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적 기억의 매개로서 디자인: 기억의 사유방식과 태도

        송진원(Song Jinwon),안병학(Ahn Byunghak) 한국디자인사학회 2022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기억과 역사, 경험과 의식의 대립을 시대를 특징짓는 성격으로 주목하고, 디자인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사회적 기억’이라는 현상의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기억한다는 것은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의 관계를 세우는 일이다. 사회 변화에 따라 재인식, 재구성되는 사회적 기억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요청이자 시대적 가치이며, 이것은 현재 사회가 필요로 하는 디자인의 역할과도 맞닿아 있다. 그 역할은 현존하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경험의 나눔과 공유를 통해 사회적 기억을 끌어내고 그로부터 새로운 현재를 불러내 공명(共鳴)하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크게 기억 담론의 고찰, 기억의 사회문화적 재현, 기억의 매개로서 디자인 사유방식과 태도, 이렇게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논의를 개진하며, 더불어 우리 주변에서 발생했던 사건과 기억을 소재로 한 디자인의 양상과 이로부터 발현된 사회적 의미를 살피는 데 집중했다.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이란 우리 사회가 변하고자 하는 지향점을 디자인이 어떻게 수용하고 확산해야 하는지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이런 생각이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이 연구의 배경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memory and history,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as a characteristic of the times, and attempt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cultural role of design and the phenomenon of “social memory.” To remember i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rough the past. Social memory, which is re-recogniz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is the request and value of the times for people living in that era, which is also in line with the role of design as required by today’s society. Its role is to draw out social memory by sharing experiences in the existing social context, and to have them resonate by calling out a new present from them. Based on this critical way of thinking, this study set forth discussions by largely classifying them in three parts: the examination of the memory discourse,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memory and social perspectives on it, and methods and attitudes about how to consider design as a medium of memory. In addition, it focused on examining the patterns of design based on events and memories around us as well as the social meaning revealed from them. I think the social role of design is closely related to how design should accept and spread the orientation that our society wants to change. This idea re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recognize the role of design and seek new methods about how to represent this, and this study provides questions and critical reviews of remarks, interventions, and various forms of behavior based on the awareness of reality regarding the contemporary value and role of design.

      • KCI우수등재

        사회적 참사와 기억공간의 제도화 : 세월호참사와 대구지하철참사 비교 분석

        김진이,오세일 비판사회학회 2022 경제와 사회 Vol.- No.136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place of memory for Sewol ferry disaster(2014) and that of Daegu subway fire(2003).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wo places of memory is itself struggle for collective memor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laceness of the two memorial spaces has been socially constructed and what factors have influence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place of memory. The study also analyses how bereaved families and citizens have internalized the meaning of the place of memory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explore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lace of memory is a process for reflecting on social suffering and acquiring ‘moral universality’ that goes beyond the context of power struggle and hegemonic occupation of territ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ield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content analysis for each case, the two disaster cases created a place of memory based on symbolic features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wo places differed according to the power and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the participation rights of the victims’ association, the solidarity within themselves and with others, and the resources and procedural institutions. Based on these facts, the study argues that the difference in placeness of two memorial spaces occurs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i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he two places of memory are being signified(internalized) as public values of ‘life’ and ‘safety’ that can access the ultimate ground of moral horizons. The struggle for the memory of the bereaved family over the place of memory can be interpreted as an externalization process of the social suffering caused by disaster and as a call for social awakening.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place of memory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to reflect continuously in the public sphere oriented toward under moral universality and not to be forced to place collective memory of social suffering into oblivion. 이 연구는 2014년 세월호참사의 안산시 기억공간과 2003년 대구지하철참사의 대구시 기억공간의 제도화 과정을 비교 분석한다. 두 기억공간의 제도화 과정은 그 자체로기억투쟁이다. 이 연구는 두 기억공간의 장소성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왔는지, 기억공간의 제도화 과정에는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한다. 또한 이 제도화과정 안에서 유가족 당사자가 어떻게 기억공간의 의미를 내재화하고 있는지 묻는다. 나아가 이 연구는 기억공간의 제도화 과정이 권력 투쟁과 영토의 점유라는 맥락을 넘어서, 사회적 고통을 성찰하고 ‘도덕적 보편성’을 획득하기 위한 과정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 사례에 대한 현장조사, 인터뷰, 문헌연구의 분석 결과, 두 참사 사례는 지역사회 안에서 상징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기억공간을 조성했으나, 형성된 장소성은 상이했다. 두 사례의 기억공간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자율성, 피해자 조직의 참여권과 내·외부의 연대성, 자원과 절차적 제도에 따라 제도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두 기억공간의 제도화 과정에서 도덕적 지평의 궁극적 의미를 담지한 ‘생명’, ‘안전’이라는 공적 가치가 의미화(내재화)되고 있었는데, 특히 기억공간에 대한 유가족들의 기억투쟁은 참사의 고통에 대한 외재화 과정이자 사회적 각성에 대한 촉구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참사의 고통을 망각으로 유폐시키지 않고 도덕적 보편성의 지평 아래서 지속적인 성찰을 제도화하는 기제로서 기억공간의 의미를 재조명했다.

      • KCI등재

        기억 동조 현상을 유발하는 규범적, 정보적 원인과 조절변인

        박수영,한상훈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4 No.4

        Remembering has been a traditional topic of cognitive research since the foundation of psychology, but it was only over few decades that social aspects of episodic memory have taken an increasing amount of interest. Social aspects of memory can be easily observed in everyday events of remembering, as people often have their memories influenced and updated while interacting with others. We focus on this normative and informational conforming processes of memory, so called memory conformity, introducing previous studies about memory conformity in social settings. Normative influence is caused by social reinforcement learning while informational influence is triggered by urge of achieving high memory accuracy. In our review, moderators of memory conformity are discussed as well as individual differences which can affect the two conforming processes. Noticeable neuroscience experiments of memory conformity researches are also discussed. This review will provide an overall insight into how social interaction can alter memories and on delineating the various psychological and neural underpinnings of memory conformity. 오랫동안 기억은 단일한 개인의 인지 기제로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기억 연구 분야에서는 인지적 정보처리 과정 외에 사회성이라는 요소가 일화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급증하였다. 특히,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전달받은 새로운 정보를 마치 자신이 원래 알고 있던 것처럼 기억하는 것은 일상적으로도 흔한 사례인데, 이와 같이 기억 인출 단계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 이후 자신이 기억하던 내용 대신 타인이 기억하는 내용을 인출하는 현상을 기억 동조라고 한다. 본 개관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기억 동조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개관하고 기억 동조의 원인과 조절변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억 동조의 원인을 아우르는 두 가지 차원은 규범적, 정보적 영향 요인을 들 수 있는데, 규범적 차원의 기억 동조는 소속감, 인정 욕구에 기반한 사회적 강화 기제에 의해 나타나며, 정보적 차원의 기억 동조는 정확한 기억 인출에 대한 동기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기억 동조의 각 경로에 작용하여 동조 효과를 조절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을 분류하고, 관련된 신경과학 연구들 또한 소개한다. 기억 동조의 원인과 그 연관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관련된 다양한 심리, 신경 기제들을 구체적으로 밝혀내는 것이 앞으로의 주요한 과제이다.

      • KCI등재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나타난 시각 문화의 상징성과 사회적 기억의 확산

        송진원,안병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Focusing on how the contemporary society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events involving enforced sexual slavery for the Japanese military in the past and the phenomena happening through the visual culture of the Statue of Peace, which is the symbol in the resistance movement process of victims forced to be sexual slavery and civic groups, the investigator discussed the following research: 1) The human act of ‘remembering’ is a mental act in the personal domain. Personal memory is, however, created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within the social framework and can be called social acts in the end. ‘Remembering at the social level" is an important social act to have second-hand experiences with events in the past and form and figure out the identity of the concerned group based on ‘social memory’ produced by collective communication beyond personal thinking; 2) The study examined the popularization and democratization process of visual art, which used to hold values only for some people with a privilege, according to changes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following social changes and through various cultural media includ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3) The investigator focused on the ‘Statue of Peace’ as an object of ‘social memory’ based on the two discussions above. The Statue of Peace is a pivot that has conveyed the intangible memory of victims forced to be sexual slavery that had been excluded and distorted to the public and expanded the cohesiveness and bond of sympathy of resistance. At the base of the phenomenon are various symbols contained in the statu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memory of the past was reorganized by social interest and needs in the constantly changing society, tried to understand and interpret visual culture with much influence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memory, and further proposed the meanings of communication with its public values for its methodological roles. 이 연구에서는 과거 일본군 ‘위안부’라는 사건을 현재 사회가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가, 그리고 위안부 피해자들과 시민단체의 저항운동 과정에서 생겨난 상징물인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를 개진했다. 1) 인간이 ‘기억을 한다’라는 것은 정신적인 행위이며 개인적 영역이다. 그러나 개인의 기억은 결국 사회가 만든 틀 안에서의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결국 사회적 행위라 할 수 있다. 또한‘사회적으로 기억’한다는 것은 개인의 사고를 넘어 집단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생산되는 결과로, 과거의 사건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해당 집단의 태도와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행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과거 일부 특권층의 전유물이었던 시각예술이 사회적 변화에 따라 문화적, 예술적 가치관, 기술의 발달과 같은 다양한 변화를 통해 문화적 매개체로서 예술의 대중화, 민주화를 실현하게 된 과정, 그리고 현재 시각 문화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했다. 3) 앞의 두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주목한 ‘사회적 기억’의 대상은 ‘평화의 소녀상’이다. 소녀상은 그동안 배제, 은폐, 왜곡되었던 위안부 피해자들의 무형의 기억을 대중에게 전달하고저항의 응집력과 공감대를 확산시킨 구심점이었다. 그리고 그 현상의 기저에는 소녀상에 담긴 여러 상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과거의 기억들은 사회의 관심과 요구를바탕으로 재구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했고, 사회적 기억의 매개체로서 시각 문화의 영향력을 이해하게했다. 그 결과로 연구자는 공적 가치를 지닌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론으로서 시각예술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제시하고자 했다.

      • KCI우수등재

        한국의 사회적 위기사건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 지각된 직접 노출·간접 노출 간 다집단비교

        이나빈,민문경,안현의,천혜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9 No.3

        When societal crises occur(e.g., natural disasters, politically motivated assassination, or mass killings during anti-government movements), people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with others in person or via social media. This is referred to as social sharing. Our study aimed to find out how social sharing mediates the memory of such major events and the individuals’ capacity to integrate those events into their personal identity(i.e., event centrality).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differences among memory characteristics (vividness,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valence) as they are mediated by social sharing which eventually may help or hinder the individual to integrate those events into their personal lives.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s who perceive that they directly experienced the event (e.g., had be present at the scene, was a victim or knew the victim closely) versus those who were indirectly affected (e.g., watched on the new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f Korean major societal events experience, and used the scales from Memory Experience Questionnaire (Sutin & Robins, 2007) and Central Event Scale (Bernsten & Rubin, 2006) to test for our hypotheses.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was n=286, and indirect exposure group was n=532. Results from the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social sharing fully mediated vividness and the event centrality in a indirect exposure group only. And social sharing partially mediated emotional intensity and event centrality in both groups. Especially, in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the effect of emotional intensity on social sharing is more high than a indirect exposure group. In the case of negative emotional valence,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whereas indirect exposure group did not. Further discussion is included regard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주요 사회적 위기사건들에 대한 개개인의 기억특성이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사회적 공유가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검증하고, 사회적 위기사건에 직접 노출된 집단과 간접 노출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1065명을 대상으로 제시한 한국의 주요 사회적 사건 목록 중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한 가지 사건을 정하도록 하고, 그 사건에 대한 기억특성 및 사회적 공유(Memory Experience Questionnaire), 사건 중심성(Centrality of Event Scale)을 측정 하였다. 본 연구에는 사회적 위기사건을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으로 선택한 818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후 ‘자신이 선택한 사건을 직접 경험했는지’를 묻는 문항에 응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818명의 자료를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N=286)과 간접 노출집단(N=532)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서 연구모형에 유의한 경로계수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는 생생함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반면, 간접 노출집단에서는 생생함이 사회적 공유를 완전 매개하여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미쳤다. 정서강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공유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며,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 정서강도와 사회적 공유의 직접 관계가 더욱 높았다. 부정정서의 경우,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는 사회적 공유가 부정정서 수준과 사건 중심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 반면, 간접 노출집단에서는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직접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억의 터에 구성된 디아스포라 기억의 내러티브 연구

        강승묵(Seung Mook Ka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4

        인간은 일생 동안 수없이 많은 만남과 헤어짐을 경험한다. 특히 입양을 통한 만남과 헤어짐의 경험은 입양당사자들 모두에게 오래도록 기억된다. 이 연구는 입양으로 인해 형성되는 기억의 아포리아를 탐색하고자 별리와 해후의 과정 동안 기억의 터에 남게 되는 디아스포라 기억의 내러티브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억, 기억의 터, 디아스포라, 내러티브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방법론으로 설정하고, 융 에낭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피부색깔=꿀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체 11개의 씬으로 내러티브가 구성되어 있는 이 작품에서는 첫째, 유년 시절 경험한 입양으로 인해 융 에낭의 기억의 터에 각인되어 있던 디아스포라 기억이 자기 확신으로 고착되어 디아스포라 기억의 공소를 채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억의 터에서 부유하던 융 에낭의 디아스포라 기억이 과거에서 현재로 부단히 소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정주사회와 모국사회에서 ‘내부의 이방인’으로 살아온 융 에낭의 정체성이 그의 새로운 가족과 다른 한국 입양아 등을 통해 다중으로 형성되면서 그의 디아스포라 기억을 봉합시키고 있었다. 이는 융 에낭의 과거의 기억이 현재의 맥락에서 성찰되고 미래의 기억으로 전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피부색깔=꿀색>의 장르와 포맷, 영상재현의 중요성 등을 간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 영화에서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기억과 디아스포라의 논제를 다루었다는 점에 연구의의를 두고자 한다. A Human being experiences numerous meeting and parting in his(hers) lifetime.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adoption is remembered by them for a long tim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Aporia of memory formed by the adoption.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ttempts to consider a narrative of the diaspora memory remaining in the sites of memory and to set the theoretical arguments of the social memory, sites of memory, diaspora, and narrative on the research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in <Couleur de peau: Miel, Approved for Adoption> which is constructed eleven scenes, the diaspora memory imprinted in the sites of memory is fossilized self-conviction and fills an blank of diaspora. As a result, Jung Henin extinguishes the diaspora memory in the settlement community and recalls his memor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constantly. Also, an ‘Inner stranger’ all his life in immigrant and homeland society, Jung Henin’s identification is shaped multiply through the his new family and Korean adoptee and sutures his diaspora memory. The finding means that Jung Henin’s past memory is introspected in a present context and is expanded to the future memory. This study has the research limit of the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genre, format, and visual representation. Nonetheless,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argues about the relation between diaspora and memory of animation film.

      • KCI등재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

        신동희,김유승 한국기록관리학회 2016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6 No.1

        In archival discourse, social memory has been discussed for some time. Despite this, however, theoretical studies have not been prolific at all in the Korean archival community. Many Western scholars have argued that archivists should consider memory rather than records for archival preservation because the inclusiveness of the former will fill the gaps in the latter. Social memory that is shared and transmitted across generations in society would include the stories of marginalized groups of people who are often neglected in official documents. Archivists can reconstruct the diverse narratives of a variety of social groups based on social memory, and this would b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it is archivists who exercise power regarding how history will be written in the future because they determine what would be preserved in archives: mainstream culture with official records or a broader spectrum of diverse stories of people in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intends to understand how memory is discussed in archival discourse and to review how archives and history are associated with memory in theories and practices. 기록학에서 집단 기억, 사회적 기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그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연구는 많지 않다. 기억이 가지는 포괄성이 기록이 가지는 제한된 역사기술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많은 학자들은 아키비스트가 문자화된 기록뿐만 아니라 도처에 만연해 있는 기억을 수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키비스트의 사회적 역할에는 공유되고 전승되는 기억을 통해 한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재구성해야 함이 포함된다. 기억이 가지는 사회적 특성은 주류문화 위주 기록문화의 한계성에 도전하고, 비주류문화, 비기록문화의 역사를 포함하고 전승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억의 담론에서 아키비스트는 기록관에 수집하고 보존할 역사의 내용이 문자화된 지배집단의 기록에만 한정할지, 소외받고 배제되는 사회집단을 포함할 것인지 결정하는 역사의 중요한 권력자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역사와 기록이 기억의 담론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설명되는지 살펴본다. 결론에 갈음하여, 기억의 담론에서 기록관과 아키비스트의 역할을 논의한다.

      • KCI등재

        기억의 공간 구성 중심의 소설 읽기 교육 내용 연구

        정래필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Based on the 'presentity' and 'activeness' of memory behavior, this study presented the contents of novel reading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ory space of novel text and public sphere. The reader communicates with the subjects of various memories in the memory space of the novel, where the subject is not only the characters in the novel text but also the non-text beings who remember the event. The novel text symbolizes the past event, but the subjects facing the event are the beings here now. They argue about their own perspectives and their memories with other subjects, and in the process they make memories meaningful. The space of memory called text extends to the space of memory called the “controversy field of memory discourse. In this respect, the communication act in the space of memory has ‘presentity’. Also, the space of memory is 'active' because it provides the opportunity to controversy with the memory of the other and the opportunity to configure meaning at the same time. The novel text contains memories of various characters about the event, and each memory struggles against each other to avoid being a useless memory. This struggle is an activity that justifies your memory and is an act that you have in mind. Memory is present and active in this respect. The reader goes beyond simply accepting memory passively, listening to the discourse of the memory subjects surrounding the event, and becoming another subject of the memory struggle. 이 연구는 기억 행위의 ‘현재성’과 ‘활성성’을 바탕으로 소설 텍스트와 공론장이라는 기억의 공간이 갖는 특징을 고찰해 소설 독서교육의 내용을 제시했다. 독자는 소설이라는 기억의 공간에서 다양한 기억의 주체들과 소통한다. 여기서 주체는 소설 텍스트 내 등장인물뿐만 아니라 사건을 기억하는 텍스트 밖 존재들도 해당된다. 소설 텍스트는 지난 사건을 형상화하지만, 그 사건과 마주하는 주체들은 ‘지금 여기’에 있는 존재들이다. 그 주체들은 자신의 관점과 다른 주체들과 서로의 기억에 대해 논쟁하고, 그 과정에서 기억을 의미화 한다. ‘텍스트’라는 기억의 공간은 ‘기억 담론의 논쟁 장(공론장)’이라는 기억의 공간으로 확장된다. 이런 점에서 기억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행위는 ‘현재성’을 지닌다. 또한 기억의 공간은 타자의 기억과 논쟁할 기회와 의미 구성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활성성’도 띤다. 소설 텍스트에는 사건에 대한 여러 인물들의 기억이 담겨 있으며, 각 기억들은 쓸모없는 기억이 되지 않기 위해 서로 투쟁한다. 이 투쟁은 자신의 기억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활동이며 독자를 염두에 둔 행위이다. 이런 점에서 기억은 현재적이며 활성적이다. 독자는 단순히 기억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차원을 넘어 사건을 둘러싼 기억 주체들의 담론에 귀 기울이고, 기억투쟁의 또 다른 주체가 된다. 이 연구는 사회적 연행으로서 토론 활동을 제시하여 독자가 기억의 공간에서 진정한 주체가 되는 방법을 탐구해 독서교육의 내용으로 구체화했다.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 〈Birthday Boy〉가 구성하는 기억의 사회성과 문화적 기억에 관한 연구

        강승묵(Seung Mook Ka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9 애니메이션연구 Vol.5 No.3

        기억이 다양한 재현 매체를 통해 체계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에서 특정 형태의 문화가 형성되기도 한다. 이 글은 이런 가정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이 기억을 구성하는 과정과 그 결과가 갖는 함의를 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연구방법은 테크놀로지와 애니메이션, 기억의 관계 및 기억의 사회성과 문화적 기억의 구성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관련 개념과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구체적으로 <Birthday Boy>(박세종, 2003)에 적용해 기억이 전승되는 문화적 형식과 내용을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구대상 작품은 과거의 기억을 사적 영역으로 제한하면서 정서적 감수성에 의해 기억의 사회성을 사유화하고, 감독의 기억을 작품 속 인물과 동질화시키면서 기억의 물화와 파편화를 추동한다. 또한 과거를 바탕으로 현재를 이해하고 고찰하며 미래를 향한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해 과거의 힘을 일깨우는 비판자로서의 가능성도 동시에 보여주기도 한다. 이 글은 테크놀로지가 정치경제적이고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의해 사유되고 구현된다는 점에 동의하지만 애니메이션과 같은 현대사회의 주요한 재현테크놀로지는 기억 재생의 메커니즘과 매트릭스에 일정 부분 관여할 수도 있음을 성찰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A specific mode of culture may be constituted while memory is systematically constructed through various representative media of memory.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and the implication that animation constructs memory.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studies the diverse ideas, concepts, and theories about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memory, technology and animation, as well as the way which sociality of memory and cultural memory is constructed.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cultural forms based on case study through animation works, Birthday Boy(Sejong Park, 2003).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findings. First of all, this animation limits the past memory within the individual area and privatizes the sociality of memory in terms of emotional sensibility. Secondly, this work constructs the reification of memory and cultural memory. But it offers the possibility as critics who make aware the power of the past such as perspective, criticism, consciousness, memory, and imaginative power for the understanding of present and the new planning of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is that this paper contributes to reflect on the representation technology of modern society like animation and take part in the mechanism and the matrix of the reproduction of memory.

      • KCI등재

        일반논문 : 기억의 규제와 "규제를 통한 기억하기"?: 홀로코스트 부정(Holocaust denial) 규제 법제와 사회적 기억의 구성

        이소영 ( So Young Le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1 No.4

        법은 과거청산의 형태로 기억에 개입하여 기억을 교정하고, 교정된 기억을 공고화하는 한편, 그 공고화한 기억의 왜곡을 규제하기도 한다. 이중에도 기억의 규제는 역사에 대한 법의 개입 유형들 가운데서도 미래적 구속력이 강한 형태이다. 집단 트라우마(collective trauma)의 기억을 부정하거나 사소화 혹은 왜곡하는 행위들에 대한 사법적 처벌규정은 우리로 하여금 ‘어떤 과거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가’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바로 이러한 규제 담론이 단지 금지와 억압의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적 기억을 구성하는 차원을 가진다는 것이다. 역사왜곡에 대한 법적 규제는 어떻게 실체적 진실에 대한 강박을 구성하고, 어떻게 공동체적 연속성의 전제를 구성하며, 또 어떻게 부재한 상상된 공동체를 향한 노스탤지어를 구성하는가? 이들이 본 논문에서 던져지는 질문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의 트라우마적 사건들을 부정, 왜곡, 혹은 정당화하는 이른바 홀로코스트 부정(Holocaust denial)을 규제하는 유럽 각국의 법제들을 검토하고, 그 법적 논리와 문법이 사회적 기억의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다. 홀로코스트 부정에 대한 규제를 다룬 법학의 선행연구들의 다수는 규제법의 법리적 타당성을 심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표현의 자유와 충돌하는 다른 기본권들 사이의 이익형량과 비례성심사 검토가 주를 이루며, 홀로코스트 부정 규제법들에 규정되어 있는 형사제재의 형법이론적 정당성-특히 형벌의 최후수단성(ultima ratio)-에 대한 검토나, 홀로코스트 부정 논의의 확산을 오늘날 인터넷범죄의 증가현상과 관련지어 다루는 형사정책적인 논의들을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의 고유함은 규제의 헌법합치성 혹은 적법성에 대한 법리적 심사나 비교법적 검토가 아닌, 규제법의 논리와 문법이 갖는 담론적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표현의 자유’ 포섭범위에 대한 심사나 인간존엄성과 사회통합·공공질서 등과의 이익형량 논의가 어떻게 사실발견, 역사적 연속성, 공동체적 가치에 대한 담론을 생산하여 사회적 기억의 구성에 작용하는지를 들여다본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o a discourse analysis on legal mechanisms for regulating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rules governing denial and distortion of key traumatic events In pos World War 2 Europe, and to study the ways in which U1ey militate or penetrate into the memory space of postcolonial/post dictatorial East Asia. My hypothesis is that social memory or shared remembrance IS shaped and reproduced by regulatory discourse, and that the application of regulatory instrwuents to negationism simultaneously constructs and is constructed by transnational memory space. Tha is to say, sanctions against denial of the past actively manipulate memory discourse rather than passively suppressing misrepresentations of history. They can even act in a counter-productive way by provoking images and narratives such as fascination with the totalitarian order or Orientalist visions of colonial occupation. This research begins by s udying the reproduction of discourse surrounding the regulation of Holocaust denial in Europe in order to understand how it informs and in eracts with the controversy over legal norms on the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past in East Asia. Then it continue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moral controversies over distortions of history serve to generate and reproduce nostalgia for an imagined community. It will give particular a tention 0 aspects that expose double layers of collusion between apparently oppositional interests¬a combination of conservative legal norms(of expanding criminal justice) and progressive political practice, and a symbiosis between two otherwise mutually exclusive forms of nationalism or racism. My article aims to explore these effects in the context of European sanctions on Holocaust denial and consider how far the similar process is at work in cw-rent debates over he representation of key trawnatic events 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