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김민지,임영진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9 人間理解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self-efficacy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ublic speech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8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had higher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cores had higher public speech anxiety scores. Second, students who had higher social self-efficacy scores had lower public speech anxiety scores. Third,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ublic speech anxie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is low, public speech anxiety may be amplified i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s hig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스로에게 높은 기준을 부여하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타인으로부터 높은 기준을 부여받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적 상황 속에서 스스로 잘 할 수 있는 기대치를 의미하는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83명에게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발표불안,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은 정적 상관을 보고하였다. 둘째,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발표불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발표불안은 부적 상관을 보고하였다. 셋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가중시키는 조절변인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수준이 낮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 때 발표불안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조절변인으로서 기능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제 적용에서의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 신체비교, 신체불만족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혜원 ( Kim Hyeweon ),이지연 ( Lee Jeeyo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2

        본 연구는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 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여고생 33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사회비교경향성이 높게 나타났고, 신체비교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을수록 신체비교도 높게 나타났고, 신 체비교가 높을수록 신체불만족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신체불만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여고생의 신 체비교로 이어져, 신체비교가 높을수록 신체불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신체불만족의 관계를 사회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가 이중매개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를 통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그 자체가 신체불만족을 예측하는 단일 변인으로 유의하지 않고, 사회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가 연결통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body comparis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and body dis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higher scores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higher levels of body comparison were found. Study has shown that higher scores 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Moreover,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body dissatisfaction.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did not necessarily lead to higher scores on body dissatisfaction. Rat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led to female high school students’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which in turn predicted higher levels on body dissatisfaction. Thir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had an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body comparis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by itself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ody dissatisfaction, but tha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body comparison were linkage between them.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김진호,장성숙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8 人間理解 Vol.3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our typ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measured by 295 adult participant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both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compa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 and social anxiety, self-compassion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not only has an indirect impact on social anxiety through self-compassion, but also a direct impact on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인 295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 공포증 척도를 활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각각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유의미하게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기자비를 통해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임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초점적 주의와 반복적 부정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지연,강민철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자기초점적 주의와 반복적 부정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김 지 연**ㆍ강 민 철***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자기초점적 주의와 반복적 부정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국내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 남녀 43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특히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성인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반복적 부정적 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반복적 부정적 사고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성인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와 반복적 부정적 사고를 거쳐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사회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반복적 부정적 사고, 순차적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11월 30일, 수정일: 2022년 12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차의과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을 요약・보완한 것임. ** 주저자, 차의과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강사(First Author, Lecturer, Cha Univ., Email: psy_stellakim@naver.com)*** 교신저자,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a Univ., Email: kkmmcc1122@naver.com) The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focusedAttention and Repetitive Negative ThinkingJiyeon Kim & Minchul Kang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PP) on social anxiety (SA), and verifi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focused attention (SFA) and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 To that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39 men and women aged 20 to 65 living in Korea. In particula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SFA and RNT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SPP on SA. and SFA and RNT fully mediates the effect of SPP on SA.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its examination of the path through which SPP affects SA through the mediation of SFA and RNT. Key Word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Self-focused Attention,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Sequential Mediating Effect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침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탈중심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백은미(Eunmi Baek),홍혜영(Hye-Young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탈중심화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사회불안에 대한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대로 자기침묵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기침묵을 통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경로에서 탈중심화는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탈중심화가 높을수록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기침묵을 통해 사회불안을 야기하는 매개효과가 완화되어 사회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기침묵을 매개로 사회불안이 야기될 때, 탈중심화가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centering and self-silencing in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We predicted self-silencing would function as a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 and that decentering would moderate this mediation effect. To investigate this aim, three hundred seven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l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decente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Conversely,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decente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ilencing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ed social anxiety through self-silencing, and decentering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Implications and potential follow-up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적 체형불안의 관계에서 강점인식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애리,심혜원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ngths knowledge and self-compassion on relations between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physique anxiety of male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physique anxiety. Second, strengths knowledg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physique anxiet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on path of strengths knowledge and self-compass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physique anxiety. In short, the stronger tendency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leads to higher social physique anxiety, but it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social physique anxiety via strengths knowledge and self-compass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made proposals for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적 체형불안의 관계에서 강점인식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4년제 남자대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적 체형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적 체형불안의 관계에서 강점인식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적 체형불안과의 관계를 강점인식이 자기자비를 통해 이중으로 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을 돕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 검증

        송영주,손재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areer goal-discrepancy, and career di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goal discrep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distress. A total 329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self-report measures of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career goal discrepancy scale, and career distress scal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istres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distress was partially mediated by career goal discrepanc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goal discrepancy in career distres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진로목표불일치, 진로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진로목표불일치, 진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진로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에 있어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및 진로목표불일치를 확인하고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미경,양난미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5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완벽주의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경험회피 척도,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를 포함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대학생 291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을 설정하였고 두 모형 중 더 잘 설명하는 모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개별변수의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검증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직접경로가 제외된 연구모형이 대안모형보다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자기불일치와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전영아 ( Jeon Young A ),조성자 ( Cho Sung Ja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3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성인초기 남녀 총 535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자기불일치, 소극적 대처방식은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적극적 대처방식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적극적 대처방식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소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coping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early adulthood.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535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living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8.0 and AMOS 26.0,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self-discrepancies, and passive coping sty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active coping sty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self-discrepancy and active coping styl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ssive coping styl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완벽주의와 학습지연전략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 자아핸디캡전략을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as a academic procrastination by examining the role of self-efficac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280 students in high schools. For the analyses of the mediating effects, we used Baron and Kenny steps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rocrastinated more than oth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ub-dimensions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efficacy fully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self-oriented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완벽주의 성향의 고등학생이 채택할 수 있는 자아핸디캡전략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자아효능감에 주목하여,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자기지향적, 타인지향적, 사회부과적)와 학습지연전략으로서의 자아핸디캡전략간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고등학생 280명(남:166명, 여:11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분석, 다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만 자아핸디캡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집단 간 차이검증 결과, 자기지향완벽주의는 자기조절효능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아효능감과 자아핸디캡전략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타인지향적 완벽주의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아핸디캡전략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자아효능감(자신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직접효과는 사라지고 매개변인인 자신감의 직접효과가 증대됨으로써 자신감은 자아핸디캡전략에 대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자아효능감(자기조절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였을 때 자아효능감을 매개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직접효과가 감소함으로써 자기조절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학업수행지연을 완화하기 위하여 자아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