and how research in this area should develop in the future

      • 가상 인플루언서와 감정표현이 수용자들의 감정,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김예은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6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일상 속에서 가장 자주 이용하는 매체 중 하나가 되었고, 사회 관계망서비스(SNS)의 등장으로 인플루언서 유형이 등장하였다. 비대면의 일상화,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가상 인플루언서가 실제 인플루언 서와 같은 활동 영역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그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이 연구는 인플루언서 유형(인간 인플루언서 vs. 가상인간 인플루언서)과 인플루언서의 감정표현 유무(감정표현 유 vs. 감정표현 무)가 수용자들의 감정(긍정적 vs. 부정적),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인플 루언서 유형2종류 × 인플루언서의 감정표현 유무 2종류의 실험물을 제작하고, 인스타그램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를 보고, 감정, 사회적 현존 감, 모방욕구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플루언서 유형과 감정표현 유무는 수용자들의 감정,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감정표현이 있는 인플루언서 유형이 감정표현이 없는 인플루언서 유형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긍정적 감정, 사회적 현존감, 모방욕구를 유발하였다. 인 간 인플루언서가 가상인간 인플루언서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긍정적 감정, 사회적 현존감, 모방 욕구를 유발하였다. 이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전략을 개선하고, 수용자들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데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노년층과 잠재 노년층의 주거선택 비교분석

        권연화(Kwon Yeon Hwa),최열(Choi Yeol) 한국부동산학회 2016 不動産學報 Vol.66 No.-

        ‘초고령사회’를 대비해야 하는 시점에서 노년층뿐 아니라 잠재 노년층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과 잠재 노년층의 비교를 통해 그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보고, 이런 특성들이 그들의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특성, 가구특성뿐 아니라 가족중심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 및 가족외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까지 고려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중심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요소는 잠재 노년층이 자가아파트에 비해 임차아파트를 선택할 확률에, 노년층이 자가아파트에 비해 임차주택을 선택할 확률에 영향을 주었다. 가족중심 사회적 네트워크의 기능적 요소인 자녀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잠재노년층과 노년층 모두 임차가구(임차주택, 임차아파트)를 선택할 확률이 커졌으나 자녀지원 변수는 노년층에게만 유의미하여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을수록 자가아파트에 비해 임차아파트나 자가주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in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he major determinants on housing choic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latent-elderly(the middle-aged) and elderly. (2) RESEARCH METHOD It was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 with KLoSA data.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involve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usehold characteristics,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amily-based social network and non-family-based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3) RESEARCH FINDINGS We found the difference in housing choice between the latent-elderly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social network variables. For the latent-elderly, meeting frequency, satisfaction on children, friendship meeting and religious meeting have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choosing a rent-apartment than the owner-occupied apartment. For the elderly, accessibility, meeting-frequency, contact-frequency, satisfaction on children, friendship meeting and religious meeting have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choosing a rent-housing than the owner-occupied apartment. 2. RESULTS To prepare for the super-aged society and make the desirable elderly housing polic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latent-elderly.

      • KCI등재

        SNS 관계망에서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사회적 지지감을 형성시키는가? -관계망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조윤경 ( Yun Kyoung Cho ),백영민 ( Young Min Baek ),김반야 ( Ban Ya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2

        SNS 공간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인간관계를 유지·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SNS 공간에서의 인간관계유형을 ‘관계유지’(기존 오프라인 관계가 SNS로 옮겨간 경우), ‘관계형성’(SNS에서 새로이 형성된 경우), ‘관계회복’(끊어졌던 오프라인 관계가 SNS를 통해 회복된 경우)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관계망의 크기와 강도를 구분하였다. 또한 이에 영향을 받는 사회적 지지감 역시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한 후 각 관계망의 크기와 강도가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감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은 서로 구분되며, SNS 관계망 유형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모든 유형의 관계망 크기는 온/오프라인 사회적 지지감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관계형성형 관계망 강도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에 그리고 관계유지형 관계망 강도는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감에 긍정적 효과를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대한 논의와 이론적 함의, 그리고 한계점은 결론부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A variety of human relationship can be formed and maintain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s in SNS on perceived social support (PSS) and how the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human relationship. Specifically, this study distinguishes two types of PSS (i.e., offline PSS and online PSS) and classifies human relationships on SNS into three types: (1) maintained relationship, indicating the SNS relationships are originated from preexisting offline relationship, (2) newly-formed relationship, meaning the SNS relationships are newly born through interaction online, and (3) recovered relationship, defined as the SNS relationships which had been broken but are recovered by the SNS`s eficient search function. Each relationship on SNS is measured with two-dimensional model, comprising of network size (i.e., number of SNS friends) and network intensity (i.e.,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the SNS friends).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SNS use on social support is not monolithic. Specifically, we found that ‘network intensity on maintained relationship’ promotes offline PSS but ‘network intensity on newly-formed relationship’ promotes online P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