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무요원의 우울감과 정신건강상담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박현숙,김은아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1 No.1

        본 연구는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감 수준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상담 이용의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Andersen과 Newman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사회복무요원 823명이다. 그 결과,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수준은 평균 13.42(SD 10.12)점이었으며 경증 우울 절단점인 21점 이상의 우울감을 보이는 대상이 21.5%, 중증 우울절단점인 41점 이상의 우울감을 보이는 대상도 1.3%로 나타나 전체 대상자의 22.8%가 우울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상담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능성 요인 중 근무기관, 복무만족도, 욕구요인 중 우울감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회복무요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 확대와 사회복무요원에 맞는 정신건강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사회복무요원의 정신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상시 관리체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pression level and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 for the social service personnel’s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Andersen and Newman model is applied to analysis about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preference among 823 social service personnel’s. As a result, social service personnel’s level of depression’s mean is 13.42(SD 10.12), it is so higher than other study. And level of moderate and severe depression identified 22.8%. We found that the preference for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ncy, type of agency, satisfaction with working, depression. We suggested attention for mental health and need for multiple studies. And manage system need to keep mental health of social service personnel.

      • KCI등재

        사회복무요원의 우울이 복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아(Kim, Eun-ah),박현숙(Park, Hyun-sook) 한국사례관리학회 2021 사례관리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사회복무요원 1,421명을 대상으로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이 사회복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무요원들의 복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보다는 개별적 복무상황과 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무요원들의 개별적 특성에 적합한 복무기관 연계와 정신건강문제의 선별을 위한 충분한 사전 과정의 확보,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신건강개입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사회복무요원 1,421명을 대상으로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이 사회복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무요원들의 복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보다는 개별적 복무상황과 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무요원들의 개별적 특성에 적합한 복무기관 연계와 정신건강문제의 선별을 위한 충분한 사전 과정의 확보, 사회복무요원들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신건강개입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우선순위 분석

        유진선,손영은,주연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교육 체계의 발전과 고도화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에서 복무하는 사회복무요원 378명과 사회복무요원이 배치되어 있는 근무기관 담당자 1,86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이 인식하는 교육요구도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역량별 요구 수준과 현재 수준 불일치 정도를 확인하는 갭 분석과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교육요구도 종합 결과를 통해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기관 담당자와 사회복무요원 조사에서 제시된 대부분의 역량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의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응답자 집단별로 요구 수준과 불일치 정도가 모두 평균 이상인 역량을 교육요구도가 높은 역량으로 도출한 후, 공통적으로 제시된 역량을 중심으로 결과를 종합하였다. 교육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으로 ‘이용자지향’, ‘대상자이해’, 관계형성’, ‘커뮤니케이션’, ‘민원응대’ 역량이 선정되었으며, 차순위 역량으로 ‘인권존중’, 이용자욕구파악’, ‘공감’, ‘케어기술(돌봄)’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복무요원과 근무기관 담당자 양측의 교육요구와 인식을 함께 조사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회복무요원 교육과정을 역량 기반으로 설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sential educational priorities for enhancing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us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and refin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Data were collected from 378 social service agents and 1,861 persons in charg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those social service agents were deployed. Gap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analysis were employed to compare perceived levels of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were derived from the combin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desired and current levels of mos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survey of representatives from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service agents. For each respondent group, competencies with above-average levels of both need and discrepancies were identified as high educational needs. The results were then integrated based on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competencies. The job competencies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ere ‘client orientation’, ‘understanding of the client’, ‘client engagement’, ‘communication’, and ‘complaint response’. Secondary job competencies included ‘respect for human rights’, ‘identification of client needs’, ‘empathy’, and ‘care skil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both social service agents and persons in charg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identifying educational priorities to enhance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designing a competency-based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사회복무요원의 그릿이 취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교일(Lee Kyo Il),김선재(Kim Sun Jae)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무요원을 대상으로 그릿과 취업선호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사회복무요원이 취업선호도를 갖기 위한 실천적ㆍ정책적 개입 방안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구ㆍ경북, 부산ㆍ경남ㆍ울산 지역에서 사회복무하는 사회복무요원 3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무요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취업선호도, 그릿,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사회복무요원의 그릿과 취업선호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사회복무요원이 취업선호도를 갖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사회복무요원의 내적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프로그램 운영,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 전 진로교육과정의 개발,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하기 위한 실천적ㆍ제도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that can be utilized for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for public service workers to be able to have job preferenc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grit and job prefer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358 public service workers working in Daegu/Gyeongbuk, Busan/Gyeongnam/Ulsan as research subjects. As a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preference,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public service workers’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it turned out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workers’ grit and job preference.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as measures for the public service workers to be able to have job preference. This study proposed the operation of a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service workers’ internal competence, the development of a career education curriculum prior to discharge, and practical, institutional measures for the formation of a social support system.

      • KCI등재

        사회복무요원의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재,김태완,이교일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군사회복지학 Vol.8 No.2

        본 연구는 사회복무요원의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며, 이들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ㆍ경기도ㆍ강원도ㆍ대구ㆍ경북 지역에서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 248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첫째, 종교 유무, 1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사회복무요원의 차별 경험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수준, 1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사회복무요원의 스마트폰 중독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무요원의 차별 경험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사회복무요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방안으로 사회복무에 대한 국민의 인식 개선을 위한 제도적 접근 필요성, 스마트폰 활용 및 자부심을 가지는 제도를 제안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사회복무요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ervice personnel's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also,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these variables. By targeting social service personnel who worked at Seoul, Gyeonggi, Gangwon-do Daegu and Gyeongbuk region, the study execute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ligious affiliation and average of daily smartphone use social service personnel's discrimination experience showed the difference. Also,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and average of smartphone using hour per day social service personnel's smartphone addiction showed the difference. Second, smartphone addiction showed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relationship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his research report, we suggested the policy which is about the need for institutional approach, using the smart phone and having the pride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for the social service worker. For further study, this study will offer the basic data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personnel.

      •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과 불안증 완화 및 회복탄력성(KRQ-53) 향상에 미치는 영향:병무청 사회복무요원 중심으로

        목진세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정신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회복무요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depression과 불안증Anxiety 완화 및 회복탄력성(KRQ-53)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집단미술치료 대상은 병무청이 지원하는 000시 소속으로 시청과 구청에서 행정업무지원 사회복무요원들로 이들 중 적응능력이 부족하여 복무에 불편감을 호소하거나 정신질환, 우울증, 불안증이 있는 대상자로 12명을 선정하였다. 미술치료사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사회복무요원들에게는 심리적 부담감을 줄여주기 위해 초기단계에서 라포rapport 형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과 불안증 완화 및 회복탄력성(KRQ-53)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사회복무요원들 중 사전검사에서 우울과 불안이 보이던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방어적 태도에서 점차 자기를 개방하고, 억압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출하는 효과성이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KRQ-53)검사는 한국인 성인기준 평균점수 195점을 넘는 경우가 2사례로 나타났으며, 사전 사후 평균점을 동일하게 넘은 대상자는 1사례(천OO)로 나타났다. 여기서 회복탄력성은 시련과 역경을 성숙한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마음의 근력으로 자기조절능력(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과 대인관계능력(소통능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 긍정성(자아낙관성, 생활 만족도, 감사하기)의 하위체계를 구성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회복무요원들은 한국인 성인기준 평균(195점)점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아 비현실적인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제에 대한 회피, 억압보다 문제를 직면하고 자각하는 통합적 심리치료가 요구된다. 특히 복무 부적응 요원들은 전문 심리상담을 통해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 시군구의 전문기관과 협력한 전문적 심리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A Study on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Improvement of Depression, Anxiety Relaxation and Resilience (KRQ-53) improvement. The group art therapy target is belonging to 000 city supported by the MMA(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City Hall and Ward Office, It is an administrative service support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Lack of adaptive capacity I feel uncomfortable with my service Mental illness, depression, anxiety It is 12 people. The art therapist formed Rapport Formation at the early stage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on the people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xiety Relief and Resilience(KRQ-53) The evaluation is as follows. First, among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most of the subjects who showed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pre - test showed improvement. In defensive attitude, it gradually became open to the self, and the suppressed emotions were expressed naturally. Second, the Resilience (KRQ-53) test was two cases in which the average score of Korean adults was above 195. Resilience is the strength of mind that makes trials and adversity a mature leap Self-regulation ability, Interpersonal skill, Positive Cas,Construct a sub-system. The Public Interest Service Personnel is Korean Below the adult standard average (195 points), Anxiety about the future, Problem avoidance, oppression Facing the problem, Aware Integrated psychotherapy is required.

      • KCI등재

        사회복무제도의 시대적 변천사와 사회복지시설 사회복무요원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신영일 ( Shin Young Il ),최종진 ( Choi Jong Jin ),정의식 ( Jong Ui Sik ) 한국행정사학회 2020 韓國行政史學誌 Vol.49 No.-

        2008년 도입된 사회복무제도는 방위병제도, 공익근무요원제도에 이어 시행되는 병역제도의 일환이다. 그러므로 사회복무와 관련된 병역제도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 현행 병역제도 하에서 사회복무요원의 사회서비스 제공 역량 제고를 위하여 도입된 직무교육이 사회복지시설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제도의 변천과정을 법령과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고, 직무교육을 이수한 사회복무요원의 교육만족도, 조직유효성, 직무역량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조직유효성에 대한 개입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강원도의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 25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교육만족도, 직무역량, 조직유효성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직무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는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만족도와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직무역량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직무교육에 대한 교육만족도 활용방안을 제안하였고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을 통한 조직유효성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ocial service system, introduced in 2008, is a part of the military service system that follows the defense military system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military service system related to social service,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training introduced in order to enhance the capacity of social service personnel to provide social services under the current military service system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system through a review of laws and documents, and to examine the intervening plans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personnel who completed job training. To this end, 256 social service personnel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Gangwon-do were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job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mpetency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duca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mpetency was confirmed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plan to utilize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job training was proposed, and a plan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personnel was suggested.

      • KCI등재

        사회복무요원의 사회서비스 지원 경험 연구

        김수정 ( Kim Soo Jung ),이전 ( Lee Jou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사회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사회복무요원들의 경험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사회서비스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복무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에서 1년 이상 복무하고 있는 사회복무요원 21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고 그들의 경험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대분류, 8개의 상위주제와 이에 따른 2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사회복무요원의 지위와 업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규정해주어야 하고, 사회복무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감독이 필요하며, 사회복무요원의 고충을 처리하고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과 생활인으로 사회복무요원의 입장을 반영한 복무규정의 수정이 요구되며, 사회복무제도에 대한 사회적 이해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searching for development measures so that social service system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social service. For this, FGI is conducted to twenty one social service personnel who have been working with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more than one year,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and present improvement plans. As a result, this study deducted three high-level classifications, eight upper subjects and their twenty seven sub-class subjects, and based on such results, presented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present and regulate social service personnel`s position and duties, to continuously direct and supervise social service system,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o that social service personnel can act safely, to make a policy switch reflecting social service personnel`s circumstances as a person who works for a living, and to show social understanding for social service system.

      • KCI등재

        MZ세대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과 긍정심리자본이 감성자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교일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6 No.2

        이 연구는 교육과정에 따라 MZ세대 사회복무요원의 감성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능력과 긍정심리자본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상권 지역에서 복무 중인 사회복무요원을 대상으로 2022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3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78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방정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은 감성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긍정심리자본 요인이 투입하였을 때는 의사소통능력의 유의한 영향력은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무요원의 기본직무교육 집단과 심화직무교육 집단에 긍정심리자본 요인이 투입하였을 때 의사소통능력은 유의한 영향력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직무교육 집단에서는 긍정심리자본 요인 중 희망이 감성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심화직무교육 집단에서는 희망과 회복탄력이 감성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에 따라 MZ세대 사회복무요원의 의사소통능력과 긍정심리자본 요인이 감성자본에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과 사회복지조직의 개선방안에 대한 제안 및 함의점, 후속 연구에서의 방향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that affect the emotional capital of MZ generation social service personnel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service personnel serving in the Gyeongsang region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il to June 2022,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equations using data from 578 people.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social service personn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capital, but wh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were introduc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lost. Second, wh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were introduced in both the basic job education group and the in-depth job education group of social service personnel,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lost. On the other hand, in basic job education, hope among the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capital, but in in in-depth job education, hope and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capital.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was a study that specifically confirmed the relativ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on the emotional capital of social service personnel according to the curriculum. Finally, the contents of job training for social service personne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directions in subsequent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사회복무요원의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이 복무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경희(Kyung-hee Lee),박정윤(Jung-yoon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자료 수집은 서울지역 소재지 복무기관에서 복무 중인 사회복무요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총 470부를 배부하여 427부를 통계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자아분화수준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복무 부적응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는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무요원의 관련변인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은 중간점수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복무부적응행동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사회복무요원들이 대체로 복무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쨰, 사회복무요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이 복무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복무 부적응행동의 모든 하위변인에 인구사회학적 특징,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사회적 위축에는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가족퇴행 분화수준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서적 단절, 학력, 복무기간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행동에는 가족퇴행 분화수준, 분노조절, 인지 대 정서가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아통합은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공격성에는 가족퇴행과 인지 대 정서의 분화수준, 분노조절,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강박성에는 가족퇴행, 낙관적 태도, 인지 대 정서, 가정의 경제적 수준, 복무기간이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ego-resilience on service maladjustment behaviors of Social Service Agent. To achieve this, we chose these research questions.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470 questionnaires to Social Service Agent serving in service organizations located in Seoul. Four hundred twenty-seven survey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ervice Agents were shown to generally adjust well to service, as self-differentiation and ego-resilienc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while service maladjustment behavior was slightly lower than the median. Second, when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differentiation and ego-resilience on service maladjustment behavior were studied, all value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differentiation and ego-resilience affected all lower factors of service maladjustment behavior with significance. For social withdrawal, the effectiven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 optimistic attitude, and the degree of family regress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emotional divorce, education level, and term of servi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 degree of family regression, anger management, and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yperactivity while self unity had a positive one. Family regression,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anger management, and family’s economic level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on. Family regression, optimistic attitude,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family’s economic level and term of servic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bsession and compul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