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박선녀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1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 학급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고, 사회정서역량의 정도에 따라 학급응집력을 통하여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수준이 달라지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급응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개교의 5, 6학년 아동 총 152명을 대상으로 사회정서 역량,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학급응집력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4를 사용하여 각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정서역량,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학급응집력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정서역량이 학급응집력을 경유하여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 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응집력이 사회정서역량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급응집력 및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증진을 통한 학교폭력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정서역량의 증진이 필요함을 보여주며, 학교 현장에서의 사회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 KCI우수등재

        야구 동호인 참가자들의 사회적지지, 응집력과 여가신체활동 의도 간의 관계

        천승현(CheonSungHyeon),강성훈(KangSung-Hoon),정주혁(JungJoo-Hyug),송용관(SongYong-Gwan)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4

        이 연구는 야구 동호인 참가자들의 상호간의 사회적지지가 팀 응집력과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와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횡단설계 접근을 통해 서울 및 경기권에 속한 12개 동호인 야구에 참가하는 268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팀 응집력과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동료들 간의 사회적지지는 팀 응집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응집력 하위 변인인 개인사회응집력과 집단사회응집력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에도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팀 응집력은 사회적지지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들 간의 사회적지지가 팀 응집력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사회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나아가 높은 팀 응집력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를 유도하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팀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 팀 응집력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 의도를 위해서 중요하며, 팀 응집력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요인으로 동료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나아가 지속적인 여가신체활동을 위해서 동료들 간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peer’s social interpersonal support, future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nd group cohesiveness in the baseball club participants. Baseball club participants (n=268)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o assess the perception of peers social support, future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nd team cohesiveness at the 12 clubs. The following preliminary analyses were performed in SPSS and Amos programs. As results, peers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team cohesiveness, it positively predicted the team cohesiveness. And team cohesiveness had meaningful direct relation with future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dditional, mediation effect was observed between peer social support and team cohesiveness. In conclusion, this results indicate a beneficial role of peer in maintaining or increasing future physical activity in the baseball club participants.

      • KCI등재

        지역사회 응집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홍현미라(Hong Hyun Mee R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응집력 수준을 측정하고 응집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적 수준에서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결과 지역사회 응집력 수준은 보통수준정도이며 영향요인 분석결과에서는 타 연구와 마찬가지로 귀속 변수와 토박이 변수의 영향력이 보고되었으며 추가로 혼인지위변수가 지역사회 응집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의 통합기능과 감시기능, 그리고 성원의 안정감을 보장해주는 지역사회 응집력 향상노력을 통해 임상적으로는 아동, 노인,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는 물론 혼인지위가 열악한 가족에 주목할 것을 제안한다. 더 나아가 지역사회 응집력 향상을 위한 사회정책의 뒷받침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 of neighborhood cohesion in Seoul.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level of neighborhood cohesion? and what are the major predictors of neighborhood cohesion?. Using the data from the 798 residents in Seoul,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of neighborhood cohesion is 2.58 using 4 points scale; and (2) the marital status variable which is one of marginalized variabl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neighborhood cohesion; (3) residential yea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neighborhood cohes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implications for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e on the basis of the exploratory findings about neighborhood cohes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인수 합병된 C 기업의 조직학습역량 구축요인과 집단응집력의 관계

        손병기,조대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9 평생교육 · HRD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in merged C company and task cohesion, social cohesion which are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430 employees in C corporations and 316 employees were participate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316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0.0 and Amos 22.0. were used to analyz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ask cohesion in merged C company. Secon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cohesion in merged C company. Thir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has more influence on task cohesion among task cohesion and social cohe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nd group cohesion is multi-dimensioned by task cohesion and social cohesion, and the influence is verifi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e for the merged C company. 본 연구는 인수 합병된 C 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이 집단응집력의 구성요소인 과제응집력과 사회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수 합병된 C 기업의 구성원 43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 총 316부를 유효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SPSS 20.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변인 간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수 합병된 C 기업의 조직학습역량 구축요인과 과제응집력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수 합병된 C 기업의 조직학습역량 구축요인과 사회응집력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학습역량 구축요인은 과제응집력과 사회응집력 중 과제응집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학습역량과 집단응집력의 관계를 과제응집력과 사회응집력으로 다차원화하여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인수 합병된 C 기업에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기업가의 비전 리더십이 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주규하(Joo, Gyu-Ha),김왕의(Kim, Wang-Eui) 사회적기업연구원 2015 사회적기업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이 양적 성장부분에서는 어느 정도 성공을 이루었지만 지원의존성 및 영세성의 한계로 자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강화시켜야할 필요성을 인지하고 사회적 기업가의 비전 리더십, 구성원의 성과 및 응집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했다. 가설 검증을 위해 부산과 울산 지역의 (예비)사회적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200부를 배부하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56부를 분석했다. 가설검증 결과 사회적 기업가의 비전 리더십은 구성원의 과업성과 및 맥락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의 비전 리더십은 구성원의 과업 응집력 및 사회 응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 응집력은 비전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나타났지만 비전리더십과 맥락성과의 관계에서는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 응집력은 비전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비전 리더십과 맥락성과의 관계에서는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들에 관해서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ʼs visionary leadership on worker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he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ary leadership and workersʼ performance. 156 workers volunteered for the study. Workers responded their perception of visionary leadership,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task cohesion, social cohesion. To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ocial enterprises in Busan and Ulsa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visionary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Second,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task cohesion and social cohesion. Third, task cohesion w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ary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But task cohesion was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ary leadership and contextual performance. Lastly, social cohesion w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ary leadership and contextual performance. But social cohesion was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ary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This study is more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social entrepreneurʼs visionary leadership on work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최인 ( In Choi ),김영숙 ( Young Sook Kim ),서경현 ( Kyung Hyun Suh ) 한국보건사회학회 200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5

        본 연구이 목적은 노인의 자살충동과 관련된 내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을 탐색하여 노인 자살을 중재하고자 하는 정신보건 실무자들이 현실적으로 유용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65세 이상 한국 노인 174명이다. 자살충동척도,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절망감 척도, 사회지원 평가척도, 가족 응집력 척도(FACE-III), 노인차별 질문지, 사회활동 참여 설문지와 같은 심리검사와 설문지를 참여자에게 실시하였다. 주어졌다. 무학력의 노인, 불교도 및 경제력이 없는 노인들이 자살충동을 더 많이 보고하였다. 자아존중감, 사회지지, 가족 응집력 및 사회활동 참여는 자살충동과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에, 노인차별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회귀분석은 우울, 자아존중감, 가족 응집력, 노인차별 및 사회활동 참여가 노인의 자살충동에 대한 유의한 예언변인이었다. 그런 변인들은 노인의 자살충동의 변량을 51%가량 설명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충동에 대한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사회지지의 역할을 재확인하고, 가족 응집력, 노인차별 및 사회활동 참여의 영향을 부각시켰다. 이런 결과는 보건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ner characteristics or the psychosocial factors of the elderly which are related to their intention of suicide in a bid to seek ways of preventing suicide in senescence by offering intervention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workable practical strategies. The participants were 174 Kore n elderly people whose ages were over 65. The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used re n 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Suicidal Ideation Scale,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 Rosenberg`s Self-Esteem Scale, The Hopelessness Scale, Social Support Appraisals Scale, FACES-III, The owing: Survey, and Questionnaire for Participating Social Activity.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derly who were not having been educated in formal school setting, Buddhist, or with low economic level showed suicidal ideation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were not. Self-esteem, social supports, family cohesion, participating social activity were negative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while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was positively related to. A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epression, self-esteem, family cohesion,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and participating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ey accounted for around 51% variance of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is study reiterates the role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s, and suggests influences of family cohesion, ageism, and social activity on suicidal intention of the elderly. These result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health practitioners.

      • KCI우수등재

        동네무질서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

        민소영(Min, So-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네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응집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스트레스과정 모델, 사회해체이론, 그리고 동네무질서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총 69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동네무질서가 사회적 통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응집력의 조절 효과는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통합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인차원이나 서비스 차원의 개입전략에 서 더 나아가 지역사회차원의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community cohesion moderates the effects of neighborhood disorder on community integration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es(MI) who are living in the community. Stress process model,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and neighborhood disorder model wer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cohesion. 692 persons with MI who utilized Community Mental Health Enhancement Cente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employing moderated regression model. Major findings showed that neighborhood disorder increased social integration. Community cohe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s of neighborhood disorder to three dimensions of community integration: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gration. Implications for community intervention beyond the individual and service-level interventions were addressed in order to accomplish community integration for persons with MI.

      • KCI등재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이 가족응집력 및 가족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전북 무주군 지역을 중심으로

        김진,전천운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1

        최근 우리사회는 결혼이민여성과 이주노동자, 유학생 등 국경을 넘는 인구 이동의 증가로 다민족(multiethnic), 다인종(multiracial), 다문화(multicultural) 사회를 맞고 있다. 즉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국제결혼의 증가는 우리 사회를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진행을 촉진시켰으며, 결혼을 통해 이주해 온 이주여성들에게는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적응, 새로운 가족에 대한 적응 그리고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통합되어야 하는 것 등의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북 무주군지역의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그들의 자아존중감이 가족응집력과 가족적응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첫째, 결혼이민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은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분석결과로 출신국가, 학력수준, 한국어 능력이 가족적응성(지각상)과 가족응집력(지각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민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은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연구결과로 자아존중감이 종속변수인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력에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안보" 이론의 한국적 적용: 도입, 채택, 발전

        김병조 ( Byeong Jo K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1 국방연구 Vol.54 No.1

        이 글은 탈냉전 시기에 유럽에서 개발된 사회안보 이론이 한국의 안보이론에 어떻게 도입되고 채택되었는지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냉전체제가 붕괴되는 와중에, 일부 한국 안보학자들이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직면하며 포괄적 안보개념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포괄적 안보개념을 활용해서 현실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원리나 논리를 충분히 만들어내지는 못하였다. 이때, 코펜하겐 학파가 발전시킨 안보부문, 안보의 준거대상, 사회안보 등의 개념이 한국에서 채택한 포괄적 안보개념을 이론화하는데 결정적인 돌파구 역할을 하였다. 또한 사회안보 이론을 활용하면서 국가안보이론 자체가 크게 발전하였다. 국가와 더불어 시민사회가 안보주체로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한 것이나 안보문제가 사전에 정해져있다기보다는 안보문제화 과정을 통해 안보문제로 등장한다는 안보문제의 상대화 등은 사회안보 이론을 활용하면서 획득한 이론적 성과이다. 그러나 유럽을 배경으로 개발된 코펜하겐 학파의 사회안보 이론 역시 몇 가지 결함을 갖고 있으며, 한국의 안보상황을 분석하는 데 적합한 도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에 사회안보 이론의 발전방안을 2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안보의 준거대상으로는 제시된 ‘집단 정체성’은 ‘사회응집력’으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 둘째, 코펜하겐 학파 이론에 내재된 ‘사회안보 딜레마’는 새로운 정체성에 기초한 ‘공동사회’를 창출함으로써 극복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nd explain how the societal security theory, which is developed in the European background, is introduced and adapted in the Korean security thinking after post-Cold War era. In the wave of collapsing Cold War system, some Korean scholars argued to adapt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facing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s. However they couldn``t create the rationale and logic of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enough to analyze the reality. At that time, the concepts such as security sector, referent objects and societal security developed by Copenhagen school offered a breakthrough to the Korean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societal security theory enabled some progress in Korean security theory. The perception that not only the state but also civil society are important agents in the national security affairs is firmly established. And the idea of securitization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relativity of security problem. That is, there isn``t a priori security problem, but only after the securitization process security problem emerges. Nevertheless, the societal security theory of Copenhagen school has some deficiencies and needs to be elaborated to be a relevant analytical tool of Korean security situations. I have suggested two points. First, as a referent objects of societal security, ``collective identity`` is to be replaced with ``social cohesion``. And second, to overcome societal security dilemma inherent in Copenhagen school theory, the ``common society`` concept have to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