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로스에 대하여

        박찬영 ( Chan Young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8

        이 논문은 사랑의 본질을 연구한다. 여기서 문제 삼는 사랑은 아가페가 아닌 에로스이다. 사랑은 ‘존재의 승인’이다. 사랑은 ‘통일의 힘’이다.(피퍼) 사랑은 주는 일이며 사랑 안에는 마음-씀, 책임, 존경, 인식이 들어 있다.(프롬) 사랑은 의지이며 모든 가치를 창조하는 원천이다. 사랑이 없으면 우리의 인생은 무의미하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사랑하는 일은 자연스럽다.(프랑크푸르트) 사랑에 대한 이러한 본질규정을 뒤이어 본 논문은 여러 가지 문제점과 이해하기 어려운 점을 확인하고 해명한다. 사랑이 감정인가 의지인가 사랑과 기쁨의 상관관계 문제, 즐김으로서의 사랑과 노력으로서의 사랑의 문제, 사랑과 인식의 문제, 자기-사랑의 문제가 다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ssences of love, not of agape, but of eros. Love is ‘the affirmation of being’ and ‘the power of unification’. Loving means giving, not receiving. The basic elements of love are care, responsibility, respect and knowledge. And love is the volitional configuration and the originating source of terminal value. Without loves our lives are meaningless. We love naturally ourselves. After these essential remarks on love the article investigates several important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f loving. Is love a feeling or a will The relation between love and pleasure, the problem of love as enjoying and love as effort, the problem of love and knowledge, the problem of self-love are investigat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사랑의 관계성 회복과 치유에 대한 통전적 이해 - 누가복음 10장 27절을 중심으로 -

        김동영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이 논문의 목적은 누가복음 10장 27절을 중심으로 하여 사랑의 관계성 회복과 치유에 대하여 통전적으로 이해해 보는 것에 있다. 이 글은 종교개혁자들이 강조한 하나님의 말씀의 본질을 사랑의 관계성 안에서 고찰하는 가운데, 종교심리학과 영성학 사이의 학문 간의 대화의 방법을 통하여 치유와 상호 돌봄에 대하여 탐구한다. 하나님의 말씀의 본질은 사랑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사랑 그 자체’이시기 때문이다(요일 4:16).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 하나님은 사랑 안에 함께 임재해 계시며, 사랑으로 이루어지는 관계의 공간을 창조해 가신다. 인간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을 받은 거룩한 관계적 존재이다. 종교심리학과 영성학의 관점에서, 죄란 깨어진 관계와 단절의 상태를 가리킨다. 치유(healing)란 깨어진 관계를 극복하고 사랑의 관계(loving relationship)를 회복하는 것을 가리킨다. 사랑의 관계성 안에서의 치유는 다음 세 가지 측면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self-divine relationship); 2) 나와 나 자신의 관계(self-self relationship); 3) 나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self-others relationship). “우리는 서로 사랑하는 만큼 안다”(Tantum cognoscitur quantum diligitur). 상호 내주하는 사랑의 공간 안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알고, 우리 자신을 알고, 나아가 우리 이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호 내주하는 관계의 망 안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기초로 하여 우리 자신을 사랑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다. 종교개혁자들이 강조하는 것처럼,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믿음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구원에 이르는 된다. 또한 우리는 구원받은 성도들로서 그리스도 안에서 선한 행위와 거룩한 삶의 열매를 맺으면서 살아가야 한다. 상호 내주하는 사랑의 공간 안에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것처럼, 우리의 칭의의 삶과 성화의 삶은 깊게 연관되어 있다. 종교심리학과 영성학 사이의 학문 간의 대화의 방법론은 ‘하나님, 나, 그리고 공동체’의 사랑의 관계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학문 간의 대화의 방법론은 인간의 발달과 영적성숙의 과정의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게 하며, 관계적 자기 형성과 관계적 신앙공동체 형성의 과정을 고찰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학문 간의 대화의 방법론은 상호 내주하는 사랑의 공간 속에서 분열된 자기가 관계적 자기로, 관계적 자기가 사회적 자기로 발달적으로 변화하여 나아가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ccomplish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recovery of loving relationship and healing by using the verse of Luke 10:27. More specifically, while exploring love as the essence of the word of God which had been paid attention to by religious reform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healing and caring by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psychology of religion and Christian spirituality. The essence of the word of God is love because 'God is love'(1 Jn 4:16). Trinity, who consists of three persons--the Father, Son and the Holy Spirit, is present in the state of love and establishes continuously the space of loving relationships. A human being, who i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s a holy relational being. From a perspective of psychology of religion and Christian spirituality, sin is a kind of broken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disconnection. Healing refers to the overcoming of the broken relationship and to the achievement of the recovery of loving relationships. Healing within the loving relationships occurs in the mutual interchange of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1) self-divine relationship, 2) self-self relationship, and 3) self-others relationship. "We know as we love one another"(Tantum cognoscitur quantum diligitur). In the space of mutual presence of love, we are able to know God, we are able to know ourselves, and we are able to know neighbors. And in the web of relationships, based on the love of God, we enable to love ourselves, and we enable to love others. As religious reformers point to it, we can receive justification by faith through the grace of God. As the children of God, we need to have good behavior and to show the fruit of the holy life. In the space of mutual presence of love, as the love of God is deeply related to the love of neighbor, the life of justification is deeply related to the life of sanctification.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psychology of religion and Christian spirituality helps u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edness of 'God, person, and community.'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leads us to explor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human development and spiritual maturity, and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al self and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al community. Furthermore,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guides us to realize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from the scattered self to the relational self, and from the relational self to the social self within the space of mutual presence of love.

      • KCI등재
      • KCI등재

        김훈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불가능성

        김주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8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love, especially the impossibility of love, in Kim Hoon’s novel. In Kim Hoon’s novel, the aspect of love discourse is noteworthy, but it is the judgment of this study that the problem of love that constantly emerges with certain discriminating qualities is worth exploring. For Kim Hoon, the problem of love does not com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bu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between life and death. What is love for a dying being? This is the first question about love. This question is no different from the question of the desire for life to a dying being. However, Kim Hoon’s characters are surrounded by an environment of death too much to pursue the possibility of love. This is why the sign of ‘love’ is seen as a very poor form in the text of Kim Hoon’s novel. “Cremation”, which places the problem of love as the central situation of the novel, is a work in which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which is the core problem of the impossibility of love, is fully developed. The relative other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hich can not resolve the difference in this work, functions as the metonymy of the absolute other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This is a profound dimension and dignity that the artist Kim Hoon gives to the theme of impossibility of love. In Kim Hoon’s novel, love becomes an impossible absolute demand to end. If there is no dimension of absolute otherness that calls for this absolute need, the jouissance of world contents could be love. But, the final destiny given to the word ‘love’ in Kim Hoon’s novel makes a crack that can not be covered by such affirmation of world contents. The absurd consciousness arises from this crack. Therefore, the debate about Kim Hoon’s novel, which considers the absurd consciousness as the chronic problem of i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mension of love. 김훈의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특히 사랑의 불가능성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김훈의 소설 전개에서 사랑이 지연되거나 담론화되는 양상도 주목할 만한지만, 일정한 변별적 자질로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사랑의 문제는 탐구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판단이다. 김훈에게 사랑의 문제는 남녀관계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존재와 비존재(非存在)의 관계, 삶과 죽음의 관계에서 오는 것이다. 죽어가는 존재에게 사랑이란 무엇인가? 이것이 사랑에 대한 첫 번째 질문이다. 이 물음은 죽어가는 존재에게 삶에 대한 욕망은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김훈의 인물들은 사랑의 가능성을 추구하기에는 너무 많은 죽음의 환경에 둘러싸여 있다. 김훈의 소설 텍스트에서 ‘사랑’이라는 기표가 매우 빈곤한 양상으로 관찰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사랑의 문제를 소설의 중심 상황으로 배치하고 있는 「화장」은 사랑의 불가능성의 핵심 문제인 ‘차이’에 대한 사유가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차이를 해소할 수 없는 남녀관계의 상대적 타자성은, 삶과 죽음 관계의 절대적 타자성의 환유로 기능한다. 김훈의 소설에서 사랑은 끝내는 불가능한 절대의 요구가 되는데, 이것이 작가 김훈이 사랑의 불가능성이라는 테마에 부여한 심오한 차원이고 품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절대에 대한 요구를 부르는 절대적 타자성이라는 차원만 존재하지 않는다면, 세계 내용의 향유나 연민 정도가 사랑이 될 수도 있을 터이다. 그런데 김훈의 소설은 우리에게 현재 삶의 향유의 지평 너머, 문명의 외부, 존재의 바깥에 대한 감수성을 거듭 환기시킨다. 사랑의 불가능성의 문제는 이 문제의 중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리샤르 드 푸르니발의 『사랑의 동물지』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주나미 ( Ju Na-m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13세기 중반에 등장한 리샤르 드 푸르니발의 『사랑의 동물지』는 당시에 유행하던 ‘(궁정식 사랑풍의) 로망’과 ‘동물지’라는 두 장르를 결합시켜 동물들의 상징적 의미를 흥미롭고 독창적으로 변화시켰다. 동물들의 특성에서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가르침을 이끌어내고 있는 일반적인 동물지와는 달리, 그것을 남녀의 사랑이라는 주제의 알레고리로 바꿔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종교적·설교적 문헌인 동물지에서 『사랑의 동물지』가 출현한 이러한 변형은 ‘성(聖)’에서 ‘속(俗)’으로의 변형, 다시 말해 종교적 심성으로부터 세속적 심성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13세기의 지적 전통과 문화 안에서 바라보면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세속적 감수성이 아니라, 오히려 ‘신에 대한 열망’이라는 종교적 감수성과 사고들이 더욱 뚜렷하게 발견된다. ‘사랑’이라는 개념이 지닌 가장 커다란 특징은 어느 시대나 사회에서든 다양한 상황에서 폭넓은 상징성을 지니고 중의적(重意的)으로 쓰일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랑을 최고의 덕목으로 선언하며 ‘사랑의 종교’임을 강조해왔던 기독교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기독교에서는 남녀의 교제와 결혼이라는 형식으로 신과 인간의 영적인 관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전통을 오래전부터 발달시켜왔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은 기독교 신비주의의 핵심을 이루어 왔다. 따라서 신과의 영적인 결합을 남녀의 교제와 결혼으로 표현한 기독교 전통과 신을 향한 영혼의 상승을 사랑의 기술로 표현한 중세 신비신학의 맥락 안에서 살펴보면, 『사랑의 동물지』의 의미는 전혀 다르게 해석된다. 『사랑의 동물지』가 내용을 전개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사랑’과 ‘기억’, ‘감각’, ‘절제와 헌신’은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바탕을 둔 중세 신비신학의 핵심 개념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들을 중심으로 『사랑의 동물지』의 전체 내용을 요약해보면 그 작품이 ‘기억-감각-절제와 헌신-신의 은총-신과의 일치’라는 중세 신비신학의 논리적 구조를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곧, 『사랑의 동물지』는 동물지의 소재를 빌어서 로망의 형식으로 중세 신비신학의 가르침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기존의 동물지가 자연 안에 내재된 신의 섭리를 성찰·묵상하려는 신학적 전통과 신플라톤주의적 우주관·자연관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라면, 『사랑의 동물지』는 동물이라는 소재를 신비신학의 내면적이고 주관적인 신학으로 범위를 넓혀 활용한 작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사랑의 동물지』에서는 신비주의적인 종교적 열망과 세속적인 육체적 욕망이 하나의 양식 안에서 상징적으로 서로 통일되어 공존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인 상징주의야말로 중세 문화의 독특함을 구성했던 중요한 특질임을 확인하게 된다. In the middle of the thirteenth century, Richard de Fournival’s Bestiaire d’amour(Bestiary of love) transformed the symbolic meanings of animals in an interesting and ingenious way by combining the two genres of ‘Roman(courtly love literature)’ and ‘Bestiary’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Unlike ordinary Bestiary which draw religious and moral teaching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s, Bestiaire d’amour translated into allegories under the theme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In this respect, the appearance of Bestiaire d’amour seems to have been a transformation from ‘the sacred’ to ‘the profane’, that is to say, a shift from the religious mentality to the secular mentality.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intellectual tradition and culture in the 13th century, in Bestiaire d’amour the religious sensibilities and thoughts of ‘desire for God’ are more clearly found rather than such secular sensitivities.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the concept of “love” is that it can be used in a wide variety of contexts in any age or society, and it can be used as symbols. In Christianity, which has emphasized love as the best virtue and “religion of love”, such tendency became more prominent. Thus if we look at Bestiaire d’amour through Christian tradition that expresses the spiritual union with God as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and marriage, the meaning of love in Bestiaire d’amour is interpreted quite differently. “Love”, “Memory”, “Sensation”, “Moderation and Devotion”, that are being used by the Bestiaire d’amour, are key concepts of medieval mystical theology based on St. Augustine's thought. Therefore, if we summarize the whole contents of Bestiaire d’amour centered on these concepts,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are composed mainly of the logical structure of medieval mystical theology “Memory”-“Sensation”- “Moderation and Devotion”-“Grace of God”. In this sense, if ordinary Bestiary reflects the theological tradition and the Neoplatonic cosmology and nature view to seek and meditate on the providence of God embedded in nature, Bestiaire d’amour can be interpreted as a work that uses the natures of animals for inner and subjective theology of mystical theology and widen its scope. Moreover, in Bestiaire d’amour, we can see that the mystical religious desire and the secular physical desire coexist and symbolically unite in one style. And this dual symbolism is an important attribute that constitutes the uniqueness of medieval culture.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동서양 사랑시를 통해 본 사랑의 개념 차이 연구

        정수현 ( Su Hyun Jung ),정경조 ( Kyeong Jo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사랑은 인류보편의 정서지만 그것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풀어내는 감각은 사회마다 다르다. 사랑은 시간과 공간, 문화를 초월하는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담고 있지만 각 시대의 삶의 조건이나 지배 이념, 가치관에 영향을 받는 역사적인 것이어서 사랑주제는 한 시대의 정신적 문화적 양식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문화사에서 사랑은 사적(私的) 영역으로 치부되거나 여성의 일로 폄하된 채, 진지한 학문적 탐색 대상이 되지 못했고 다른 주제의 일부분으로 다룬 정도에 불과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주요 자료는 시대마다 양산된 사랑 표현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문학, 그 중에서도 사랑시를 그 대상으로 삼으려 한다. 사랑은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인간문제로서 문학의 주요주제 중 하나이다. 사랑에 있어서의 그 정조나 색조가 사람됨에 따라 또한 시대 변동의 조건에 따라, 한 집단의 공동체적 경험에 따라 다양하지만, 동서고금을 가릴 것 없이 특히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문학적인 표현은 엄연히 주류로서 항상 존재해 왔다. 비록 시대가 변하고 예술의 형식이 변했을 지라도 사랑을 향한 인간의 욕구는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학속의 사랑은 언제나 새로 태어나면서 이어져 왔다. 동서양의 사랑관의 가장 뚜렷한 특징 또는 차이점은 ‘자기실현’과 ‘타자실현’, ‘개인 중심’과 ‘사회 중심’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자기실현과 개인중심은 자신의 궁핍한 욕망을 채우려는 이기심(利己心)이 항상 주는 만큼 받으려는 상호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이고, 타자실현과 사회중심의 사랑관은 개인이 속한 사회 전체를 유기체로 보고 그 안에서 개인의 욕망실현을 고려하는 지극히 이타주의적인 사고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양식 사랑관에서의 사회적 질서나 관습은 극복과 투쟁의 대상이었지만 동양식 사랑관에서는 순응과 수용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인 사랑의 감정도 사회의 통제를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한국인의 사랑’은 시대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했으나 한국인의 사랑 개념을 주로 형성한 것은 유교의 질서이다. 유교는 자손의 번영을 전제로 하는 부부사이의 화합을 용인하고 또 그것을 찬미한다. 하지만 미혼남녀의 교제는 결코 인정하지 않았으며 결혼 전에 발생하는 사랑의 감정은 철저하게 억압당했다. 한국 전통서사에서는 남녀의 성 또는 사랑을 단순히 인간의 본능이나 쾌락의 차원에서만 생각하지 않았다. 그것에 윤리적 가치를 부여하기도 하고 숭고한 마음을 담기도 했으며 주술적 종교적 믿음을 바치기도 했던 것이다. 한 작가가 시 창작을 할 때 시적 화자를 선택하는 일은 작가 자신의 고유한 창작 방법에 의해 결정되기도 하지만 전통과 같은 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국의 애정시가는 대부분 작가의 성별과 무관하게 여성 화자를 내세워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다. 한국인들이 이처럼 애정표현을 억제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감정은 억제할수록 순수하고 강해진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한국 전통사회에서는 적극적이고 노골적인 자기표현보다는 공유된 경험과 분위기를 통해 말없이 은근슬쩍 속내를 내비치는 무언의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했다. 두 번째는 자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먼저 해야 한다는 가치관 때문이다. 사랑하면서도 사랑한다고 말하면 행여 임에게 부담이 될까 봐 마음의 아픔을 억제하면서 차라리 사랑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 한국인이다. The emotion of Love is universal but each society has each wa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it. Though love has general desire beyond time, space and culture, it is a historical thing affected by life condition, ruling ideology, and viewpoint of each era and the theme of love can be the critical criterion of spiritual and cultural ways. But, in Korean culture history, love was degraded as private section or women``s affairs , couldn``t an academic subject, and was regarded as the part of theme. The analysis object of this thesis is the literature, essence of love expression, especially love poems. Love is universal and essential problem and one of main themes in literature. Although it can vary in personal characteristics, conditions and communities experiences, it has existed in all ages and cultures. It has been reborn in spite of the changes of era and art convention because of the lasting desire of love. The distinct difference of Oriental and Occidental love is self-actualization and others-realization, egocentrism and altruism. Self-actualization and egocentrism is that the selfish desire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reciprocality and others-realization and altruism is that love is oriented to organic communities. To put it in another way, social order or custom can be the object of conflict in Occident but the object of obedience in Orient. Therefore, it must be ruled by social control. The ‘Korean Love’ is different in each era, but it must be molded primarily by Confucian order. Confucius recommends praises the harmony of husband and wife but disdains and oppresses the love of unmarried couples. In Korean traditional narration, the love between men and women had not been thought of as instinct or pleasure but moral value and religious belief. Most of Korean love poems have made the poetic narrator heroine and expressed the love and longing for her beloved regardless of their authors sex because when an author chooses a poetic narrator, it can be affected by his unique type of creation and traditional system. There are two reason to stifle this lovely emotion in Korea. First of all, they think that the more oppressed, the more innocent and strong. Secondly, that``s because they put the solicitude of others before themselves.

      • KCI등재

        막스 셀러의 사랑의 현상학

        이영경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1 No.-

        사랑의 본질을 철학의 한 주요 주제로 자리매김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관한 탁월한 철학적 통찰을 제시하고 있는 철학자 중 한 사람은 분명 막스 셀러이다. 이 글은 사랑의 본질에 관한 이 막스 셀러의 현상학적 통찰을 현상학적으로 고찰하려 한다. 이때 우리의 탐구 방식은 사랑의 본질에 대한 셀러의 긍정적 규정과 부정적 규정을 천착하는 것이다. 본고는 셀러가 내린 사랑에 대한 긍정적 규정의 핵심을 사랑의 창조성에서 찾는다. 곧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받는 사람이, 그의 고유한 ‘이상적 가치상’, 다시 말하면 진상(眞相)을 구현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렇다고 사랑은 가치 인식이나 가치 평가도, 또 사랑받는 사람의 진상을 실현시키려는 목적도, 의욕도 아니다. 나아가 사랑은 어디까지나 사랑받는 자의 절대 가치를 감지하는데 뿌리를 내리고 있어야 한다. 여기 뿌리 내리지 있지 않은 ‘사랑’, 예컨대 권태나 자기 회피, 자기 혐오 등에서 연유하는 타자에의 헌신, 곧 ‘이타적 사랑’은 사이비 사랑에 불과하다. 여기서 우리는 진정한 타자애와 진정한 자기애가 모종의 연관 관계를 맺고 있음을 눈치 채게 된다. 나아가 셀러는 참된 사랑은 신적 차원에 오르는 것이고 신적 사랑에 동참하는 것이라 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타자애와 자기애는 신에 대한 사랑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된다. 그러나 이 문제를 우리는 다음탐구의 과제로 남겨 둘 수밖에 없었다. Dl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Schelers phaenomenologische Einsicht ins Wesen der Liebe phaenomenologisch darzulegen, die sich in zwei Hinsicht vollzieht: in der positiven Hinsicht und in der negativen Hinsicht. In jener Hinsicht fassen wir das Wesen der Liebe wie folgt zusammen: Die Liebe ist in dem Sinne kreativ, dass sie die Liebende und die Geliebte zum ihren wahren Selbst zurueckkehren laesst. Die Liebe bringt die hoehere und unendliche Wert-Welt ins Tage, die in der natuerlichen Weltanschaung verborgen bleibt. In dieser Hinsicht wird die Liebe wie folgt geklaert: Die Liebe ist kein Werterkenntnis. Sie allein erreicht das absolut intime Selbst des anderen. Sie ist kein Einsfuehlen. Sie richtet sich ursprunglich auf den Werttraeger. Endlich mussen wir bekennen, dass die vorliegende eine unvollendete Untersuchung ueber die Liebe bei Scheler ist. Sie haetten ins Auge bringen muessen, in welchem Zusammenhang die Selbstliebe, die Fremdeliebe, die Gottesliebe steht. Ausserdem haetten sie ‘ordo amoris’ und den Zusammenhang zwischen dem Schelers Verstaendnis ueber die Liebe und dem christlichen darlegen mussen. Diese ausser Auge gelassene Thematik wird hoffentlich in unserer naechsten Untersuchung behandelt.

      • KCI등재

        <사랑가>의 의미

        최동현 판소리학회 2017 판소리연구 Vol.43 No.-

        이 논문에서는 판소리 연구는 해석이 차원으로 끌어올려지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전제 하에 <춘향가>의 더늠을 대표하는 <사랑가>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현대 <사랑가>를 대표할 만한 것으로는 조상현 창 <사랑가>와 김여란 창 <사랑가>를 선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사랑가>를 관습에 따라 <긴 사랑가>와 <자진 사랑가>로 나누어 살폈다. <긴 사랑가>는 진양조 <사랑가>인데, 조상현의 것과 김여란의 것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함께 다루었다. <긴 사랑가>는 당시의 관습적인 규범 내에서 춘향을 색정적으로 소유하고자 하는 이도령과 관습적인 규범을 넘어서고자 하는 춘향의 갈등을 느린 가락에 실어 유장하게 펼쳐내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자진 사랑가>는 이도령과 춘향이 서로 업고 노는 노래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조상현의 <자진 사랑가>는 ‘먹을거리 권하는 노래’와 ‘글자 풀이’가 중심이고, 김여란의 <자진 사랑가>는 여러 미인이나 높은 벼슬아치를 업은 듯하다는 서두에 이어 ‘글자 풀이’가 이어진다. 조상현의 <자진 사랑가>가 먹을 것을 권하는 행위에 치중하고 있다면, 김여란의 것은 글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치중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상현의 <사랑가>에 비해 김여란의 <사랑가>가 훨씬 실제적이며, 세속적인 표현되어 있다. <사랑가>는 내용상으로 보면 이도령이 말과 춘향의 말로 구성되어 있다. 이도령과 춘향이 사랑 행위와 더불어 말을 주고받으며 자신의 <사랑가>를 부르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은 육체적으로는 합일에 이르기는 하지만, 정신적 지향점까지 합일을 이루지는 못한다. 그러기에 <사랑가>에는 춘향과 이도령의 갈등이 내재되어 있다. 이처럼 두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내재적 갈등이 <사랑가>의 매력의 일차적 원천이다. 이도령의 말을 통해서 보면 이도령은 관습, 규범이라는 현실적 제약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춘향은 현실, 관습, 규범을 뛰어넘는 사랑을 하고자 한다. 그것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정적으로만 규정되는 어떤 것이다. 이도령의 말에 춘향이 늘 부정적인 답을 계속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육체는 두 사람의 결합을 보장하는 필요 조건이다. 정신적인 합일은 <춘향가>의 끝을 기다려야만 한다. <사랑가>가 춘향의 부정의 언어로만 되어 있는 것은 결국 춘향이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사랑을 꿈꾸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Sarangga(Love Song) in Chunhyangga. In this study, the Sarangga was classified into Long(Slow) Love Song and Short(Fast) Love Song according to Pansori custom. In the Long Love Song, Master Lee shows the sexual desire towards Chunhyang. However Chunghyang wants to break the social customary norms. So they are in a state of emotional conflicts. Sarangga expresses the conflicts in a long and slow rhythm. In Short Love Song, they sing while giving a piggyback each other. Jo Sang-hyeon’s Short Love Song attaches importance to offer something to eat. But Kim Yeoran’s Short Love Song focuses on the expression of emotions indirectly. Also, compared to Jo Sang-hyeon’s Short Love Song, Kim Yeoran’s is much more practical and secular. In terms of content, Sarangga is composed of the words of Master Lee and Chunhyang. In Sarangga two people are physically united, but they cannot be united by their spiritual orientation. So, Sarangga inheres a conflict between Master Lee and Chunhyang. Through the words of Master Lee, he can’t escape from the real restrictions, customs and moral norms. But Chunhyang wants to love beyond reality, customs and norms. It is something that is defined only negatively because it dose not exist in reality. This is why Chunhyang always keep answers negatively in Sarangga.

      • KCI등재후보

        인격주의의 관점에서 본 남녀 간의 사랑

        박성진(Park Seong Jin)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6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6 No.2

        '사랑'은 인간 존재의 보편적이며 본질적인 속성으로서 사랑을 올바로 알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은 참된 사랑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사랑'이라는 말이 지시하는 대상이 다양하고 범위가 넓기 때문에, 이 글은 '남녀 간의 사랑'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다룬다. 왜냐하면 여러 형태의 사랑 중에서도 특히 두드러지는 것이 남녀 간의 사랑이며, 특별히 현대 사회 안에서 남녀 간의 사랑이 지닌 가치가 쾌락주의적으로 왜곡되어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가치관의 왜곡이 개개인의 인간 실존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랑과 책임』을 통해 계시진리에서 말하는 사랑의 의미에 이성적이고 합리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사랑과 책임』은 인간이 '인격'이라는 사실에 기초적 근거를 두고, 사랑이'자기 증 여'의 행위가 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전개한다. '인격'의 특징은 자유 의지이며, 때문에 인간은 철저히 '자기 자신의 주인'으로서 활동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언제나 '목적'이지, '수단'일 수는 없다. 만일 관능이나 감정 등 사랑의 주관적 의미에만 집중한다면, 결국 자신의 만족을 위해 인격을 사용하게 된다. 이것은 인격의 본성에 침해를 가하는 것이며, 이기주의의 행위이다. 그러므로 오직 '사랑'만이 인격을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유일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사랑은 타인과 함께 어떤 선을 기꺼이 찾아가겠다는 의식적 자발성이며, 타인을 위해 그 선에 기꺼이 종속되거나 혹은 그 선을 위해 타인에게 기꺼이 종속되겠다는 의식적 자발성이다. 그러므로 사랑의 온전한 의미는 '소유'가 아닌 '내어줌'에 있다. 이처럼 사랑은 계시진리의 관점에서 '하느님을 추구하는 행위'이며, '자기 증여의 행위'로 실현된다. 동시에 자연 세계 안에서 발견되는 현상, 즉 사랑은 언제나 '인격 사이에 발생'하는 사건이기에, 인격에 대한 태도로서 사랑은 또한 '자기 증여'의 행위이다. 그리고 이렇게 진리 안에서 사랑이 이해되고, 실현 될 때, 사랑은 참 행복을 맛보게 하며, 하느님을 향한 여정이 된다. 이처럼 인간 이성은 계시 진리에 합리적 근거를 마련한다. 즉, '자기증여의 사랑은' 신앙의 내용으로만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진리이다. It is truly human to love and to be loved. It is by loving that man realizes oneself and discovers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Because 'love' is the universal and essential nature of man, it is of utmost importance that we rightly know and practice it. Hence this paper looks to uncover the meaning of true love. But as the word 'love' indicates a variety of different things, this study limits its scope to the 'love of man and woman' since it stands out the most among the many forms of love. It is this kind of love that is being misrepresented by today's society, which poses a serious threat to human existence by embracing hedonism and thus distorting the value of love. This paper goes on to provide reasonable grounds for such a Christian understanding of love by examining John Paul II's Love and Responsibility. The Pope's work starts from the fact that man is a 'person', and that love must be an act of 'self-giving'. The characteristic trait of a person is free will, which enables one to act as 'one's own master'. Hence man is always an 'end', and never a 'means'. But if one focuses solely on the subjective meaning of love like sensual desire and feeling, he/she may end up using a person for self-satisfaction. This is a violation to the nature of the person, and accordingly is an act of egoism. Love alone can be an alternative to using a person as a means, since it is the conscious willingness to seek what is good, together with another person. It is the willingness to gladly submit oneself to this good, or to submit oneself to another person in order to reach this good. Hence the full meaning of love lies in 'giving', and not in 'possessing'. According to the revealed truth, love is the 'act of seeking God'; so it must be realized as a 'love of self-giving'. Natural truth also shows that love, a natural phenomenon that occurs 'between persons', needs to be an act of 'self-giving' since it refers to the attitude toward another person. When correctly understood and rightly realized according to this truth, both the revealed and the natural, love can bring forth true happiness and become a journey toward God the Creator. To sum up, human reason provides reasonable grounds for the understanding of love as presented by revealed truth. 'Love as self-giving' is the content of faith, as well as the universal truth that pertains to all human persons.

      • 사랑이 가진 치유력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적 적용

        박현철 성결심리상담연구소 2010 성결심리상담 Vol.2 No.-

        본 연구는 사랑의 치유력이 인간의 삶과 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후 기독교 상담적으로 적용하였다. 사랑을 문자적으로 정의하고 확립시키는 것은 아직도 난해한 연구과제이지만 사랑이 지닌 치유력은 전 세계에서 수십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랑의 의미의 이해를 바탕으로 사랑의 요소와 사랑의 결과로 사랑의 치유력과 사랑 결핍 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제시하였으며 기독교 상담에서 사랑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기독교상담적 적용을 통해 정리하였다. 특히 사랑은 기독교의 핵심이며 사랑이 기본 전제로 되어진 종교이기 때문에 기독교상담에서 사랑의 치유력의 힘은 반드시 구체화되어야 하며 적용되어야 할 중요한 자원임에 틀림없다. 기독교상담자는 모든 내담자에게 Henry Drummond가 고린도전서 13장을 근거로 제시한 아홉 가지 사랑의 미덕인 인내, 친절, 관대함, 겸손, 예절, 이타심, 평정, 솔직함, 성실을 지닌 사랑의 상담자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기독교상담자가 사랑의 자세로 내담자에게 다가설 때 진정한 치유와 회복의 역사가 열리고, 내담자의 삶이 구원과 감사의 삶으로 변화되는 상담이 되리라고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healing power of love on human life and problems, and then applied it in a way of Christian counseling. It is still hard to mean love literally and establish it, but healing power of love was scientifically approved through the studies of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The study aimed to find out that healing power of love has the superior power to medical techniques or authoritative counseling techniques. Therefore, it presented healing power of love resulted from elements of love and results of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love, and raised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love. The power of love not only ha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healing but also becomes the motivation beyond the problems of fear and pain in human life. In particular, love is the key of Christian which is based on love, so it is certain that the healing power of love is the importance source that should be specified and applied in Christian counseling. Christian counselors should be improved as the counselors of love who have nine virtues of love such as patience, kindness, generosity, modest, manners, altruism, composure, honesty, and sincerity that Henry Drummond presented to every client based on I Corinthians 13. When Christian counselors treat clients with the attitude of love, the history of true healing and recovery will be held, and the counseling can change clients’ life to the life of the salvation and gr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