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환경의 도래와 개인정보 보호방안

        김용훈(Kim Yong Hoon) 경희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1

        정보화시대는 그 면모를 급속도록 변형시키고 있듯이 우리의 생활에서 정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인터넷에 힘입은 바 큰데 실제적으로 인터넷 상의 정보량은 현재 천문학적인 규모에 이르고 있어서 우리는 정보의 홍수에 살고 있다는 평가가 어색하지 않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상을 보다 강화하는 기제가 등장하였으니 그것은 빅데이터이다. 빅데이터란 “기존 데이터 수집·저장·관리·분석의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세트 및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을 일컫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사고와 재난의 예측과 효과적인 예방 나아가 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이의 중요성과 의의는 무시할 수 없게 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로 말미암아 개별적인 사익 특히 프라이버시권 등 일정한 기본권과의 상충 상황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당해 빅데이터의 활용 필요성만을 강조할 수는 없게 되었다. 실제적으로 빅데이터의 활용은 일정 정도의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는 빅데이터 활용이라는 공익과 프라이버시권이라는 사익의 상충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관적이고 효과적인 빅데이터의 활용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양 이익간 형량 작업이 필요하다고 보아야 한다. 당해 작업을 위하여 본격적인 규범을 도입한 실체가 있는 데 유럽연합이다. 유럽연합은 기존의 정보보호지침에서 정보보호규칙(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이라는 규칙을 제정하여 빅데이터 시대에 임하여 보다 적극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역시 향후 빅데이터의 활용 필요성과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유럽연합의 경험을 참고하여 시사하는 바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인데 프로파일링 거부권, 익명화 조치, 프라이버시 바이 디자인 그리고 동의 요건의 강화 등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We can 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in our life too much as information age changes itself rapidly. Because this situation was brought about by the internet, we can evaluate that we are living the flood of information substantially. By the way it is true that Big Data is strengthening such a phenomena. Big Data is to be defined as “a technology to extract the value from bulk of regular or irregular Data Set and to analyze the result beyond the past capacity of collection·storage·management·analysis of Data”.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Big Data is important to some extent due to the fact that we can predict the accident and disaster and prevent and take action against the crimes in an effective way. However we need to be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 availability and the usage of Big Data may lead to the invasion of individual privacy right particularly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Thus we are not able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the Big Data usage. Practically speaking, it is not unreasonable to postulate that the usage of Big Data presuppose the utiliza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In the long run, since this situation means that there is confliction between the interest of usage of Big Data(public interest) and the interest of individual information(private interest), it is essential to balance between both interests for the sake of effective utilization of Big Data.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is an entity to adopt the legal instrument in order to balance between both interests, European Union. In other words, European Union has a strong stand on the regulation of Big Data by enactment of new legal instrument such as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holding a higher legal position than Data Protection Directive in European Union legal order. It is true that we should prepare the efficient usage of Big Data in that there is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availability of Big Data in our society. Therefore we can get by and secure various legal means for the sake of effective usage of Big Data by referring to the experience of European Union such ad the right of profiling denial, anonymisation action, Privacy Design and the strengthening of agreement conditions etc.

      • KCI등재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 활용 현황과 고도화 방안

        나종연,이진명,구혜경,김효정,남영운 한국소비자원 2024 消費者問題硏究 Vol.55 No.1

        빅데이터 활용 능력이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 항목으로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정부·민간에서 소비자 관련 개선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나 현재 소비자 공공 빅데이터는 행정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며,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가치를 극대화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 행정의 효율성과 성과 개선을 위해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이는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비자 공공 빅데이터의 유형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에서 보유 및 관리하는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는 것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실태를 파악하였고, 문헌고찰, 실무자 심층면접, 브레인스토밍, 전문가 자문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고도화를 위한 제안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토하였다.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를 보다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관련 정책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 내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분석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과 한국소비자원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체계화하고 품질을 개선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기관의 DB를 상호 연계하기 위한 법적 근거 확립 및 표준화 가이드라인 마련도 필요하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빅데이터에 관한 총체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소비자분야 데이터 생산자와 수요자 등 협력 가능한 이해관계자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소비자 빅데이터의 헤게모니를 가지고 실질적인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소비자분야 맞춤형 데이터 어젠다를 구축하는 하향식 접근과 소비자 빅데이터 활용 협의체를 구축하는 상향식 접근을 병행하고, 데이터 기반 문화에 대한 리더십과 지원, 데이터 자산에 대한 가치 인정 및 기술 투자 등 데이터 활용 조직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bility to utilize big data is emerging as an important element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Based on consumer big data analysis,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can improve consumer-related services. However, currently consumer big data is only meaningful as a statistical object and is not maximizing the actual value of the dat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big data use in the consumer sector and to propose advanced measures to increase the use of public big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policy and administration. The status of big data utilization was i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consumer big data and the status of public data held and manag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expert consultation, we derived suggestions for advancing the use of big data and reviewed their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In order to advance consumer-related policies through the use of public big data in the consumer field, the data existing within the Fair Trade Commission must be integrated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in an analyzable form, and the database managed by the Consumer Agency must be systematized and its quality improved to increase usabilit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and prepare standardization guidelines to interconnect the databases of various organizations. In addition,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sumer big data,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must clearly define stakeholders who can cooperate, such as data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consumer field, and solidify their role as a practical control tower with the hegemony of consumer big data. Based on this, a top-down approach to establish a data agenda tailored to the consumer sector and a bottom-up approach to establish a consultative body for utilizing consumer big data must be taken in parallel.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pread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utilizes data, including leadership and support for a data-based cultur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data assets, and investment in technology.

      • KCI등재

        빅테이터(Big Data) 융합예술의 세계적 양상과 전망분석

        태혜신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1

        Big Data is the first emerging core technology described in the World Economic Forum among the top 10 technologies. Internet of Things (loT), Robotics, 3D printing, artificial intelligence, new materials, 5G mobile communication, big data analysis, gene editing,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are the results of big data. These big data results are very useful in the field of society as a whole and art. However, there are not many cases of studying big data convergence art as creative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big data convergence art and predict the future through research on the global development of big data convergence art.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Internet data such as degree papers, academic journals and newspaper articles, websites, and blo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ternet of Things Art (IoT Art) area was hardly found in Korea as a starting stage. However, some Internet of Things artwork based on disruptive technology was being produced. On the other hand, AI creative art based on big data algorithms for each art area was developing innovatively and rapidly at home and abroad. Currently, AI works in the field of visual art and music are not distinguished from human works, and they surpass humans in that many works are created in an instant. In terms of big data, the visual field needs to build labeled image big data that can further develop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AI creation, and the music field is very important to set optimal parameter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I is expanding its scope from phrase and sentence generation to scenarios, poems, and novels. They are creating their own new literary works by using existing literary works as big data.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I is engaged in independent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visual and music, but the era has already come when it takes on some of the roles of production and writer of completed works. In terms of big dat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more interesting works will be created by expanding the size of the data. The dance field has developed from the dancing robot stage to the choreography AI stage. The robot's dance movements are more natural, delicate, and dynamically similar to humans than in the early stages. AI choreography is in its early stages and currently shows various motion samples, but AI auxiliary choreography activities are predicted through performance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terms of big data, the most urgent thing at present is the work of big dataizing dancer movements. 빅데이터는 세계경제포럼에서 10대 기술 중 첫 번째로 서술한 떠오르는 핵심기술이다. 사물인터넷(loT), 로봇공학(Robotics), 3D 프린팅, 인공지능(AI), 신소재, 5세대 이동통신(5G), 빅데이터 분석, 유전자 편집,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은 빅데이터의 결과물들이다. 이러한 빅데이터 결과물들은 사회 전반과 예술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창작예술로서 빅데이터 융합예술을 연구한 사례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적인 빅데이터 융합예술 전개 양상 분석를 통해 빅데이터 융합예술의 기초자료 제공하고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2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3년간 저서, 학위논문, 학술지 및 신문기사, 홈페이지, 블로그 등의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물인터넷 예술(IoT Art)영역은 시작 단계로 국내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다만, 와해성 기술기반의 IoT Art작품은 일부 제작되고 있었다. 반면에 각 예술영역별 빅데이터 알고리즘 기반의 AI 창작예술은 국내외에서 혁신적,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현재 시각예술과 음악 분야의 AI 작품은 인간 작품과 구분되지 않으며, 일순간에 많은 작품들을 생성한다는 점에서는 인간을 능가한다. 빅데이터 측면에서 시각 분야는 AI 창작의 질적 성능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라벨링 된 이미지 빅데이터 구축 및 음악 분야는 최적의 매개변수 설정과 다양한 새로운 AI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하다. 문학 분야 AI는 문구, 문장 생성에서 나아가 시나리오, 시, 소설로 영역을 확장하며 기존 문학 작품들을 빅데이터로 활용해 새로운 문학 작품을 생성하고 있다. 시각예술과 음악 분야처럼 주체적 창작 활동을 한다고 보기 어렵지만, AI가 완성된 작품 생산 및 작가 역할을 일부 맡는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 빅데이터 측면에서는 자료 크기 확장과 AI 알고리즘을 세밀하게 다듬어야 한다. 무용 분야는 댄싱로봇 단계에서 안무 AI 단계로 발전했다. 로봇의 댄스움직임도 초기 단계보다 자연스럽고 섬세하며 역동적으로 인간과 비슷하다. AI 안무는 시작 단계로 현재는 다양한 움직임 샘플링을 보여주는 수준이지만 앞으로 성능 발전을 통한 AI 보조안무가 활동이 예측된다. 빅데이터 측면에서 현재 가장 시급한 점은 바로 무용수 움직임 빅데이터화 작업이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의 법적 보호 문제 - 영업비밀보호법에 의한 보호 가능성을 중심으로 -

        이일호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1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eaning and value of data have been emphasized drastically. In recent years we are also confronted with the new coined term “big data”, which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demarcation experienced by the pre-existing data itself or databases that consist of them. As a result, the government and industry tend to be active in this area, either by investing in it or by utilizing it. The more frequently big data would be applied in industry, the more plausible there could exist disputes between entities with different interests. Thus it is requires legal discussion surrounding big data, already in the earlier stage. Among other legal aspects of big data,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possibility of its legal protection. To fulfil this aim, it firstly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big data” and extract some common characteristics of it by considering the current development in the relevant technologies. On the basis of this discussion, it is examined whether and how big data can claim protection under intellectual property law, expecially according to the protection regime sui generis for database investors which has been originally developed for typical databases in the traditional sense. However, it will more focus on the possible legal protection of big data as trade secret whose protection is governed in Korea by the Trade Secret Law within the context of the unfair competition regime. Rights arising from a trade secret are distinguished from exclusive rights conferred on holders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deem to be, as a consequence, characterized differently. It is difficult for the trade secret to identify and specify information in secret from the other. Furthermore, many scholars and practitioners still raise questions, whether claims based on the trade secret should be regarded as a right to the exclusive utilization or just a right to exclude someone from acquiring it. Such a uncertainty makes the trade secret law the last resort for businesses who would claim ownership over objects which has not been firmly recognized as an intellectual property yet. However, trade secret law has codified some liable conditions in depth for claiming protection, although they are sometimes considered insufficient and too abstract. Thus, the question which data can be protected under trade secret law depends on the interpretation of that law. The Paper will be concluded with the result: the trade secret law is not a suitable legal institute for the legal protection of big data. The reason is that the trade secret law is from the beginning not intended to protect data, and that it is not ready yet to recognize it as protectabl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big data would generate a huge amount of value and the investment would continue to increase. Answers to the questions remain still open, whether such information needs to be legally protected, and how and to what extend it can be protected, more importantly how we could formulate the legal language for the big data protection. It could be helpful to gather stakeholders, scholars and practitioners and to discuss on various issues around big data. 4차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데이터가 가지는 중요성은 줄곧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big data)라는 신조어가 나와 기존 데이터 또는 데이터베이스가 가지는 가능성을 뛰어 넘는 기술진보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만큼 정부나 기업에 의한 활용도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빅데이터가 빈번하게 사용되면, 그만큼 이와 관련된 분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빅데이터를 둘러싼 법적 쟁점에 대해서 사전에 다루어 보는 것은 무척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이 논문은 빅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법적 측면 중에서도 그 보호 가능성에 관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논문은 우선 빅데이터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지, 또 현재의 발달상황을 고려해 보았을 때, 빅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빅데이터가 과연 현재의 지식재산권법(특히 저작권법) 및 불법행위법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려해볼 것이다. 여기서는 무엇보다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을 통해 빅데이터가 보호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집중하고자 한다. 영업비밀은 여타 지식재산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영업비밀로 보호되는 정보를 특정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그 보호가 단지 방어권에 머무는지, 적극적인 이용권한에까지 이르는지에 대해 아직까지도 모호한 상황이다. 이러한 모호성 때문에 영업비밀보호법제는 때때로 명확하게 지식재산으로 보호되지 못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마지막 보루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동 법제는 추상적이기는 하지만, 영업비밀로 보호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들과 침해로 인정되는 행위를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빅데이터가 영업비밀이 되는지 여부는 이 조건들에 의해서 결정될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영업비밀보호법제는 현재로서 빅데이터를 보호함에 있어 적합한 법제도라고 할 수는 없다. 이는 영업비밀보호법이 애초에 빅데이터를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다. 빅데이터가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산업계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을 법적으로 보호할 것인지, 또 어떻게 얼마만큼 보호할 것인지는 또 다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다양한 사람들, 법학자 및 법실무자들이 함께 모여 적합한 보호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빅데이터 정의 및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박은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빅데이터 정의 및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박 은 하* 요약: 이 연구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빅데이터를 다루는 것으로, 빅데이터의 인문학적 정의, 인문학 관점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역량, 그리고 인문학에서의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먼저 빅데이터의 인문학적 정의를 위해 “효용”이라는 개념 요소를 도입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빅데이터의 정의를 재정립하였다. 그리고 데이터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는 물론이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해내는 능력이 필요함을 피력하며 이를 “빅데이터 활용 역량”이라고 일컫고 이에 대한 정의도 하였다. 다음으로 인문학에서의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을 하였다. 2020~ 2021년 동안 본 연구자가 담당하는 수업의 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주로 생각하거나 관심 갖고 있는 키워드(2,500개)를 도출해서 워크클라우드와 보얀트툴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나온 주요 키워드는 2020년에 ‘코로나’와 ‘과제’였고 2021년에는 ‘친구’와 ‘가족’이었다. 기존에 빅데이터는 정보 기술이나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온 바, 이 연구는 빅데이터를 인문학적으로 접근한 점이 의미가 있으며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이와 관련한 연구가 인문학 분야에서 더욱 활성화되리라 본다. 핵심어: 빅데이터, 인문학적 접근, 빅데이터의 정의, 빅데이터 활용 문해력, 디지털 인문학 □ 접수일: 2022년 3월 8일, 수정일: 2022년 3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대구대학교 성산교양대학 강사(Lecturer, Daegu Univ., Email: eunha0530@hanmail.net) Humanistic Approach to Definition and Utilization of Big DataEunha Park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humanistic definition of big data, the capability of employing big data from the humanities perspective, and the analysis and use of big data in the humanities. First, for the humanities definition of big data, the concept of “hyoyong (utility)” was introduced and big data was newly defined from the humanities perspective. And the ability to analyze and interpret data as well as an essential understanding of data was referred to as “Big Data Utilization Literacy” and defined. Second, for th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big data in the humanities, from 2020 to 2021, the keywords that they mainly think or are interested in were derived from 125 students in the class this researcher is in charge of and analyzed using Work Cloud and Voyant Tool. As a result, the main keywords in 2020 were ‘corona’ and ‘tasks’, and in 2021, ‘friends’ and ‘family.’ As prior research on big data has mainly taken place in information technology or computer science fiel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roaches big data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Fur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active related researches are expected in the future. Key Words: Big Data, Humanistic Approach, Definition of Big Data, Big Data Utilization Literacy, Digital Humanities

      • KCI등재

        지식재산권으로서 빅데이터의 법제화에 관한 연구

        박승민,송양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5 No.3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 하면서 각종 데이터의 활용 및 가치 측면에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big data)는 기존 데이터 또는 데이터베이스가 가지는 가능성을 뛰어 넘는 진보된 기술로 각광받고 있으며, 정부 및 기관, 기업 그리고 연구소 등에서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빅데이터가 많이 사용 되면, 이와 관련하여 내용의 활용에 대해 침해 및 분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빅데이터를 둘러싼 법적 쟁점이 중요해지고 있어 논문 등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유럽연합에서 2014년경부터 본격화된 ‘데이터 경제’나 ‘데이터 소유권’ 논의의 진행추이를 살 펴보면 물권적 독점권을 빅 데이터에 새로 부여하는 방식에 관해서는 대부분이 부정적 견해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미국은 한국과 다르게 아직 불법행위로부터의 보호에 그치고 있는 개인정보 보호를 물권적 권리에 가깝게 격상하자는 논의가 비교적 활발할 뿐 개인정보가 아닌 빅데이터 전반을 물권적 권리로 보호할 지에 관해서는 아직 활발한 논의가 관찰되지 않고 있다.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의 바람직한 권리보호방식을 구성하는데 있어 지식재산권 보호에서 얻어진 기존 경험을 참고하여 지식재산권으로 보호를 하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유럽연합의 위 논의가 단지 민법상의 소유권과 비교하는데 그치기보다 지식재산 권 법제의 저작권⋅데이터베이스나 영업비밀 보호를 직접 적용하거나 응용하여 빅데이터를 보 호하는 방법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유럽과 같이 지식재산권 법제를 적용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빅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법적 측면 특히 지식재산권으로 보호 가능성에 관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의 발달상황을 고려해 보았을 때, 빅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특징 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빅데이터가 과연 현재의 지식재산권법에 의해 보호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urrently, a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in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e importance of various data utilization and value continues to be emphasized. In particular, big data is in the spotlight as an advanced technology that exceeds the possibilities of existing data or databases, and its utilization continues to increase in governments, institutions,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If big data is used a lot,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and dispute over the use of content in this regard will increase. Therefore, legal issues surrounding big data are becoming important and are being dealt with in papers. Looking at the progress of discussions on the “data economy” and “data ownership” in earnest since 2014 in the European Union, most of them are showing negative views on how real rights are newly granted to big data. Meanwhile, unlike Korea, the U.S. is relatively active in discussions to upgrade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is still limited to illegal activities, close to real rights, but there is no active discussion on whether to protect big data as a real right. In constructing a desirable right protection method of big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y referring to existing experiences obtained from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In particular, it is positive that the above discussion of the European Union has begun to actively consider ways to protect big data by directly applying or applying copyright, database, or trade secret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legislation, and Korea needs to consider applying intellectual property legislation like Europe. Therefore,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legal aspects of big data, especially the possibility of protection wit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nsidering the current development situa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ig data and review and suggest ways to protect big data under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law based on this analysis.

      • KCI등재

        빅데이터와 경쟁정책: 국내 온라인 비즈니스 분야 시장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황태희,김민기,조혜신,윤성훈 정보통신정책학회 2019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6 No.3

        현대사회에서 정보는 다량으로 수집, 분석되고 규모, 다양성, 속도, 정확성을 중심으로 하여 빅데이터로 가공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빅데이터 시장에 대하여 외국의 경쟁당국 등에서는 빅데이터와 관련한 시장 및 경쟁제한 행위의 판단기준, 개인정보 보호의 관련성 등에 대하여 적절한 해석과 정책적인 해법을 위한 시장조사 또는 연구결과 보고서를 이미 발간하였고, 일부 국가는 이에 근거하여 이미 적극적인 법 집행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빅데이터와 관련한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어떠한 경쟁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진은 국내외 선행 연구 및 외국 집행기관의 집행사례들을 토대로 빅데이터 관련 경쟁법상 쟁점을 파악하고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내 빅데이터 시장에서 기업 간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의 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이에 빅데이터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가들을 대상으로 2차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빅데이터를 자유롭게 수집/거래할 수 있는 법률적, 경제적 여건이 미흡하여 빅데이터 관련 시장이 성숙하지 않았고, 그로 인하여 경쟁실태를 논할 만한 환경 자체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설문결과가 나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럼에도 빅데이터와 그에 기반을 둔 새로운 기술들은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빅데이터의 활용도는 점점 더 커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들의 후생과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관련 국내 시장을 선행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고, 그 시장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쟁제한 내지 불공정한 행위에 관한 적절한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In the digital era, firms have been increasingly collecting, processing and utilizing so-called big data, which have become firms’ strategic assets in market competition. Competition authorities of foreign govern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exerted efforts to find new legislative or interpretative approaches and institutional solutions to firms’ competition-limiting behaviors related to big data and privacy concerns. In Korea, however, less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to define big-data markets and assess the relevance of big data for competition law enforcement. Since defining the big-data market is challenging and has not been done in existing literature, we conduct explorative research of firms via an online survey with questions based on foreign competition policy and potential anti-competitive issues related to big data. Surprisingly, few firms raise concerns about unfair competition regarding big data in terms of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i.e., buying, selling and sharing data) for their own business. We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se percep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rms’ working-level experts in charge of big data. We find that the survey results may be driven by immaturity in the Korean market, and that it may be still too early to discuss big-data related competition issues. Korean enterprises cannot freely collect or exchange big data with their counterparts due to restrictive and ambiguously-written privacy rules. Facing regulatory risks, Korean firms are reluctant to engage in new business opportunities utilizing or exchanging big data. Given that foreign market- dominant companies doing business in Korea are more aggressive in utilizing big data under their countries’ own rul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providing more specific and articulate guidelines regarding firms’ big-data use and the links to personal data protection. These efforts may alleviate the privacy concerns and regulatory risks in firms’ pursuit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using big data.

      • KCI우수등재

        증거기반 정책에서의 빅데이터에 관한 연구

        김선영 ( Sunyoung Kim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1

        과학기술과 컴퓨터 과학의 발전과 함께 인터넷과 센서로 연결된 사회에서는 사람들의 행위, 상호작용, 그리고 경제적 상황 등에서 다양한 종류, 다양한 형태의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쉼 없이 생성·저장되고 있다. 이를 빅데이터라고 한다. 다양한 영역에서 그 활용이 개발되고 있는 빅데이터는 행정기관의 효율성 제고와 정책수단으로도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빅데이터는 기계학습을 통해 목적에 맞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전통적 데이터를 통한 실증연구가 정책의 근거로 사용되는 것처럼, 빅데이터도 증거기반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증거기반 의사결정에서 기계학습방법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하위 모집단을 두루 분석할 수 있게 해 이전에 데이터를 통해 찾아볼 수 없었던 편향된 현상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현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동시에 데이터의 메타성으로 인해 더욱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도 한다. 이는 여러 나라에서 개발·적용되고 있는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립된 정책과 현실 적용 간의 차이는 정책에서의 빅데이터 사용에 대한 우려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통적인 데이터로부터 빅데이터를 이해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계학습방법에 관한 정리를 통해 근거기반 정책 결정 도구로 빅데이터의 활용에 관한 함의를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computer science, huge amounts of data of various kinds and types of people's behavior, interaction, and social-economic situation. are continually being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ociety connected with the internet and sensors. This is called big data. Big data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research purpose by using machine learning. The big data, which is actively used by the private sector, is also positively evaluated as a means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agencies’ work and policy means. In particular, just as empirical research using traditional data is used as evidence for a policy, big data can be used in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This is because it allows researchers to investigate not only human society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before but also overall social phenomena by analyzing big data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method that can analyze commonality and heterogeneity of data sub-populations and entire population in detail. At the same time, the massive volume of data makes it possible to make more accurate predictions. However, in most studies on big data related to making decisions or policies, the analysis approach of big data tends to be based on the traditional data approach method. As a result, it is pointed out that the policy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in the evidence-based policy perspective are not satisfied.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result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big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ig data concept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traditional data and to obtain the implications for the use of big data as an evidence-based policy mean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 for big data analysis.

      • KCI등재

        중국 빅데이터 거래에 관한 법적 고찰 -정보법을 중심으로-

        김군 ( Jin Jun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8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2 No.2

        정보기술과 경제사회의 융합으로 인하여 빅데이터는 급속히 발전하였다. 중국정보통 신연구원에서 조사 및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중국 빅데이터 산업의 총 규모가 4700억 위안에 달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30% 증가하였다. 빅데이터 산업이 새로운 경제 성장 엔진이되고 있으며 정보산업 미래의 패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빅데이터 거래가 왕성하게 발전하고 있지만 빅데이터 관련된 단독입법이 아직 미비된 실정이며, 실무상 <민법총칙>, <계약법>, <저작권법>, <반부정당경쟁법>, 정보보호 관련 법률에 의하여 빅데이터 거래를 규율하고 있다. 본문은 중국의 빅데이터 거래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거래소, 빅데이터 거래상품의 종류 그리고 빅데이터 거래과련 법규, 빅데이터 거래소규칙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또한 빅데이터의 귀속문제에 있어서 명시적인 규정은 없으나 실무상 가공된 데이터에 대하여는 약정이 있는 경우 약정에 의하며, 약정이 없는 경우 해당 데이터는 가공(조성)한 자에게 귀속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빅데이터 유통에 있어서, 정보수집자는 개인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경우 해당 정보의 사용방식, 목적, 범위를 명시하고 피수집자의 동의를 받아야한다. 그리고 본문의 마지막부분에는 빅데이터와 관련된 판례 2편을 검토하였다. 판결요지에 따르면 허가 없이 타인이 합법적으로 수집한 빅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부정경쟁행위에 해당된다. 또한 cookie 사건에서는 개인 정보 이용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권침해 기준을 확립하였다.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conomic society promotes the rapid development of Big Data.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by the China Academ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hat the size of China's Big Data industry was 470 billion RMB in 2017, demonstrating a 30% year-on-year increase. There can be no doubt that Big Data industry is becoming a new economic growth engine and will play significant role for the future patterns of the information industry. Although Big Data transactions have developed vigorously, there is still no specific rules to regulate it. In practice, Big Data transaction is regulated by The General Rules of the Civil Law, Contact Law, Copyright Law, Law of the PRC against Unfair Competition, and the Information Protection of related regulations and policies. In order to provide grounds for Big Data transaction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general situation of China's Big Data Exchanges and the types of Big Data transactions, as well as the laws related to Big Data and the trading rules of Big Date Exchanges in China. In fact, there is no explicit rules for attribution of big data, and the attribution of Big Data is determined by agreement in legal practice generally. If there is no agreement in previous, the right of Big Data should be attributed to the Data collector (or creator). In the aspect of Big Data circulations, the information collector, which shall specify the using of information method, the extent and purpose of information to the individuals, shall obtain the individuals consent in advance. Finally, this article also review two cases related Big Data. According to the ruling, without permission of using Data, which is legally collected by others, is an unfair competition. In the case of cookies, the court established a standard for using personal information to infringe on the privacy rights of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