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속사씨남정기』의 서지ㆍ국어학적 연구

        백두현(Paek Doo-hyeon)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사씨남정기」의 속편 「속사씨남정기」를 소개하고 이 책이 필사된 연대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논문에서 소개한 자료는 「속사씨남정기」 상권 1책과 「사씨남정기」 하권 1책이다. 현재 2책만 전해지지만 원래 이 자료는 「속사씨남정기」 상하 2책과 「사씨남정기」 상하 2책으로 구성되어 있었을 것이다. 이 책의 표지능화문은 내표지로 쓰인 사격만자문과 외표지로 쓰인 귀갑문 두 가지이다. 이 문양이 쓰인 시기를 고려할 때 이 자료는 18세기 중ㆍ후기 혹은 그 직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필사 양태를 분석한 결과 「사씨남정기」 하권에는 다른 사본을 보고 전사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글자의 중복, 글자의 도치 등의 현상이 발견된다. 그러나 창작본인 「속사씨남정기」 상권에는 이런 종류의 필사상 실수가 발견되지 않는다. 「속사씨남정기」와 「사씨남정기」의 사건 전개와 이야기 구성을 분석해 본 결과 속편의 창작자는 속편의 사건 전개를 고려하여 전편의 내용을 일부 개작한 점이 발견된다. 속편 창작자가 전편을 부분 개작하여 속편의 스토리와 그 모티브를 맞추었던 것이다. 이 점은 고전소설 전공자가 더 연구해야 할 부분이다. 언어 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자료에는 동사 어간말의 ㅺ>ㄲ 변화가 일어난 ‘?-<닦-’과 같은 예가 나타난다. 이 점은 18세기 중ㆍ후기 문헌의 양상과 일치한다. ‘알?’(前)가 ‘압?’로 변화한 예가 이 자료에 나타나는 바 이 점 역시 18세기 중기 이후의 문헌의 출현 양상과 같다. 이 자료에서 ㄷ구개음화 실현율을 통계 처리해 보니 「속사씨남정기」에서는 0.07%에 불과하고, 「사씨남정기」에서는 이보다 더 낮은 0.02%를 보여 준다. 이러한 실현율은 그 수치 자체가 이미 구개음화에 있어서 발생의 초기 단계를 보이는 것이다. 이 수치는 1760년대에 저술된 왕실 문헌의 ㄷ구개음화 실현율이 8.66%인 점과 비교해 보면 매우 낮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ㄷ구개음화를 근거로 보면 이 자료는 1760년대보다 앞선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속사씨남정기」는 남부방언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 18세기 중기의 서울방언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의 변화에 있어서 이 자료는 매우 보수적이다. 어두 환경의 、<ㅏ의 변화에 있어서 이 자료는 18세기 중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 준다. 이 자료에는 진정한 의미의 、<ㅏ 변화를 실현한 예가 없다. 「속사씨남정기」의 창작 시기가 18세기 후기 혹은 19세기 초기라면 、의 변화가 이처럼 드물게 나타날 리가 없다. 、<ㅏ 변화를 기준으로 볼 때 이 문헌들은 18세기의 중기경 혹은 그 이전에 창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원순모음화에서 ‘더부러’, ‘?려’ 등의 예가 나타난다. 원순모음화는 필사본의 특성상 계랑화하기 어렵다. ‘더부러’ 등의 출현 양상으로 보아 이 자료의 원순모음화는 18세기 초기의 상황과 부합된다. 끝으로 이 자료에 나타나는 특이한 어휘, ‘기애’, ‘져형’, ‘밧골항’, ‘우믈디-’, ‘모착더’, ‘?디워’, ‘조으라와’, ‘?리미러’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위에서 밝혀진 여러 사실을 근거로 하여 필자는 「속사씨남정기」의 필사연대를 18세기 중기경 혹은 그 직전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대는 사실상 이 작품의 창작 연대일 가능성이 높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Sequel to SassinamjeungKi to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 and literature at the wake of my finding of this literary piece, and also to provide its presumed chronology through a bibliographical and linguistic analysis of this literary work. Presumably, each of the two Korean old novels, SassinamjeungKi and Sequel to SassinamjeungKi originally consisted of two volumes, hence making four volumes altogether. However, the volumes dealt with in this paper are limited to the first volume of Sequel to SassinamjeungKi and the second volume of SassinamjeungKi. Two kinds of cover designs used in the paperback of Sequel to SassinamjeungKi and SassinamjeungKi, Slide Man]A pattern(斜格卍字紋) and Tortoise Shell pattern(龜甲紋) reveal that these novels were written in the mid 18th century: the Slide Man]A pattern was commonly used toward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while the Tortoise Shell pattern was often used ranging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 the mid 18th century. The cover pattern that was originally used in these two volumes was the Tortoise Shell pattern, but later on these volumes were newly covered with Slide Man]A pattern as the original cover became worn out. Phonological aspects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further narrows down the chronology of the old novels Sequel to SassinamjeungKi and SassinamjeungKi, 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change of stem final consonant 'sk>kk'(ㅺ>ㄲ) takes place in Sequel to SassinamjeungKi, as shown in 'task>takk'(?>닦). Historically, this change is observed in the mid to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in Korean literature. The change of 'alphΛi>aphΛi', as observed in Sequel to SassinamjeungKi, lends further support to the assumption that it was written in the mid 18th century, since similar phonological change took place around that time, as evidenced by the 18th century Korean literature. Second, the percentage of the realization of t palatalization turns out to be only 0.07% in Sequel to SassinamjeungKi, and 0.02% in SassinamjeungKi. This poor rate shows that t palatalization was in its early stage of phonological development. This rate counts very low, even when compared with Korean royal literature written around 1760. This leads to the assertion that Sequel to SassinamjeungKi was written before 1760. Third, non existence of the vowel 'Λ' (?) change in Sequel to SassinamjeungKi provides another basis to argue that this novel was written around the mid 18th century. With the exception of , pΛrΛm>pΛram'(??>?람) case, which had come into existence since the 15th century, there is no word in Sequel to SassinamjeungKi that shows the vowel 'Λ'(?) change. Fourth, post labial rounding of vowel provides further support to the assertion that this novel was written around the mid 18th century. Vowel rounding as shown in the examples 't?pir?>t?pue?'(더브러>더부러), and 'p'iry?>p'ury?'(?려>?려) is a historical sound change taking place from the first part of the 18th century. A closer examination of Korean transcription in SassinamjeungKi shows that Korean alphabets are repeated or inverted here and there in the volume. This explains that this novel was not a creative work but a copied version. By contrast, such mistakes are not observed in Sequel to SassinarnjeungKi, which proves that this volume is a creative art piece. Based on both bibliographical and phonological accounts, this paper draws the conclusion that Sequel to SassinamjeungKi was written around the mid 18th century or right before that period.

      • KCI등재

        한시(漢詩)로 읊은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의 분석-

        류준경 ( Jun Kyung Ryu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본 논문은 「사씨남정기」를 서사한시로 읊은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씨남정기 의 수용양상과 한시화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작품의 창작시기와 창작의 원천이 된「사씨남정기」 의 텍스트의 성격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은 대략 18세기 중반경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며, 창작에 참조된 사씨남정기 원텍스트는 김만중이 창작한국문본 계열이 아닌, 김춘택이 한문으로 번역한 「사씨남정기」 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작품의 서사적 특징에 대해 「사씨남정기」 와의 서사의 차이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씨의 남정 부분만 사씨의 시점에서 서술되고, 나머지는 모두 유연수의 시점에서 서사가 구성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씨남정기」 에서 주요하게 나타나는 교씨의 문제에 대해 크게 주목하지 않고, 주로 유연수와 사씨의 만남과 이별의 과정을 주요하게 처리하는 특징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그 만남과 이별의 과정에서 유연수와 사씨가 서로에 대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토로하는 부분이 부각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러한 면모에 따라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는 「사씨남정기」 와는 구별 되는 주제의식을 구현하게 되었다. 가부장제의 모순이나 축첩제의 현실 등이 작품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사씨와 유연수의 만남과 헤어짐, 그리고 그 속에 나타나는 두 사람의 사랑이 부각되었다. 부부가 겪은 여러 고난과 그속에 피어나는 서로간의 사랑의 감정이 작품의 주지로 나타난 것이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주인공 사씨의 형상은 「사씨남정기」 에 나타나는 이념적 인물이 아니라, 보다 생동감 있는 인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18세기 향촌사대부의 「사씨남정기」 읽기의 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서사한시 창작을 통해 새로운 사씨남정기를 구현하는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Yu Jin-Han`s 「Yuhalim-Yung-Sabuin-Go-Sadang-ga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 is a narrative poem of 「Sasi-Namjung-gi謝氏南征記」 in Sino-Korean in the late Chosun. I tried to analyze the narrative feature and the meaning of the poem. First, I investigated the identity of the original text. As a result, I could know that he had read 「Sasi-Namjung-gi謝氏南征記」 that Kim Chun-Taek金 春澤had had translated into Sino-Korean. And then I analyzed the feature of the narrative world in the poem. I uncovered that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meeting of Yu Yunsu劉延壽 and Sasi謝氏was figured in this poem. And that the distinguished feeling of love between them was stood out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Sasi, who had been an ideal type in the character in 「Sasi-Namjung-gi」, changed into the lifelike character. These features are an aspect of a nobleman`s reading of 「Sasi-Namjung-gi」 in 18th century and a new 「Sasi-Namjung-gi」 which was embodied as a narrative poem.

      • KCI등재

        <사씨남정기>를 통해 본 소설사의 전변의 한 국면 - 사씨 형상의 형성배경과 의미

        류준경 국문학회 2015 국문학연구 Vol.0 No.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quiry an aspect of the shifts and changes in history of novel in 17th century.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could know as belows. Kim Man-jung金萬重 wrote Sasi-Namjung-gi 謝氏南征記 for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of females. By the way he formalized the female character who incarnated moral universality not the submissive female character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 of composition of classical Chinese poem. This is why Kim Chun-taik金春澤 translated Sasi-Namjung-gi 謝氏南征記 to classical Chinese. As a result, this work had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of females but the meaning of this work became enlarged as the work for males themselves. But the character of Sa Jung-ok謝貞玉, who incarnated moral universality, had been enjoyed vulgarly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Kim Chun-taik金春澤. 본 논문은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17세기 소설사 전변의 한 국면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김만중의 국문창작, 김춘택의 한문번역, 그리고 사씨 형상의 수용과 변용 과정 등을 주목하고, 동시에 국문/한문, 여성/남성, 비속/전아 등이 서로 얽히는 과정을 중시하여 17세기 소설사 전변의 한 국면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녀자들이 ‘비속’한 국문소설을 향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만중은 부녀자에 대한 교화를 목적으로 <사씨남정기>를 창작하였다. 여성들이 향유하던 국문소설에 남성의 의도가 결합되어 새로운 국문소설이 출현한 것이다. 동시에 이 국문소설은 상층 남성의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이전의 비속한 국문소설과 다르게 문체와 내용면에서 ‘전아’한 모습을 보였다. 그런데 김만중이라는 작가의 문화적 배경과 당대 시대상, 그리고 소설이라는 장르의 특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씨남정기>는 여성 교화라는 상층 남성의 의도를 실현하는 국문소설 이상의 의미를 담게 되었다. 김만중의 ‘여성시’를 검토하면, 버려진 여성 혹은 임을 그리워하는 여성에게서 가장 근원적인 도덕심이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학적 인식이 작동하여 <사씨남정기>의 사씨를 근원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을 구현하는 인물로 형상화하게 되었다. 단순히 예의범절을 실천하는 ‘모범’적인 여인을 넘어서 보편적 주체성을 구현하는 이상적 인간형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이는 새로운 여성 인물 형상의 창출에 한문학[여성시] 전통 속에서 마련된 여성의 이미지가 영향을 끼친 것이다. <사씨남정기>의 사씨가 담지한 이상적 면모로 인해, 김춘택은 <사씨남정기>를 여성을 위한 국문소설로만 남겨둘 수 없어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남성에 의한, 여성 교화를 위한 작품이 남성에 의한 남성의 세계인식을 표현한 작품으로 전변한 것이다. 그런데 한시와 달리 소설적 형상화는 새로운 문제를 담지하게 된다. 사씨의 형상화 과정에서 자율적 판단에 따른 도덕 원칙의 내면화와 그 원칙의 주체적 구현 과정이 드러남으로써 도덕적 주체성을 구현하는 형식은 드러났지만, 가부장제 질서를 인정하는 한 여성의 주체적 도덕 원칙이 불가능하기에 도덕적 주체성의 내용적 모순성 또한 드러나게 된 것이다. 이는 소설이라는 장르 특성 상 당대 현실이 반영될 수밖에 없기에, 아내의 자리에서 이상적인 도덕 주체를 구현하려 한 김만중의 의도의 한계가 드러난 것이다. 그런데 김만중이 형상화하고 김춘택이 강화한, 이상적 도덕 주체인 사씨의 형상은 김춘택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통속적으로 향유되었다. 사씨 형상의 영향이 강하게 감지되는 <창선감의록>의 남채봉과 사씨를 비교할 경우, 남채봉의 형상에서 보편적 주체의 면모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동시에 18세기 말 상층사대부의 <사씨남정기> 향유기록에서도 보편적 주체성을 구현한 사씨의 면모를 주목하지 않았다.

      • KCI등재

        여성(女性) 주체성(主體性)을 향한 여정(旅程)-「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다시 읽기-

        유준경 ( Ryu Jun-ky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3

        「謝氏南征記」는 謝氏의 行爲가 內面化한 價値를 遂行한 主體性의 具現임을 ‘觀音贊’의 讚揚-確認 構造로 드러낸다. 또한 謝氏는 順從과 勸勉/諫言의 도덕원칙을 실천한다. 먼저 勸勉/諫言으로 蓄妾의 권유와 董淸의 반대 등을 실천하였다. 하지만 그녀에게 돌아오는 것은 苦難뿐이었고, 그 원인은 아내의 ‘諫言’만으로 남편의 잘못된 判斷을 돌이킬 수 없고, 결국 그 판단을 순종해야만 하는 삶의 原則에 있었다. 하지만 「謝氏南征記」는 이 矛盾的 道德律를 浮刻하는 방향으로 敍事를 진행하지 않았다. 喬氏의 악행을 비현실적인 데까지 강화하여, 極端的인 善惡對立 構圖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謝氏 道德律의 문제보다는 ‘惡’이 ‘善’에 대해 승리하는 현실의 문제를 부각한 것이다. 이에 따라 「謝氏南征記」는 이러한 矛盾的 현실의 문제를 探究·解明한다. 하지만 이 해명은 개인의 차원에서 나타나는 當爲와 現實의 괴리에 대한 회의를 완전히 解消하지는 못하기에, 관음찬의 재회를 통해 결국 도덕적 주체성의 구현은 內面的 價値와 관련된 것이지, 현실의 成敗는 그 다음의 문제일 뿐임을 확인함으로써 해소한다. < Sasi-Namjeong-gi謝氏南征記 > is the work which realize the Ethics identity of a woman through < Kwaneum-chan觀音讚 >. Sasi謝氏, protagonist, practiced the ethical principle of ’Obedience and Expostulation’. But she terribly suffered from difficulties. Although the basic cause of the difficulties is the contradictory ethical code of herself, by intensification of the concubine’s villainies, the question that the good are defeated and the wicked win was magnified in the narrative. So the next process became the explanation of the question-why do the good suffer and the wicked prosper? And the explanation came out as the happy ending and Yibi二妃’s mention that the good should prosper in the end. But the gap of Sollen and Mussen in individual dimension still didn’t be resolved. But the problem was resolved by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ethical identity through meeting < Kwaneum-chan觀音贊 > written by herself.

      • KCI등재

        <사씨남정기>에 나타난 중국 지리의 상징성 연구

        유미란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7 No.-

        This paper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literary geography, examines the rationality and irrationality of the Chinese geographical background in Sasi-Namjung-gi, and divides the spaces shown in the work into voluntary movement spaces and voluntary orientation, and involuntary movement spaces.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Seongdo is a voluntary moving space that Ms Sa chose after being forced eviction by Yoo Yeonsoo for the first time. The fact that Ms Sa does not go to her parents home, but heads to Seongdo, where her parents-in-law's graves are located, shows that she still has a strong sense of being a member of the Yoo family. In Sasi-Namjung-gi, the word Seongdo in the phrase "Below the Cemetery in Seongdo" means inside the capital city of Beijing. Changsha is a voluntary-oriented space that Ms Sa chose after Ms Kyo, Dongcheong, and Laengjin did not allow her to stay below the cemetery of her parents-in-law and expelled her again involuntarily. Ms Sa wants to go to Changsha because there lives Yoo's aunt Ms Du. In other words, the first voluntary-oriented space is the cemetery of her parents-in-law and the second place is where Yoo's close family lives. In addition, Changsha is a space that served as a cradle of Confucian culture and also where Zhu Xi created his teachings. Thus the place suit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oriented Ms Sa. However, due to the storm, Ms Sa cannot reach her destination Changsha; instead, she reaches Dongting Lake. Thereupon, Ms Sa attempts suicide because Dongting Lake is an involuntary moving space, not her voluntary oriented space. Dongting Lake is the most critical geographical space of Sasi-Namjung-gi, and it plays a vital role in conveying the subject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the work. 본고는 문학지리학의 관점에 입각하여 주인공 사씨의 이동경로를 따라가 보는 것을 통하여 <사씨남정기>에 나타난 중국 지리 배경의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따져보고 작품에 나타난 공간을 주인공 사씨의 자발성 여부에 따라 자발적 이동공간과, 자발적 지향 공간, 비자발적 이동공간으로 나누어 보았다. 본고에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성도는 사씨가 유한림에 의해 첫 번째 비자발적 퇴출을 당한 뒤 선택한 자발적 이동공간이다. 사씨가 친정이 있는 신성현에 가지 않고 시부모의 선영이 있는 성도로 향하는 것은 자신은 여전히 유씨 집안 사람이라는 강한 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씨남정기>에서 말하는 “성도 묘하”에서의 성도란 북경 도성을 의미한다. 장사는 사씨가 교씨와 동청, 냉진에 의해 시부모 선영에도 머무르지 못하게 되고 또 한 번의 비자발적 퇴출을 당하자 선택한 자발적 지향 공간이다. 사씨가 장사로 가고 싶어하는 원인은 무엇보다 그곳에는 유씨의 고모인 두부인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사씨의 지향공간은 첫 번째는 유씨의 선영이고, 두 번째는 유씨의 혈육이 있는 곳이다. 아울러 장사는 주자학의 집대성가인 주희를 배출한 유교문화의 산실역할을 하던 공간이므로 장사의 이러한 상징성은 유교지향적인 사씨의 인물성격과도 잘 어울린다. 그런데 장사로 향하던 사씨는 격랑에 의해 장사에 가지 못하고 동정호에 이르게 된다. 이에 사씨는 자살을 기도하는데 이는 동정호는 사씨의 지향공간이 아닌 비자발적 이동공간이기 때문이다. 동정호는 <사씨남정기>의 가장 핵심적인 지리공간으로 작품의 주제의식과 작가의식의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KCI등재

        女性 主體性을 향한 旅程 -「謝氏南征記」 다시 읽기-

        류준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3

        <Sasi-Namjeong-gi謝氏南征記> is the work which realize the Ethics identity of a woman through <Kwaneum-chan觀音讚>. Sasi謝氏, protagonist, practiced the ethical principle of 'Obedience and Expostulation'. But she terribly suffered from difficulties. Although the basic cause of the diffi- culties is the contradictory ethical code of herself, by intensification of the concubine's villainies, the question that the good are defeated and the wicked win was magnified in the narrative. So the next process became the explanation of the question - why do the good suffer and the wicked prosper? And the explanation came out as the happy ending and Yibi二妃's mention that the good should prosper in the end. But the gap of Sollen and Müssen in individual dimension still didn't be resolved. But the problem was resolved by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ethical identity through meeting <Kwaneum-chan觀音贊> written by herself. 「謝氏南征記」는 謝氏의 行爲가 內面化한 價値를 遂行한 主體性의 具現임을 ‘觀音贊’의 讚揚-確認 構造로 드러낸다. 또한 謝氏는 順從과 勸勉/諫言의 도덕원칙을 실천한다. 먼저 勸勉/諫言으로 蓄妾의 권유와 董淸의 반대 등을 실천하였다. 하지만 그녀에게 돌아오는 것은 苦難뿐이었고, 그 원인은 아내의 ‘諫言’만으로 남편의 잘못된 判斷을 돌이킬 수 없고, 결국 그 판단을 순종해야만 하는 삶의 原則에 있었다. 하지만 「謝氏南征記」는 이 矛盾的 道德律를 浮刻하는 방향으로 敍事를 진행하지 않았다. 喬氏의 악행을 비현실적인 데까지 강화하여, 極端的인 善惡對立 構圖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謝氏 道德律의 문제보다는 ‘惡’이 ‘善’에 대해 승리하는 현실의 문제를 부각한 것이다. 이에 따라 「謝氏南征記」는 이러한 矛盾的 현실의 문제를 探究·解明한다. 하지만 이 해명은 개인의 차원에서 나타나는 當爲와 現實의 괴리에 대한 회의를 완전히 解消하지는 못하기에, 관음찬의 재회를 통해 결국 도덕적 주체성의 구현은 內面的 價値와 관련된 것이지, 현실의 成敗는 그 다음의 문제일 뿐임을 확인함으로써 해소한다.

      • KCI등재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 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길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7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idealization aspect of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of Yussisamdaerok劉氏三代錄 in comparison with "Ms. Sa謝氏" of Sasinamjunggi謝氏南征記. The two figures are similar in that they embody the universal moral norms of human characters among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Korean full-length novel, and they experience similar conflict structures due to the hostility of the Concubine or second wife of husband. The creation of the works was similar in that it was created in a relatively early period of Korean full-length novel history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However, Unlike Ms. Sa謝氏 who is closely related to Buddhism and in the level to build a poetry,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has been strengthened in Confucianism and has emerged as a scholar-type person like saint or gentleman. Unlike Ms. Sa謝氏 who is obedient to her husband, in case of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the moral subjectivity is strengthened and the tolerance is maximized. Unlike Ms. Sa謝氏 who is confined company in the private domain,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orks in the public domain and at the same time returns the glory to the family of her husband. Unlike Ms. Sa謝氏 who is getting help from a patriarch or a deceased parents,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showed a difference in that she appeared as a solver of the Yee family with excellent foresight.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is a person who emphasizes moral and political autonomy compared to Ms. Sa謝氏 and poses a positive effect in that she is heighten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women by appearing as the most ideal humanoid form without the right of the director of the performance.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the late Chosun Dynasty had a consciousness that women were equal subjects with men, mainly women with intellectuals, and the reality of the time when they tried to make political writings or to raise public speeches. However,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ho is idealized as an omnipotent and benevolent person like a saint, has a role as a solver that heals and manages the crack of patriarchy. The desire of men who desire absolute comfort or care from idealistic women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extremist turmoil is projected to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hich may be an example of overburdening women. In particular, even if patriarchy works for a corporation, it is a patriarchal system that only a husband exists in case of Ms. Sa謝氏, whereas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has father in law, mother-in-law and many brothers of his husband. 본고에서는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통해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사씨남정기>와 <유씨삼대록>은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의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창작된 장편소설로, 두 작품의 여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사씨와 진양공주는 장편소설의 여성인물 중 남녀 보편의 도덕적 인간형의 표준을 구현하고, 남편의 첩 혹은 둘째부인 등의 적국의 모함으로 인해 흡사한 갈등을 겪는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런데, 불가와의 친연성이 높고 시문을 하는 정도의 사씨에 비해 진양공주는 유교 중심주의가 강화되고 성현군자와 같은 학자형 인물로 등장한다는 점, 남편에게 순종하는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도덕적 주체성이 강화되고 포용력이 극대화된다는 점, 사적 영역에 한정된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공적 영역에서 활약하면서 그 영광을 시가로 환원한다는 점, 돌아가신 시부모나 도승에게 도움 받는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뛰어난 예지력으로 시가의 해결사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진양공주는 사씨를 염두에 두고 고안된 인물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여성인물의 이상화라는 큰 궤적에서는 동궤에 있지만 여러 모로 사씨와 대척점을 지닌 인물로서 형상화되고 있었다. 특히 진양공주는 사씨에 비해 도덕적·정치적 자율성이 강조되는 인물로,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우의 없이도 가장 이상적인 인간형으로 등장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인식을 최고조로 고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의를 갖는다. 여기에는 조선후기 사대부가 지식인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주체라는 자각과 더불어 정치적인 글을 짓거나 상소문을 올려 공적 발언권을 가지려 했던 당대의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사씨에 비해 성녀와 같이 전지전능하고 자비로운 인물로 이상화된 진양공주는 결국 가부장제의 균열을 치유, 관리하는 해결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성찰도 요구된다. 17∼18세기 당쟁으로 인해 극도로 혼란한 시기에 이상적인 여성으로부터 절대적인 위안을 받고 싶은 남성들의 욕망이 진양공주에게 투사되어 있으며, 이는 여성에 대한 과도한 짐 지우기의 한 양태일 수도 있다. 사씨에게는 가부장제가 작동한다고 해도 남편만이 존재하는 단출한 가부장제인 데 반해, 진양공주는 시부모를 비롯한 남편의 숱한 형제로 구성된 거대 가부장제에 포섭됨으로써 진양공주에게 주어진 권한이 시가를 위한 것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장편소설에서는 여성인물의 이상화에 큰 공을 들이며 <사씨남정기>의 사씨를 거쳐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에 이르면 그 극점에 도달하는데, 진양공주와 같이 극도로 이상화된 여성인물은 당대 여성들에게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속사씨남정기>의 성격과 교육적 함의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1 No.-

        이 글에서는 <사씨남정기>의 속편인 <속사씨남정기>를 대상으로 작품의 성격과 교육적 함의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원래 상, 하 두권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은 현재 상권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어렵지만 상권만을 통해서도 작품의 대략적인 성격과 의미를 파악할 수는 있다. 이 작품은 前篇의 중심인물인 사정옥이 사후 초월계에서 여인들의 선악을 다스리는 신으로 좌정하는 이야기와, 신이 된 사씨가 현실계의 투기하는 주씨를 다스리는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인물의 측면에서 전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전편에 등장했던 여러 인물들이 속편에도 등장하고 있으나 그 역할은 상당히 축소되어 있다. 이는 작자가 서술의 초점을 다른 사람이 아닌 사씨에게 집중적으로 맞춰 그 현숙함을 부각시키려 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사건의 측면에서도 전편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씨가 신으로 좌정하는 이야기는 전편의 이비감몽 부분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고, 사씨가 주씨의 투기를 제어하는 이야기 역시 전편에서 그 단서를 찾아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작자는 전편을 사씨의 투기하지 않는 婦德의 실현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이해하여 사씨가 신이 되는 이야기에서는 다른 인물들의 태도와 진술을 통해, 사씨가 주씨를 다스리는 이야기에서는 서사적 장치를 통해 사씨를 다시 평가하고 있다. 이는 이 작품이 투기의 측면에서 사씨의 부덕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고, 이를 통해 여성 독자들을 감화시키려는 의도에서 창작된 작품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이처럼 전편과의 관계와 작품의 성격을 살펴본 결과 이 작품이 충분한 교육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곧 이 작품을 통해 속편 창작이 전편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해석의 능력, 그리고 그러한 이해와 해석의 결과를 서사적으로 형상화하는 능력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방법에 대한 시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는 고전소설 가운데 연작 관계에 있는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ksassinamjeonggi and its educational meanings. Soksassinamjeonggi is the sequel of Sassinamjeonggi written by Kim, Man-jung in the 17th century. Soksassinamjeonggi is presumed to be written in the mid-18th century by obscure writer. This work shows the affairs that Sa, Jeong-ok, the heroine of Sassinamjeonggi experiences in the next world. So this work consists of two stories. One is the process that she becomes the god, and the other is the event that she controls the jealous wives. The characters and incidents of these stories are related with those of Sassinamjeonggi. The author of this work accepted Sassinamjeonggi in the focus on woman's jealous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 wrote this work for estimating Sa, Jeong-ok's female virtues. For writing the sequel precise analysis and personal comprehension of the original work are needed. So writing the sequel can cultivate the analytic and comprehensive abilities. And for writing the sequ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comprehension of the original work must be taken narrative shape. Accordingly writing the sequel can develop the narrative shaping ability. We can find the concrete methods to raise these abilities in Soksassinamjeonggi. In this point we can fin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is work.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related aspects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sequel in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ir educational meanings.

      • KCI등재후보

        < 사씨남정기 >에 담긴 혐오적 시선

        김미령 ( Mi Ryeong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한국 사회에서 ‘계모’와 ‘첩’이라는 두 단어는 언제부터인지 ‘혐오’적 인물로 인식돼 왔다. 이에 본 논문은 가정소설 < 사씨남정기 > 속에 담긴 ‘첩’에 대한 혐오적 시선을 살펴보고자 했다. 우리 사회의 문제의식인 ‘첩’과 ‘계모’에 대한 혐오적 인식을 < 사씨남정기 >를 통해 해석해 봄으로써, 한국 사회를 성찰적으로 재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 사씨남정기 >의 혐오 양상은 첩, ‘교씨’의 잔인한 폭력성과 욕망지향적 성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교씨를 혐오하게 된 궁극적인 이유는 그녀의 악행이 바로 비윤리적, 비도덕적 행위에 근간하고 있다는 점이고, 이러한 행위가 결국은 우리 ‘자신(‘나’)을 보존할 권리와 (‘나’에 대한) 보호 본능의 욕구’에 기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작가 김만중의 < 사씨남정기 > 창작 동기는 ‘부녀자들에 대한 감계’라고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작가는 철저한 선악 대비의 서사 구도를 통해 사씨와 교씨, 두 인물을 ‘선인과 악인’으로 형상화해 내고, 인간이 자신의 욕망 충족을 위해 얼마나 비윤리적일 수 있는가를 ‘교씨’를 통해 입증해 주었다. 게다가 서술자의 목소리, 즉 편집자적 논평을 적극 사용함으로써 ‘교씨’의 사악한 심리를 구체적으로 언급해 독자로부터 ‘교씨’의 혐오성을 부각시켜 내고 있었다. 이러한 서사적 전략은 ‘교씨’를 독자로부터 혐오적 인물로 고착화시켜낼수 있었다. 그러나 문제는 < 사씨남정기 >에 매료되었던 많은 여성 독자들이 ‘첩’ 교씨를 ‘혐오의 대상’으로 인식하면서, 이 인식을 연대하고 확장했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 인식이 확장되면 사회 내부에서 ‘첩’이라는 집단은 혐오의 대상으로 동일시된다. 이것이 바로 ‘집단 혐오’이다. 이러한 혐오 확장이 가능한 이유는 ‘혐오’라는 성향이 갖는 ‘전염’과 ‘유사성’의 법칙 때문이다. ‘혐오’가 윤리와 도덕을 위반한 범죄에 대한 거부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인간’ 또는 ‘특정 집단’에 대한 인식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혐오의식’은 문제적이다. 그런 점에서 < 사씨남정기 >는 당대에 막강한 문화적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 사씨남정기 >의 문학적 힘인 것은 분명하다. ‘Stepmothers’ and ‘mistresses’ have been considered as loathsome people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speculates on this topic. Martha Nussbaum, a philosopher and law professor defined the feeling of loathing as denial of things that make oneself polluted. Furthermore, she reported that loathing is a problem in that it has been used as a powerful weapon in social efforts to exclude specific groups and the people in them. Centering on such a definition of loathing, this study looked at < Sassinamjungki > as a novel on domestic affairs. By analysing the loathsome perceptions of mistresses and stepmothers which present problems in our society through < Sassinamjungki >, this study aims to be retrospective of Korean society. It has been known that Kim Man-Jung, a writer, was motivated to write this novel to make women reflect on themselves. For this purpose, the writer configured Sa and Gyo as a good person and an evil person respectively through narrative composition of a contrast between good and evil, and demonstrated how much people could be immoral to meet their needs through Gyo. In addition, he borrowed the voice of a narrator to criticize the immoral behavior of Gyo to the readers of the novel and make them hate Gyo. Through such a narrative strategy, Gyo has been considered as a loathsome person by readers. However, a loathsome consciousness is problematic in that ‘loathing’ is not confined to denial of crimes which violate ethics and morals but it can be expanded to perceptions of specific persons or groups. The loathsome view used in < Sassinamjungki > contains narrative strategies to make mistresses including stepmothers loathsome. No one is warned that the loathsome view can be expanded into a group loathing consciousness as this novel has exerted literary power. However, it is certain that it is one of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that < Sassinamjungki > brings.

      • KCI등재

        <사씨남정기>의 정서 읽기 교육 연구

        서유경 ( Seo Yu-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0 고전문학과 교육 Vol.20 No.-

        이 연구에서는 <사씨남정기> 읽기를 통해 가능한 정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문학교육의 지향점이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알고,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에서 나아가 자발적이고도 주체적으로 향유하는 것에 있다면 정서 중심의 작품 읽기가 그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씨남정기>를 자료로 하여 고전소설 교육에서 다룰 내용으로서의 정서와 학습자가 어떻게 정서를 파악하고, 반응하도록 교육할 것인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정서 중심의 읽기는 학습자가 <사씨남정기>에서 정서를 읽어내고 경험하며 적절한 판단에 이르는 과정을 모두 포괄한다. 그래서 독자로서의 학습자가 <사씨남정기>의 서사에 정서적으로 반응하고, 평가 과정을 통해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정서 조절의 경험까지를 다루는 것이 정서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된다. 이는 학습 독자들이 정서적 체험의 주체로 성장하는 과정을 상정한 것이기도 하다. 주체로서의 학습 독자 개념이 중요한 것은, 정서 체험의 문제는 다른 누구의 체험을 알거나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 스스로의 것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앞서 보았듯이, 고전소설 읽기에서 정서 체험은 소통 구조 속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그것은 <사씨남정기> 자체가 고유의 소통 구조를 갖고 있고, 당대 독자가 아닌 지금의 학습 독자는 <사씨남정기>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때 학습자는 정서 체험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정서 중심의 읽기는 기존의 고전소설 교육이 작품에 대해 가르치거나 인물이나 구조를 분석하는 데 머물렀던 문제를 뛰어 넘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것은 시대적, 문화적으로 거리가 있는 텍스트와의 총체적, 적극적, 본격적 소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며, 그래서 정서 읽기의 결과가 학습자 자신의 삶과 정서의 문제로까지 확장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ng the emotional reading through Sassinamjeonggi. Reading the novel focused on the emotion includes all process that a learner reads emotion, experiences emotion and reaches appropriate judgment in Sassinamjeonggi. So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ng the emotional reading is that a learner as reader responses emotionally to narrative of Sassinamjeonggi, makes the desirable and positive emotion, and experiences controlling emotion. This process proposes the education as the growth of learning reader as the subject of the emotional experience. The concept of learning reader as the subject is important because the problem of the emotional experience is reader's own emotional experience not any other's. As examined before, the emotional experience must be treated in communicating structure in reading the classic novel. And a learner must be the subject in communicating with Sassinamjeonggi. So it is expected that reading focused on the emotion should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education of Korean classic novel. Because this educational perspective offers the communication with the text totally and actively which has the distance in times and culture. And finally the result of reading emotion could be expanded to the life and emotion of learner's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