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하남 천왕사지 철불좌상의 출현과 의미

        이숙희(Lee, Sookhui) 한국중세고고학회 2020 한국중세고고학 Vol.- No.8

        경기도 하남시 천왕사지 철불좌상은 9세기 이후에 출현하는 철불 중에서 최대 규모의 고려 초기 불상으로 주목되어 왔다. 불상 높이가 3m에 가깝고 무게는 6.2톤에 이른다. 원래 경기도 하남시 하사창동의 절터에 방치되어 있었던 것을 1911년에 이왕가박물관으로 옮겨왔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하남 천왕사지 철불은 선종 사찰인 천왕사에 봉안된 주존불로 8세기 중엽의 경주 석굴암 본존불 형식을 따르면서 양식상 고려 전반에 조성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철불 조성의 후원세력에 대해서는 하남지역의 대표적인 지방호족인 왕규의 조성설이 일반적이었지만 고려 태조가 왕권 강화를 위해 추진했던 불교정책과 함께 지방호족의 후원 및 선종의 교리적 측면에서의 변화에 의해 대형의 철조석가불상이 조성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도상적인 측면에서 하남 천왕사 철불이 고려 초기의 선종과의 연관성 속에서 지권인의 비로자나 불상이 아니라 전통 불상양식인 항마촉지인의 석가불상으로 형상화된 것은 고려 태조의 불교정책과 불교신앙의 시대적 추이를 반영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논지에 의해 하남 천왕사지 철불의 조성에는 선종과의 관련성이나 선승들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지 않았으며 지방호족 왕규는 불상 조성과 관련된 일을 주관했으나 실제 단월이었던 고려 태조가 왕권 강화정책의 하나로 기념비적인 거불이 조성되었다는 추론이 가능하였다. 천왕사 철불의 조성시기 또한 석굴암 본존불 형식을 계승한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과 양평 사나사 철불, 임실 중기사 철불과 같은 고려 전반의 불상을 양식적으로 연결시켜 비교, 고찰하는 한편 924년 천왕사에 잠시 머물렀던 원종대사 찬유와는 관련성이 적다는 점을 근거로 고려 전반인 930-940년경으로 추정하였다. 고려 전반은 태조 왕건의 후원 아래 지방호족과 선승들에 의해 선종과 그 교법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교종을 수용하여 교선융합사상으로 발전했던 때이다. 이 시기에는 통일신라 후기의 선종사찰에 주로 봉안되었던 철조의 비로자나불상 또는 노사나불상을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하남지역을 비롯한 남한강 일대에서 고려 전기의 항마촉지인 철불이 다수 조성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선종과 교종이 융합되는 불교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불상의 도상도 변화 과정을 거치게 된 것으로 보았다. 더욱이 하남 천왕사지 철불이 양식적 면에서 통일신라 전성기의 석굴암 본존불상을 재현했다는 것은 지방호족들의 세력을 연합하고 왕권을 강화하려고 했던 고려 태조의 정치적 의도가 있었던 것이다. 3m에 가까운 대형의 철불로서 장대하고 위엄있는 조형감을 강조한 것 역시 철이 가진 투박하고 강인한 특성을 이용하여 고려 왕권의 강력한 이미지를 표현하려고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바로 이 점에 하남 천왕사지 철불의 가장 큰 특성과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Iron seated Buddha statue of Cheonwangsa Temple(天王寺) in Hanam, Gyeonggi-do, have been noted for being the largest Buddha of the early Goryeo Dynasty among the iron Buddha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9th century. The statue is nearly 3 meters tall and weighs 6.2 tons. Originally left unattended at a temple site in Hasachang-dong, Hanam-si, Gyeonggi-do, it was moved to the Yiwanga(李王家) Museum in 1911, and is now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heonwangsa Temple Site in Hanam is a main Buddha enshrined in Cheonwangsa Temple, a Seonjong Buddhist temple(禪宗寺刹), which was constructed in the first half of Goryeo Dynasty in the mid-8th century, following the main Buddhist style of Seokguram Grotto(石窟庵) in Gyeongju. As for the supporters of the creation of the Iron Buddha, Wang Gyu(王規), a representative local family in Hanam(河南), was generally believed to have been established, but a large-scale statue of the Stone Buddha was created due to the change in the doctrines of the local family and Seonjong, along with the Buddhist policy pursued by King Taejo(太祖) of Goryeo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Especially in the aspect of the style, the iron Buddha of Cheonwangsa Temple in Hanam, in connection with Seonjong of the early Goryeo Dynasty, was not the hand seal of the Wishdom of Vairocana, but the hand seal of the touch of the earth, or the subjugation, a traditional Buddhist style. It was found to reflect the Buddhist policies of King Taejo of Goryeo and the trend of Buddhist faith. Based on this argument, it was possible to infer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Cheonwangsa Temple Site in Hanam did not have much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jong and the monks, and that Wang Gyu, a powerful local family, organized the work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a statue, but Taejo of Goryeo, which was actually the first month of the Goryeo Dynasty, was one of the policie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The construction period of Cheonwangsa Temple"s iron Buddha was also compared and examined by connecting the Buddha statues of the late Unified Silla Dynasty, which inherited the main Buddha form of Seokguram Grotto, and the Buddha statues of the early Goryeo Dynasty, such as the Iron Buddha of Sanasa Temple(舍那寺) in Yangpyeong and the Iron Buddha of Junggisa Temple(中基寺) in Imsil. On the other hand, it was estimated to be around 930-940 in the first half of Goryeo,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less related to Chanyu(瓚幽), a Buddhist monk who briefly stayed at Cheonwangsa Temple in 924. The first half of Goryeo was a time when under the King Taejo"s support, Seonjong and its teaching methods were actively developed by powerful local families and Seon Buddhist monks(禪僧), and it was developed into the idea of convergence of the church by accepting the Gyosong(敎宗).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few statues of Vairocana(毘盧遮那佛像) or Vairocana(盧舍那佛像), which were enshrined in Seonjong Temple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but a number of iron Buddha statues of the early Goryeo Dynasty were built in the Namhangang River area, including Hanam. This phenomenon was attributed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mage of Buddha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Buddhism, in which Seonjong and Gyojong were merged. Moreover, the reproduction of the main Buddha statue of Seokguram Grotto in the heyday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was the political intention of King Taejo of the Goryeo Dynasty, who was trying to unite the powerful local family and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The emphasis on the grand and dignified formality of the iron Buddha, which is nearly three meters tall, is also seen as an attempt to express the powerful image of the Goryeo royal authority by utilizing the rugged and strong characteristics of iron. This is why the Iron Buddha in Cheonwangsa Temple site in Hanam has the greatest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 KCI등재

        新羅中代成典寺院과 密敎 : 중대 國家儀禮의 視覺化와 관련하여

        윤선태(Yoon Seon-Tae) 韓國古代學會 2015 先史와 古代 Vol.44 No.-

        사천왕사(四天王寺)는 당(唐)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밀교승 명랑(明朗)의 주도 하에 창건되었다. 신라는 금광명경(金光明經) 에 기초한 기존의 사천왕호국신앙(四天王護國信仰)과 달리 거기에 관정경(灌頂經) 의 오방신(五方神)과 문두루비법(文頭婁秘法)을 결합시키는 밀교적(密敎的) 작단(作壇)을 설행(設行)하였다. 명랑과 혜통(惠通)이 가지고 온 새로운 밀교적 작법(作法)은 신라를 지켜줄 무수한 천왕(天王), 신왕(神王), 용왕(龍王) 등의 모습을 직접 현현(顯現)시켜오감으로느낄수있도록하는보다대중적이고, 감각적인밀교의식(密敎儀式)이었다. 양지(良志)는 사천왕사 목탑의기단부에 사천왕천(四天王天) 아래3개의층급(層級)에살았던 야차(夜叉), 존신(尊神) 등을 재해석하여 야차와 신장(神將)으로 형상화하고, 목탑의 계단(階段)을 밟아 탑신에 올라가는 길을 기단에 배치된 3개의 층급을 지나 사천왕천에 도달하는 길로 이미지화하였다. 일연(一然)이 이를 ‘팔부신장(八部神將)’이라고 한 것은 후대의 ‘팔부중(八部衆)’ 그 자체를 말한 것이 아니라, 이 신장들이 천왕(天王)을 도와 불법을 수호하는 그의 권속(眷屬)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양지는 천왕의 권속과 야차들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이를 신라인들의 눈앞에 현현시켜, 보이지 않는 사천왕의 더욱 강력한 힘을 확신하도록 유도하였다. 한편 사천왕천 아래 3개 층급의 야차들이 사천왕의 발 아래에서 분리되어 탑의 기단을 장식하고있다는사실도중요하다. 이로 인해 계단을 통해 이 목탑의 기단 위로 올라간 신라의 왕자(王者)가 소조신장상벽전(塑造神將像壁塼) 위의 테라스를 걷거나, 벽전위에 서있을경우, 그는 단순한 왕자가 아니라 3층급의 야차를 밟고 서있는 사천왕과 동격이 된다. 이처럼 사천왕사 목탑 기단의 벽전에는 중대권력을 정점화(頂點化)하려는 양지의 또 다른 언설(言說)이 숨어있었다. 문무왕은거대 제국당(唐)의공격 앞에서도 사천왕사의 불교의례를 통해 절대적인 중심성을 회복했고, 밀교적 작단(作壇)으로 피어난 사실적인 소조상들은 그것을 모두가 보고 느끼게 하는 장(場)이었다. 사천왕사 위 낭산(狼山)에 있었던 선덕여왕의 장지(葬地)가 도리천(忉利天)으로 표상되었듯이, 사천왕사는 수미산 정상의 도리천으로 올라가는 불국토 신라의 입구, 경계 지점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결국 사천왕사는 신라 왕경(王京)의 남방 끝에 불과한 공간이 아니라, 밀교의례 속에서는 불국토 신라의 입구이며, 이곳은 오방신(五方神)과 사천왕(四天王)이 지키는 불국토의 경계 지점이었다. 이후 봉성사(奉聖寺) 창건으로 시작되는 밀교승 혜통이 주도한 신문왕대의 새로운 성전사원체제는 오방신(五方神)과 사천왕(四天王)으로 수호되는 신라 불국토를 더욱 시각적으로 표상하여 왕경의 사방(四方)으로 성전사원을 확대해나간 과정이었다. 왕경의 사방에 의도적으로 배치된 성전사원(成典寺院)들은 국가의례(國家儀禮)의 장(場)으로서 중요한 역할을수행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곳은 왕경과 지방을 연결하는 접점이고, 지방인이 왕경으로 들어오는 입구이며, 왕경이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신라 국토 전체를 압축적으로 상징한다. 신라 중대왕권은 기본적으로 당과의사대적인관계를유지하려한점이있지만, ‘태종(太宗)’무열왕의 묘호(廟號) 문제로 알 수 있듯이, 대제국인 당과의 싸움에서 얻었던 자신감 또한 잃지 않았다. 성전사원에 기초한 신라의 독자적인 국가의례는 ‘호국(護國)과 왕실(王室)의 영속(永續)’을 기원한 중대왕권의 의지 속에서 창출되었으며, 중대왕실은 그러한 의례를 통해 신라국가를 천하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그것을 지배하는 자신의 절대성을 시각적으로 과시하려 하였다. Sacheonwangsa temple(四天王寺) was established by Esoteric Buddhist monk Myeongnang(明朗) to repel Tang's attack. The style of Esoteric Buddhism Myeongnang and Hetong(惠通) brought was more public, sensory Esoteric Buddhist style in order to feel with the five senses by directly showing the figures of the heavenly king, spiritual king, and dragon king and so on. Yangji(良志) realistically embodied the subordinate of the heavenly king and Yaksa and led to confirm stronger power of the four heavenly kings by revealing the figures in front of Silla people. Meanwhile, it is important for Yaksa to be decorated not at the beneath of the feet of the four heavenly kings but at the stereobate of the pagoda. At the wall of the stereobate of the pagoda of Sacheonwangsa, there is another intention of Yangji to make an issue of the important power. King Munmu recovered his power against Tang through Buddhist ritual of Sacheonwangsa, and the realistic images decorated with Esoteric Buddhist style were the symbols Silla people saw and felt it. The burial site of Queen Seondeok located at Nangsan(狼山) beyond Sacheonwangsa symbolizes Trāyastriṃśa(忉利天), so Sacheonwangsa was regarded as the entrance of Buddhist land Silla climbing to Trāyastriṃśa at the top of Sumisan mountain. Sacheonwangsa is eventually not the simple space at the south end of the capital but the entrance of Buddhist land Silla in Esoteric Buddhist ritual. It is the boundary spot of Buddhist land under heavy guard of the gods of five directions and the four heavenly kings. And then the new Seongjeonsawon system begun with the building of Bongseongsa temple(奉聖寺)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 led by Esoteric Buddhist monk Hetong, was more visually typical of Buddhist land Silla kept by the four heavenly kings and expanded Seongjeonsawan to the four directions of the capital. Seongjeonsawon at the four directions was the contact point connecting the capital and provinces, the entrance local people come in the capital, and the starting point the capital spreads out into the four directions. At this point, it compressively symbolizes the whole land of Silla. Keeping the submissive relationship with Tang basically, the royal authority of the middle Silla was full of confidence since the victory in the battle with Tang. The national ritual of Silla's own based on Seongjeonsawon was created in the will of the royal authority of the middle Silla praying for 'the protection of nation and permanence of the royal family'. The royal family became the center under the heaven and visually displayed their absoluteness through such ritual.

      • KCI등재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의 함의와 기념비성

        권보경(Kwon, Bo Ky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고려 초기를 대표하는 철불이다. 이 상은 1911년 이왕가박물관으로 이동하였으며, 원래 위치에는 이 상 보다 작은 철불이 한 구 더 존재했었다. 작은 철불은 기존에는 행방을 알 수 없었지만, 하남 하사창동 철불보다 앞선 시기에 이왕가박물관이 입수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하남 천왕사지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천왕사는 고려 초부터 국왕이 관여하던 곳으로, 수도의 사찰은 아니지만 고려시대 중요한 사찰 중 하나였을 것이다.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기본적으로 석굴암 본존불을 계승하고 있으나, 고려 초기 항마촉지인 불상 양식을 가지고 있다. 하사창동 철불좌상 양식은 석굴암 본존불 계승 불상 양식과 949년 상한연대의 서산 보원사지 철불좌상 양식 사이에 위치하므로,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이 949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본다. 서산 보원사지 철불좌상은 석가상이므로,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을 포함한 항마촉지인 상을 고려 초기 사람들이 석가모니불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이전 연구에서는 광주 호족인 왕규가 조성했다고 보았다. 그러나 고려 초기 광주 지역 유력자는 애선이며 그가 924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왕건은 원종대사 찬유를 천왕사에 주석시켜 광주 지역 민심을 안정시켰다. 이후 왕건의 비호 아래 왕규가 광주 지역으로 세력을 넓힌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상황과 후삼국시대 전쟁 양상을 통해, 고려 통일 이후 전쟁무기의 평화적인 회수와 활용이라는 현실적인 문제 속에서 태조의 발원으로 하남 하사창동 철불 좌상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남 하사창동 철불좌상은 태조 왕건과 왕실이 주도하여 조성한 통일 기념비적인 불상이다. 또한 고려 통일 이후 전쟁무기 회수와 활용이 불교미술 조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것은 고려 초기 철불 조성의 급증 배경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하남 천왕사지에 왕실이 통일 기념비적인 불상을 조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하남은 일찍부터 왕건의 세력 아래 있었고, 위치상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그 중 천왕사는 고려 왕실과 관계가 깊었던 사찰이다. 또한 고려 건국의 한 축인 서남해안지역 세력의 근거지 중 하나이다. 서남해안지역 세력은 태조가 마련한 태자의 후원세력이었다. 따라서 고려 건국 및 통일의 중요한 축인 서남해안지역 세력을 위로하고 규합하며, 태자의 미래를 부촉하는 의도 역시 있었음을 추정하였다.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Hanam-si, Gyeonggi-do,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representative iron Buddha of the early Goryeo period. This ironBuddha was moved to the Iwangga Museum in 1911, and there was another small ironBuddha in its original location. The whereabouts of the small iron Buddha was previouslyunknown, but it is possible that the Iwangga Museum may have been obtained it at a timeearlier than the iron Buddha in Hasachang-dong, Hanam-si. It is also assumed that the seatediron Buddha in Hasachang-dong, was enshrined in Cheonwangsa temple in Hanam-si.Cheonwangsa temple was not a temple in the capital, but it may have been one of the mostimportant temples of the Goryeo dynasty.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basically follows the style of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Grotto, but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style of the bhūmisparśa-mudrā Buddha statue of the early Goryeo period. Because the seated Buddha from Hasachang-dong is located in style between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and the seated Buddha from Bowonsa temple site in Seosan, which dates back to the year 949. So it is believed that the seated Buddha from Hasachang-dong was made before 949. Since the seated iron Buddha from Bowonsa temple site in Seosan is Sakyamuni, it can be seen that the early Goryeo people recognized bhūmisparśa-mudrā Buddha as Sakyamuni, including the seated Buddha from Hasachang-dong. In previous studies,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was thought to have been created by Wang-gyu, a powerful family of Gwangju region. However under the protection of King Taejo, Wang Geon, Wang Gyu expanded his powers to Gwangju area. Through this situation and the war aspect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era,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was made by petition of the King Taejo in the realistic problem of peaceful recovery and use of weapons after the unification of Goryeo. The seated Iron Buddha from Hasachang-dong that led by King Taejo and the royal family is a monument to the unification of Goryeo. In addition, it shows how the recovery and use of war weapons after the unification of Goryeo has emerged as a composition of the Buddhist art, and this can be seen as the background for the increase of iron Buddh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why the Goryeo royal family created a Buddha statue to commemorate the unification in Cheonwangsa temple of Hanam is as follows. Hanam was under Wang Geon"s influence early on, and wa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route for its location, and Cheonwangsa temple was closely related to the Goryeo royal family. It is also one of the one of the bases of power in the southwest coast area, the axis of the founding of Goryeo. The powers in the southwest coast area were the supporters of the prince established by King Taejo. Therefore, it must have been intended to comfort and unite the powers in the southwest coast area, an important axis of the founding and unification of Goryeo, and to promote the future of the prince.

      • KCI등재

        하남 하사창동 천왕사지 철불좌상의 조성배경

        정성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The Iron Seated Buddha in Hasachang-dong, Hanam is an iron Buddha currently on display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is iron Buddha is also known as ‘the world’s largest iron Buddha’. The Hasachang-dong iron Buddha was taken out of its original place in 1911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achang-dong Iron Buddha has been known as an iron Buddha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Wang Geon. In this paper, stone Buddhas, stone pagodas, and stone monument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Taejo Wang Geon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uddhist art work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tried to reveal a strong difference in terms of form from the previous dynasties.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Hasachang-dong iron Buddha, which directly imitates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Grott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wa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Taejo Wang Geon. In order to reveal the construction period and background of Hasachang-dong iron Buddha, the excavation results of Dong temple site, which is adjacent to Cheonwangsa temple site, were analyzed. Through this, it was discussed that in the case of the iron Buddha at Cheonwangsa Temple Site in Hasachang-dong, it was made by Hyejong and Wang Gyu, who supported him, who had a power struggle with the Chungju Yu family. The reason why Hyejong created the iron Buddha in Hasachang-dong was identified as having an intention to show that Hyejong inherited the legitimacy of Unified Silla and that the old Silla powers supported Hyejong. 하남 하사창동 철조여래좌상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세계 최대 철불’로도 알려져 있는 초대형 철불이다. 하사창동 철불은 일제강점기인 1911년 천왕사지에서 반출되었으며 그동안 고려 태조 왕건시기에 조성된 철불로 알려져 왔다. 본문에서는 태조 왕건시기 조성된 석불, 석탑, 탑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태조 왕건시기 조성된 불교미술품은 앞 시대 왕조와 형태적 측면에서 강한 차별성을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던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석굴암 본존불을 직모한 하사창동 철불의 경우 태조 왕건시기 조성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하사창동 철불의 조성시기와 배경을 밝히기 위해 천왕사지와 바로 인접한 동사지의 발굴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천왕사지의 경우 961년 고려 광종이 대대적으로 중창한 사찰임을 알 수 있었다. 광종이 하사창동 철불이 있는 천왕사 바로 옆에 동사를 창건한 이유는 반 광종세력인 광주세력을 견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하사창동 천왕사지 철불의 경우 충주유씨 세력과 권력투쟁을 벌였던 혜종과 그를 후원하였던 왕규가 만든 불상임을 논의하였다. 혜종이 석굴암 본존불을 모방한 하사창동 철불을 조성한 이유는 혜종이 통일신라의 정통성을 계승하며 구 신라세력이 혜종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河南 天王寺址 出土 二重蓮瓣 막새의 제작시기 檢討

        노윤상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2 新羅文化 Vol.39 No.-

        Cheonwangsa temple site is a large temple site located in the plain of Hannam Gyeonggi-do with wooden pagoda site, but has no information of its foundation period. The excavation works on the site were carried out in 2000 and 2001, and various roof tiles were found. Among these relic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wo types of roof tiles that can estimate the foundation period of the temple. Different to the traditional double lotus petal patter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n which outer leaves and inner leaves were intersected, the excavated lotuses have a pattern to place inner leaves inside the outer leaves. Such double lotus petal pattern was shown in silver cup with bronze stand of King Muryeong’s royal tomb, and Sari pagoda in Wangheungsa temple site. The roof tiles were excavated in relics in Geumgangsa temple site in Buyeo that was estimated to be made between later 6th century and early 7th century. To figure out the manufacturing period of double lotus petal pattern roof tile in Cheonwangsa temple site, it was compared with 4 domestic double lotus petal pattern roof tiles and those in type of Yamadadera type in Japan. While domestic tiles had little resources to compare due to few excavations, Yamadadera type roof tiles in Japan were widely used in ancient relics. Double lotus petal pattern roof tile in Cheonwangsa temple site can be compared to be the same affiliates with those in Abedera temple in Nara prefecture and Gunma prefecture that were classified as affiliates with Yamadadera type. And there are some roof tiles that can be classified as same among excavations in Kamiueki temple in Gunma prefecture that was estimated to be made in the later 7th century. Cheonwangsa temple was conjectured to be foun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by the excavated relics such as Inwha pattern fragment, Jungpan Tanal plain roof tile from the outer area of Cheonwangsa temple site and Simchoseok of Yugong type and Yudan method besides double lotus petal pattern roof tile. The double lotus pattern roof tile was recorded to be made in the 7th century by comparing the domestic ones and Japanese resources. Accordingly, the foundation period of Cheonwangsa temple can be figured out by roof tiles as ancient relic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ose roof tiles are the earliest ones among those excavated in temple sites in Seoul and Gyeonggi districts.

      • KCI등재

        [논문철회] 하남 불교유적의 불교사적 위치

        김선(金善)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9 No.-

        하남지역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양수리에서 합쳐진 한강이 하남시의 동쪽에서 북쪽에서 흐르고 있어 좋은 지형조건을 갖춘 교통행정 중심지로 많은 문화유산이 남아 있다. 특히 불교유적이 집중되어 있는 곳으로 지난 10년간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천왕사지, 약정사지 등이 알려졌다. 하남 일원에는 총 17곳의 불교유적이 남아 있는데, 금암산 8곳, 객산 3곳, 청량산 1곳, 이성산 1곳 등으로 대부분 금암산과 객산 등에 위치한다. 하지만 천왕사지, 동사지와 같이 평지에 위치한 사찰도 있다. 17개소 불교유적은 3개의 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군은 북쪽지역이며, 춘궁동 금암산사지를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에 동사지와 금암산 범굴사지·광암동사지가 위치하며, 이성산성이 인접해 있다. 2군은 서남쪽지역으로 금암산과 동남쪽 능선상에 위치한 약정사지를 중심으로 자화사지, 복선사지, 범굴사지가 위치한다. 각 불교군간의 거리는 약 1~2㎞ 내외로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3군은 동쪽지역이며, 개산을 포함한 교산동과 상·하창동 아래 지역에 해당하며, 천왕사지를 중심으로 교산동사지와 상사창동사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고분군은 크게 금암산과 객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불교유적과 고분유적과는 경계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암산 고분군은 춘궁동 금암산사지의 남쪽 능선부터 항동 금암산범굴사지의 북쪽까지로 객산 고분군은 객산 정상의 남쪽 능선에 위치하며, 남서쪽 능선에는 하산곡동 고분군이 밀집해 있다. 따라서 불교 유적과 고분군은 같은 공간에 공존하고 있지만 약간의 거리를 두고 공간을 구분한 모습으로 보인다. 천왕사지는 최근의 발굴조사를 통해 많은 위치가 부분적으로 확인되고 있지만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발굴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동사지도 발굴조사가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의문점과 전체적인 배치 현황을 알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으로 발굴조사된 내용을 종합해서 검토할 필요성이 크다. 하남지역에 남아 있는 불교유적과 문헌을 살펴본 결과 통일신라시대부터 불교 중심지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다. Hanam has good topographical conditions as the Han River flows from the east to the north of Hanam City, where the Namhangang River and the Bukhangang River meet in Yangsuri, and many cultural heritages remain as well as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and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Cheonwangsa Temple Site and Jeongjeongsa Temple Site have been known for 10 years through surface research and excavation research. A total of 17 Buddhist relics remain in Hanam, and many of them are found in Geumamsan Mountain. There are eight Geumamsan Mountain, three Gaeksan Mountain, one Cheongnyangsan Mountain, and one Iseongsan Mountain. Most of them are located in Geumamsan Mountain and Gaeksan Mountain, but there are also temples located in flat areas such as Cheonwangsa Temple and Dongsa Temple Site. Although many locations of Cheonwangsa Temple sites have been partially confirmed through recent excavation research,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xcav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Excavation of the verb map has been conducted, but many questions and the overall layout are still unknow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etails of the excavation of pieces. The remaining remains of Buddhist relics and literature show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center of Buddhism since the Unified Silla Period.

      • KCI등재

        무속 타파의 유,불 유착 사례로서 지리산성모상 훼철과 그 후 복원의 아이러니

        나경수 ( Kyung Soo Na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경남 산청의 천왕사에 봉안되어 있는 지리산성모상은 고려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수모를 겪어 왔다. 민간신앙, 특히 무속신앙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외래종교의 탄압은 물론, 호국신으로도 믿어졌기 때문에 외적으로부터 훼손을 당하기도 했다. 특히 지리산성모는 고려 태조의 어머니 위숙왕후나 석가모니의 어머니 마야부인으로 믿어지기도 하고, 도교에서는 태을신, 무속에서는 8도 무당을 낳은 무조라고도 한다. 그러나 지리산성모의 다양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의 기록으로 보아 하나의 뚜렷한 사실은 무당들과 지역의 주민들에 의해 신봉되었다는 것이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무속을 비롯한 민간신앙에 대한 비판이 거세었다. 유학자들과 친하게 지냈던 천연스님은 지리산 천왕봉에 있던 성모상을 없애버렸다. 16세기에 한국에서도 성상파괴주의가 자행되었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20세기에 와서도 지리산성모상은 계속해서 수난을 겪어왔다. 그러나 현재는 오히려 불교의 비호를 받고 있다. 지리산성모상 진품은 천왕사라는 절에 모셔져 있으며, 오히려 지역민들과 무속인들은 그 옆 마을에 모조품을 만들어서 섬기고 있다. 이 또한 민간신앙이 외래종교에 의해 피해를 입고 있는 하나의 현상이라 할 수 있다. Mt.Jiri Sungmo which is placed in Cheonwangsa of Gyeongnam Sancheong suffered a lot from the Koryo Dynasty to this day. It was the object of Folk religion and especially Shamanism, and it was damaged from a foreign enemy, of course including the pressure of foreign religion, because it was believed as a guardian god of the country. Especially Mt.Jiri Sungmo was believed as a Queen Wisook who was a mother of Koryo Taejo and a lady maya who was a mother of Buddha, and also it is called God Tae-eul in Taoism and Muzo who gave a birth to 8-do shamans in Shamanism. In spite of various characters of Mt.Jiri Sungmo, according to records of Chosun Dynasty, one clear truth is that it was believed by shamans and locals. Confucian scholars heavily criticised about the folk religion, including shamanism. And Monk Cheonyeon who was close to Confucian scholars destroyed Mt.Jiri Sungmo placed in Cheonwangbong of Mt.Jiri . It showed the case of iconoclasm of Korea in the 16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Mt.Jiri Sungmo had a hard time continuously. But now it is under the protection of Buddhism. The real Mt.Jiri Sungmo is placed in the temple Cheonwang, and locals and shamans made an imitation in the next village and served it. It is another situation that a folk religion is damaged by a foreign religion.

      • KCI등재

        봉림산문의 인물과 사상

        정성권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4 한국불교사연구 Vol.25 No.-

        본문에서는 봉림산문의 대표적인 인물인 玄昱(787~868), 審希(855~ 923), 璨幽(869~958), 忠湛(869~940)의 행적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욱은 봉림산문을 개창한 심희의 스승이다. 현욱은 중국 유학 후 실상사에 머물다가 940년경 여주 혜목산으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20여년 이상 거주하였다. 현욱이 혜목산으로 거처를 옮긴 이유는왕실의 요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고달사의 창건은 9세기중반경 한강유역을 본격적으로 경영하고자 하는 신라 정부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심희는 신라의 국사였다. 심희는 현욱의 제자로 혜목산에서 출가하였으며 무주와 명주 일대에도 머물렀다. 장년기에는 김해 봉림사에머무르며 봉림산문을 개창하였다. 봉림산문 개창 이후 심희는 적극적으로 신라 왕실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심희 입적 후 경명왕은 친히 심희의 탑비문을 작성하였다. 심희의 탑비를 세운 경명왕은 심희의 명성을 빌려 신라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충담은 심희의 제자이며 유학을 갔다 온 후 태조 왕건을 찾아가 왕사가 되었으며 원주 흥법사의 주지로 활동하였다. 살아생전 적극적으로 고려 왕실의 안정을 도운 충담은 입적 후에도 자신의 탑비를통해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탄생을 구 신라 지역민들에게 알리는역할을 하였다. 찬유 역시 심희의 제자였다. 찬유는 젊은 나이에 중국으로 유학을떠났으며 유학에서 돌아온 후 태조 왕건을 만나 천왕사의 주지가되었다. 찬유는 태조 왕건의 요청으로 한강 유역 및 주요 교통로의주지가 된 선승들과 다르게 천왕사에 오래 머무르지 않고 고달사로거처를 옮겼다. 본문에서는 그 이유를 광주지역 호족세력의 변화로해석하였으며 혜종과 충주유씨세력의 권력투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봉림산문의 주요 인물은 왕실과 결합된 강한 현실참여형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봉림산문의 주요 인물은 모두 당대를대표하는 실천적 지식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opic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of Bongrimsanmun, Hyeonwook(787~868), Simhee(855~923), Chanyu(869~ 958), and Chungdam(869~940). Hyeonwook is the teacher of Simhee, who founded Bongrimsanmun. Hyeonwook lived in Hyemoksan Mountain in Yeoju since around 940 after studying in China. It was presumed that the reason why Hyeonwook moved to Hyemoksan Mountain was at the request of the royal family. Sim Hee was the state secretary of Silla. Simhee is Hyunwook’s student. Sim Hee stayed at Bongrimsa Temple in Gimhae in the latter half of her life and opened Bongrimsanmun. After opening Bongnimsanmun, Sim Hee actively worked to stabilize the Silla royal family. When Sim Hee died, King Gyeongmyeong of Silla personally wrote the inscription on the monument for him. This is intended to increase Silla's authority by borrowing Simhui's reputation. Chungdam was a disciple of Simhee and became the abbot of Heungbeopsa Temple in Wonju after returning from studying abroad. Chungdam became the king's teacher and actively helped the Goryeo royal family run stably. When Chungdam died, Taejo Wang Geon personally wrote the epitaph on his monument for him. Chanyu was also Simhee's student. After Chanyu went to China to study, he met King Taejo Wang Geon and became the head priest of Cheonwangsa Temple. Chanyu did not stay at Cheonwangsa Temple for long and moved to Godalsa Temple. In the main text, the reason was interpreted as a change in the power of noble families in the Gwangju region and was seen as being related to the power struggle between Hyejong and the Chungju Yu family. The main characters of Bongrimsanmun can all be said to be practical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ir time.

      • KCI등재

        무속 타파의 유·불 유착 사례로서 지리산성모상 훼철과 그 후 복원의 아이러니

        나경수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Mt.Jiri Sungmo which is placed in Cheonwangsa of Gyeongnam Sancheong suffered a lot from the Koryo Dynasty to this day. It was the object of Folk religion and especially Shamanism, and it was damaged from a foreign enemy, of course including the pressure of foreign religion, because it was believed as a guardian god of the country. Especially Mt.Jiri Sungmo was believed as a Queen Wisook who was a mother of Koryo Taejo and a lady maya who was a mother of Buddha, and also it is called God Tae-eul in Taoism and Muzo who gave a birth to 8-do shamans in Shamanism. In spite of various characters of Mt.Jiri Sungmo, according to records of Chosun Dynasty, one clear truth is that it was believed by shamans and locals. Confucian scholars heavily criticised about the folk religion, including shamanism. And Monk Cheonyeon who was close to Confucian scholars destroyed Mt.Jiri Sungmo placed in Cheonwangbong of Mt.Jiri . It showed the case of iconoclasm of Korea in the 16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Mt.Jiri Sungmo had a hard time continuously. But now it is under the protection of Buddhism. The real Mt.Jiri Sungmo is placed in the temple Cheonwang, and locals and shamans made an imitation in the next village and served it. It is another situation that a folk religion is damaged by a foreign religion. 경남 산청의 천왕사에 봉안되어 있는 지리산성모상은 고려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수모를 겪어 왔다. 민간신앙, 특히 무속신앙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외래종교의 탄압은 물론, 호국신으로도 믿어졌기 때문에 외적으로부터 훼손을 당하기도 했다. 특히 지리산성모는 고려 태조의 어머니 위숙왕후나 석가모니의 어머니 마야부인으로 믿어지기도 하고, 도교에서는 태을신, 무속에서는 8도 무당을 낳은 무조라고도 한다. 그러나 지리산성모의 다양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의 기록으로 보아 하나의 뚜렷한 사실은 무당들과 지역의 주민들에 의해 신봉되었다는 것이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무속을 비롯한 민간신앙에 대한 비판이 거세었다. 유학자들과 친하게 지냈던 천연스님은 지리산 천왕봉에 있던 성모상을 없애버렸다. 16세기에 한국에서도 성상파괴주의가 자행되었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20세기에 와서도 지리산성모상은 계속해서 수난을 겪어왔다. 그러나 현재는 오히려 불교의 비호를 받고 있다. 지리산성모상 진품은 천왕사라는 절에 모셔져 있으며, 오히려 지역민들과 무속인들은 그 옆 마을에 모조품을 만들어서 섬기고 있다. 이 또한 민간신앙이 외래종교에 의해 피해를 입고 있는 하나의 현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