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각의 확장과 비조각의 의미 - ‘부정성(negativity)’으로 존재하는 조각 -

        남인숙 ( Nam Inso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2

        이 연구는 ‘비-조각(not sculpture)’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비-조각이 문제된 배경을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관점으로 정리하고, 초현실주의로부터 비-조각의 전개 근거를 찾아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 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작품 사례를 제시하여 비-조각의 출현을 초현실주의에서 찾아야 한다는 연구내용을 뒷받침한다. 도널드 저드의 「특수한 물체(specific objects)」에 대한 비판적 논평에서 크라우스는 미니멀리즘이 추구하는 매체 순수성에 놓인 모순에 주목한다. 저드는 회화도 조각도 아닌 3차원의 물체를 ‘특수한 물체’라 명명한다. 특수한 물체의 특징은 즉물적이다. 즉물적인 물체나 구체성은 불가피하게 ‘전시의 형식’으로 관객과 함께 만나게 되므로 상호 침투적인 지각의 발생은 물론 환영의 형성이나 해석의 개입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특수한 물체’는 관계를 통해 혼성의 관계망 속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확장은 댄 플래빈이 시도한 산업재료 사용이나 온갖 플라스틱 재료, 넘쳐나는 이미지들에서 보듯 재료의 확장과 동시적으로 전개되면서 ‘비-조각(non sculpture)’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이다. 로잘린드 크라우스는 ‘조각도 아닌’, ‘회화도 아닌’ 부정성의 방식으로 전개되는 동시대 조각을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으로 분류하고, 건축도 아니면서 동시에 환경도 아닌 것의 구현을 ‘장소-구축물(site construction)’이라 부른다. 이것이 조각의 확장된 장이라 불린다. 따라서 ‘비-조각’은 확장된 관계 속에서, 인간적인 척도를 넘어서는 산업의 규모 속에서, 기능이 박탈된 폐허 속에서 발견된 ‘다른 미적인 가능성’을 겨냥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조각은 부정성으로 존재하는 일련의 작품 경향을 지시하며 이로부터 전개되는 조각의 확장된 장 그리고 혼성적인 설치와 ‘다른 가능성’을 지시하는 용어이다. 예를 들면 양감을 대신하는 분산된 설치나 즉물적 구체성이 연극적인 장면으로 되는 시간의 개입과 같은 사건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비-조각 흐름의 원천 중 하나를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찾고, 비-조각 경향은 기술시대 관객으로서 대중이 출현하고 새로운 매체의 등장(사진)에서 비롯된 예술 분류의 애매성에서 그 단초가 제시되었으며, ‘매체특수성’의 자체 내 모순은 비조각의 전개를 불가피하게 한 요인 중 하나였음을 제시한다. 비-조각 사례로서 보이지 않는 ‘중력과 디지털 언어’를 가시화하는 코헤이 나와와 빛 설치 조각의 부지현 작품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how to understand 'not sculpture'. First of all, it organizes the background of the problem of non-sculpture from Rosalind Krauss's point of view, argues that the origin of the non-sculpture tendency should be found in the surrealist movement, and supports the research by presenting a case of work. Rosalind Krauss points out the contradiction in the media purity pursued by minimalism in critical comments on Donald Judd's article "Special Objects." A three-dimensional object is called a ‘specific object’ in a work that is neither a painting nor a sculpture. The characteristic of a special object is immediate. However, the immediate object or specificity is inevitably placed with the audience in the form of a 'showroom', so intervention in illusion or interpretation as well as the occurrence of a mutually penetrating perception is unavoidable. Thus, 'non-sculpture'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ded sculptural concept aimed at 'other aesthetic possibilities' found in relationships, in the scale of industries beyond the human scale, and in the depleted ruins. Non-sculpture dictates a series of work trends beyond media purity, which in turn dictates the expansion of sculptures and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the hybrid installation. This non-sculpture example presents the approach of Kohei Nawa, which visualizes the invisible ‘gravity and digital language’ and the installation of author Boo Ji-Hyun.

      • KCI등재후보

        양심적 병역거부와 병역법 제88조 제1항의 정당한 사유

        배상원 사법발전재단 2019 사법 Vol.1 No.47

        이른바 ‘양심적 병역거부’란 종교적·윤리적·도덕적·철학적 또는 이와 유사한 동기로부터 형성된 양심상의 결정을 이유로 집총 또는 군사훈련을 수반하는 병역의무의 이행을 거부하는 행위를 말한다. 병역법 제88조 제1항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입영기피를 처벌하고 있는바, 양심적 병역거부가 위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 문제된다. 종래 대법원은 병역법 제88조 제1항의 정당한 사유란 원칙적으로 질병 등 병역의무 불이행자의 책임으로 돌릴 수 없는 사유에 한하는 것이고, 다만 병역법이 추구하는 국가안전보장보다 우월한 헌법적 가치를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는 경우라면 이를 처벌하는 것은 위헌이므로 예외적으로 정당한 사유가 인정될 수 있는데, 양심의 자유가 국가안전보장보다 우월한 것은 아니므로 양심적 병역거부는 정당한 사유가 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헌법재판소 역시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형사처벌을 가할지 대체복무를 허용할지 여부는 광범위한 입법재량의 문제로서, 우리나라의 안보현실과 병역의무의 형평성에 관한 사회적 요청 등을 감안할 때 대체복무제가 도입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과잉금지원칙에 위반하여 양심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유로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형사처벌을 긍정해 왔다. 위와 같은 논의구조는 과잉금지원칙에 의한 국방의 의무와 양심의 자유의 형량을 통하여 대체복무제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당한 사유의 존부를 판단하는 것인바, 이러한 접근방법에서는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형사처벌 여부와 대체복무제의 존부가 직접 연계되어 있다. 즉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기 위하여는 대체복무제가 도입되어야 하고, 대체복무제가 도입되지 않은 이상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형사처벌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에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고자 하는 견해에서도 그 요지는 결국 대체복무제를 도입하여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최근 헌법재판소가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대체복무를 허용하여야 한다는 취지로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하였는바, 조만간 대체복무제가 도입될 것이므로 이로써 양심적 병역거부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되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양심적 병역거부의 허용성은 대체복무제의 도입에 선행한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형사처벌 여부는 양심적 병역거부의 허용성에 관한 문제로서 병역법 제88조 제1항이 규정하는 정당한 사유의 해석 문제 그 자체이다. 그리고 양심의 자유의 특성과 양심적 병역거부의 발현형태 등을 고려하면 위 정당한 사유의 존부를 판단하기 위하여는 양심의 자유의 본질과 그 제한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상판결은 위와 같은 인식하에 병역법 제88조 제1항의 정당한 사유에 관한 직접적 해석을 통하여 양심적 병역거부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우선 대상판결은 처벌조항이 정당한 사유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 위법성조각사유나 책임조각사유와 달리 피고인이 처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정을 피고인의 입장에서 고려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을 실현하여야 한다는 취지를 밝혔다. 또한 대상판결은 병역법 제88조 제1항의 정당한 사유는 단순히 질병 등의 사정에 한정되지 않고 병역의무자가 처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정이 그로 하여금 병역의무의 이행을 감당하지 못하도록 한다면 그러한 사정 역시 포함될 수 있다고 하였다. 위와 같... In countries with a compulsory conscription system, the so-called “conscientious objection” refers to an act of refusal to perform the duty of military service on the ground of a conscientious decision that was formed by a religious, ethical, moral, and philosophical motive or other motives similar thereto. Article 88 of the Military Service Act of Korea punishes the avoidance of enlistment without “justifiable cause” and the issue here is whether the aforementioned conscientious objection constitutes “justifiable cause” under the foregoing Article 88. Previous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ve acknowledged criminal punishment of conscientious objectors on the grounds delineated as follows: (i) in principle, “justifiable cause” as prescribed by Article 88(1) of the Military Service Act (hereinafter “instant penal provision”) is confined to causes that cannot be attributable to a non-performer of military service duty, such as illness; (ii) the freedom of conscience propounded by a conscientious objector is not superior than the duty of national defense; (iii) whether to impose criminal punishment against a conscientious objector or permit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of the same is a matter of broad legislative discretion; and (iv) in view of our nation’s security atmosphere, the non-existence of an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system cannot be deemed as infringing the freedom of conscience in contravention of the over-breadth doctrine. Discourse regarding the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ion had been replaced with the issue of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In other words, the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to recognize conscientious objection, and criminal punishment of conscientious objectors is inevitable insofar as the same is not in place. Moreover, those in favor of recognizing conscientious objection is premi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system. Rec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handed down a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decision to the effect that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ought to be permissibl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which in turn may be regarded as the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ion having been fundamentally resolved. However, inasmuch as the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ion precedes that of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whether to criminally punish conscientious objectors is a matter of permitting conscientious objection, and thus, pertains to the construction of “justifiable cause” as defined by the instant penal provision. The subject case is clear on this point and tackles the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ion through a direct interpretation of “justifiable cause” under Article 88(1) thereof. In the subject case, the Supreme Court held that, unlike grounds for exclusion of illegality or exclusion of responsibility, “justifiable cause” under the instant penal provision should be construed by factoring in a defendant (conscientious objector)’s individual and personal circumstances so as to realize well-grounded reasonableness. Furthermore, the subject case deemed that a military obligor’s individual and personal circumstances making it improbable for the same to cope with the performance of military service may be included under “justifiable cause” as stipulated by the instant penal provision, not just confined to causes (such as illness) that a non-performer of military service duty cannot be held liable. Based on the foregoing interpretation, the subject case, in deeming that forcing a conscientious objector to perform military service that involves participation in military exercise and bearing arms may either excessively restrain the freedom of conscience or undermine the inherent substance of the same, determined that “genuine” conscientious objection may constitute “justifiable cause” under Article 88(1), supra, thereby overruling all preceden...

      • KCI등재

        Surprising Tag Questions with Answering Fragments in English

        Kim, Jaejun,Jung, Philip Yoongoo,Park, Myung-Kwan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영문학연구 Vol.62 No.4

        Tag questions in English represent a structure that, by being added to the preceding clause, questions or verifies its content. Despite their wide usage, little has been said about the grammatical source of tag questions. Tag questions are essentially divided into two classes; the regular tag (e.g., did/didn’t she?) and the cleft tag (e.g., is/isn’t it?). Among the two available types of tag, Barros & van Craenenbroeck (2013) extensively studied the tag preference, claiming that the cleft tag is the default one (named as Default Non-Isomorphism). By contrast, the results of our acceptability judgment tasks showed that the regular tag in fact is the favored one, with the use of the cleft tag being sensitive to the focused/adjacent element of the host clause. Namely, the cleft tag is preferred only when a sufficient amount of focus is present. This finding is empirically attested in assorted conditions involving the two types of tag questions. Examined conditions principally varied by the referent of the fragment answer preceding the tag question at stake (i.e., whether the fragment is referring to the subject or object of the forgoing sentence). In addition, the presence/absence of the polarity answer particle (i.e., yes or no) anteceding the tag question was tested.

      • KCI등재

        이승택 작품 연구: ‘비조각’ 개념을 중심으로

        이인범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9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Seung-taek Lee’s art works. Lee’s early works had their roots in sculpture, but he would later explore various genres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ranging from drawing, modern painting, objet,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photo-picture. Lee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for Korean experimental art, as evidenced by the numerous exhibitions and research under his name. One of the most notable exhibitions was the Seung-taek Lee Invitiational Exhibition in 1997, which attempted to highlight the 50 year history of Korean experimental art. Despite his importance in Korean experimental art, most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fail to consider the full picture and chronological importance of Lee’s artwork. Instead, they would only focu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Lee’s art by looking at each piece separately. Furthermore, these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would often rely on non-credible records, casting even more doubt on credibility. This article will first thoroughly analy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Lee’s ar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I identify four phases of Lee’s art as follows: 1) while embracing the western practice of sculpture, Lee would experiment with traditional Korean objects such as totem poles and pottery, or with ordinary industrial objects such as wood, glass, vinyl, and steel. Lee would also experiment with anti-sculpture installation art with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smoke, fire, and wind to reflect on the memories of cultural anthropology (1955-1971). 2) Lee also combined natural objects and artificial objects—such as sculptures, white porcelain, books, currency—by using a “rope” to contemplate on their existence via methodical and conceptual thoughts (1972-1983). 3)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 Lee intervened in various aspects of reality such as shamanism, self-burning, environment, division of the country, and sexuality via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t (1984-Early 1990s). 4) Finally, Lee shifted his focus from 3-dimensional experimental art with objet and sculpture to a photo-picture experiment with collage, montage, painting, and drawing (1990s and after). As a result,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focuse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non-sculpture is ironically very limited in identifying the experimental nature of Lee’s non-sculpture art. In addition, by treating photo activity as just a byproduct of installation art, the previous literature fails to account for the importance of photo-picture, which was the main focus of Lee starting from the 1990s. Lee’s art is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Korean War, industrialization, and post-industrializa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objects within this time period. There is much more to his art than the experimental aspect, which warrants a more fundamental approa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life. 이 글은 이승택(1932-)의 작품세계 연구다. ‘조각’에서 출발한 그는 ‘비조각’을 내걸며 드로잉·회화·오브제·퍼포먼스·설치·‘포토픽쳐’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실험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한국 실험미술 50년을 조명하고자 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이승택 초대전》(1997)을 비롯한 여러 전시와 연구들을 통해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실험미술의 아이콘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나 연구들이 십중팔구 그의 작품 전모나 시기별 전개를 간과한 채, 단편적 형식적으로 그 실험성에만 주목하고, 그마저 엄정하지 못한 1차적인 기록들에 의존하고 있어 매우 제한적으로 설득력을 지닌다. 이 글은 우선 그의 작품에 관한 선행 기록들이나 연구들을 엄밀히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그 전개를 4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1) 서구 ‘조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장승·옹기 같은 민속 오브제나 각목·유리·비닐·양철 같은 산업화 시대의 일상 재료로 형태실험을 하고, 연기·불·바람 같은 비물질적인 재료로 반조각적인 설치 퍼포먼스로 문화인류학적 삶의 기억을 불러내는 시기: 1955-1971, 2) 조각·백자·책·화폐나 돌·나뭇가지 같은 인공물과 자연사물들을 ‘줄’로 묶어 그 존재를 방법적·개념적으로 묻는 시기: 1972-1983, 3) ‘비조각’ 개념을 내걸며 설치·퍼포먼스로 무속·분신·환경·남북분단현실·섹슈얼리티 같은 삶의 현실에 개입해 들어간 시기: 1984-1990년대 초, 4) 지금까지의 3차원적인 오브제·조각 매체 실험에서 무게 중심을 사진콜라주·몽타주·페인팅·드로잉 등 이미지 실험으로 옮긴 ‘포토픽쳐’작업을 한1 990년대 이후 등. 그 결과 ‘조각’을 향한 ‘비-조각’적 실험에 주목했던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정작 그 실험성의 성격을 드러내는 데서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게다가 사진작업은 단지 설치·행위의 기록으로 부수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이승택이 일찍부터 추구했고 특히 1990년대 이후엔 몰입하다시피 했던 ‘포토픽쳐’에 관한 평가가 간과되었다는 점이 확인된다. 더불어 남북분단과 전쟁, 산업화, 후기산업시대 등으로 전개되며 급변하던 사물들의 체계를 배경으로 펼쳐진 이승택의 작품은 실험성만이 아니라, 인위성과 자연성, 오브제와 삶 사이에서 살아있는 새로운 사물의 질서 모색이라는 보다 근본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청된다.

      • KCI등재

        현대미술의‘파괴-창조’의 변증법 - 창작 수단으로서의 예술파괴 행위를 중심으로 -

        초거성,엄혁용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5

        This research aims to pursue an innovative concept on artistic creation by attempt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oint that the impact of material art destruction functions as a means of creation in an artist’s position in contemporary art. Although destructive expression in art has been observed often, the theoretical reconsideration is rarely found in comparison with other parts of contemporary art. At this point of a view, a claim that a right of art destruction is given to us if it bears another creation of art works, provides us many implications, because such a statement can change greatly our thinking. This sort of art destruction differs itself from the conventional ‘Iconoclasm’ or ‘Vandalism.’ This research focuses, therefore, on the ‘reconstruction’ or ‘creativity’ based on Dario Gamboni’s thesis of art destruction, exemplifying six representative works on art destruction, artist’s body destruction, and de-artification, focusing on material art destruction used as a means of creation in modern art. . Also, the term ‘Dialectic of destruction-creation’ coined for this viewpoint inspired by a French philosopher Jacques Derrid, whose concept and aim of destruction have oriented not to destroy but reconstruc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he suggestion of the specific examples of art destruction in current art fields before discussing the theoretical discourse on ‘non-sculpture,’ accentuated by an American art historian and art critic, Rosalind Krauss, as well as ‘non-material’ or performance art utilizing human body, particularly exemplified in the works of Marc Quinn and Marina Avramovic. Their art works or performance will take a significant role to enhance the main topic of this research. The impact of in on contemporary art has three aspects. First, changed the creative paradigm of traditional art and enriched the means of art creation. Second, it is to increase the artistic value of the work to some extent. Third, the boundaries of art are ambiguou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theoretically provide a reference text for further development of art destruction-related research and provide guidance for the creation of current or future works of art. Also,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roaden the discussion on the artistic creation through destructive acts in the fields of virtual reality in the new-media art or AI art which are excluded in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