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비목 곤충용 펠렛사료 조제법 개발

        설광열,홍성진,김남정,김성현,Seol Kwang-Youl,Hong Seong-Jin,Kim Nam-Jung,Kim Seong-H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1

        곤충 사육용으로 개발되어 있는 인공사료는 습체형으로 사료의 조제 및 사육에 많은 노력이 들고 불편함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나비목 곤충용 인공사료의 펠렛화를 시도하였다. 펠렛사료의 제조에는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였는데 바렐 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2축의 앞부분에 역스크류를 2개씩 장착하였고, 수차례의 조정 끝에 메인모터 속도 300rpm, 피드모터 속도 228rpm, 사료조제시의 첨가물량 $75m{\ell}/min$로 맞추었고 이때 사출공의 직경은 5mm의 것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사료의 메뉴는 기존의 것을 첨가량 및 첨가비율에서 다소 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사료의 점착성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조성분으로 젤라틴을 첨가함으로 사료의 물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조제된 사료의 적정 수분흡수량을 검토한 결과 사료 무게의 $1.2{\sim}1.5$배의 물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이 사료를 파밤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에게 각각 공시하여 사육한 결과 전반적으로 기존의 습체형 인공사료에 비해 사육성적이 떨어지지 않아 추후 곤충용 차세대 인공사료로서 조제하여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펠렛사료 조제법을 특허출원 하였다. Development of pellet-type artificial diet for insect was tried by using a twin screw extruder(TSE). Screws were arranged several times and two reverse screws were equipped on the foreparts of 2 axes of TSE. Pellet-type diet could be produced successfully under conditions of TSE set as the following. : 300 rpm of main motor speed, 228 rpm of feed motor speed, $75m{\ell}/min$ of running water speed and 5 mm of extrusion diameter. The optimum adding quantity of water to the manufactured diet was $1.2{\sim}1.5$ times of dry diet. On the rearing result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and common cutworm, Spedoptera litura with the pellet-type diet, the final survival ratio (emergence rate) of these two species was over than 50%, and so it was concluded that the manufactured pellet-type artificial diet was sufficient dietetically to rear those insects.

      • 펠렛사료를 이용한 배추흰나비 사육

        홍성진,설광열,김성현,김남정,안난희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펠렛사료는 습체사료(떡사료)의 문제점인 사료조제의 불편성, 장기보존 및 유통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중 곤충사육 및 체험에 특히 유리하다. 이에, 학습교재용 곤충으로 이용이 많은 배추흰나비용 펠렛사료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사육시험을 수행하였다. 펠렛사료 제조를 위한 이축압출기 최적 운전조건은 main motor 300rpm, feed motor 50rpm, 가수량 80ml/min, 스크류 배열 3, 8 reverse screw 및 사료배출구 φ5mm 임을 확인하였다. 배추흰나비의 영양요구성을 만족하면서 튀김성이 우수한 펠렛사료는 연구실에서 개발하여 사용중인 나비용 습체사료에 비해 Oil, Cellulose 및 성형제 비율은 낮아지고 전분 및 단백질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아진 사료조성을 보였다. 기주로 케일분말을 20% 첨가하였을 경우 사료의 직경은 9.3mm로 2배 정도 튀겨졌으며 사료무게의 1.5~1.8배의 물을 흡수하였다. 펠렛사료를 이용하여 배추흰나비를 사육한 결과 유충기간이 15.2일로 기주사육구 11.2일에 비해 다소 늦어졌으며, 우화율도 펠렛사료구 71.4%로 기주사육구 85.0%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용체중은 펠렛사료구 251.7mg으로 기주사육구 156.9mg에 비해 월등하게 높았으며 성충의 크기도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 축산분야 온실가스 저감대책 시행 이후 사료 중의 조단백질, 구리, 인 함량 변화

        이승화 ( Seung-hwa Lee ),장은희 ( Eunhee Chang ),김효영 ( Hyoyoung Kim ),이영길 ( Younggil Lee ),박자영 ( Jayoung Park ),천수연 ( Sooyeon Cheon ),홍경숙 ( Kyung-suk Hong ),한국탁 ( Kooktak Han ),홍성희 ( Sunghie Hong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농식품부는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에 따라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 중이다. 그중 양축용 사료를 대상으로 2022년 7월부터 가축 분료량과 악취를 증가시키는 조단백질의 함량을 제한하였으며, 가축분뇨의 퇴비화를 어렵게 하는 아연(Zn)과 구리(Cu)의 제한기준도 낮추었다. 또한, 2022년 10월부터는 토양 및 하천의 부영양화에 영향을 주는 인(P)의 함량도 양돈 및 가금용 배합사료에 제한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내 양축용 사료는 대상 축종과 성장단계 별로 아미노산, 조지방, 조섬유 등의 영양성분을 등록하여 제조·판매하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은 국내 제조·유통 중인 사료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사후관리 검정 및 모니터링, 유해성분, 첨가물 및 영양·기능성분의 분석법 개발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농관원의 배합사료 검정결과(2018.1.~2023.5.)를 활용하여 사료분야 온실가스 저감대책 시행(2022년 7월, 10월) 전후로 돼지 사료에서 조단백질과 구리 함량, 닭 사료에서 인의 함량을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육성돈·비육돈 사료의 조단백질 및 구리 함량이 각각 평균 15.9%(n=31)에서 15.0%(n=36), 53.6 ppm(n=13)에서 24.3 ppm(n=39)으로 감소하였고, 산란·육계용 배합사료의 인 함량은 평균 0.61%(n=79)에서 0.54%(n=80)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농식품부는 가축 장내발효로 발생하는 메탄을 감축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메탄저감제’와 이를 사료 원료로 이용한 ‘저메탄사료’의 인정기준을 마련하여 행정예고 하였다. 앞으로도 이러한 축산분야 온실가스 저감대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농관원의 사료검정과 분석법 개발 등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조기이유 자돈용 액상사료 자동급이기 개발

        유용희,정일병,안정대,이덕수,강희설,최희철,전병수,박홍석 한국축산환경학회 200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7 No.1

        조기이유 자돈용 액상사료 지동 급이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물 가열 및 배출부, 가루사료 저장 및 배출부, 혼합부, 약상사료 이송부와 이들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및 급이기로 구성 하였다. 이러헥 개발한 조기이유 자돈용 액상사료 자동급이기의 실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평균 19일령에 이유한 삼원교잡종(Lw$\times$D)ㅈ돈 18두(남9,여9)를 공시하여 3주 동안 액상으로 급여한 후 3주 동안 가루사료를 무제한 급여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개발한 액상사료 자동 급이기의 물 가열 및 배출부는 혼합부에 온수를 초당 27$m\ell$, 가루사료 저장 및 배출부는 가루사료를 초당 3.7g 씩 정확하게 중앙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이송하였다. 일당증체량은 NRC의 표준 성장률과 비교해 액상사료를 급여한 3주 동안 자돈들이 10%정도 낮은 수준이었으나, 그후 가루사료를 급여한 3주 동안에는 24%, 시험전기간 17% 정도 높은 수준이었다. 사료요구율은 시험개시 후 3주 동안 1.09, 그 후 3주동안 2.14, 시험전기간에는 1.89 이었다. 설사 발생은 액상사료 급여후 3일부터 7일 까지 5일동안 발생하였고, 폐사 자돈은 없었다. 새로이 개발한 액상사료 자동 급이기 시작품의 성능 검정을 위한 예비적 시험으로 19일령에 이유한 자돈에게 적용해 본결과, 액상사료 자동급이기는 어떠한 문제없이 잘 작동되었으며, 자돈들의 액상사료 급여 초기 성장은 부진하였으나 차후 성장 촉진과 사료 이용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로이 개발한 액상사료 자동 급이기를 이용한 자돈 사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an automatic liquid feeder for early weaning piglets and to test the efficacy of the system. The liquid feeder consists of water heating and discharge unit, dry diet storing and discharge unit, mixing and discharge unit, mixed liquid feed-delivering unit, and the central control part which control each unit, feeding frequency and the amount of feeding. For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using eighteen three way crossbred piglets weaned on 19 days of age for the experimental period of six weeks. Experimental diet was provided in liquid form using the automatic liquid feeder for the first three weeks and in dry form for the later three weeks. The water heating and discharge unit exactly supplied warm water by 27 $m\ell$/s, into the mixing unit. The dry diet storing and discharge unit supplied dry feed by 3.7g/s, into the mixing unit. Being compared with the standard growth rate suggested by NRC, average daily gain of the piglets during the first three weeks of liquid feeding was lower by 10%, while it was higher during three weeks of dry feeding and over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by 24 and 17%, respectively. Feed/gain was 1.09, 2.14 and 1.89 for the first 3 weeks, later 3 weeks, and whole period, respectively. Diarrhea was observed for three days from day 3 to day 7 after feeding liquid diet, but no pig died of it. In conclusion, a preliminary test for the newly developed an automatic liquid feeder using 19 days of age weaning piglets showed that the unit was successfully operated without any major problems. Piglets raised on a liquid diet through the unit developed grew less during the first three weeks, but their growth and feed intake were greatly improved thereafter, indicating the developed automatic liquid feeder may be practically used in swine industry.

      •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한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의 유충중량 및 사료섭식량 조사

        박영규,최명효,오기석,강승호,양영철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를 육계사료로 활용하기 위해 음식물건조사료, 임신돈사료, 호프박을 이용하여 사육하였다. 임신돈사료에 호프박을 0 ~100% 혼합하여 사육한 유충의 중량은 0.150 ~ 0.031g 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실험 종료 후 발육이 부진한 호프박 100%의 실험구에 음식물건조사료를 1주일간 공급하여 사육하면 0.031g에서 0.188g 으로 급격히 중량이 증가하였다. 음식물건조사료를 100, 80, 60, 40%로 사육한 결과 종령유충의 평균 중량은 각각 0.167, 0.125, 0.143, 0.125g 으로 조사되었다. 음식물건조사료 함량 20 ~ 100%에 임신돈사료와 호프박을 혼합하여 사육한 결과 사육초기에는 음식물건조사료의 함량이 높을수록 발육이 부진하였으나 종령시기에는 0.150 ~ 0.158g 으로 유사해졌다. 부화초기의 동애등에는 음식물건조사료보다 일반사료에서 발육이 우수하였고 10일가량 발육한 유충은 음식물건조사료 100%에서도 정상적으로 발육하였다. 동애등에 부화유충의 사료 섭식량은 임신돈사료와 음식물건조사료에서 각각 평균 0.68, 0.80g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이미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9

        Teachers and scholars alike have emphasized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classrooms; yet, how and to what extent historical sources are used in classrooms is a less explored territory. Employing a mixed methods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use of historical sources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of historical sources. First, I surveyed history teachers in 100 randomly sampled middle schools for their perception on historical sources and teaching practice using historical sources. Second, I interviewed seven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on their teaching of the first unit in middle school history. The seven interviewees completed teacher logs on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for each period during the uni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shared the strong need for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middle school history instruction, but their understanding of what historical sources are and their practice showed a wide variety. When zooming in on the use of primary sources, teachers demonstrated strikingly similar practice focusing on reading comprehension. Teachers were in need of diverse and rich curricular materials to assist them with teaching of historical 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ree implications for enhancing historical source instruction in middle schools. 사료 교수・학습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어 왔지만, 현장에서 사료가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수업에서의 사료 활용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려는 목적에서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의사료 활용 실태 및 사료 활용의 양적・질적 활성화를 위해 교사는 무엇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지를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 표집한 100개 중학교의 역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료 활용 실태 설문 조사와 함께 다양한 교직 경력을 갖춘교사 7명의 수업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중학교 『역사①』 1단원 사료 활용을 분석하였다. 중학교 『역사』 교사는 사료가 역사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라는 공통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사료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해를 보였으며, 활용 양상 또한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1차 문자 사료 활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정형성이 나타남을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은 사료학습을 증진하기 위해 수업 준비나 실제 수업에 사용할수 있는 풍부하고 다양한 교재를 가장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역사 교사의 사료 및 사료학습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료 활용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료학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학습요소를 활용한 고려시대 사료학습 방안

        문경호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7

        The learning by means of historical materials has drawn attention as a method of learning for the students to expand the power of understanding, analysis, imagination and decision making. The suggestion of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as an alternative related to that whenever the history education was criticized for moving to the knowledge oriented education. But the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in reality is short to the level of interpretation by reading the historical materials simply, otherwise, it has been used for the materials of problem solving to prepare the university admission capability test. The description on the situation on the era of writing such history and the incompleteness of th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explained essentially, but such process has been omitted mostly. This paper points the issues on the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in current schools and suggests the models of historical material learning in various patterns oriented to the historical terminologies and events suggested for the learning elem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on 2015. For this matter, the important contents out of the study achievements in Koryo Dynasty related to the learning elements were summarized and learning models were made by discovering th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hereto. The activities oriented to the students have been being settled in the class while the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on 2015 adopted. The most general thing out of the activities made in the history lessons is the study on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success of historical material learning, making text material by discovering the historical materials consistently which will activate the thinking power of the students rather than weighting to the theories and analysis by collecting the historical cases used in the class are essential. Moreover, the experience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learning of historical materials shall be accumulated and arranged systematically 사료학습은 학생들의 이해력과 분석력, 상상력, 판단력 등을 신장시키는 학습 방안으로 주목받았다. 역사교육이 지식위주의 교육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때마다 사료학습이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도 그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사료학습은 단순히 사료를 읽고 해석하는 정도에서 끝나거나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문제풀이용 자료 정도로 활용되고 있다. 사료가 쓰여진 시기의 상황에 대한 설명, 사료의 불완전성 등에 대하여 반드시 설명해 주어야 하지만 그러한 과정은 대부분 생략된다. 이 글에서는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료학습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2015개정 교육과정에 학습요소로 제시된 역사 용어 또는 사건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사료학습 모형을 제시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요소와 관련된 최근의 고려시대 연구성과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그와 관련된 사료들을 찾아 5가지 유형의 사료학습을 제시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수업에서는 학생 중심의 활동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역사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사료학습이다. 사료학습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이론에만 치중하기보다 학생들의 사고력을 자극할 만한 사료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어 교재화하고, 수업에서 활용한 사례를 모아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각급 학교에서 시행되는 사료학습의 성공 또는 실패 경험이 축적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민속학의 생활사료 인식과 역사학의 통섭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15 韓國民俗學 Vol.61 No.-

        민속학은 현장학이자 민중학이며 전승학이므로 통섭학으로서 자질을 갖추고 있다. 연구대상이 여러 영역을 두루 포괄하고 있는 까닭에 기존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선다. 따라서 민속학의 특성상 여러 분과학문의 통섭적 연구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통섭학은 분과학문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공시적 횡단의 통섭이 주류를 이루지만, 민속학은 전승학이기 때문에 시대를 넘나드는 통시적 종단의 통섭연구를 새로 개척할 수 있다. 통시적 종단의 통섭은 역사학의 사료 확장을 시도하는 종적 통섭이다. 일정한 시기에 고정되어 있는 문헌사료와 유물사료를 넘어서 현재 생활세계 속에서 지속되고 있는 민속의 전통을 생활사료로 주목하고 역사 해석의 시대적 통섭을 시도한다. 고조선 시대와 현대를 통섭하는 생활사료로 식생활과 동물상징의 전통이 있다. 단군신화에서 쑥과 마늘을 먹는 식생활의 전통은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중국은 마늘만 먹고 일본은 쑥만 조금 먹는데, 한국은 쑥과 마늘을 중요한 식문화로 전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전통은 지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의 식생활로 고조선의 역사를 입증하는 것은 물론 미래의 식생활까지 전망할 수 있다. 고조선 시대의 민족 구성을 곰과 범 등 짐승으로 기록한 것도 허구적 상상이 아니라, 실제 역사라는 점을 생활사료로 입증한다. 중국 고대사 서술에도 종족을 짐승으로 기록했을 뿐 아니라, 퉁구스족이나 부리야트족 등 아직도 많은 종족들은 짐승의 종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 전통은 현대 국가는 물론 정부 조직, 스포츠팀, 유명 상품의 브랜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문자보다 시각적 이미지를 지닌 동물상징이 정체성을 나타내는데 더 효과적이므로 시대를 초월해서 인류문화 일반에 널리 통용된다. 따라서 단군신화의 곰과 범은 짐승이 아니라 특정 종족의 집단 정체성을 나타내는 동물토템으로서 역사적 사실이다. 그러므로 민속을 생활사료로 주목하면 고대와 현대, 미래의 역사를 통섭하는 연구가 가능하다. Folklore is at once field study, demotics and lair study, so it has a quality of Consilience study. Folklore goes beyond the boundary of the traditional academic disciplines since it encompasses a number of areas. Thus, Folklore, by its nature, requires the researches of consilience concerning a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Consilience study mainly features the consilience of synchronic cross-section across the boundaries of academic disciplines. However, Consilience research of diachronic longitude could be developed since Folklore is a kind of lair study. Consilience of diachronic longitude is a longitudinal consilience trying to extend the historical materials in history. It goes beyond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relic historical materials which are fixed at a certain time, taking note of the folk tradition which has persisted in the present world of life as living historical material and attempting the periodical consili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There is a tradition of eating habit and animal symbols which integrates the Kojoson and the modern era as living historical materials. Tradition of eating mugwort and garlic in the myth of Dangun has continued until now. Chinese eat only garlic and Japanese only some little mugwort while Koreans has handed mugwort and garlic down as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food culture, which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history of Kojoson can be proved and even the future diet can be expected from the current diet. It can be proved from living historical materials that the ethnic composition in the Kojoson era is recorded of bears, tigers, and other animals, which is not a fictional imagination but real history. Not only did the Chinese ancient history describe the tribe as animal but also the Tungus, the Buryat, and many other tribes are still called the species of animals. This tradition is widely used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sports teams, the brands of famous products, and the like. It transcends the ages and is widely accepted in the general human culture since animal symbols with visual images are more effective to represent the identity than characters. Accordingly, it is historical fact that bears and tigers in the myth of Dangun are not animals but animal totems which represent the collective identity of a tribe. Therefore, attention to folk as living historical materials would make possible the consilience research of the ancient, modern, future history.

      • KCI등재

        교과서 사료의 빈도 분석을 통한 한국사 핵심 사료의 제시 가능성 탐색

        박진동,이미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Although the classroom use of historical sources was emphasized in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historical sources have not been promin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advent of the textbook adoption system, there now are many diffe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textbooks have been limited to content verification. In the reform context that emphasizes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there rose the need to identify essential historical sources and to systemize the relationships among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d historical sources inclu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14 Korean history textbooks with a purpose to identify essential historical sources.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ealed that the selection and presentation of historical sources needs to be refined and systemized. Finding also highlighted the common historical sources across textbooks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There were 110 common historical sources which were included in more than half of 6 2011 textbooks and 8 2014 textbooks (50 sources listed in more than half of both 2011 and 2014 textbooks, 19 in 2011 textbooks, and 41 in 2014 textbook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to agree on essential sources is high. We discuss how the focus on essential sources can expand and enrich history instruction.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기능을 강조하는 방향에서 사료 학습을 발전시키려면 핵심 사료를 선정하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속선상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역사교육의 다양성을 훼손하지 않는 전제에서 좀 더 탐구 학습을 돕는 사료를 탐색하는 방안으로 핵심 사료의 선정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검토한 결과 교수학습 항목에서 활용을 강조하는 정도였고 어떤 사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화가 부족하였다. 이에 비해서 미국의 사례를 보면 목록의 제시는 물론 사료의 수준까지 고려하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검정 역사 교과서는 다양한 사료를 선정하여 본문이나 탐구 활동에 배치하였으나 내용 이해를 보완하는 기능이 대부분이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1년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6종과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4년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을 탐색한 결과 각각 과반인 4종 이상과 5종 이상 수록된 사료 110건(모두 과반 50건, 2011년판만 과반 19건, 2014년판만 과반 41건)을 추출하였다. 검정 교과서가 다양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이와 같이 공통 사료가 다수 나타난 점에서 향후 핵심 사료 선정의 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제 깊이 있고 의미 있는 사료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 등에서 핵심 사료를 어떻게 제시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궁리가 필요하며, 그러한 방향에서 본고가 수행한 기초 작업이 기여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국독립운동 사료편찬의 역사와 과제

        유필규 한국근현대사학회 2019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1 No.-

        한국근현대사, 그 중에서도 한국독립운동사가 독자적인 학문영역으로 자리 잡을수 있었던 것은 지속적인 독립운동사료 발굴과 정리, 편찬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에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국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그리고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등 국가기관 및 각 지역연구기관에 의해 수집·편찬된 독립운동 관련 사료의 편찬과정을 현시점에서 돌아보는 것은 독립운동사연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있어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는 기본적으로 1차 사료의 발굴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발굴된 사료는 분석 및 정리를 통해 가공되고, 이를 하나의 사료집으로 편찬하는것은 궁극적으로 독립운동사 연구성과 축적으로 이어진다. 독립운동사연구의 진전과 더불어 사료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연구성과의 내실 있는 축적을 위해 사료집 편찬은 지속적이고, 진일보한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이는 곧 독립운동사 연구 역량 강화 및 독립운동사 연구 저변 확대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자료들이 산개해 있는 현실을 극복하고, 상호 비교할 수 있는사료분석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점차 소멸되어가는 사료를 모으고, 이 사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한 걸음 더 나아가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라 기존 사료보급 방식인 자료집 간행에서 탈피하여 ‘사료 검색’이라는 역사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할 필요성이 있다.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as been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area because it has been able to find, organize and compile historical materials for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review the compilation process of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collected and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e Korean Independent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nd other local research institut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1948. The Korean Independent Movement History Study basically starts with the excavation of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excavated historical records is processed through analysis and theorem, and compiling it into a single historical records house ultimately leads to the research performance and accumulation of independence fighter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independence,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records is further emphasized. For substantial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compilation of historical records should proceed to a continuous and advanced stage. This is because it will soon lead to the enhancement of capabilities for independent athletes’ research and expansion of the research base for independence fighters. We need to overcome the scattered reality of the data and make a mutually comparable historical records analysis process. Efforts are also needed to collect feed that is dying out and to categorize it systematically.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needs to move away from the publication of data books, which is the traditional method of distributing historical records, to respond to the paradigm shift in historical research called ‘historical records 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