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문화의 충돌과 윤리교육의 과제

        송선영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이번 연구의 주된 목적은 오늘날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들과 충돌들의 양상을 윤리문화 연구와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탐구하는데 있다. 대체로 다문화 사회는 세계화에 따른 노동력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거나 국가 형성의 초기부터 다인종으로 구성되면서 발생한다. 한국의 경우는 전자에 가깝다. 특히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한국의 다문화 사회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고, 이를 공공차원에서 보완하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번 연구는 다문화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어떤 삶의 유지할 것인지를 근본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윤리문화의 유형들과 관련해서 보면, 첫째, 시민사회윤리문화와 공동체윤리문화의 유형을 들 수 있다. 전자는 계약 및 공정성 등의 시민성에 기초한 시민사회적 삶을 의미하고, 후자는 정의적(affective) 덕성에 바탕을 둔 공동체적 삶을 강조한다. 둘째, 종교윤리문화의 유형으로서 여기에는 한국의 경우처럼, 불교, 기독교, 유교 등의 다원종교적 삶의 유형과 기독교 정신의 경우처럼, 단일종교의 삶의 유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형들에서 삶의 방향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다면, 윤리문화의 갈등과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윤리문화 충돌의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19세기 아놀드의 입장을 검토하기로 한다. 당시 자유주의적이고 물질적인 삶의 환경의 발달은 오히려 윤리적 삶의 성장을 방해하고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것은 영국의 윤리문화의 두 가지 원동력이었던 도덕적 행동의 힘과 지성의 힘이 조화롭게 전개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다. 이러한 부조화의 경험을 교훈으로 삼아, 오늘날 한국에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안산의 "국경없는 마을", 인천의 차이나타운 지역, 국제결혼 가정의 사례들을 검토한다. 국경없는 마을의 경우에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민사회윤리문화의 유형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들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윤리문화의 유형의 삶이 우리 모두에게 요구된다. 반면, 인천 차이나타운 지역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화교 및 지역민 모두 지역적 애착이 강한 공동체적 삶을 유지해 왔고, 그래서 이들 간의 충돌이 자주 발생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는 시민사회윤리문화의 유형의 삶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촌 지역 중심의 국제결혼 가정의 경우에는 한국 가족 구성원들의 공동체적 애착이 오히려 결혼 이주민 여성에게 부담 또는 내적 강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집단의 경우에는 한국 가족 구성원들의 배타적인 공동체적 삶을 개방적으로 전환시킬 것인가의 과제가 있다. 이와 같은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문화 충돌의 가능성의 양상을 예방 및 극복하기 위해 아놀드의 해결 방식을 도입해 본다. 그가 제시한 도덕성의 입장은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이었다. 즉, 인간이 사회를 구성해서 삶을 영위하는 장소에 상관없이, 그것을 이끌고자 하는 도덕적 기질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어떤 절대적인 가치를 우선 상정해서 그것을 적용하고자 하는 모습이 아니라, 사회 및 집단 속에서 윤리적 삶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모습 이 자체가 인간 삶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본다면, 윤리교육은 장기적으로 어떤 인간적인 아이들을 육성할 것인가의 과제가 가장 절실하다.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과 한국의 자녀들은 본격적으로 전개될 미래 한국의 다문화 사회의 윤리적 삶의 주체들이다. 이들에게는 어릴 때부터 단계 별로 인간적인 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현재에 다양한 윤리문화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그 충돌의 가능성은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방식에서 윤리교육을 통해 충분히 예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tudy of the possible aspects of clashes and conflicts of ethical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ies, in particular, in England of the 19th century by Matthew Arnold and in contemporary Korea. Concerning the types of ethical culture, firstly, there seems a ethical culture between community, based on the internalization of morality, and civil society from the faculty of moral judgment; secondly, a ethical culture of religion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In the experience of the clash of ethical culture of England, Arnold would propose the harmony in human lives between two forces of conduct and of intelligence. This is his conception of culture. In the case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here is increasing the immigration of foreign workers and of international marriages, we must consider their types of ethical lives. The type of ethical culture of community, for example, need to be applied to foreign workers who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contract or fairness. For the basic prevention of ethical culture from some conflicts in Korea, furthermore, the main goal of ethical education is on the conception of ``human children`` based on the ``likeness of moral fibre`` of Arnold. Its advantage to Korean society may enable children foreign as well as domestic, the subjects of future lives in Korea, to improve their own ethical growth without any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by race and group.

      • KCI등재

        구약의 사회적 약자와 법전의 사회윤리

        이사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The Old Testament seldom uses ethical terminologies like ethics, virtue, moral excellence, ideal, etc. But it definitely presents the way which Israelites justly had to walk as the people of God and the touchstone of good and evil. The ancient Israelite community had the laws and law codes which sustained their society and especially the Old Testament law codes are filled with social ethical thought which reflects the sitz im leben and the current sense of the times of ancient Israelites. The social ethics in the Old Testament law codes emphasizes the dignity of man and simultaneously requires Israelites to excute for and love the social weak as the people of God who loves and executes justice for them. So in the Old Testament, matters of social ethics become theological issues. Furthermore, the Old testament social ethics which have been developed as the shape of law codes in the light of politics, society, liturgy and economics of the peculiar ancient Israelite community is more concerned about the social weak namely sojourners, widows, orphans and Levites than any other ancient Near East law codes. In this paper, I’m going to investigate the personal and communal social ethics in the Old Testament law codes such as Covenant Code, Holiness Code, Deuteronomic Code and find the differences with other Near East codes and then ascertain historical and theological meaning of social ethics which uniquely the Old Testament law codes preserve. 구약성서는 윤리, 덕, 이상 등과 같은 철학적 윤리용어들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구약성서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이 마땅히 걸어가야 할 길과 선악의 기준을 분명히 제시하고 있다. 고대 이스라엘 공동체는 그 사회를 지탱하는 법과 법전을 지녔고, 특히 구약의 법전은 가나안 땅에 정착한 출애굽 공동체의 삶의 자리와 시대적 요청이 반영된 사회윤리를 담고 있다. 구약 법전의 사회윤리는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의 존엄을 강조하고 동시에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 공동체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정의를 베푸시고 사랑하시는 대상인 사회적 약자들에게 정의를 베풀고 사랑해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구약에서 사회 윤리적 문제는 곧 신학적인 문제가 된다. 더 나아가 고대 이스라엘 공동체 특유의 정치, 사회, 제의, 경제적 측면에서 법의 형태로 발전해온 사회윤리사상은 고대근동의 다른 법전들 보다 사회적 약자들, 즉 객과 과부, 고아 그리고 레위인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배려를 담고 있다. 본 논문은 구약성서의 계약법전, 성결법전, 신명기법전에서 주로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규정에 나타나는 고대 이스라엘 공동체의 개별적, 공동체적 사회윤리를 고찰하면서, 고대 근동지역의 다른 법전들과의 차이점을 밝히고, 구약성서만이 지니고 있는 사회윤리 사상의 역사적, 신학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 KCI등재

        사회윤리적 관점에서 본 지역교회의 마을공동체운동

        조용훈(Yong Hun J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4 No.-

        오늘날 마을공동체운동에 대한 논의가 사회적으로만 아니라 교회적으로도 매우 뜨겁다.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교회가 참여하는 마을공동체운동을 신학적 관점이 아니라 사회윤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은 마을공동체운동의 실제적 운영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것 뿐 아니라 마을공동체운동의 사회적 의미와 윤리적 가치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대안적 사회운동으로써 마을공동체운동은 사회적 자본의 요소 가운데 하나로써 공동체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경쟁력을 높여 준다. 마을공동체운동은 제도적 민주주의나 권력쟁취의 목적을 가진 정치대신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와 생활정치를 가능하게 만드는 대안적 정치활동이다. 마을공동체운동은 자본주의의 폐해인 공동체 붕괴나 환경파괴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사회적 경제활동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마을공동체운동이 지닌 윤리적 가치들은 기독교 신앙과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 첫째, 공동체성은 구성원의 소속감과 친밀감을 높이고 공동의 목표 달성을 가능하게 만든다. 교회의 공동체성은 교인 사이를 넘어 마을공동체를 지향한다. 둘째, 지역성이란 지역에서 문제와 답을 찾는 현장에 대한 관심이다. 지역교회 역시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 현안에 관심을 가지고, 교회가 지닌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해서 지역사회를 섬겨야 한다. 셋째, 지속가능성이란 경제적으로 높은 생활수준을 넘어서 생태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영적으로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한다. The local community movement of churches has become the hottest issue today.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the local community movement and to find the social meaning and ethical values of the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social ethics. The local community movement as one of the elements of social capital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community which the government and market can’t guarantee. It is an alternative political activity to democracy as an institution and system, and to politics as a power struggle. It invigorates the social economy, which helps local communitie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new liberal market system such as the collapse of a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There are some common points between the local community movement and the Christian faith regarding the ethical values. Firstly, the communality makes easy to realize the communal goal through a sense of belonging and intimacy among community members. Secondly, the locality in the movement means an interest in the current issue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o seek the solution in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church, as part of a local community, has to try to solve the problems and serve the local community with it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Lastly, the sustainability seeks not only the higher material standard of living but the quality of life that is the ‘abundant life’ which fulfills the socio-cultural, ecological and spiritual needs.

      • KCI등재

        바울의 제자도에 나타난 사회적 영성-덕 윤리적 접근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이 글은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모색하기 위하여 바울의 제자도에 주목한다. 공감과 환대를 포괄하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맥락에서, 이 글은 사회적 영성에 관한 산발적 논의들을 기독교윤리학에 통합하여 시민사회에서의 제자됨의 윤리를 추구한다. 특별히, 이 글은 한국기독교를 주도해온 ‘번영의 복음’과 ‘잘되는 영성’에 나타난 신앙의 사사화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적 영성을 사사화된 영성의 대안으로, 그리고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로 읽어낸다.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은 시민사회에서 제자공동체로서의 교회가 함양하고 구현해야 할 제자윤리이다. 바울이 제자도의 지평을 공동체적 맥락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시민사회의 제자윤리에 대한 교회적 관심을 촉구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한국기독교는 바울의 공동체적 제자도에 나타난 사회적 영성에 관심함으로써 신앙의 사사화를 극복하고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해야 한다. In the context of growing interest in social spirituality, such as concern on empathy and hospitality, this article pursues the ethics of disciple in civil society by focusing on Paul’s Christian ethics. This article reinterprets Pauline discipleship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while riding on the ‘Paul Renaissance’, which is actively developing centering on the humanities and the New Testament studies. For Paul, discipleship is a community-based ethics which involves the social spirituality of public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empathy, and hospitality. Korean Christianity should overcome the privatization of faith and realize the discipleship of civil socie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spirituality shown in Paul.

      • KCI등재후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만남: 한국사회와 기독교

        이경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3 기독교사회윤리 Vol.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meaning of communitarianism in Korean context in relation to Confucianism. For this purpose, liberal-communitairan debate was explained in the context of Korean Confucianism. And the idea of Christian community was compared with Korean concept of community spirit. The Christian community opens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ty in which equality and justice are respected. In this meaning, neo-liberalism in Korea must be under criticism. Meanwhile, Korean collective egoism must be overcome. The meaning and idea of sound community is derived from biblical community. 이 글은 현대윤리학의 주요 논제 가운데 하나인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에 비추어 한국사회의 윤리적 정황을 분석하고 유교윤리와의 연관성을 검토하는 것을 주제로 삼았다. 특히 신자유주의와 관련된 한국사회내의 쟁점들을 분석하고 기독교사회윤리학적 방향제시에 그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신자유주의의 모태인 자유주의의 기본전제들을 비판하는 동시에 공동체주의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논의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각각의 반론들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한국사회에서 유교윤리와 어떤 연관을 지니고 있는지의 문제를 특히 공동체주의와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가족이기주의나 집단이기주의를 넘어서는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정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근대전환기 윤치호의 기독교 사회윤리사상

        김권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1 기독교사회윤리 Vol.22 No.-

        19세기말 근대전환기에 태어난 윤치호는 전통적 유학교육을 통해 유교적 지식인으로 성장하였다. 근대화의 사회적 흐름 속에서 그는 일본 유학을 통해 근대문명을 체험하였다. 갑신정변의 좌절과 함께 그는 중국 상해로 망명을 떠나야 했다. 그 곳에서 그는 개인윤리 차원에서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이후 미국유학을 통해 그는 기독교 사회윤리를 수용하게 되었다. 그는 개혁운동의 방략을 기독교 사회윤리 차원에서 정립하였다. 이후 그는 제도개혁과 독립협회운동을 통해 사회적 실천을 전개하였다. 일제의 침략에 맞서 한국인의 각성과 민족공동체의 실력양성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일제 강점기 아래 국내에서 그는 기독교 사회윤리 차원에서 기독교청년운동, 여성운동, 언론운동, 교육운동 등을 통해 무너진 민족공동체를 다시 재건하고자 하였다. 윤치호는 근대전환기 유교적 세계관의 ‘단절’을 시도하였고, 새로운 대체자로 기독교 신앙을 주장하였다. 그는 삶의 인식틀 차원에서 윤리적 심각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윤리 패러다임을 체계화시켰다. 또 그의 사회윤리관은 기독교의 실용성과 실천성에서 비롯되었다. 그런 점에서 그의 기독교신앙이 내세보다 현세에 집중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는 기독교 윤리를 현실적 실천윤리로 인식하였다. 이것이 사회개선 및 변혁에 사명의식을 가지는 공익적 사회윤리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약육강식의 사회진화론을 현실적으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기독교의 하나님’을 ‘숙명적 하나님’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기독교의 청지기 윤리를 통해 이를 극복하였다. 이것은 일본제국주의 압제아래서 절망적인 정치현실에 좌절하지 않고 민족을 발전시킬 수 있는 희망을 가지는 원동력이 되었다. Yun Chi-Ho who was born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times at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had grown as a Confucius intellectual through traditional education of Confucianism. Within the social trend of modernization, he experienced modern civilization by studying in Japan. He had to go on an exile to Shanghai, China along with the frustration of 1884 coup. At that place, he had converted to Christianity on the level of personal ethic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afterwards, he started accepting the social ethics of Christianity. He established the strategy of reformation movement on the level of Christian social ethics. Afterwards, he had spread out social practices through reformation of system and independence association movement. He had also spread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o awaken Korean people and raise the skills of national communit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e tried to reconstruct the collapsed national community through Christian youth movement, women`s movement, press movement and education movement, etc on the level of Christian social ethics. Yun Chi-Ho attempted to break with Confucianism related view of the world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age and insisted on Christian faith as a new substitute. He emphasized on the ethical severity on the level of paradigm of life. He systematized the ethical paradigm on this basis. Also, his social ethics originated from the practicality and practice of Christianity. In this aspect, his Christian faith had brought the result of concentrating on this life than afterlife. He recognized Christian ethics as realistic practical ethics. He considered this as providing the social ethics of common good having awareness of mission in the social improvement and reformation. And he realistically accept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dealing with the law of the jungle. But he did not accept the ‘God of Christianity’ as ‘God of destiny’. He had overcome this through the stewardship in Christianity. This had become a driving force of having the hope to develop our race without getting frustrated within a hopeless political reality under the oppression of Japan`s imperialism.

      • KCI등재

        협동조합의 기독교사회윤리적 함의

        고재길(Jye Gil K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8 No.-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사회윤리의 관점에서 협동조합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별히 자본주의사회 속에서 협동조합의 개념, 가치, 원칙들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협동조합을 기독교사회윤리의 입장에서 평가하길 원한다. 협동조합은 자발적으로 연합한 사람들의 자율적인 결사체이다. 협동조합은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경제공동체이다. 협동조합은 조합원들이 함께 갖고 있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인 필요와 열망을 충족시킨다. 자본주의사회 속의 협동조합의 평가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협동조합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대안적 실현방안이라는 견해와 현재의 자본주의의 단점을 보완하는 경제공동체라는 의견이 그것들이다. 첫번째 견해는 자본주의사회의 대안체제로서 ‘공선(共善)사회’를 제안하면서 그 구체적인 실현방안으로 “협동조합과 직접민주주의”를 주장한다. 두 번째 견해는 협동조합의 역할을 긍정적인 차원에서 평가하지만 오늘의 자본주의의 병폐를 개혁하는 범주 안에서만 협동조합의 순기능을 인정한다. 협동조합이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확실한 대안은 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협동조합의 중요성은 자본주의경제시스템이 보여주는 단점을 고려할 때 더 강조될 필요가 있다. 협동조합이 경제적 삶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정의(justice)를 완벽하게 실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협동조합은 하나님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간의 정의는 보여줄 수 있다. 여기에서 협동조합의 기독교사회윤리적 의미가 나타난다. 협동조합은 생명, 정의, 평화의 가치를 실현하는 노동공동체이며 경제공동체이다. 교회는 협동조합운동에 참여하거나 또는 협동조합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사회와 소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nd analyze the cooperatives from the Christian ethics" viewpoint.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analyzing the concept, principle, cases of cooperatives and what they mean in the capitalist society. Also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 cooperative from the Christian social ethics" viewpoint. A cooperative is based on co-ownership and democratic system. A cooperative fulfills the needs and wants that the members have in the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n the capitalist society, the evaluation for a cooperative society is divided into two major fields, which is the opinion that a cooperative is an alternative realization of the capitalism-based economical system, and the opinion that a cooperative supplements the downside of the current capitalism. The first point of view suggests "a society of Common Good’ as an alternative system for the capitalism society, and the "cooperative and direct democracy’ is brought up as its specific method for realization. The second point of view does not evaluate the role of the cooperative from a positive aspect, but it is only recognized within the boundaries of reforming the social ills of capitalism. It would not be easy for a cooperative to become a stable means of alternative for the capitalism economical system.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downside of the capitalism based economical system, the importance of the cooperative can be emphasized. It would also be difficult for a cooperative to realize God"s justice without flaws in the economical every-day life. But a cooperative can represent the human justice striving to put God"s justice to action. Here the meaning of Christian social ethics is shown. A cooperative, as a labor and economical community, shows the value of life, justice and peace. Here, the church can communicate with the local community by participating in this cooperative or supporting it.

      • KCI등재

        공동체로서의 지식사회를 위한 윤리교육의 과제

        홍은숙 ( Eun Sook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4

        오늘날 우리 사회는 지식사회라고 불린다. 지식사회의 개념은 확정된 것이라기보다는 지속적으로 발전해가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지식사회의 특징 및 그것에서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윤리적 문제를 검토함으로써 지식사회가 바람직한 사회 형태로 발전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윤리교육의 과제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제 2장에서는 지식사회의 기본 특징으로서 지식에 기초한 이윤 창출 및 시장근본주의를 설명한다. 지식사회의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지식사회의 의미가 ‘지식경제’ 및 ‘시장사회’로 오해되는 현상을 비판한다. 제 3장에서는 지식사회의 전제가 되는 정보사회의 디지털 혁명과 가상공간의 출현이라는 특징을 살펴본다. 그리고 정보사회에 대한 도구적 접근과 공동체적 접근을 비교 설명한 후, 공동체로서의 정보사회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제 4장에서는 지식사회에 대한 시장적 접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식사회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에 현대적 삶의 양식 및 세계화 사회에 적합한 공동체로서의 지식사회를 제안하며, 그것을 위한 윤리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과제들을 논의한다. Our society is called ``knowledge society``. The knowledge society is the society in which knowledge is the basis of so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fit. The knowledge society contributed a lot to the prosperity of general human life. However, it brought some negative side-eff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consists in examining basic features of the knowledge society, showing a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knowledge society as a desirable community to live in, and suggesting some tasks of ethical education for it. In chapter 2, I explained some basic features of knowledge society. The knowledge society is mainly characterized by ``the pursuit of profit`` and ``market fundamentalism``. Market fundamentalism is an ideology which believes that the public interest is best served by the accumulated effects of freeing people to pursue their private interests. However, the unlimited pursuit of self-interest does not necessarily serve the common interest of the public good. Here I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 knowledge society should not be confused with ``knowledge economy`` nor with ``market society``. When the knowledge society is understood as the commercialized market society, it could destroy or corrupt itself. In chapter 3, I explained some basic features of information society, especially the concept of ``digital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cyber space``. Here I compared two approaches to information society. One is the instrumental perspective, which regards the technological skills and knowledge merely as an instrument for one`s profit or purpose. The other is the communitarian perspective, which regards the cyber space as a reality, as a new form of human life. In the latter case, netizenship and its ethics are important. I argued that this communitarian approach is needed for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in modern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In chapter 4, I argued that we need to approach the knowledge society with a communitarian perspective in order to overcome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mistaken commercialized concept of the knowledge society. I especially dealt with the concept of the knowledge society as a ``globalized society``. ``Globerlized society`` should be understood as a society in which the virtues such as tolerance, caring for the disadvantaged, respecting the comprehensive cultures are respected. Then I suggested some tasks of ethical education for the knowledge society. First, we need to teach netizenship, together with its ethics. Second, we need to teach the internal values and ethics of the technological activity in information society or knowledge society. Third, we need to teach various abilities and virtues required for the knowledge society such as creativity, the ability to learn by oneself, communication skills, respecting and caring others, open-mindedness, the love for the community, sharing, equality, etc., Fourth, we need to teach the cosmopolitan citizenwhip for a globalized society, together with the communitarian ethics of caring as well as comprehensive cosmopolitan civic virtues. Finally, we have to teach the limitation of the market value, together with teaching to respect the respective internal goods of each practice.

      • KCI등재

        공동체 윤리의 구성원리: 권위행사를 중심으로

        정용교,Herbert Wottawah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58

        오늘날 우리는 개인적 욕망이 극대로 분출되는 세상에 살아간다. 이런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우리는 가치혼동, 물질주의 확산, 아노미 현상 등에 노출된다. 동시에 우리 사회는 곳곳에서 공동체 해체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난다. 이 글은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공동체의 약화 내지 와해현상에 주목하면서 권위문제를 사회윤리(가톨릭 윤리)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검토하여 공동체 윤리의 준거로 재조명하는 데 그 중요한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우리는 가톨릭 사회윤리의 핵심에 권위개념이 자리잡고 있음을 밝히고 권위행사의 구체적 양상을 다각도로 살펴본다. 먼저, 권위개념을 검토하여 사회윤리의 준거점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권위행사의 구체적 방법, 곧 직무에 입각한 권위, 권위행사의 자격, 대표자의 권위위임 문제, 권위위임의 방법 등을 논의하여 권위행사의 정당성 문제를 타진한다. 마지막으로, 공익실천에 적합한 권위행사와 권위의 정당한 수용문제를 검토하여 권위와 공익실천 간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런 제반 논의를 통해 권위는 공동체 윤리의 구성원리에서 핵심적 준거가 됨을 밝히고 사회윤리의 중요한 근거가 됨을 해명한다. We are living in a world dominated by individual desires today. In this social-cultural situation, we have experienced the confusion of value, proliferation of materialism, phenomenon of anomie. Simultaneously, our society have been faced with the serious disorganization of community (society). In this paper, we are trying to review the problem of authority in the aspect of social ethics (Catholic ethics). Through this review, we are trying to establish an authority concept as standard of community ethics based on Catholic value. First, we propose an authority concept as the frame of reference of social ethics. And we deal with about the concrete methods of authority exercise. Simultaneously, we explore about the legitimacy of authority excercise. Finally, we reexe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y and practice of common goods, by focusing on the legitimacy of the authority excercise which is suitable in the common goods. Through these trials, we are trying to suggest the problem of authority as the core principle of the community order and also a ground of social ethics. As a result, in this study we could be revealed the right meaning about community ethics, by examining the concept of authority.

      • KCI등재

        인간주의에 대한 러시아의 근대적 성찰

        김은실(Kim, Eun-sil)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1 No.-

        현대사회는 한정된 재화를 놓고 치열한 공방을 지속하고 있다. 게다가 물질문명과 산업의 발달은 인간의 영역에 다른 물질적인 것들로 대체되고 있다. 현대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이런 문제는 19세기 러시아 지성계가 고민하던 시대상황과 다르지 않다. 근대 사회는 물질문명의 발전을 통해 보편적인 사회 번영과 행복을 이룰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발전은 소수에 의해 부가 집중되는 현상을 초래하였고, 오히려 다수의 빈곤과 결핍 현상 속에서 갈등과 분열을 거듭하였다. 이런 사회적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근대 러시아의 지성계는 인간 이성의 잠재력에서 그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러시아의 대문호였던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는 러시아의 인간주의 윤리학에 대한 확신 속에서 당시 유럽과 러시아가 직면하고 있던 정치 사회적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러시아의 인간주의는 인간 이성에 대한 두터운 신뢰와 인간의 자기갱생 능력을 기반으로 한 러시아적 윤리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이다. 현대 시민사회의 관점에서 봤을 때 러시아의 윤리공동체는 서구적 개인주의의 한계를 넘어 공동체 속에서 공공선에 기여함과 더불어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를 지향하는 것이다. Modern society is continuing a fierce battle over limited goods. Moreover, material civiliz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are replaced by other material things in the human realm. Such problems faced by Modern society are no different from the time when Russian intellectual circles were organized in the 19th century. Modern society expected they could achieve universal social prosperity and happi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brought about the phenomenon of unequal distribution of riches by a few. It repeated the conflict and division because of the poverty and deficiency of the many. Thus, the intellectual circles in Modern Russia, with the aim of resolving such a social phenomenon, tried to seek the potential of human reason for a possible solution. Tolstoy and Dostoevsky, the writers of the greatest literature that Russia has ever produced, tried to surmount th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faced then by both Europe and Russia from the sincere conviction of Russia’s humanistic ethics. Russia’s humanism aimed for a Russian-style ethical community on the basis of firm confidence in human reason and self-rehabilitation. Though humanism might be faced with the criticism that it is idealistic and ideological from the viewpoint of Modern society, Russia’s research on an ethical community based on humanism could be a motive for examining the reflections about Modern society, the essence of man, and ethical directivity in relation to a futur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