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민복기(Min Bog-Ki),백은주(Baik Eun-J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4 No.-

        본 연구는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경력, 연수 경험, 컴퓨터 사용 능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 및 요구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공사립 유치원 교사 400명이며, 사용된 도구는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이다. 연구 결과 첫째,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사이버연수 경험 유무에 따라 필요성, 관심, 참여의사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이버 연수 시간과 시기, 교육방법, 평가방법 등에 대해 이전에 경험한 것과 앞으로의 요구는 유사했으나 연수 주관기관에 대해서는 사설 연수기관에서의 이전 경험이 많은 반면 도 교육 연수원에 대한 요구가 보다 높았으며,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컴퓨터 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이전 경험이 많은 반면 인성과 창의성 교육, 부모 교육 등에 대한 요구가 보다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cyber education by their career, experience of cyber education, computer literacy. For this empirical study, 400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dealing with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cyb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more experience teacher on cyber education, more like to participate in it. Second, The teachers' experience and needs of time, period, and method in cyber education were similar. A lot of teachers took part in cyber education at private or university cyber education center. Bu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it at province education center, university center. The teachers had learned computer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cyber education. However, they would like to learn creativity education, parent education, consultation, and psycholog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서우석,정철영,이재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blended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s environmental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and e-Learning contents, and experts conference. And, Contents validity was evaluat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Contents development stage was confirmed five stage: ① foundational analysis, ② planning, ③ design, ④ production, and ⑤ evaluation. The goal of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was stated 'environmental professionality uplif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developed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sisted of 3 domains : (1) Found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2)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 (3) Strategy f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ontents of each sessions were selected considering synthetically objectives, themes and compon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ructured of 62hours Course totally. Developed Contents evaluated by 8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according to 10 evaluation item of total contents and contents development structure. In result, it evaluated comparatively high score.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및 제언이 연구를 통해 환경교육의 목적 및 목표, 내용체계, 대상별 환경교육 등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에서 시작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육 및 연수 인터넷 콘텐츠를 수집분석하였고, 실제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는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에 의한 세부적인 검토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회를 개최함은 물론,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동화작가에게 의뢰하여 시나리오 및 나레이션을 보다 쉽고 보다 타당성 있는 초등학교 교사용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를 개발하였다.국내·외 환경교육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여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의 궁극적인 목적은 ‘초등학교 고사의 환경교육 전문성 제고’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문제점과 사이버 연수 콘텐츠의 개발 및 설계를 위한 체계적인 절차 및 과정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전체 62차시로 개발되었고, 크게 ① 환경교육의 기초, ② 환경의 이해, ③ 학교 환경교육 전략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이 콘텐츠는 SCORM 방식에 기반 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재사용성, 접근 용이성, 상호호환성 및 내구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이 콘텐츠를 활용하거나 추후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첫째, 개발된 콘텐츠를 초등학교 교사가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 및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부의 홈페이지나 교육대학의 원격연수센터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 콘텐츠는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학습자와 운영자간의 상호작용이 요구됨으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둘째, 국가 또는 환경부 차원에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콘텐츠뿐만 아니라 이미 개발된 콘텐츠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부 차원에서 U(Ubiquotous)-포털 사이트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용뿐만 아니라 교사용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셋째,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추후에는 중학교, 고등학교의 교사를 위한 사이버 연수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대학 및 성인을 위해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담당자를 위한 콘텐츠 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급별 환경교육 목적, 목표 및 내용체계를 고려하고, 개발 틀을 고려하여 상호 연계된 콘텐츠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사이버 교원 연수의 운영 실태 분석 - 국내 사이버 교원연수기관을 중심으로 -

        김경현,정미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사이버 교원 연수의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운영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사이버연수의 질 관리 방안 문제가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교원연수에 실제 참여한 교원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교원연수원 운영 과정과 신규 컨텐츠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 사이버 교원연수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실태분석 결과에 의하면, 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은 명제적 지식 전달 위주의 강의에서 탈피하여, 개별화되고 다양성이 있으며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제공해 주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교육환경에서 경험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 학습자와 학습내용간의 상호작용의 확대와 학습자 상호간의 지식 교류와 대화를 촉진하게 하는 사이버 교수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사이버 교원 연수 담당자와 교수자는 사이버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능력을 파악하여 적합한 교수접근 방법을 구안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원격연수 실태 및 교원의 인식 분석: 교원의 집단별 특성에 따른 연수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 분석을 중심으로

        안홍선 ( Ahn Hong-seon ),박현주 ( Park Hyun-joo ),조상식 ( Cho Sang-s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교원교육 환경에서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면대면 집합연수에서 온라인 원격연수가 지배적인 형태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그러나 원격연수가 양적으로 확대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이러한 변화가 교원의 연수에 대한 태도나 인식에서 어떠한 변화를 낳고 있는지에 관한 논의도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먼저, 교육 환경 변화로 인한 교원의 연수 현황과 원격연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원격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원격연수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를 비롯하여, 개선에 관한 요구 분석이 주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원격연수 활성화와 연수제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교직 경력, 보직 여부, 성별 등에 따른 교원의 개인 특성 분석을 염두에 두고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먼저, 교원의 연수 실태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상이한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원격연수 비중은 교육기본통계조사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으며, 또한 연수 주제에서도 교양·취미 분야에 편중된 것도 아니었다. 다음으로,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 등에서 교원 집단 간의 서로 다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교원이 중·고등학교 교원보다 연수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긍정적이었으며,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초임교원이 다른 경력집단의 교원보다 연수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한편, 본 연구의 조사는 다른 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확인해 주기도 하였다. 즉, 자발적 동기에 의한 참여 집단이 비자발적 참여 집단에 비해 강좌 진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연수의 결과 활용도는 다른 무엇보다도 강좌의 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로부터, 원격연수 개선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연수 강좌 및 프로그램 개발에서 반드시 학교급과 교직 경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동일한 강좌를 개발하더라도 학교급을 구분하여 각기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초임교원의 교직 적응 및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과정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온라인 교육이 갖는 장점을 최대한 발현시키는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다. 시·도교육청 단위의 구획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스템 개방 또는 연계 방안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원격연수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는 방편으로 집합연수 시간을 일부 삽입하여 혼합연수 형태를 확대하는 시도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오히려 프로그램 및 시스템 개발을 통해 면대면 교육의 장점을 온라인상에서 구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 decisive change in the area of teacher education, and online training has become a dominant training tool replacing face-to-face training. Despite the rapid expansion in quantity, the current states of distan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se programs are relatively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the current states of teachers’ use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s, and (b)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distance education programs, and utilization of the program contents in their everyday teaching practice. Online survey with 4,000 teachers nationwide revealed some findings contrary to those in the current National Education Statistics. Distance training was found to be the most widely-u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surpassing face-to-face training. Teachers selected distance learning courses related with pedagogy/teaching, guidance/counseling, or mandatory programs over courses about general education or hobbi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stently repor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th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Also, teachers in the beginning stages showed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distance training programs. Additionally, we found som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Those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involved distance education courses more actively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voluntarily. Utilization of the distance training programs in teaching practice heavily depended on the course themes. Implication of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in light of future direction of dista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사이버 발명교육 직무연수 콘텐츠(“발명세계에서 살아남기”) 개발

        김용익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yber contents(survival in the invention world) for invention education job train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development research, and experts' meeting. Contents were developed at the type of ‘Blended Learning’ to get over the limits of only on-line training. Five modules(54 hours) for on-line training and one module(6 hours) for off-line were developed. Five modules for on-line were ‘invention theory’, ‘creativity development’, ‘operation of invention class(club)’, ‘basis of knowledge property’, and ‘drawing invention’. And, one module for off-line was ‘project of making a knowledge property’. First of all, concrete subjects for the development of cyber contents were chosen through several experts' meetings. Storyboard amounting to 1,000 pages at the Power Point was prepared by professional instruction designers. And then, Cyber contents for job training in the invention education was developed at the base of the storyboard. Finally, textbook which was made of more than 500 pages was developed for on-line trainee. The contents developed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in the invention education, to lead the invention education into the new paradigm, and to improve an image of the invention education. 이 연구는 교사들의 발명소양 함양을 위하여 사이버 발명교육 직무연수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으며, 개발 내용 주제의 선정, 스토리보드의 작성, 사이버 콘텐츠 개발, 교재 개발 등이 구체적인 연구의 목표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적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개발 연구, 전문가 회의 등이었다. On-line으로만 이루어지는 연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off-line과 혼합된 ‘블랜디드 학습(Blended Learning)’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On-line의 학습내용 범위는 5개 모듈에 걸쳐 27개 회차명(54시간)으로 구성하였고, off-line의 경우에는 ‘지식재산 만들기 프로젝트(6시간)’ 라는 명칭으로 Visual Thinking Tool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사이버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콘텐츠에 담을 내용 주제를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선정하였으며, 다음으로 PP자료 1,000여 쪽에 달하는 스토리보드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이버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였고, 또한 수강생들이 수업에 참고할 수 있는 교재(A4 용지 500여 쪽 분량)를 개발하였다. 이번에 개발한 콘텐츠는 사이버 발명교육 직무연수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새로운 차원에서 발명지도교사 교육을 선도하는 파급 효과가 예상되며, 참신한 내용의 개발로 발명교육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 개발 및 적용

        서혜애,송방호,박종렬,권덕기,윤기순,김순남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개혁을 보다 효율적으로 성취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로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효율성 높은 사이버 연수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사 대상 연수의 현황 및 행재정 지원체제를 분석했고, 사이버 연수의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탐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사이버 연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체제를 모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했다. 또한 한국-이스라엘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창의성 계발 교수학습방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했고, 이들의 전문성이 어느 정도 성장되었는지를 분석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안)을 개발했으며, 시범운영과정을 통해 개선방안을 탐색한 후, 최종 모형을 개발했다. 본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준비, 기초, 실습, 적용, 평가, 심화의 6단계로 구성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연수자 중심 수업현장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실제문제 탐구중심학습모형과 구성주의학습이론에 기반을 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참여 교사들이 지도교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여 새로이 참여하는 교사들을 지도하고 격려하도록 함으로서 학습자 공동체를 구축하고, 사이버 상 지속적 상호의견 교류 정보교환을 통해 온라인 학습자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이와 같은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우리나라의 기존 연수의 비효율성을 극복함으로서 효율성 높은 교사 연수 모형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원격교원연수의 의의와 발전과제 : 방송대를 중심으로

        김경화,김재웅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방송대에서 운영한 바 있는 ‘열린교육중등교원 사이버 연수’의 사례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원격교원연수의 효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원격교원연수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원격교육을 통한 교원연수는 연수기회 확대, 시간 활용, 연수경비 절감, 연수의 질적 향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나, 학습자 및 교수자, 운영자와의 상호작용 및 피드백 장치가 미흡하였다는 점, 인터넷 교육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였다는 점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향후 원격교원연수를 활성화하기 위한 발전과제로 1) 정부의 정책지원 강화, 2) 원격교원연수기관 간의 협력체제 구축 3) 학습자 지원체제 구축 4) 연수평가체제 확립 5) 인터넷의 적극적 활용 6) 교육부 및 교육청과의 협력 강화를 통한 체계적인 홍보 전략 수립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성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S대학교의 비대면 실시간 연수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 따라 비대면 실시간으로 실시한 인성교육 교원 연수가 얼마나 실효성 있는지를 확인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도 지속 가능한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총 45시간의실시간 원격연수 프로그램으로 설계한 후, ZOOM을 활용하여 운영하였다. 구체적으로 S대학교는 기존 집체교육으로운영하였던 인성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오리엔테이션(2h), 온라인 집중연수(20h), 현장적용(20h), 결과보고회(3h)의4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비대면 실시간 연수 프로그램으로 재구조화 하였다. 연수 대상은 교원 6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연수 프로그램의 적정성, 만족도, 현장과의 연계성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인성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은 인성교육 교원 연수로써 적정하며 둘째, 만족 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학교현장과의 연계성이 높고, 현장 수요를 반영한 연수 과정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인성교육 교원실시간 원격연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집체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더 실효성있는 인성교육연수를 위해서는 운영 방식에 대한 고민 이외에도 연수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재외 한글학교 교사 사이버연수 과정의 현황과 과제 -만족도 설문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육효창 이중언어학회 2013 이중언어학 Vol.52 No.-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training courses for overseas Hangeul School teachers (the training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which have been successfully held for 5 times since 2009, after Digital Seoul Culture Arts University and Overseas Koreans Foundation made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in Feburary, 2009, for overseas Koreans’ education. The research is also intended to seek for the educational tasks and the future improvement of these courses, by analyzing the satisfaction survey. Therefore, following the introduction in the 1st chapter, the 2nd chapter focuses on the overall contents of the online training courses for Hangeul School teachers. The 3rd chapter anaylzes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course trainees. The 4th chapter seeks for the future task and improvement of the training courses, as the 5th chapter suggests the conclusion. The management methods, which were studied in this research, are believed to pave the right way for the online training courses for Hangeul School teachers(the training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Lastly, although the number of the trainees of the online training courses for Hangeul School teachers (the training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has approximately reached 800 around the world, only a few of them have finally passe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uthorization test ― written tests and interviews included ― and acquired the 3rd level of the Hanguel school teacher certificate. This proves the fact that the basic conditions are not well facilitated for Hangeul School teachers to take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ficiency tes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official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government-related institutes to have keen interests in the shortage of Hanguel School teachers and contemplate a more active solution. These organizations includ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which administer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ficiency tes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hich is in charge of qualifying Hangeul School teachers and issuing the Hanguel School teacher certificates, Overseas Koreans Foundation, which has provided the online training courses for Hangeul School teachers (the training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