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안현서,김인혜,윤소현,박혜연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을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이 건강증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라이프스타일 영역별 건강증진행동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은 비동거 가족, 친인척, 친구, 이웃의 4가지 관계망을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인 관계망 크기와 접촉빈도, 기능적 특성인 사회적지지를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동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이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 사회적 관계망 크기는 친구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으며, 접촉빈도와사회적 지지는 비동거 가족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동은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생산적⋅사회적 활동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 중성별,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건강증진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웃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우울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델은 37%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증진행동 촉진을 위해서는 이웃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망을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정책이 요구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 Social networks based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by lifestyle were measured in 226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65 years and ov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 independent t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 The network size was the highest in the friend network, and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in the non-living family network.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highest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owest for productive and social activities. All subfactors of social network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as the variable with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gender and depression were also influencing factors, and this model showed 37%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 To promote healthy behaviors of older adultsin the community,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related policies considering social networks centering on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is required.

      • KCI등재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적 영역과 학업적 영역을 교차하여 유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적응의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대도시 소재의 2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학년 학생 705명(남 341명,여 36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그리고 사회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숙달목표를 추구 할수록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이었고, 학업적 수행접근목표를 추구할수록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이었으나 또래관계 질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수행회피목표를 추구할수록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이었으나 또래관계 질에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 숙달목표는 학업성취와 또래관계 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접근목표는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이지만 또래관계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성취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및 사회적 유능감은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수행접근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이나 또래관계 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와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 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of adolesc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play significant roles in the mediation of the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The participants were 705 first grade students(48, 4% boys) in high school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mastery goal,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Second, academic mastery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whereas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Academic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Third, social mastery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whereas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cademic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friendship quality,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Social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Social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 pursue social mastery goal had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not only in academic domain but in social domai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both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social achievement goal were discussed for the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djustment of adolescents across the academic and social domain.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이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전영혜,이재신,김수경,전병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관계망 특성을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이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2년 9월 5일부터 2012년 11월30일까지 대전, 충청남도, 경기도에 위치하는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95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설문지는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였고, 일상생활활동 평가는 담당 치료사가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회적 관계망 집단별 분석은 빈도 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사회적 관계망과 일상생활활동과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계수와 회귀분석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관계망은 이웃이나 친구와의 관계에 비해 가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뇌졸중 환자의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이 독립적일수록 이웃 및 친구와의 관계 형성이 잘 되고, 의존적일수록 가족과의 관계가 밀접하였다.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은 독립적일수록 가족, 이웃, 친구 세 집단 모두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관계망은 가족 중심적 유형이며,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사회적 관계망의 밀접한 관련성 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은 물론, 가족관계 뿐 아니라 이웃 및 친구와의 관계망 형성에 작업치료사들의 관심과 접근이 요구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 network type of patients suffering from a stroke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95 survey questionnaires given to stroke 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t hospitals located in the Daejeon,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area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5, 2012 to November 30, 2012.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patients were evaluat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social network questionnaires were written directly under the supervision of this same therapist. Results : As the social networks of patients post-stroke, th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were closer than the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or friends. Stroke patients who perform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dependently have closer relationships between their neighbors and friends, and those with depend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ve close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When perform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stroke patients more independently, the social networks for all groups including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appeared to be good. Conclusion : This study determined the types of family-centered social networks of stroke patients. We were also abl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oke patients with a good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who have social support through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s and friends, should return to society.

      • IoT 환경에서 사물과 사람 간의 관계 형성 영향 요인 확인 : 사회적 지지 측면을 중심으로

        최보미,권은경,채상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6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에 상호소통하고 상황인식 기반의 지식이 결합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다.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 하면서, 사람은 단순히 사물을 사용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을 통해 상호 소통을 하 고, 사물에게 자신의 정보를 대리적으로 위임함으로써 인간의 행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되었다. 지금까지의 IoT 연구는 사물과 사물 사이의 노드 관계 및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 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IoT 연구에는 사물과 사물 간의 관계에만 집중함으로써 연구의 한계점을 가진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을 활용하는 실제 사용자의 측면 (end-user perspective)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을 가진다. 인간 사회는 타인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충족될 수 있는 기본적인 사회적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타인으로부터 무엇인가 얻으려고 하는 특성이 있다. 이를 사회적 지지라고 한 다. 최근 IoT 연구들에 따르면 사물을 인간 사회 안의 행동 구성원으로 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 다. 이는 사물의 IoT화는 사물이 나타낼 수 있는 역량이 기존의 일반 사물과 큰 차이를 가지기 때문이다. 과거의 사물은 도구적 측면에서 정의되었 고, 사물-사람의 연결을 사회관계라 설명하기는 힘들었다. 하지만 사물이 다른 사물과 혹은 여러 사용자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호소통하고, 사물 자체적으로 자기 판단이 가능해지면서 지금까지의 사물과 인간의 관계를 사회적 측면에서 설명 할 수 있 다. 행위능력을 가진 것은 모두 행위자로 간주하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에 따라 사물 또한 사회적 집합체가 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회 관계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관계형성 동기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IoT 사물과 사람 관계 형성 요인을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관점에서 바라본다. 사회적 지지를 필요한 조 언, 지도, 제안, 또는 사람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람들이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정보적 지지(informational support)와 재정을 지원하거나 시간과 지원을 줄여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도움을 주는 도구적인 지지(instrumental support), 관 심, 애착 편안함, 신뢰, 친밀감, 격려 등을 제공하는 정서적 지지(emotional support),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어 소속감을 느끼게 도와주는 사회적 관계 지지(social network support)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람과 사물간의 관계 형성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을지 확인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에 따라 변화하는 사람과 사물간의 관계 형성 의도를 파악하고자 다음의 가설을 제시한다. H1. 정보적 지지가 증가할수록 사람과 사물간의 관계 형성 의도가 증가할 것이다. H2. 도구적 지지가 증가할수록 사람과 사물간의 관계 형성 의도가 증가할 것이 다. H3. 정서적 지지가 증가할수록 사람과 사물간의 관계 형성 의도가 증가할 것이 다. H4. 사회적 관계 지지가 증가할수록 사람과 사물간의 관계 형성 의도가 증가할 것이 다. 앞서 제시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정성적/정량적 연구를 함께 진행된다. 우선 사회적 지지와 사물인터넷-사람 간 관계 형성 의도 영향을 알아보기 전에 연구대상자에게 질문 기준이 될 만한 공통적인 사물 선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를 상대로 사물인터넷의 개념 설명과 이해를 돕 고, 사용자의 사물인터넷 선택의 범례를 들어 설명을 진행한 다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가장 IoT의 이해가 용이한 사물 3가지를 도출해 낸 다. IoT 화가 되었을 때 충분이 여러 요인을 가정하여 고민이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정성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물 3가지를 기준으로 사회적 지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설문을 진행하여 이 데이터의 결과를 구조방정식 도형으로 확인한 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예상 결과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물과 사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 것에 반해 본 연구는 IoT 환경에서 사물과 사람과의 관계에 대해 조명함으로써 연구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 다. 또한 사물을 단순히 도구로써가 아닌 사회 관계 안에 또 다른 구성원으로 고려하여 사회적 지지 관계 형성 요인을 파악한다. 더불어 소비자의 IoT 제품 선택의 근거를 도출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제 기업이 IoT 제품 개발 및 판매 과정에서 자원 투자 전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무적 의의를 가질 수 있 다. 향후, 본 연구 결과는 기존에 기술적 측면에서 개발되었던 사물인터넷 사물과는 달리 소비자 요구 중심의 제품 개발로 기업경영의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하여 기술 개발자의 입장과 실제 소비자 입장의 균형 마련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정창순,이동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RS), social network(SN) and loneliness, and to test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of S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S and loneliness. Participants were 412 college students who were freshmen, sophomores, juniors or seniors from 15 universities, and they completed online self-report surveys on their RS, SN and loneliness. Loneliness was measured using the Loneliness in Context Questionnaire (LCQ), a newly developed measure specifically focusing on emotional experiences of loneliness. Social network was defined and measured in terms of structural (e.g., number of relationships, frequency and duration of contact, etc.) and functional (i.e., social support, social conflict, and friendship quality) dimensions.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S and loneliness,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dimensions of SN and lonelines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S and three functional dimensions of SN, with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tructural dimension of SN and RS. Results from testing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RS, with social conflict having the largest indirect effect, while friendship quality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ese findings imply that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experienced with many significant others in various social contexts may have greater impacts on loneliness than the quality of dyadic relationship with a close friend among college students with high RS in emerging adulthood. O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관계망의 다양한 요소들이 매개하는지, 하나의 모형 내에서 여러 변인의 매개효과를 동시에 추정하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대학생 412명에게 거부민감성,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을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외로움은 정서적 경험에 국한하여 LCQ라는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관계망은 구조적 차원(접촉하는 사람 수와 빈도, 도움을 주거나 받는 빈도 등을 합산한 양적 지표로 단일 변인)과 기능적 차원(사회적 지지, 사회적 갈등, 친구관계의 질의 세 변인 포함)으로 구분하여 포괄적으로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거부민감성과 외로움 간에,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의 모든 요소와 외로움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을 측정하는 세 변인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차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사회적 관계망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거부민감성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 중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사회적 갈등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구관계의 질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이 매개역할을 하지만, 이자관계에 기초한 친구관계의 질 보다는 사회적 갈등 같은 집단수준의 대인관계 과정 변인이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나르시시즘(Narcissism)과 사회적 관계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social relationship problems of narcissism and to examine how to solve them. Social relations are an important factor in human survival. Due to social relationship, humans have survived and prospered. So alienation from these social relationships or loss of social relationships is painful for humans. Humans strive not to be alienated from social relationships. When alienated from social relationships, the 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anterior insula of the human brain are activated. This is where human brain are also activated when they feel physical pain. In other words, human physical pain and mental suffering from social alienation are related to each other. Social pain can be reduced when human physical pain is reduced, and the relief of social pain from social support brings relief of physical pain. It is difficult for narcissists to establish a long-lasting relationship with others because of their excessive thinking about themselves and lack of empathy for others. Also, other people are just tool that makes narcissists feel great. That’s why relationships with others are exploitative in narcissists. Narcissists may seem indifferent to social relationships due to their focused attention, but they feel more pain and become most aggressive when they are alienated from social relationships. This shows that narcissists have a greater desire than to be indifferent to social relations. In order help maintain healthy relationships among narcissists, this article explores two effective solutions through narratives in the Bible. The first is to meet Jesus sincerely and the other one is to show empathy and understanding toward narcissists through empathetic physical contact. 이 글은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narcissists)이 형성하는 사회적 관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사회적 관계는 인간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인간들은 생존하고 번성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소외나 사회적 관계의 상실은 인간에게 고통스러운 일이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될 때 인간의 배측 전대상피질(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dACC)과 전측섬엽(anterior insula, AI)은 활성화 된다. 이곳은 인간이 신체적 고통을 느낄 때도 활성화 되는 곳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신체적 고통과 사회적 소외로 인한 정신적 고통은 서로 연관이 있는 것이다. 인간의 신체적 고통이 적을 때 사회적 고통이 적어질 수 있고, 사회적 지지로 인한 사회적 고통의 경감은 신체적 고통의 경감을 가져온다. 자기애적 사람들(narcissists)은 자신에 대한 과도한 생각과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으로 인해 타인과의 지속적인 관계형성이 어렵다. 또한 타인은 자신이 대단하다고 느끼게 해주는 도구에 불과하다. 그래서 타인과의 관계가 착취적이다. 그런데 자기애적 사람들(narcissists)은 자신에게 집중된 관심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에 무관심하게 보일 수 있지만 그들은 오히려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될 때 더 많은 고통을 느끼고 가장 공격적이 된다. 이는 자기애적 사람들(narcissists)이 사회적 관계에 무관심하기보다는 오히려 더 큰 열망이 있지만 왜곡된 자아상으로 인해 그 관계 형성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자기애적 사람들(narcissists)의 건강한 관계 형성을 돕기 위해 이글은 누가복음 10장 38-42절에 나타난 마르다의 내러티브와 마가복음 8장 22-25절에 나타난 시각장애인을 향한 예수님의 행동을 통해 공감적인 신체적 접촉이 사람들의 고통과 아픔을 치유하는데 효과적임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농촌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

        김주희(Joo Hee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2

        이 연구는 지난 삼십여 년간 경기도에 소재한 S 농촌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사회적 자본, 즉 접착성 사회적 자본과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조사 자료는 2010년 6월부터 6개월 간 16명의 마을 여성들과의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구해졌으며, 이를 연구자가 1970년대 후반 10여개월간 참여관찰을 통한 민속지(ethnography) 조사와 비교하면서 논의를 진행했다.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가 마을 안에서 마을 밖으로 확대되었다는 것 그리고 예전 그들에게 중요했던 이웃관계가 현저히 약화되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S마을 여성들은 농경기계화가 가져다준 시간적·육체적 여유를 마을 밖 경제활동에 활용해 왔으며, 인구 감소로 인한 마을 내 관계의 감소를 마을 밖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보완해 왔다. 이러한 활동들은 의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봉사활동 또한 일상으로 받아들이게 했다. S마을 여성주민들은 도시와의 차이를 거의 느끼고 있지 않으며, 도시생활에서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적 관계망을 공적 관계망을 통해 만들어 가고 있다. 지난 삼십여 년간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감소하고 대신 연결성 사회적 자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그동안 접착성 사회적 자본에 익숙했던 여성들이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유용성을 이용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친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보듯이 마을 내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마을 여성들의 마을 밖에서의 활동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럴수록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은 확대될 것이며, 이는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계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에 대한 예상은 조심스러워야 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in social relationships among women in a Korean rural villag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author has been acquainted with the life of the village for more than thirty year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for the present study to the caus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changes of women`s social relationships, namely, the mechanization of farming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former has reduced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among villagers and the contribution of women`s labor to the family farming. The latter has enabled women with spare labor power to easily seek new economic opportunities provided by nearby towns such as Asan tourist facilities. Sixteen women aged from the forties to the seven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most conspicuous change in women`s social relationships can be termed as extens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village. Unlike those whose social relationships were bounded within the village in the past, women in the village now not only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official organizations sponsored by the District Office, but enjoy social gatherings formed through those formal meetings. They pursue instrumental needs and emotional satisfaction by maintaining social networks with women from other villages. Even the neighbor relationship within the village that us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women has greatly weakened. All these changes are the manifestations of the rapid decrea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ciprocal acts among villagers. The changes in social networks among the village women we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The weakened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village and their extension outside of the village were taken as the phenomenon of enlarging of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mong women in the village, who used to lack such social capital. But their bridging social capital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bond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지식 축적에 미치는 영향: 업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승현,이창원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1

        본 연구는 공급사슬환경에서 구매자-공급자 관계 사이 사회적 결과물인 사회적 자본이 공급자 관점에서공급사슬 관계자인 두 주체 간에 일어나는 지식축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이 업종에 따라 나타나는조절효과의 영향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기존에 연구된 구매자 관점과 달리 공급자 관점에더욱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자의 관점에서 공급사슬 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을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그리고 관계적 자본으로 세분화하여 지식 축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기존에 연구가 부족하였던 공급자 관점의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간의 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제조업과 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요인으로 업종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공급사슬환경에서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 요인 중 관계적 자본이지식축적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이 다음으로 지식축적에 높은 영향을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의 관계에 대한 업종의 조절효과는 제조업의 경우사회적 자본 중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을 제외하고,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아울러, 정보통신업은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환경의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식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이해를 넓히고, 업종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에 대한 차별화된 경영전략과 지속적인 성과 향상에도움을 줄 수 있는 공급사슬관리의 전략적 방향성이 요구된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 study result between buyer and supplier in supply chain environment, on knowledge accumulation between two suppliers and suppliers, and the effect of moderating effects of these processes depending on industry. Especially, since societal capital has more important meaning in the supplier's perspective than the previous buyer's perspective, this study tried to prove how this relationship is realized within the buyer-supplie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supply chain relationship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First, from the supplier's perspective, social capital is divided into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to understand how it affects knowledge accumulation. Seco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dustry as a moderating factor that can positivel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entering o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collect data. The measurement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on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In addition,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on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95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50.9%, and 188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anies were 49.1%. In addition, 247 companies with an average sales of less than 50 billion won accounted for 64.6%, while 292 companies with less than 500 regular workers accounted for 76.3%. In addition, the trading period with buyers was 177 with less than 10 years, 46.2%, and 53.8% with 206 with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factors of social capital in the supply chain environment, relational capita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knowledge accumulation, and structural capital and cognitive capital we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knowledge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is social capital, which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apital,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except for structural capital, bu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ognitive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the situation where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supply chain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re required ar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buyers. Third,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by indust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ocial capital affecting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of supply chain environment was broadened,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was required to help the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y and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industry.

      • 대학생의 연애 경험을 통한 사회적 관계 맺기에 관한 연구

        이은주 한국가족관계학회 2017 한국가족관계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

        이 연구는 관계적 포기 및 개인주의적 문화를 요구받는 청년과 저출산·고령화라는 사회 현상 속에서 청년기인 대학생의 사회적 관계 맺기 양상이 향후 다양한 사회현상과 맞물려 사회적 행동으로 지속화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대학생의 연애 경험을 통한 사회적 관계 맺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대학생들은 연애라는 사회적 관계 시작 및 유지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사회적 관계 시작의 어려움으로 ‘연애 하지 않음과 비혼의 선택’, ‘안하는 연애가 아닌 못하는 연애’, ‘자기 노출에 대한 두려움’을, 사회적 관계 유지의 어려움으로 ‘취업과 연애 사이에서의 갈등’, ‘미리 준비하는 이별’, ‘데이트 비용에 대한 고민’을 경험하고 있었다. 궁극적으로 대학생들의 연애라는 사회적 관계 시작과 유지에 개인주의적 문화, 수동적인 태도, 사회불안감, 자기노출 부족, 썸문화, 노동시장 불안, 성역할 고정관념과 같은 다양한 요인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청년기의 사회적 관계 맺기의 어려움은 생애주기별 발달과업 성취에 어려움을 초래해서 사회적 고립감으로 이어지고 관계 포기, 개별화라는 사회적 행동으로 인해 저출산·고령화 사회라는 역기능적 순환 형태를 보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