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진호(Jin-Ho Je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 여,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D, K지역에 운 영되는 사회적기업 종사자 230명을 유의 표집하여 2017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2월 20일까지 설문조 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 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수인 정보적 지지(β=.375, p<.05)가 내적직무만족도 는 정서적지지(β=.487, p<.05)가 내적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적기업종사 자의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사회적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긍정적인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적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분명 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회적기업종사자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 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be used for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by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ir job satisfaction. 230 social enterprise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sked them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data collected from December 1, 2017 to December 20, 2017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it was shown that the sub-variables of information support (β = .375, p <.05) = .487, p <.05) have an effect on internal job satisfaction. Thus, It can be argued that social suppo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job satisfaction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Further, it is clear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promote soci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the positive job satisfaction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 KCI등재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이직 의도에 관한 연구

        조성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 연구 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사회적 영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연구 배경: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이직 현상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방법: 사회적기업 종사자 17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사회적 영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기업 종사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영향과 조직 몰입은 이직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영향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조직 몰입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이직 의도에 대한 사회적 영향과 조직 몰입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이론적 검증과 함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 내 사회적 가치 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명진(Lee Myoung-Jin),천희주(Cheon Hee-Joo)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8 노동연구 Vol.36 No.-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지역사회에서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평가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은 고용창출 등 지역사회의 경제 활성화를 통해 긍정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은 사회적 가치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시민단체, 중앙정부 순으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 평가 주체로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와 관련해서 두 가지 측면에서 그 함의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많은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의 소비생활 향상과 환경이라는 측면에 대한 공헌은 다소 제한적이다. 아울러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보다 확장된 평가 체계가 필요하다. 즉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 연구기관 등 개별 기관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협업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values created by social enterprise in commun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enterprise work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First, social enterprise workers evaluated that social enterprise creates positive social values through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y such as job creation. Second, the social enterprise workers think that social value evaluation is necessary, and they prefer evaluation agents for social value evaluation in order of local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civic group, and central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social values created by social enterprise in community in two respects. Despite the positive evaluation of many social enterprise workers, the contributions to the improvement of the local residents’ consumer life and the environment are somewhat limited. In addition, the more extensive evaluation system is needed in assessing the social values of social enterprises. In other words, a certain level of collaboration is needed to complement the weaknesses of individual institutions such as local governments, central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가 종사자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수아(Kim, Su-a)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논총 Vol.24 No.-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적 성과가 종사자 개인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가 높으면 종사자 개인의 직무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점에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최고 관리자와 중간관리자는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중요성 인지 및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사회적가치지표(SVI)는 측정의 활용 가능성, 신뢰성, 형평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므로 각 사회적기업의 상황을 반영하여 사회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performance, the ultimate purpose of social enterprises, on individual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was confirmed in that high social performance increases the job satisfaction of individual workers, and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enterprises workers. Second, the top and middle managers of social enterprise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cial enterprises" social performance and related education. Third, the Social Value Index (SVI), developed to more objectively evaluate th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raises the issue of the availability, reliability, and equity of measurement, so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measure social performance by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ach social enterprise.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다차원적 직업만족도

        심재만(SShim Jae-Mahn)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8 노동연구 Vol.36 No.-

        사회적기업에 대한 다양한 기대를 볼 때 종사자 직업만족에 대한 가치론적 행위이론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5년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의 사회적기업 조사 중 종사자 설문자료를 이용해 종사자 직업만족의 다차원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은 직업만족을 구성하는 아홉 가지 차원 중 임금에 대해 가장 낮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고 노동시간에 대해 가장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또 두 차원의 만족도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기는 하나 그 정도가 아주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아홉 가지 차원 간 단순 상관분석에서 차원 간 상관유형으로 크게 세 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과 같이 다른 차원과의 상관성이 크게 변동하는 유형, 노동시간과 같이 다른 차원과의 상관성이 일정하나 낮은 수준에 머무는 유형, 그리고 인사관리와 같이 다른 차원과의 상관성이 일정하면서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유형 등이 그것이다. 셋째, 임금과 노동시간 모두에 함께 만족하는 확률이 유의미하게 뒤 떨어지는 집단(즉, 대졸 학력을 갖춘 30∼40대 기혼자)이 존재한다. 넷째, 30대의 미혼 기독교인의 특성을 갖춘 종사자들에게서 임금과 복리후생 모두에서 함께 만족하는 경향이 더 강하게 존재한다. 다섯째, 가구소득이 높은 기독교인 종사자들에게서 노동시간과 인간관계 두 차원 모두에 만족할 확률이 높아진다. 여섯째, 사회적기업 종사년수가 오래된 정규직 종사자에게서 노동시간과 담당업무 두 차원 모두에 만족할 확률은 낮아진다. 일곱째, 낮은 연령대와 낮은 가구소득 수준에 속한 종사자들, 그리고 기혼자와 기독교인들이 더욱 다양한 차원에서 직업만족(직업만족의 다차원적 달성)을 경험하고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rmative value-based theory of social action, this paper examines the multidimensional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in 248 companies in social business in South Korea. It finds: 1) among the nine 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 the respondents report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 on salary an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on work hou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se two dimensions is the lowest among all possible pairs of dimensions; 2) employees who are married, in their 30s or 40s, and educated up until college graduation are less likely to be satisfied with both salary and work hours; 3) employees who are not married to anyone, in their 30s, and Christians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both salary and employee wellbeing at work; 4) employees who are from high levels of household income and Christians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both work hours and employee relations at work; 5) employees who are younger, with less household income, married, and Christians a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more 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식이 택배 물류 종사자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절차적, 분배적 정당성의 조절효과

        이수열 한국생산관리학회 2020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1 No.3

        With the increase in mobile commerce, the Korean parcel industry has grown dramatically. This industry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other relevant sectors, and has the potential to create jobs. Delivery persons play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and the service quality of parcel delivery logistics. Thus, scholars and practitioners highlight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ping with issues related to the working conditions of delivery person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delivery persons’ percep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by considering perceived organizational fairness as a moderator. An analysis using 271 responses provides evidence that delivery persons’ CSR perception is likely to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fairness between CSR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is not supported.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managers and policymakers who wish to enhance the parcel industry’s competitiveness and service quality from a delivery person’s perspective. 전자상거래와 모바일 유통시장 확대에 힘입어 국내 택배 산업은 급속히 성장해 왔다. 택배 산업은 일자리 창출 기여가 크고 다른 상거래를 촉진하는 기반으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택배 산업 경쟁력과 서비스 품질 향상에 있어 고객 서비스접점에 있는 택배 종사자의 역할은 중요한데 업무환경과 관련된 잠재된 갈등 해결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 논문은 택배 종사자의 조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택배 종사자가 인식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조직 만족의 영향관계를 설정하고 조직공정성 인식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국내 주요 택배 기업에 소속된 271명의 택배 기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계층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택배 종사자가 인식하는 소속기업의 CSR이 높을수록 조직 만족이 높아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CSR인식이 택배물류 기업의 구성원 조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는 경향성만 확인했을 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검증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최근 급성장한 택배 물류 서비스의 현안 문제 해결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택배 서비스 종사자의 정서, 감정, 태도에 대한 연구의 확장으로 의미가 있으며 특히 비대면, 비접촉이 강조되는 전염병의 대창궐 시대에 규모나 역할 면에서 중요성이 증가하는 택배종사자의 직무 만족을 다룬 문헌으로 학술적 차별성이 높다. CSR활동이 소속된 택배 종사자가 물리적, 정서적으로 노동강도가 높은 상황에서 겪을 수 있는 인지부조화를 줄이고 소속감을 높여 결과적으로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인지하는 사회적 기업 지원에 대한 만족도 및 유용성

        박서현(Park, Sur Hyun),임승희(Lim, Seung H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른 사회적 기업 지원에 대한 직업생활시설 종사자의 만족도와 유용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연구하고자 서울시 소재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 1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사회적 기업 인증 받은 직업재활시설의 경우,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 후 시설운영, 매출증가, 인력충원 및 판로개척 측면의 지원은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인력지원, 마케팅 및 판로개척지원, 경영지원, 네트워크 및 기타 지원은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 유용성분석 결과, 인력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판로개척 및 마케팅 지원 유용성, 경영지원 유용성, 기타지원 유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atisfaction and availability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for activat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y social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based upon the perception of workers 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160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participat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gram of SPSS 18.0. As a result, after the approval of a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as a social enterprise, it has obtain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a facility management for the support system, sales growth, manpower supplement, and development of overseas markets, but it show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support policies. The avail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support prioritizes its work in the order of manpower support, marketing and exploitation of markets, management support, network, and other support.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종사자의 직무 만족

        배병룡 경인행정학회 2010 한국정책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문화・예술 분야의 사회적 기업에 종사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들의 직무 만족 실태를 살펴보고, 사회경제적 요인의 차이에 따라 전반적 직무만족, 내재적 직무 수반 요소에 대한 만족과 외재적 직무 수반 요소에 대한 만족에서 차이가 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먼저 직무 만족 실태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 만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이 정부로부터 최저 임금을 보조 받을 정도로 재무 상태 등 여러 가지 여건이 좋은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을 반영한다. 둘째, 내재적 직무 요소인 작업 도전성, 작업 자율성, 작업의 가치 실현 각각에 대한 만족 수준이 서로 유사하고 중상정도로 나타났으며 전반적 만족 수준 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다. 셋째, 외재적 직무 수반 요소들에 대한 만족 중 보수 및 승진 만족이 유사한 정도로 가장 낮은 상태이다. 직무 안정성 만족 수준 역시 매우 낮은 상태에 있는데 보수 및 승진 만족 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에 있다. 넷째, 업무량에 대한 만족은 보수, 승진, 직무안정성 만족 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른다. 다섯째, 의사결정 참여 만족 및 동료 만족은 업무량에 대한 만족 보다는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상사 만족은 의사 결정 참여 만족 및 동료 만족 보다 높지만 중간 정도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전반적 직무 만족, 내재적 직무 수반 요소 및 외재적 직무 수반 요소에 대한 만족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났는가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 도전성의 경우 학력의 차이에 따라 5% 미만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력별차이를 볼 때, 대학원졸의 평균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고졸이하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대졸의 평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평균가계소득의 차이에 따라 도전성과 가치 실현에서 각각 5% 미만과 1% 미만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보였다. 가치 실현의 경우, 월평균가계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가치 실현 만족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고 도전성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승진 만족에서 직위의 차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관리직이 일반 사원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력의 경우 보수 만족 및 승진 만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수 만족에서는 학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만족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고, 승진 만족에서는 고졸이하가 가장 낮은 수준에 있으나 전문대졸은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대졸 및 대학원졸은 그 중간에 위치한다. 다섯째, 월평균가계소득의 차이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상사 만족 및 승진 만족에서 나타났다. 상사 만족에서 가장 낮은 월평균가계 소득 집단의 평균이 거의 동일한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승진 만족에서 월평균가계소득이 높아질수록 만족 수준이 낮아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여섯째, 직위의 차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은 직무 안정성으로서 일반사원이 관리직에 비하여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력의 차이에 따른 뚜렷하고도 일관성 있는 차이가 의사결정 참여 만족에서 보이는데 학력이 높아질수록 만족이 낮아지고 있다. 여덟째, 월평균가계소득의 차이에 따라 직무안정성 만족 및 의사 결정 참여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월평균가계소득이 감소할수록 직무안정성 만족이 증가하고, 가장 낮은 월평균가계소득 집단이 다른 두 집단 보다 의사결정 참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 보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의 업무환경과 종사자 만족에 관한 실증연구

        장우진,오승석 한국지방행정학회 2011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8 No.2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social enterprises in the recent years, most of those focused on discussing the institutional aspects and outcomes whereas there were very few studies on the working environment, i.e.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individual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workers and organizations. This paper, on the other hand, is based on empirical studies on the social enterprise working environment and employee gratification by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s of workers and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individual workers whil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that have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 new form of organizations instead of focusing on the gratification levels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purely based on job rol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in Chungcheongbuk-do especially analyzing the changes in gratification levels of working environment among different social enterprise worker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llustrates the main viewpoints for solutions by providing a diagnosis of social enterprise working environment to guide the strategic organization management directions for ensuring the continued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social enterpri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ssential material for further researches in assisting the development of exemplary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to nurturing the capacity for social enterprises to grow.

      • 돌봄노동종사자의 근로조건향상을 위한 제도적 개선

        추유선(Chu Yousun)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1 노동연구 Vol.21 No.-

        근로조건의 법적 보호는 영세기업을 대상으로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나 가사근로는 이러한 흐름에서 소외되어 있다. 돌봄노동종사자 대부분은 가사사용인으로 간주되어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돌봄노동종사자가 비공식의 영역에 머물러 있는 이상 이들에 대한 노동법적 보호는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를 것이다. 본 연구는 대표적 돌봄노동종사자인 간병인이 법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지 않도록 간병노동을 법의 영역으로 포섭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간병인에 대한 제도개선의 기본방향을 취업경로의 단일화, 간병인의 전문성 확대와 고용창출, 가사사용인으로서의 보호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간병인의 취업경로를 근로자파견제도로 통합하거나 근로자공급사업을 확대하여 간병인을 포섭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더불어 간병인의 자격제도화를 통한 전문성 확보와 사회적기업을 활용한 고용창출의 기대효과를 다룬다. 끝으로 재가간 병인의 보호방안으로서 재가간병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있는 오스트리아의 법제와 가사사용인을 위한 표준근로계약을 제안하고 있는 스위스의 사례를 검토하고, 우리 법에 표준근로계약서 작성 의무화를 도입하여 가사사용인으로 분류되고 있는 간병인을 노동관계법의 범주 안에서 보호하는 방안을 고려해본다. Working conditions have been improved by law especially for small companies but with the exception of area of houseworking labor. Most of care workers are regarded as housekeeper and not legally supported by labor standards law. In reality, there are limitations to provide them with legal protection of labor law as long as their status is informal. This research discusses possible measures to draw care assistants, the representative care workers, into legal area to prevent them from being left in a blind spot. At first, this report will examine the possibilities to include them in labor procurement service or workers dispatch business through employment. Considering the case of care givers who are institutionalized in public interest sector, the author seeks to establish a qualifying examination system for care assistants. Author also considers social enterprise as a method of job creation and activation and suggests legal schemes on home care assistants with reference to foreign legal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