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증상 및 사회적 인지와 사회적 기능과의 관계

        최상철,김경진,백영석,오상우,김재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본 논문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증상, 사회적 인지 변인들과 사회적, 직업적 기능과의 관 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DSM-Ⅳ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30명(남자:17명, 여자:13명)의 환자에게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WAIS)의 숫자 외우기 소검사, Rey-Kim 기 억 검사, 경계력 검사,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ANSS), 대처방식 체크리스트(WCC), 정신 장애 지 각 평가 척도(SUMD), 사회적, 직업적 기능 평가 척도(SOFAS) 및 주관적 삶의 질 척도(IWB)를 실 시하였다. 결 과: 신경인지기능 중 WCST의 보속 오류수와 SOFAS 점수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Rey-Kim 기억 검사의 MQ와 SOFAS 점수간에는 의미있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K-WAIS의 숫자외우기 소검사 는 바로 따라외우기와 거꾸로 따라외우기 및 숫자외우기 총점 모두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 관을 보였다. 증상 측정치에서는 음성 증상, 일반 정신병리 증상 및 PANSS 총점이 SOFAS 및 IWB와 유의하게 부적 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양성 증상은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인지 변인 중에서는 문제 집중적 대처방식이 SOFAS 점수 및 IWB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의미있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SOFAS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문제 집중적 대처, Rey-Kim 기억 검사의 K-A 학습 기울기, PANSS 총점 및 WCST의 보속오류수가 전체 변량의 65.7%를 설명하였다. IWB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삶에 대한 느낌을 종속변인으로 하였을 때는 PANSS의 일반 정신 병리 증상과 Rey-Kim 기억 검사의 K-A 지연 회상 점수가 전체 변량의 41.8%를 설명하였고, 전반 적인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였을 때는 PANSS 총점, Rey-Kim 기억 검사의 K-A 지연회상, 거꾸로 따라외우기, WCST의 세트유지 실패가 전체 변량의 67.3%를 설명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실행기능, 언어적 기억, 주의력), 증상(음성증상, 일 반 정신병리 증상), 사회적 인지(문제 집중적 대처) 변인과 사회적, 직업적 기능간에 의미있는 관련성 이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직업적 기능을 예견하는데 있어서는 신경인지기능과 사회적 인지 변인이 의 미있는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주관적인 삶의 질을 예견하는데 있어서는 증상과 신경인지기능 변인 이 중요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도구의 문제, 피험자의 동질성 문제 등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들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 기능과 관련된 중요한 상관 변인 및 설명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와 효과적인 개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neurocognitive function, symptom, social cognition, an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Thirty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subjected to following tests: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the digit span, the Rey-Kim memory test, the vigilance test,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the scale to assess the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SUMD), the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assessment(SOFAS) and the index of well-being(IWB).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erseverative errors of WCST in neurocognitive function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the SOFAS. The memory quotients of Rey- Kim memory tes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the SOFAS. The scores of digit spa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Negative symptom, general psychopathology and total PANSS score in symptom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FAS and IWB. But positive symptom had no correlation with any scale. The problem focused coping in the social cognition variable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OFAS and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for the SOFAS score, the problem focused coping, the K-A learning slope of Rey-Kim memory test, the PANSS total score and the perseverative errors of WCST predicted 65.7% of total varianc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for the IWB score, for the feeling about life, the general psychopathology of PANSS and the K-A delayed recall score of Rey-Kim memory test predicted 41.8% of total variance. For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the PANSS total score, the K-A delayed recall of Rey-Kim memory test, the backward recall, the failure to maintain set of WCST predicted 67.3% of total variance. Conclusions:In this study, executive function, verbal memory, attention, negative symptom, general psychopathology, and problem focused cop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o predict the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and the social cogni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subjective quality of life, symptom and neurocognitive variabl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Although the scales are very limited to measure various function areas and the subjects are heterogeneous, it is noteworthy that the search for correlation variables and prediction variables of social function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s helpful for treatment and intervention.

      • KCI등재

        비대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을 통한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 향상이 사회적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음성증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희선,구훈정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4 인지행동치료 Vol.24 No.2

        본 연구는 조현병 음성증상 환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이 실행기능 개선에 영향을 미치 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실행기능 개선이 음성증상 개선을 매개로 사회적 기능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현병 음성증상 개선에 효과를 보였던 기존의 행동활성화 프로그 램을 비대면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핵심치료 요소들을 포함하여 재구성하였다. DSM-5에 의해 조현병 진단 을 받은 대상자를 모집하였고, 27명이 모집되었으며 연구대상자 참여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21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에 대상자의 사회적 기능, 음성증상, 실행기능을 평가하기 위 해 PSP, PANSS, CAINS, Stroop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을 통해 조현병 환자의 사회적 기능과 음성증상이 개선되었으며 실행기능 검사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실행기능 변화가 음성증상 변화를 완전매개로 하여 사회적 기능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거기반 심리치료로 실행기능이 변화되며 이것이 음성증상 개선을 이루고 사회적 기능 수준이 향상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행동활성화의 핵심 치료 요소가 실행기능 향상에 기능함을 확 인하였고, 실행기능 향상이 음성증상 개선을 이루고 사회적 기능 향상까지 이른다는 매커니즘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tential impact of a Online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 on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o validate whether the improvement in executive func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functioning mediated by the improvement in negative symptoms. To achieve this, a previously effective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 for improving nega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was reconfigured to be delivered in an online format, incorporating key therapeutic elements. Participant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according to DSM-5 criteria were recruited, with a total of 27 participants enrolled and data from 21 participants analyz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ocial functioning, negative symptoms, and executive functioning of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using the PSP, PANSS, CAINS, and Stroop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Online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 led to improvements in social functioning and negat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ignificant changes were also observed in executive function assessments. It was found that the changes in executive function fully mediated the changes in negative symptoms, predicting the changes in social functio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vidence-base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argeting executive function can lead to improvements in negative symptoms, thereby improving social functioning. The study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key therapeutic elements in behavioral activation for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and demonstrates the mechanism by which improvements in executive functio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negative symptoms and further enhancement of social functioning.

      • KCI등재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or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Analogous to Korean Classroom Setting

        진연선(Yeon Sun Ji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배경 및 목적: 사회적 의사소통은 구어적ㆍ비구어적 행동 수단을 사용하여 사회적 맥락에서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의사소통은 맥락에 따라 다양한 변이성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교실 환경과 유사한 구조화된 환경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 집단 각 15명씩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은 교실 환경을 구조화한 상황에서 의사소통 행동을 유도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살펴보았다. 종속측정치는 총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 사회적 의사소통 수단은 구어적ㆍ비구어적 수단의 빈도,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은 개시하기ㆍ반응하기 빈도,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유형별(친화적, 소극적, 이탈적, 독단적) 개시하기ㆍ반응하기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기능자폐장애 집단은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보다 비구어적 수단 빈도가 더 적었다. 또한 고기능자폐장애 집단은 이탈적ㆍ독단적으로 개시하기와 반응하기를 사용하였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과 유사하게 개시하기와 반응하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몇몇 단순언어장애는 일반아동 집단보다 소극적으로 반응하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집단과 단순언어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교실환경을 반영한 구조화된 상황 내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일대일 상호작용 상황이 아닌 두 명 이상의 파트너와 함께 하는 상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더불어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만났을 때 평가 및 중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Social communic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comprise ongoing verbal and/or nonverbal behavior during interactive social context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HFA) to those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Forty-five children with HFA, SLI, and TD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task that was similar classroom setting in order to elicit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total frequency of social communication, the frequency of verbal/nonverbal behavior, and the frequency of initiation/response as assessed across four types of social interaction types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hree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mount of social communication among the HFA, SLI, and TD groups. Children with HFA used nonverbal behavior less frequently than did SLI or TD children. HFA children responded and initiated more irrelevantly and assertively. The SLI children in this study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TD children in initiation and response behaviors although some SLI children used passive response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those with TD. Conclusion: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seemed to be validly elicited in a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a classroom setting. It thus seems to be of considerable importance to tap into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that involve more than two partners. The findings of this paper implicitly suppor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ructured group tasks in addition to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사회적 기능 중심 사회교육사상가의 사회교육 실천원리 비교 연구

        김기환(Ki Hwan Kim)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2

        사회교육의 개념을 ‘사회적 기능’이라는 보다 고유한 개념으로 다시금 인식하려는 학문적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사회적 기능 중심 사회교육은 사회문제에 대한 교육적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되며, 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상황을 변화시키는 것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능 중심 사회교육의 실천원리를 파악하고 그것이 개념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사회교육을 정립하고 실천했던 대표적 사상가인 페스탈로치, 그룬트비히, 린드만, 프레이리의 사상을 8가지 세부 준거로 탐구하고 비교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사회적 기능 중심 사회교육의 통합적인 실천원리 및 개념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사회적 기능 중심 사회교육의 실천원리는 목적·내용·과정 측면, 방법·전략·주체 측면, 사회교육자 측면으로 구분하여 구체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사회교육 실천의 개념적 수준 및 유형은 교육을 통한 사회변화 가능성,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관계, 교육평등과 사회평등의 관계, 교육자와 학습자의 관계, 의식화와 조직화의 관계로 논의하였다. There is a continuing academic discussion to recognize the concept of social education as a more unique concept of 'social function'. Social function-centered social education is related to providing educational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and focuses on changing social situations throug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principles of social function-centered social education and to analyze its conceptual meaning. This study explores and compares the ideas of Pestalozzi, Grundtvig, Lindeman, Freire, representative social education thinkers who established and practiced social function-centered social education, and identified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and explored the integrated practice principles and conceptual meanings of social function-centered social education. The practical principles of social function-centered social education were embodied in the aspects of purpose, contents, process, method, strategy, subject, and social educator. Based on this, the conceptual level and type of social education practice were discussed as the possibility of social change through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equality and social equ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organization.

      • KCI등재

        노인의 사회적 관계 유형과 학대경험 및 요인의 관련성

        최현숙,최경인,이희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관계와 노인학대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사회적 관계의 구조와 기능으로 유형화한 후 학대경험 및 학대요인과의 차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관계의 구조와 기능을 축으로 4개 군집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군집 1은 ‘고밀착-기능취약형’, 군집 2는 ‘저밀착-정서취약형’, 군집3은 ‘고밀착-기능양호형’, 군집 4는 ‘중밀착-기능보통형’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의 군집유형에 따라 학대 경험 및 학대요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군집 1 ‘고밀착-기능취약형’이 학대 경험이 가장 많고 학대 요인에 취약하였으며, 군집 3 ‘고밀착-기능양호형’이 학대경험이 가장 적고 학대 요인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학대 예방 및 개입에 있어 사회적 관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구조적으로 고밀착된 노인들에 대한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과 사회적 관계의 기능의 강화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elder abuse. To be specific, it was analyzed about difference of abuse experience and its factors after clustering by the social network structures and functions. Based on analysis, it was drawn 4 social network clusters by an axis of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and it was called cluster 1 ‘close contacts-vulnerable function type', cluster 2 'less contacts-emotion vulnerable type', cluster 3 ‘close contacts-good function type', cluster 4 'mid contacts-mid way function type'. It was represented difference between social network, elder abuse and its factors. Cluster 1 ‘close connections-vulnerable function type' is most elder abuse experienced and vulnerable to its factors and cluster 3 ‘close connections-good function type' is least elder abuse experienced and good in its factors. This study was shown that should be adequate consideration regarding structures and functions of social network in elder abus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pecially, it was proposed that the need for discriminatory approach to elderly who is close connected structurally and enhancing function of social network.

      • KCI등재

        가족의 기능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의 반사회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오은지,유계숙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1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amily function and social capital on antisocial personality among 273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tudents were rate themselves on the antisocial attitude and behavior scales based on the MMPI-2 Psychopathic Deviate Scale, FACES Ⅱ, and to rate themselves on a social capital scales_(measuring peer relation,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y, and trust in the nation and law).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howed high levels of family cohesion and moderate levels of family adaptability. They also reported high levels of peer relation and moderate levels of trust in the nation, while slightly low levels of social capital in their communities and low trust in the law. The students showed moderate levels of antisocial attitude and low levels of antisocial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s of antisocial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students' gender and religion. The levels of antisocial behavior were positively related to family income, while negatively related to the students' number of siblings. Finall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levels of students’ antisocial personality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ir family income and levels of trust in the 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기능과 사회적 자본, 대학생의 반사회적 성향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가족의 기능으로서 응집성과 적응성, 사회적 자본으로서 교우관계, 지역사회자본, 우리나라에 대한 신뢰, 법에 대한 신뢰가 대학생의 반사회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도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73명이다.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를 비롯하여 t-test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기능 및 사회적 자본과 대학생의 반사회적 성향의 전반적인 경향으로, 가족의 기능 중 응집성은 대체로 높은 수준이고 적응성은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에서는 우리나라에 대한 신뢰는 보통 수준이었으나, 지역사회자본 및 법에 대한 신뢰는 다소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들의 반사회적 성향은 전반적으로 약간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반사회적 성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종교, 가정의 월평균 소득, 형제자매수에 따라 대학생의 반사회적 성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가족의 기능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의 반사회적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구소득이 높고 우리나라에 대한 신뢰가 낮은 대학생일수록 반사회적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에 대한 소비자 귀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연결감 중심으로

        이연화,서영욱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7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하여 소비자가 인지하는 귀인을 가치지향적 귀인, 전략적 귀인, 이해관계자 지향적 귀인으로 구분해서 이들 귀인들이 기능적 가치, 사회적 연결감을 통하여 구매의도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표본을 수집 하기 위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지각하고 있고 그 기업의 제품을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전국의 소비자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297부의 설문지를 PLS와SPSS 22.0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고 제안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지향적 귀인은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연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략적 귀인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연결감에는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해관계자 지향적 귀인은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연결감에 부(-)의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적 가치는 사회적 연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확인되었다. 다섯째, 기능적 가치와 사회적 연결감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 귀인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선택 행동을 유발하고, 기업에 대해 사회적 연결감을 증대시키며, 소비자는 기업과 심리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고 구매의도에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업 CEO 및 관계자들은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호감도를 높이면서 소비자들이 기업을 가깝게 지각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할 것이다.

      • 기능성 VR콘텐츠를 통한 콘텐츠의 사회적 공헌방안 연구

        허철,김상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2

        기능성 콘텐츠의 정의와 VR콘텐츠에 대해 알아본다. 기능성 콘텐츠는 기능성 게임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기능성 콘텐츠 안에서 기능성 게임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기능성 콘텐츠의 개념은 기능성 게임(serious game)의 개념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기능성 게임이란 용어는 1977년 사회과학자인 클라크 앱트(Clark Abt)의 동일제목 저서를 통해서이다. 게임이 사용자에게 재미를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반대로 기능성 게임은 사용자에게 게임플레이의 재미와 유의미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대안적 게임을 말한다. 가상현실(VR)은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공간에서 사용자가 실제적인 감각정보를 VR시스템으로 받아 사용자가 실제상황이라고 인지하게 만드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VR콘텐츠들은 현재 다양한 부분에서 다양한 기능성 콘텐츠와의 결합이 되고 있다. 그 중 사회적 공헌이라는 부분과의 결합이 되기 위한 콘텐츠의 부족한 부분을 넘어서 새로운 장애인식개선 콘텐츠의 사례를 연구한다. 콘텐츠의 의미를 통해 향후 이와 같은 콘텐츠는 사용자 만족을 최대화 하며 또한 기능성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결과물자체에 대한 가치를 넘어 콘텐츠의 사회적 공헌이라는 가치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학생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SEN 동아리를 중심으로

        이일한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5

        최근에 사회적기업은 많은 관심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적기업은 여전히 사업규모가 영세하며, 정부의 재정지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문 경영마인드를 갖춘 인력 부족과 여전히 소비자의 낮은 인지도 문제 등 많은 어려움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소비자 인지도 향상을 위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지만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사회적기업의 이미지와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고객만족과의 인과관계, 둘째, 사회적기업의 제품에 대한 기능적 성과와 소비자의 기대수준의 기능적 일치성과의 고객만족과의 인과관계, 셋째, 사회적기업 제품이 내포하는 사회적 가치와 소비자의 가치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넷째, 고객만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수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기업 동아리 소속 여부의 조절적 역할을 확인하여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일치성과 가치 일치성은 사회적기업의 제품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이미지일치성은 사회적기업의 제품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고객만족은 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 동아리 소속여부는 자아이미지 일치성, 기능적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만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감도를 높이는 조절변수로 나타나 사회적기업에 대한 만족에 있어 동아리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제고와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차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Despite the rapid growth and importance of social enterprises in recent years, most social enterprises have many limitations such as small business size, financial dependence on government, lack of professional management personnel and knowledge, and low consumer awareness. Therefore, empirical research in the field of marketing is needed for economic independence of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ollowing: First, the identity of the social enterprise and the self-image of the consumer, second, the function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sumer's expectation and actual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s product, and third, the social value of the social enterprise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consistenc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o social enterprises. Finally,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enterprise clubs in this process to give implications for the long-term marketing of social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image consistency, functional correspondence, and value correspondence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its products and form a loyalty. Secondly, whether or not the social enterprise club belonged to them is a moderating variable that raises sensitivity in the effects of self image consistency and functional consistenc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loyalty. It was found to be.

      • 노동조합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

        나윤기,곽효문 경원전문대학 1996 論文集 Vol.18 No.2

        노동조합은 자본주의 체계의 유기적 기능(system conform)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반체제적 기능(system conflict)을 하는 것인지는 상당한 논쟁점이 되어 왔다. 우선 노동조합은 스스로 갖는 이념적 지향성에 의해 그것이 체계 유지적인 것인지 아닌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노동조합의 기능은 노동조합은 주관적인 성향과 관계없이 그것이 사회에서 수행하는 객관적 역할을 두고 파악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노동조합의 기능은 이 측면을 더 중시한다. 노동조합은 스스로는 반체제적 지향성을 갖지 않더라도 자본가와 대립·투쟁을 통하여 자본주의 체제의 정상적 운용을 곤란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진국가에서 노동조합이 경제성장의 저해세력으로 인식되고 그 활동에 많은 탄압과 제약이 주어지는 것도 이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반면에 노동조합이 반체제적 목표를 갖고 있으면서도 실제로는 임금과 근로조건의 개선할동을 통해 자본주의체제를 수정하고 노동자들로 하여금 체제 안에 머물게 하여 체제유지에 기여하게 되는 면도 있다. 따라서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경제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에 일차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도 이를 가로막는 제도나 정책을 개선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은 결국 사회 전반의 발전방향과 긴밀하게 관련되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노동조합의 사회적 비중이 커짐에 따라 노동조합은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 오늘날 자본주의의 모습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한국 사회의 발전방향과 관련되어 요청되고 잇는 국민경제의 건전화, 사회평등화, 정치민주화에 있어서 노동조합이 담당해야 할 기능은 매우 막중하다. 그러므로 한국 노동조합의 사회적 기능은 이론적 당위만이 아니라 실재하는 현실적 요청이다. 또 이것은 자본주의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보여 온 역사적 경험으로서 한국의 자본주의가 진전되면 될수록 이에 대한 요청은 어떤 형태로든지 현실화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현재에 있어서도 한국사회의 객관적 조건과 근로자집단의 주체적 역량의 성장은 이러한 역할을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으며 또 가능하게 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듯하다. 이들 근로자의 조직체로서의 노동조합에 부여되고 있는 사회적 역할의 수행은 한국 사회 전반의 발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것은 곧 국민경제의 건전화, 사회평등화 그리고 정치민주화로의 방향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노동조합의 사회적 역할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노동조합의 정치활동이 필요하고 현재로서도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실정법상의 차별적 금지조항을 수정하고 노동조합을 통하여 근로자들이 직접적이고도 적극적으로 정치활동을 전개하는 데로까지 발전되어야 한다는 인식에 도달하였다. 이것은 정책결정과정에의 실질적인 참여를 확보하기 위한, 각종 선거에의 집단적인 영향력의 행사라는 방향을 지향한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그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근로자들이 일체성을 발휘하여 단결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하였는 바, 이는 곧 조합민주주의의 신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