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심리학 이론에 근거한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천수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new social interest scale based on Individual Psychology theory that was constructed two factors of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within the areas of three life tasks (work, society, and love). In Study 1,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fter collecting questions through reviewing the extant literature and previously developed scales, interviewing six participants, and verifying content validity with colleagues and experts. In Study 2, the final item selection an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from the data of 350 adults were confirmed through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new social interest scale was composed of 4 factors with 18 items; Social Cooperation, Cooperation in Love Relationship, Social Contribution, and Contribution in Love Relationship. In Study 3, based on the social interest scale developed in Study 2 for adults, a measurement model was set up and compared the fit with the alternative models. As a result of chi-square difference tests, the measurement model showed better fits than alternative model 1 and 2. The relations between the new social interest scale and the previous social interest scales (Crandall's Social Interest Scale, Jeongmin's Social Interest Inventory, Belonging Social Interest)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convergent validity. Jeongmin's Social Interest Inventory and Belonging Social Interest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new social interest scale. However, Crandall's Social Interest Scale was positively related to only one factor (Social Contribution) of the new social interest scale. The relations between the new social interest scale and related constructs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concurrent validity.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new social interest scale.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hree factors of the new social interest scale. However, “Cooperation in Love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심리학 이론에 근거하여 일, 사회, 사랑이라는 세 가지 인생과제에서 협동과 기여를 구인으로 하는 새로운 사회적 관심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문헌조사, 기존 척도 검토, 면접을 통해 문항을 수집한 후, 동료 및 전문가 평정을 실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성인들(N = 350)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문항 선정 및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사회적 협동, 사랑관계 협동, 사회적 기여, 사랑관계 기여의 4요인 총 18문항의 척도를 완성하였다. 연구 3에서는 성인들(N = 300)을 대상으로 연구 2에서 개발된 사회적 관심 척도를 바탕으로 측정모형을 설정하고 대안모형들과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측정모형과 대안모형 간 카이스퀘어 차이 검정 결과, 측정모형이 대안모형 1, 대안모형 2에 비해 더 나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사회적 관심 척도와 Crandall의 사회적 관심 척도, 정민의 사회적 관심 척도, 소속감 사회적 관심 척도와의 관계를 살펴 수렴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개발된 사회적 관심 척도와 정민의 사회적 관심 척도 및 소속감 사회적 관심 척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Crandall의 사회적 관심 척도와는 “사회적 기여”만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일 뿐, 나머지 세 요인은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개발된 사회적 관심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사회적 관심의 네 요인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개발된 사회적 관심의 세 요인은 우울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사랑관계 기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김경선,오오현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이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하고 그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연구 설문에 동의한 전라남도 지역2개 도시 10개 학교의 중·고등학 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9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와 ANOVA, Scheffe, Cronbach’α,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기분석과 sobel 검증으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은 공감적 정서반응, 관점수용, 정서지각 순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경우 정서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 으로 정서표현, 정서조절, 정서활용, 감정이입 순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의 경우는 하위요인에서 타인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자기관심, 공동 체관심, 영성관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심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은 정서지능 이었다. 그 다음으로 중·고등학생이 지각된 아버지 공감-공감적 정서반응과 지각된 전체 아버지 공감, 지각된 아버지 공감-정서지각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중·고등학생이 지각된 어머니 공감-공감적 정서반응과 지각된 어머니 공감-정서 지각, 지각된 전체 어머니 공감, 지각된 아버지 공감-관점수용, 지각된 어머니 공감- 관점수용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 공감-관점수용과 사회 적 관심에서 정서지능, 지각된 아버지 공감-관점수용과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공감-정 서지각, 지각된 아버지 공감-공감적 정서반응, 지각된 전체 아버지 공감과 사회적 관 심에서 정서지능, 지각된 어머니 공감-정서지각, 지각된 어머니 공감-공감적 정서반 응, 지각된 전체 어머니 공감과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1) 본 연구를 통하여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이 정서지능 및 중·고등학생 의 사회적 관심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 했다. 또한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 모 공감과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 역할을 검증함으로 써 정서지능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후속연 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고등학생들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 녀에 대한 부모의 정서 지각과 공감적 반응이 중요한데 지금까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정서조절 훈련이나 자녀에 대한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이 적었 기 때문에 관련 교육과 프로그램이 확장되어야 하겠다. In this study, it is to check how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cial interest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process. To this end,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1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wo cities in Jeollanam-do, who agreed to the research survey, and the final 393 students were collected. The data analysis used SPSS 21.0, and the intermediate effects were recogni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Scheffe, Cronbach'α, correlation analysis, mid-term analysis, and sobe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arents' empathy, whi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late for, was in the order of empathic emotional response, perspective acceptance, and emot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was followed by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emotional utilization, and empathy. In the ca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cial interests, other people's interests were the highest in the lower factors, followed by social self-interest, community interest, and spiritual interest. Second, it wa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social interest. Nex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empathy for their late fathers, empathy for their entire fathers, and empathy for their late fathers. In addi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hown to be perceived mother empathy-sympathetic emotional response, perceived mother empathy-sentence perception, perceived mother empathy, perceived fa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perceived mo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s been shown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s in mo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social interest, fa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social interest, whi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late for. On the other h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late fa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fa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mo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mother's empathy and social interes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athy of parents who were late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reveal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verifying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y and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bsequent research sugges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emotional perception and empathy for their children are important, and related education and programs should be expanded because there has been less emotional control training for parents and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 improve their empathy.

      • KCI등재

        20대 소비자의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의 실천 경로 분석 :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 모델의 적용

        천혜정,민문경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Miller, Sendrowitz, Connacher, Blanco, Miniz de la Pena, Bernardi, 그리고 Morere (2009)가 개발한 사회정의 관심 및 실천 모델(A model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을 적 용하여 한국 20대 소비자의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의 실천 경로를 분석하였다. 즉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은 사회 책임 적 소비실천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 사회정의 관심 및 실천 모델이 사 회 책임적 소비행동을 설명하는데 적합한지 검증한 후 사회적 지지와 장애가 직접적으로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효과 모델과 두 변인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효과 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다 적합한 모델로 제안된 간접효과모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 는 20대 소비자 551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0일부터 8월 28일까지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을 설명한 Miller 등의 모델은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관심, 실천 등 사회정의관심 및 실천 모델의 핵심 적인 변인들이 사회책임적 소비행동 영역에도 유용하게 적용되었다. 둘째, 맥락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장애가 사회 책임적 소비 실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효과 모델과 두 변인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실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효과 모델을 검증하여 두 모델의 적합도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 간접모델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접효과 모델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 고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 모두 자기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 기 효능감은 결과 기대에,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 모두 관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천에 대한 영향에서는 결과 기대, 관심, 사회적 지지가 정적인 영향을, 사회적 장애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 효능감은 직접 적으로 관심에 영향을 주거나 결과 기대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 은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맥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모두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were interested in elucidating the psychological process associated with 20s consumers’ interest in and commitment to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On the basis of social-cognitive theory, we identified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as a plausible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This framework includes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related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interests, commitment, and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At first, it was analysed whether or not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is satisfied with the goodness of fit to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domain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econdly, it was compared direct effect model which were supposed social support and barriers affect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to indirect effect model which were estim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indirectly through self-efficacy. Lastly, we examined the more appropriate model’s path coefficient. The data came from 551 consumers between 20 and 29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 it supported the use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within the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domain. (b) it supported the indirect effects model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over the direct effect model. (c)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as contextual factors were shown to influence self-efficacy and commi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Self-efficacy was shown to influences outcome expectation, and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were shown to influence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interest.

      • KCI등재

        공공 이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량 측정모형의개발과 적용

        박기묵(Ki Muck Park)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행정논집 Vol.26 No.2

        이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일반 대중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던 15개의 사회적 이슈들을 선택하여 그 이슈들의 발전 과정을 그려보고, 그 발전 과정에서의 정책행위자들의 전략 또는 그 이슈와 관련된 돌출사건의 역할을 조사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행위자들의 전략 또는 돌출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량을 계산하는 방법론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모형에 15개의 사회적 이슈들을 적용하여 그들로 인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정책행위자 전략 또는 돌출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가 어떤 변화를 초래하였는지도 각 이슈별로 조사하였다. 정책행위자들의 전략 또는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돌출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량을 계산한 결과 15개의 사회적 이슈들 중 2008년의 촛불집회이슈가총 44일 동안 그와 관련된 사회적 관심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PD수첩이슈가 7일 동안 가장 적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총 15개 중 13개의 이슈가 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로 인해정부의 의사결정의 변화 등과 같은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describes evolving processes of 15 political and social issues which are paid attention by the public, and then investigates strategies of policy behaviors in those processes and roles of the events related to these issues. This paper develops a methodology model which explains the amount of the public attention increased by the strategies of policy behaviors and the events. This paper calculated the amount of the public attention by applying 15 issues to th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2008 candlelight demonstration issue appeared the largest increased amount of public attention, and that the smallest one was the "PD notebook isse". This paper found that the rise of public attention on 13 issues led to the changes in government decision making.

      • KCI등재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사회 연결망이 청소년 정치사회 참여에 미치는 구조 분석 -정치사회 관심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윤주 ( Yun Joo Lee ),유혜영 ( Hye Young Y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1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 시간과 접촉하는 친구 수가 친구의 정치사회 관심이라는 변수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그리고 정치사회 참여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주요 관심은 페이스북 이용이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그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의 유형이 청소년의 정치사회참여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이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대한 인지는 페이스북을 통해 교류하는 친구의 숫자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대한 인지는 교량적 사회자본을 매개하여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결속적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들의 정치사회적 관심은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정치사회적 관심의 정도는 정치사회 참여 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paper to study the network characters of youth Facebook network and its power as a new medium of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sharing. We explore to classifies social capital into two different forms: bridging network and bonding network, and then analyzes the linkage between them. By comparing how many youth have facebook friends and how often they use them,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youth facebook network that effect the linkage beh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 structure was studied for a particular type of social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zing this structur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capital, political interests, and participation factors that occur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s.

      • KCI등재후보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복선 한국자폐학회 2010 자폐성 장애연구 Vol.10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social interactive training package during naturally existing play activities on the increases of joint attention in low-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o assess social validation measures in order to verify the social importance of treatment effects on joint attention and the social appropriateness of training procedures. Thre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ge range from 3 to 4 years who were functioning at early developmental levels enrolled in early intervention programs and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teractive training package on the target children's joint attention skills collected by an event recording procedure. To socially validate the use of the interactive training package, the social validation respondents represented 45 individuals from three groups who were familiar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graduate school, 15 special education student teachers who were junior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15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pondents were observed a 3-minute segment of each of baseline and intervention conditions and completed a 5-point Likert-type rating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all participants increased their use of joint attention following implementation of mother-implemented social interactive training package (contingent imitation, natural reinforcement contingency, time delay, environmental arrangement) during naturally existing play activities. In addition, quantitative measures of social validation strongly supported the social importance of treatment effects on the participants' joint attention behavior and the social appropriateness of training procedures used in this investig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o promote the spontaneous use of joint attention in low-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to develop the contents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적 놀이 상황 속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social interactive training package)이 초기 발달 단계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관심 행동의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사회적 타당도 검사를 통하여, 공동관심 행동의 중재효과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과 중재절차의 사회적 적절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조기교육프로그램에 다니고 있는 3명의 3세에서 4세 사이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어머니로 구성되었으며, 사건기록방법으로 관찰된 아동의 공동관심 행동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의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경험이 있는 각기 다른 세 집단(대학원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교사 15명, 특수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특수교육교사 15명, 발달장애아동의 부모 15명)의 4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기초선과 중재 회기와 관련된 비디오를 무작위로 시청하고 Likert형 평정척도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일상적 놀이 상황 속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유관모방, 자연 발생적 강화제의 사용, 반응시간 지연법, 놀이 환경 조성법 등)은 모든 대상아동의 공동관심 행동의 자발적 사용을 의미 있게 증가시켰다. 둘째, 사회적 타당도 검사 결과는 어머니가 실행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관심 행동 내에 사회적으로 중요한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목표행동을 증진시키는데 사회적으로 적합한 방법임을 지지해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관심 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조기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관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정민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SII for college students. The inventory was based on the Adlerian theory and consisted of 15 item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uggested two factor structures, that is, behavior and attitude. Alpha-coefficient, test-retest reliability, and item-total correlation of factor were high.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supported between SII and Social Interest Scale. The construct validity was supported between SII and Empathic Ability.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supported by the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at SII scores between depressed and compar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inventory measured social interest as a scale of psychological health reliably and proper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심 척도의 검사문항을 제작하고 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Adler 이론과 면접을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수집하고 문항분석을 거쳐 15개의 검사문항을 선정하였다. 개발된 검사에서 행동과 태도 두 개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검사의 내적 일치도, 2달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개발된 사회적 관심 척도는 Crandall의 사회적 관심 척도, 한국판 사회적 관심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본 검사도구의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개발된 사회적 관심 척도는 공감능력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본 검사 도구의 공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우울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사회적 관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검사도구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사회적 관심 척도는 정신건강의 척도로서 사회적 관심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 도구를 활용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 관심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안영민,김원중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7 교류분석상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심과 불안 간의 관계에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H군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임의 표집 을 하여 각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2017년 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방법은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이며, 매개효과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랐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통계로 고등 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자기격려, 불안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검 증 결과, 사회적 관심과 불안이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적 관심이 강하며, 불안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관심, 자기격려, 불안의 변인간의 상 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심은 자기격려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불안과는 부 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기격려는 불안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사회적 관심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격려는 완전 매개역할을 보여, 사회적 관심은 자기격려와 함께 작용 을 할 때는 자기격려를 거쳐 불안을 낮추는 간접적인 효과만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관심이 행동적 자기격려 및 정서적 자기격려와 함께 작용을 할 때는 불안을 낮추는 직접적인 영향과 행동적 자기격려와 정서적 자기격려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이다. 후속연구로 자기격려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으로 검 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권신영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interes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anger-out. The advanced research on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nd the anger-out inventory was examined a hypothesis through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152 college students in Daejeon were subjects for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the social interest scale and the anger-out invent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interest and the anger-out. The internalized shame directly impacted on the anger-out and the social interest. Also the social interest had an direct effect on the anger-out. As a result, the social interest was the mediating model on the relation both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anger-ou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internalized shame varies the anger-out depending on the social interest level and the social interest regarding the important control factor of the anger-out shows the needs of the intervention and preventative service about the anger-out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서 분노표출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관심과의 상관을 알아보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 지역 소재의 대학 재학생 152명이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적 관심, 분노표출의 세 가지의 척도이다. 연구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관심, 분노표출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표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적 관심에 직접 영향을 주어서 간접적으로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심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출 간에 부분매개하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적 관심 수준에 따라 분노표출에 달리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사회적 관심은 분노표출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분노표출에 대한 개입과 예방적 차원에 활용될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 대학생들의 사회적 관심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김종임(Kim, Jong-Im)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7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2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관심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내 창원시에 재학 중인 대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심검사, 진로결정수준 검사, 자기격려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의 사회적 관심과 진로결정수준 간에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심과 진로결정수준, 사회적 관심과 자기격려, 진로결정수준과 자기격려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사회적 관심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자기격려는 진로결정 수준에 긍정적 영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수행하였다. The study is done to discuss the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ests and level of career decis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social interests, test of level of career decisions, and self-encouragement tests for 272 university students in downtown C in Kyung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measured variables. Also, sim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ly, it demonstrated 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ests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decisions level, between social interests and self-encouragement, between career decisions level and self-encouragement. secondly, control effect of self-encouragement was demonstrated as meaningful between social interest and career decisions level. The study proved that university students’ social interests and self-encourage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s. On the basis on these findings,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acti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