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변천사 연구

        송하인,김준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초창기 사회과 교육연구사의 대부분은 수도권 중심의 내용 서술에 의해 자칫 지방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교사들의 실천기록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창기 지방 사회과교사들의 신교육에 대한 열망, 사회과교육의 실천에 대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회과교육사를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의 창립에 큰 도움을 준 단체이고 초창기 전남교원들의 사회과 열망이 타 지방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초창기 전남사회과연구학회의 연구회지, 연구보고서를 문헌탐구 하였고 생존해 있는 초창기 전남 사회과 전문가들과 시대별 주요 활동가들을 면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정기간 초창기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성립과 변천에서 미국 교육사절단의 영향이 컸다는 것과 전남 지역의 사회과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가 지금까지 한국사회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Most education history in early stage social affairs division has a risk to lose the practice records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which are executed in local regions by the contents description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to study the history of social affairs divisio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enthusiasm about new education of the early stage local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and their records about the fulfillment of theeducation in social affairs division. Reason why Chonnam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was selected as a researchsubject was that it is anassociation which gave big assistance in establishing Korea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and also that the enthusiasm of early stageChonnam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other region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examination of research papers and reports in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an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surviving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and major activists of the era. This study shows that the influences of the U.S. delegation were big in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procedures of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at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in Chonnam regions gave substantial influences to Korean social affairs division until now.

      • KCI등재

        한국 사회과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 분석

        강운선(Kang, Woons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과다문화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는데 주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여 년 동안 축적되어 온 사회과다문화교육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의 영역(주제), 대상, 강조하는 목표나 관점 등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학술지를 제공하는 RISS, KISS, DBpia 등의 사이트를 통해 사회과다문화교육 관련 학술지를 수집하고, 영역(주제), 대상, 목표와 관점 등의 내용을 Ucinet과 Netdraw 등의 프로그램으로 사회 연결망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물에서 교육과정(47%)과 교육방법(16%)이 차지하는 비중이 60%이상을 차지하며, 목표(13.6%)와 성격(5.7%)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미만에 이르렀다. 둘째, 사회과다문화교육의 대상은 다문화 가정을 포함하여 인종?민족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가 15%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종교,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사회과다문화교육자들은 다양성 존중, 다른 문화의 이해, 반 편견, 차별 폐지 등의 목표를 강조하는 경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정의, 비판적 의식, 사회재건 등을 강조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y is very short. Korean people have considered Korea to be a homogeneous country for a long time. This fixed idea is changing by marriage immigration rapidly increased since 2000. As a resul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shor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ncluding Japan, Australia, USA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 some directions. I reviewed 76 articles related to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ere published until October 22. 2011 in Korea. For analysis, I use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curriculum h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as second percenta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domain. Second, most of research subject are race/ethnic. Third, social studied researchers took perspective based on cultural pluralism empasing on diversity and anti-bias. Based on researh result, I recommend that research subject need to be enlarge the area including sex, class, disability, religion, and the marginalized in future. Also I propose that social studies researchers try to take an perspective based social reconstructionist later.

      • KCI등재

        지구화 연구(Global Studies)와 사회과교육의 과제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4

        한국의 사회과교육은 사회 · 문화의 시공간적 변화에 뿐 만 아니라 역사적 변화(historical change)에도 민감해야 한다. 왜냐하면 21세기의 지구화(globalization)는 지구화의 역사화(historicization)로 수렴되며, 역사들(histories) 또한 지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지향점은 하나의 지구, 하나의 세계와 하나의 인류이다. 따라서 사회과 학습자가 인간주의적 사고를 재인식하고, 세계의 인류가 하나가 되어야함을 체득하며, 인간이 자연환경과 함께 질서와 생명을 존중하려는 이상을 사회과교육의 현실로 구현해야 할 것이다. 그 선험적 사례 중에 하나인 하나의 지구, 하나의 세계와 하나의 인류를 위한 글로벌 히스토리 구상은 글로벌시민교육을 지향하는 사회과교육에도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본고는 지구화 연구를 지구화의 역사화와 역사들의 지구화 연구로 개념화하고, 지금까지 국제관계사와 글로벌히스토리 연구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사회과교육학과 역사학에 대한 문제의식을 단초로 하여 그 과제와 방법을 논해 본 것이다. 그 첫 번째 과제는 재개념화(Reconceptualization) 작업이고. 두번째는 역사화와 역사적 맥락화(Historical Contextualization)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학제적인 통합을 모색하는 사회과교육의 학문 간의 경계를 넘어 하나의 융합을 모색하는 사례가 될 것이며 오늘날 학교교육의 목표인 지구시민교육에 일조할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구화와 국제관계 및 글로벌 히스토리의 역사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과교육과의 접속에 국한될 뿐이다. In this paper, I’ll try to discuss the usefulness of the global studies and its access to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Global Age. The premise is that global history can be a ueful tool. To this end, I first raised the need for global research by taking examples of historical research on the Russo-Japanese War and Global History. Next, I focused on the relevance of global citizenship and described the trends in global studies and global history for global citizen. Based on the above arguments, two tasks of global studies were to be raised. The first task of global studies as an integration of academic fields is re-conceptualization. The second task is historicization and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Its ultimate goal is to become a cornerstone of the search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eyond the boundaries of social studies, and it helps cultivate global citizen education, which is the goal of today"s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사회과 텍스트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성취수준 작성 및 수업계획의 방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뉴 리터러시 연구(New Literacy Studies) 관점에 기초하여

        이승연,최정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that will help social studies teachers develop teachings for improving students' reading to understand social studies text. Becaus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topic, this study develops the guide by analyzing the connections between reading and social studies as they appear in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the National Council of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and an associated NCSS guide for teaching reading in social studies classes. In addition, the directions include perspectives from New Literacy Studies, in which literacy is defined as a construct through which to understand texts from operational, cultural, and critical dimensions. Based on these ideas at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room teaching level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regarding the curriculum standards of readings in social studies and offers a brief lesson pla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uggestions and offers that this study make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hat focus on reading, which is a new domain of South Korean social studies scholarship. 본 연구는 사회과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수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현 시점에서 읽기 교육과 사회과 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그다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교육과정인 공통핵심교육과정(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및 전미사회과교육학회(National Council of Social Studies, 이하 NCSS)의 교육과정과 NCSS가 출판한 사회과 읽기 수업 안내서를 참고하여 사회과 텍스트 읽기 능력 증진을 위한 수업 설계를 위한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과정 안을 제안한다. 이론적 관점으로서 뉴 리터러시 연구(New Literacy Studies, NLS) 관점을 채택하여 문해력의 비판적 차원에 대한 고려와 다양한 매체 활용을 위한 고려가 사회과 읽기 능력 수업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을 도출한다. 이 원칙은 사회과 읽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홍미화,곽혜송,정태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literatur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this study: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extbooks, composition system of textbooks,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and development and writing of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deals with students’ understanding and textbook writers’ recognition of textbooks. Second, there are no follow-up studies that reflect and evaluate the findings in textbook research. Thir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other textbooks such as the atlas and local textbook.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extbooks by various subjects related to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retrospective research which evaluates whether tasks proposed in each study are really reflected in improving social studies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연구물을 첫째, 교과서 인식 및 활용 연구, 둘째, 교과서 구성 체제 연구, 셋째,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넷째, 교과서 개발 및 집필 연구 등 네 가지로 범주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에 비해 학생들의 교과서 인식이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 등을 다루는 연구는 부족하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다수임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를 교과서 개발과 연구에 반영하고 평가하는 후속 연구는 부재하다. 셋째, 사회과 수업에 활용되는 교과용 도서 중에서 사회 교과서에 관한 연구 비중은 매우 높은 반면, 이를 지원하는 사회과 부도나 지역화 교과서 등에 대한 연구의 비중은 낮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 주체의 교과서 인식과 활용 관련 연구, 각 연구에서 제안한 과제가 사회과 교과서 개선에 실제로 반영되었는가를 평가하는 후향적 방식의 교과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허수미,김세현,최율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0 사회과교육연구 Vol.27 No.2

        This Meta-analysis examined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In analyzing every article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2003 to 2019,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and network relations among major research topics. Based on these results, we also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quantitative imbalance among the seven major research topics. While the imbalance has been reduced in recent years, the topics considered to be the basi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such as citizenship and democracy have critically decreased. Second, research on curriculum, textbook, and lesson study is overly isolate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balance between in-depth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by expanding the integrated research strategy for those isolated research topic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Meta-analysis for research on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new methodological approaches such as big data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분석 그리고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회과교육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발행된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특성과 주제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고 보완이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과교육연구는 연구주제 간 편차가 존재했고 점차 연구다양성과 영역 간 균형성이 개선되고 있으나 사회과 본질과 관련된 기초연구주제의 약화는 보완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연구 영역이 지나치게 독자적인 영역으로 연구되는 경향이 보이며, 이러한 영역에서 연계성을 가진 통합형 연구의 확대 및 질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영역별 심층 연구와 연계성이 강화된 통합형 연구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과교육 연구 분야에 대한 빅데이터분석 등 새로운 연구기법을 활용한 메타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박윤정,강은영,박남수 한국특수교육학회 2012 특수교육학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사회과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사회과교육 연구의 현주소 및 양상을 파악하고, 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사회과교육의 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12월까지 국내 특수 및 일반 교육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 장애학생을 위한 사회과교육 관련 연구 33편을 최종 선정하여, 우선적으로 연구의 일반적인 경향을 분석한 다음, 연구방법과 연구주제를 고려한 (1) 이론적 기반 연구, (2) 인식 및 실태 조사연구, (3) 중재연구, (4) 프로그램 개발 연구, (5) 기타 연구의 범주별 분석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결과와 함께 다양한 장애영역에서의 활발한 연구의 필요, 사회과의 성격 및 목표 이해, 일반 및 기본 교육과정 고찰과 재구성, 교과 내용 관련 교사교육 및 교사 간 협력, 효과적인 사회과 근거기반교수 구축, 사회과 평가 방법 모색, 다양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등의 주요 쟁점사항을 논의하였다. Due to the increased invol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 are incredibly interested in content-area learning for them given the documented problems they have in social studies and science classes. For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cial studies content-area learning has long-term implications for preparing them to fulfill critical roles in school and everyday life as well as contributes to society as more productive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amine the published research of social studies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 current research trend for improving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particularly for social studies content-area learning. Based on the criteria for this review, a total of 33 studi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by overall characteristics and topic categories of the literatur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 the following issues with regard to social studies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lear goals and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learning, in-depth understanding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for social studies content knowledge,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their students in social studies classes, development of a variety of social studies learning materials, and establishment of evidence-based instructions with appropriate assessment procedures. Implications and areas in need of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primary findings.

      • KCI등재

        한국 사회과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 관련 경험적 연구 분석 : 1993-2015

        윤노아(Yoon, NoAh),최윤정(Yoonjung Choi)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4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 사회과교육에서 이루어진 세계시민교육 관련 경험적 연구(empirical studies)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역사·지리·사회교육을 포함한 사회과교육 9개 등재지에 발표된 논문 중 ‘세계 시민교육’을 핵심 주제로 다룬 선행 연구를 검색하고, 사회교육을 포함한 양적·질적·혼합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경험적 연구 25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 (1) 시기별, (2) 연구 방법별, (3) 대상별, (4) 주제별로 내용을 분석하고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학술적 노력에 대한 제언과 실천적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in social studies published in KCI (Korea Citation Index) journals for the past two decades. Under the umbrella them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uthors searched for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9 KCI journals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cluding history, geography, and social science education, selected 25 empirical studies for the data of this research, and analyzed them based upon the four following criteria: (1) periods, (2) methods, (3) subjects, and (4) themes. Trac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mes found in the group of literature and investigating the trend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 within social studies, this research sought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global citizenship in the realities of school settings and move the field forward to the next moment.

      • KCI등재

        한국 사회과교육 70주년의 회고와 전망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한국의 사회과/사회교과(social studies)는 한국의 사회현상을 진단하고, 사회생활의 지혜를 함양하는 주축(主軸)교과로서 역사적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 같은 위치는 한국 사회과교육의 성립과 발전 뿐 만 아니라, 사회교과의 연구와 교육 전반에도 역동성을 부여해왔다. 특히 한국사회과교육의 태동에 있어서 연구학회의 역할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왜냐하면 연구학회가 지향한 바, 한국적인 사회과교육의 토착화를 위한 개척자적 정신, 학제적 융합을 위해 열어 놓은 개방적인 학문연구의 장, 그리고 한국사회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인 도전 정신은 한국사회과교육의 과거,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동력이 되리라 예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본 학회를 거쳐 간 수많은 전 현직 교육자와 연구자들의 면모를 둘러봐도 충분히 드러난다. 그들은 동시대와 함께하거나, 앞서 나아가 시대와 사회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교육의 장에 실천하려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가건설을 둘러싸고 전개된 식민주의, 근대화, 민족/국가주의와 탈식민주의의 중층구조에서 발전론적 또는 종속주의적 담론의 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근현대적 발전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평등화와 병행된 포스트모던과 글로벌리제이션의 역사적 전환을 겪으며 이데올로기적 해체의 탈냉전과 글로벌 사회의 지구시민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담론들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반영되었고, 총론중심적이며 영역간 분과적 통합교육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현장과의 괴리 뿐 만 아니라 학교급 및 대학 교원 양성 체제의 왜곡이 심화되었다. 게다가 민주화 이후에는 사회교과의 영역 간 갈등과 분쟁이 노골화되어 사회과교육은 혼란과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진단과 치유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주지하다시피 작금의 사회과는 어느 교과보다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시대적 변화 뿐 만 아니라 역사적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지난 세기말의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과 새로운 세기의 글로벌 전환(global turn)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우애에 기초한 인권의 존중,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지구 환경의 보존으로 수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을 적극 반영한 새로운 사회과의 역동성은 수렴과 확산이라 판단된다. 그 지향점은 하나된 지구와 하나된 사회와 하나된 인간이다. 사회과를 통해 학습자가 인간주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사회와 국가의 갈등과 대결보다는 조화와 정의와 평화를 이루어내고, 세계인류가 국적, 종교, 언어 피부색에 관계없이 하나가 되어야함을 체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한다는 오만함을 반성하고 새로이 자연환경의 질서와 생명을 존중할 수 있다는 이상이 사회과교육의 현실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전지구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사회과교육은 더 이상 분절적인 지식의 축적에 억매일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기 위해 글로벌한 사회와 교육을 지향하는 창조적이고도 미래에 지속가능한 능동적 학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것이 홍익인간과 지구시민의 길을 지향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a key not speech which hel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on August 20th, 2016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consists of three chapters. The 1st chapter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Social Studies &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The 2nd chapter is to the historical phase and task of Korean Social Studies related on the curriculum. The last is to be the use of global approach as a scholarly nexus in social studies. All of these are to make the national standard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global age. The aim is to become a human, one society & one Earth. I think it might have been oriented in the way of Hongikingan(홍익인간) and global citizen in the global age. Hongikingan (hanja: 弘益人間) is the unofficial national motto of South Korea. The phrase is English translated as “Benefit Broadly the Human World”.

      • KCI등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양슬기,한동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ext network analysis method to analyze trends of changes from the syllabus period to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objectively and empirically. For this purpose, first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alysis was prepar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change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addition, keyword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for each period of the curriculum.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keywords from the syllabus period to 2015 revised curriculum, we were able to derive key keywords such as 'area', 'country', 'development', 'district', 'culture', and 'region' for each curriculum. Second, centrality and network analyses allowed u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for each period. Third,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ext network, the timing of the curriculum could be divided into the syllabus period, the 1st and 2nd, the 3rd and 4th, the 5th and 6th, the 7th to 2015 revised curriculum.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t only confirmedgoals and core contents of the curriculum by analyzing contents of the curriculum. However,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obtain an objective and empirical interpretation in the history study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여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까지의 변화 동향을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각 시기별 교육과정의 키워드 분석과 중심성 및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각 교육과정별로‘지방’,‘국가’,‘발전’,‘고장’,‘문화’,‘지역’등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중심성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각 시기별로 교육과정의 특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셋째,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요목기, 1∼2차, 3∼4차, 5∼6차, 7차∼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시기를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해 해당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와 중점 내용을 확인하는 수준에 머무른 점이 한계이다. 하지만 본 연구가 한국 사회과 교육과 정의 역사 연구에 있어, 객관적이고 실증적 해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