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한수연(Han, Soo-you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6 생명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사회복지 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경험 등을 측정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노인요양병원 사회복지사 104명, 장기요양 입 소시설 사회복지사 297명, 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1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방법인 평균, 표준편차,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 다. 또한 두 집단 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임종의료 결정 도움경험 등의 평균 차이 검증, 사회복지사 개인 및 시설 변수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의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하여 T-Test 분석을 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중에서 의료지식 의 경우 노인요양병원(2.20±0.87)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2.26±0.91)간 서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p〈0.05). 하지만 두 집단 간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에도 불 구하고, 두 집단 모두 환자나 가족에게 사전연명의료의향 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정도의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 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도움경험에서 도 노인요양병원(1.80±0.30)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1.36±0.31)간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p〈0.001). 노인요양병원에서는 종교(p〈0.05), 교육경험(p〈0.001), 연 명의료 도움경험(p〈0.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도움경험 (p〈0.05), 근무규정이(p〈0.05)이 있다고 응답한 사회복지사 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이 높았으며, 장기요양 입소시 설에서는 교육경험(p〈0.001), 연명의료 도움경험(p〈0.05),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도움경험(p〈0.05)이 있는 사회복지사 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가 노인환자와 가족 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정보를 제공하 기 위하여 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표준 지침서를 개발하여 전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 social worker s knowledge of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 and experience of aids in the process of end of life care decision making between geriatric hospital and long term care facility in South Korea. The study employ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of collecting data from 401 social worker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using SPSS 21.0 program. The fin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their medical knowledge of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 between those who work at geriatric hospitals(2.20±0.87) and at long term care facilities(2.26±0.91). Even though the study found the statistic differences in their knowledge, their knowledge is not sufficient to provide secure service to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both setting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in their experience to aid the end of life care decision making process between at geriatric hospital(1.80±0.30) and at long term care facilities(1.36±0.31). In geriatric hospital, the social workers level of knowledge significantly differed based on their religion(p〈0.05), education(p〈0.001), prior experience in assist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p〈0.001), in giving information for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p〈0.05), and the existence of regulatory standards at an institution for end of life care decision making(p〈0.05). In long term care facility, the social workers level of knowledge significantly differed based on their education(p〈0.001), prior experience in assist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p〈0.05), in giving information for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p〈0.05). This study proposed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workers knowledge in assisting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in both setting, suggesting the higher requirement of education and the regulations to provide safe service for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 영향 요인

        박남주 ( Nam-ju Park ),홍성애 ( Seong-ae Hong ),송인명 ( Inmyung Song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1

        연구목적 : 2016년 한국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합법화하여 환자로 하여금 연명의료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9월 23일부터 10월 5일 사이에 충청남도 두 개 도시(천안, 온양) 내의 지역복지회관을 방문한 65세 이상 노인 250명을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총 237명이 질문지를 완성하였으며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단변량분석과 상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을 포함시켜서 단계적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종속변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이며, 독립변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의료에 대한 지식 및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 모든 응답자들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평균점수는 2.33점이었으며, 연명의료에 대한 평균지식은 1.71점이었다(최대 3점). 모든 하위변수 중에서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지식은 1.60으로 가장 낮았다.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영향력이 가장 강한 요인은 연명의료에 대한 지식이었다(β=0.298, p<0.001). 그 다음으로는 자녀없음(β=-0.203, p<0.01)과 죽음에 대해 대화해본 경험없음(β=-0.180, p<0.01)이었다. 결론 : 연명의료에 대한 지식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노인집단에 맞춤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Objectives : In 2016, Korea introduced a law to recognize advance directives (ADs) and to allow patients to determine whether they want life-sustaining ca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complete AD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Methods :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 surveyed 250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visiting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wo cities (Cheonan, Onyang) in Chungnam Province, Korea between September 23 and October 5, 2018. A total of 237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es. A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entering the variable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univariate and correlation analys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intention to complete an A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ttitudes towards ADs, perceived good death, knowledge about life-sustaining car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 The mean score for all respondents’ intention to complete an AD was 2.33 out of 3. The mean knowledge about life-sustaining care was 1.71 out of 3; knowledge about the Life-Sustaining Care Act was scored the lowest at 1.60 of all sub-variables. The most powerful factor influencing intention to complete an AD was knowledge about life-sustaining care (β=0.298, p<0.001), followed by having no children (β=-0.203, p<0.01), and having not talked about death (β=-0.180, p<0.01). Significance of Results : As knowledge about life-sustaining care is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intention to complete an AD, we recomme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s on ADs customized for the elderly population to raise awareness about ADs.

      • KCI등재

        강원도 거주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홍정주,이미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5

        This study was attempted to know the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of adults in Gandwon-do province. Data was surveyed from 60 adults in Gangwon-do province by 42 item questionnaire for the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Subcategories of Advanced Directives questionnaire were knowledge, preference, experience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 Directiv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24.0. 45% of Participants replied they knew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exactly. They preferred CPR 78.3%, mechanical ventilation 63.3% and blood transfusion 51.7% for their future special life-sustaining treatments. They did not preferred hemodialysis 8.3%, artificial respiration 6.7%, intensive care unit 6.7%, 8.3 percent of participants said that they well aware of Advance Directives. 86.6% of them hoped to write their Advance Directives. Despite such low awareness of the Advance Directives, the intention to write Advance Directives was high.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was very important for the intention to prepare Advance Directives. Therefore, regional programs and education on Advance Directives and periodic survey study for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should be continued. 본 연구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을 알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자료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42문항의 구성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식의 설문지는 연명치료와 사전의료의향서의 지식, 경험, 선호도로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 참여자의 45%가 연명치료에 대해 정확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선호하는 특수연명치료는 심폐소생술 78.3%, 기계 환기 63.3%, 수혈 51.7% 이었다. 연구 참여자가 피하고 싶어 하는 특수 연명치료는 신장투석 8.3%, 인공호흡6.7%, 중환자실 입원 6.7%로 나타났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서는 8.3%만 인지하고 있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86.6%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호의적이었다. 본 연구 참여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준비하겠다는 의도는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수준이 사전의료의향서작성의도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역 프로그램과 교육과 주기적인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년기 성인여성의 좋은 죽음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권영은,김선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여성의 좋은 죽음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경기도 및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4세 이하의 성 인여성 154명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좋은 죽음 인식 50.29±7.92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9.24±3.16점, 42.22±3.92점이었다. 중년기 성인여성의 좋 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r=.34, p<.01)과 태도(r=.42, p<.01)는 모두 양의 상관관 계를 나타냈으며, 좋은 죽음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중년기 성인여성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를 19.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중년기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 의향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좋은 죽음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제공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ood death awareness and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on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middle-aged adult women.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0 to August 30, 2022, for 154 adult women aged 40 to 64 living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ood death awareness was 50.29±7.92 points, knowledge and attitude for advance directives were 9.24±3.16 points and 42.22±3.92 points. Good death awareness of middle-aged adult women and the knowledge(r=.34, p<.01) and attitude(r=.42, p<.01) toward advance directives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and Good death awareness and the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explained 19.1% of middle-aged adult women's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for middle-aged adult women, and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knowledge of good death and advance directives are required.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제도의 발전적 전개를 위한 방법론의 모색 —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법적 지위 및 역할의 강화 필요성 —

        안동인(Ahn Dongin)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1 행정법연구 Vol.- No.65

        우리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추세를 감안할 때, 고령인구에 대한 이른바 생애말기 의료체계의 구축과 점검이 요청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이하, ‘연명의료결정법’이라 함)이 시행되고 있다. 이는 생명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법제화한 것으로서, 생명윤리를 바라보는 국가와 사회의 태도에 있어 일대 전환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연명의료결정법상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이 바로 생애말기 의료체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정당화 근거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은 기본적으로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제시하고 있고, 의학적 기준 등을 고려한 객관적인 상황이나 요건으로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완하고 있다. 한편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을 위한 환자의 의사를 확인하는 핵심적인 근거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인데, 이는 법제화 과정에서 각각 미국의 AD(Advance Directives) 및 POLST(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를 참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AD는 장래에 알려지지 않은 의학적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작성자가 처치받기를 원하는 치료의 유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법률적 문서(Legal Document)인 반면에, POLST는 의학적 긴급상황에서 환자의 진단, 예후, 치료옵션 및 치료목표에 따라서 작성자가 원하는 구체적인 의학적 치료에 대한 내용을 기재한 휴대가능한 의학적 지시(Potable Medical Order)라는 점에서 그 법적 성질 및 내용 등의 차이가 있다. 또한 양자는 서로 선택적 관계나 대체적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보적인 관계에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대한 환자의 의사를 확인하는 선택적 수단으로 기능하며, 내용 면에서도 별다른 차이점이 없는 우리 연명의료결정법상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와는 구별된다. 연명의료결정제도의 핵심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이고, 이를 충실히 고수하기 위해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대한 의사확인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바탕으로 삼는 것이 제도적으로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보다 진지한 검토가 요청된다 할 것이다. 나아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존중이라는 측면에서 향후 연명의료결정법을 보다 일반적인 이른바 「환자자기결정법」으로 발전적 전개해 나가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Given the rapid aging trend of our society, it is demanded to establish and inspect the so-called end-of-life health care system for the elderly population. In this regard,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is currently in force. This legislated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bout life, which can be evaluated as a turning point in the attitude of the state and society towards bioethics. Under the Act, the ‘determination to terminate, etc. life-sustaining treatment’ is the core of the end-of-life health care system. As a justification for this, the Act basically presents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supplements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with objective circumstances and requirements that consider medical standards. Meanwhile, the key bases for confirming a patient"s intention for the determination to terminate, etc. life-sustaining treatment are the advance statemen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It is known that the AD(Advance Directives) and the POLST(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form of the United States were referred to respectively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An AD is a legal document used to provide guidance about what types of treatments a patient may want to receive in case of a future, unknown medical emergency, whereas a POLST form is a portable medical order for specific medical treatments a patient would want based on his/her diagnosis, prognosis and goals of care in a medical emergency. As such, the two are different in their legal nature and content, etc. Furthermore, the two are not in an optional or alterna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but rather operat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distinct from the advance statemen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 under Korean legislation, which function as an optional means of confirming the patient"s intention for the determination to terminate, etc.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terms of content. The core of the system of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s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order to faithfully adhere to this, it is judged that it is institutional reasonable to confirm the determination to terminate, etc. life-sustaining treatment based on a advance statemen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fore, a more serious review of this aspect is requested in the future. Furthermore, in terms of more active respect for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developing the Act into a more general so-called ‘Patient Self-Determination Act’ in the futur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지식, 태도와 연명의료중단 태도

        허성수(Huh Seong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지식, 태도와 연명의료중단 태도 정도를 확인하고 각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12월 12일부터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지식은 9점 만점에 7.06점, 태도는 4점 만점에 3.06점,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5점 만점에 3.29점으로 나타났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지식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r=.69,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는 연명의료중단 태도(r=.31,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중단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192 students at two schools of nursing, located in G city, from December 12 to December 21,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 program.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ean scores for knowledg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were 7.06/9.0 and 3.06/4.0, and for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3.29/5.0.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r=.69, p=<.001).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r=.31, p<.001)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right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and develop effective nursing ethic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비교

        박정아 ( Jeong A Park ),정덕유 ( Duk Yoo Jung )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Health & Nursing Vol.25 No.2

        본 연구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을 비교하고 파악하여 의료인에게 정확한 인식과 가치관 확립을 도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하고자 시도 되었다. 연구 결과 의료인의 대부분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은 아직까지 낮으나 제도화에 대해서는 대부분 찬성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근 보건복지부(2010)에서 발표한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서도 의사가 97%, 간호사 95%가 찬성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사전의료의향서는 서면에 의한 작성을 원칙으로 하지만 예외조항으로 본인 의사임을 증명할 수 있는 경우 구두에 의한 의사표시도 사실상 인정된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간호사, 의사 전체 62.2%가 구두 사전의료의향서의 효력이 없다고 보고 된 것으로 보아 아직까지 의료인들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새롭게 변화되는 법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간호사의 경력과 근무부서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인 본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를 경험을 통해 습득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경력이 많은 수간호사나 주임간호사가 경력이 낮은 일반 간호사보다 연명치료 중단 결정에 있어서 간호사의 적극적 역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인 것과 비슷한 결과이다(Byun, Choi, Choi, Hong, Kim, & Kim, 2003).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임종을 경험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의료인이 갖추어야 하는 사전의료의향서와 관련된 의료윤리와 법제나 변화 되는 합의내용에 대한 지속적 습득을 통해 임종환자와 그 가족들의 상담자와 옹호자로서 주체적 역할을 완성하여야 할 것이며 의료적 의사결정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전의료의향서의 의사결정자로는 전체적으로는 ‘환자와 가족이 같이 결정해야 한다’가 가장 많았다. 이 결과는 Sun 등(2009)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치료결정의 중심에 환자 스스로의 결정도 중요하지만 가족참여 형태의 의사결정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ee(2012)는 환자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고 환자를 잘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가족에게 의학적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의료인은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가족과의 의학적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합의점을 찾아내어 그에 따른 치료과정을 준수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의료인들은 편안한 죽음에 대한 협조를 구하는 생전유언장에 대해 대부분 찬성하였고 말기 상황 지속적 치료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기 상황 심폐소생술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 이유에 대해 ‘무의미한 생명연장을 원치 않아서’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선행 연구에서도 ‘환자가 살 가망이 없다는 것을 알고 모든 치료를 거부할 때 환자의 뜻을 받아들이는 것이 옳다’라는 항목에 대해 간호사 79.5%, 의사 79.2%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무의미한 생명연장에 대해 반대하는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Lee, 2007). 이것은 의료인은 환자를 가까이 돌보면서 그들의 고통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무의미한 치료로 인한 고통보다 자신의 결정에 따른 존엄한 죽음에 대한 선택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문제는 의료현장에서 많은 갈등을 초래하고 있지만 생명윤리와 직결된 문제로 쉽게 논의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임종 단계에서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하여 사전의료의향서의 활성화와 제도적 정착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또한 이를 위하여 의료인은 환자와 가족들이 선의의 선택을 도울 수 있도록 정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확립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baseline data in order to develop an ethic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help the establishment of accurate perception and values for health care provider by comparing perceptions about advance directives of intent of doctors and nurses in one general hospital. Method: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study was from April 30, 2012 to May 25, 2012 and it targeted 94 doctors and 154 nurses who work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Incheon, were asked about ADs, including Do-Not-Resuscitate (DNR), medical power of attorney, living will and medical options. Result: 77 nurses(53.1%) and 61 doctors(64.9%) were unfamiliar with the perception of the advance directeves, after explaining it, 141 nurses(97.9%) and 86 doctors(91.5%) agreed with advance directeves. The majority of the nurses and doctors were not clearly perception about the advanced directives. But nurses and doctors wish to receive comfortable and painless care.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ethical education program for health care provider in order to establish an accurate recognition about the changing medical treatment ethics and legalization content.

      • KCI등재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윤호민,최윤선,현종진,Yoon, Ho-Min,Choi, Youn-Seon,Hyun, Jong-J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이 연구는 첫째, 입원 당시 호스피스 암환자들이 작성한 사전의료의향서를 통해 연명치료에 대한 선호 및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특성과 연명치료 항목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둘째, 호스피스병동 입원 시 작성한 사전의료의향서의 내용과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간의 일치 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다. 방법: 2008년 3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대학병원 완화의료센터에 입원하여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한 호스피스 암환자 102명의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하여, 그 중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당시 의식이 명료했던($10{\geq}GCS$) 74명을 대상으로 선택항목에 대한 빈도와 환자의 어떤 특성이 항목선택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단변량 로지스틱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그 중 사망한 42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선택과 의료중재의 일치 여부를 대상자 별로 나누어 빈도로 나타내었고, 항목별로는 맥네마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들은 항생제, 정맥영양, 경관영양, 수혈, 검사실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연명치료로서 선호하였다. 환자의 특성과 연명치료 선택과의 상관관계는 연명치료에 대한 편향된 선호로 인해 분석할 수 없었다.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당시 환자가 선택한 연명치료 여부와, 사망 48시간 이전에 실제로 시행되거나 시행되지 않은 연명치료는 거의 모든 경우에서 불일치를 보였다. 결론: 호스피스 암환자들에게 있어서,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은 그 시기도 중요하지만, 환자, 보호자 및 대리인의 선택이 바뀔 수 있음도 고려해야 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하여 작성자가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가이다. 따라서 사회적, 법적 제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 시점의 연명치료는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항상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atients' preferences on receiv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LS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LST selection. We also examined any discrepancy between LST patients' choices regarding medical intervention and actual medical intervention given/not given within 48 hours before death.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from March 1, 2008 to August 31, 2008 in the Palliative Care Unit of Korea University Hospital. Electric medical records (EMR) of 102 hospice cancer patients were reviewed, and 74 patients with Glasgow coma scale (GCS) ${\geq}$10 at the time of signing the advance medical directives (AMD) were selected for the first analysis. Then, patients alive at the end of this study, transferred to other hospitals or dead within 48 hours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42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e second analysis. Results: Preferred LST included antibiotics, total parenteral nutrition, tube feeding, transfusion, and laboratory and imaging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LST could not be analyzed due to skewed preferences. LST chosen at the time of signing the AMD and actual medical intervention given/not given in the last 48 hours showed discrepancy in most cases. Conclusion: When making AMD in hospice cancer patient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ime and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hoices. Above all, patients must fully understand the AMD. Thus, LST should always be provided with careful consideration of all possibilities, because legal and social aspects of AMD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이용화 ( Yonghwa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방법은 자가설문지법을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G시 소재 간호대학생을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6월 1일부터 6월 10일이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5점 만점에 2.94점, 연명치료 중단 후 수행할 수 있는 의료중재 범위에 대한 지식은 13점 만점에 평균 5.39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14점 만점에 10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2.86점으로 나타났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전연명의료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므로 예비의료인인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포함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관련 교과목은 물론 병원 현장과 다양한 현장에서 간호대학생들의 교육 요구도가 있을 시 언제든지 학습할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to life-sustaining and advance medical directives. The study was a cross-sectional and descriptive survey. This survey was used to gather self-reported data from nursing students in G-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1 to June 10, 2019, and analyzed SPSS/WIN 23.0. The score for life-sustaining attitudes was 2.94, knowledge of medical intervention after stop life-sustaining treatments was 5.39, knowledge advance medical directives was 10.00, attitudes of advance medical directives was 2.86. A positive correlation was knowledge of advance medical directives between attitudes of advance medical direc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on ‘Acts on decision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at the end of life’ in students nursing.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간호스트레스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식

        엄정경(Um, jung-kyung),서길희(Suh, gil-hee),박선아(Park, sunah) 한국생명윤리학회 2018 생명윤리 Vol.19 No.1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 및 사전연명의 료의향서 인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환자실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는 3.23점(5점 만점)으로 연명의료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에 가까웠으며,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는 3.74점(5점 만점)으로 중간수준 이상이었다.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정도는 자신입장인 경우 2.45점(4점 만점), 가족의 입장인 경우 2.63점(4점 만점)으로 간호사 자신이 아닌 가족의 입장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5.27, <.001).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식과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r=-.218, =.014) 사전연명의료의 향이 낮을수록 간호스트레스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식과 간호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주며, 이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연명의료관련 지침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또한 간호사의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개발을 위해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to gather self-reported data from 127 ICU nurses from general hospital.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attitude on life-sustained treatment was 3.23 and stress was 3.74. The mean scores of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were 2.45 from the viewpoint of nurses, while 2.63 from the viewpoint as family members of nurses. The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of nurs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r=-.218, =.014).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 order to help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play a role as a mediator when they sign the advanced directives. Moreover, nursing intervention needs to be developed to analysis the predisposing factors for stress on life-sustained treat meant and reduce the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