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제도권 교회의 특징에 대한 연구

        정재영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이 연구에서는 제도권 교회에 속하지 않는 교회들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회 제도화의 문제는 학계에서 이미 오래된 연구 주제이기도 하지만, 최근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하여 제도화된 관습을 극복하고 교회에 대한 개혁이 이루 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탈교회 현상 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형태의 교회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은 학문적으 로나 목회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비 제도권 교회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교회에 대한 새로운 욕구들을 이 해하고 목회의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비제도권 교회에 속한 교인들과 제도권 교회에 속한 교인들 사이에는 뚜렷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교회에 대한 만족도와 대부분의 평가 항목에서 비제 도권 교회 교인들이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특히 규모와 체계를 갖춘 교회에 유 리한 항목을 제외하고 교회의 본래적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체적인 측면에 대해 서 비제도권 교회가 훨씬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점은 비제도권 교회들이 오늘날 개신 교 신자들이 요구하는 신앙적 욕구에 더 부합한다고 해석된다. 비제도권 교회 교인들은 신앙생활 이유에서도 보다 본질적인 차원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제도권 교회에 속한 교인들이 교회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은 제도권 교회 교인들과는 매우 다르다. 전통적으로 교회 구성의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해 온 사항들 에 대해서 이들은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있다. 특히 목회자의 역할에 대해서 매 우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비제도권 교회들이 사회 봉사나 참여와 같 은 이웃 사랑에 대한 평가에서 제도권 교회보다 낮다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비제도 권 교회의 문제의식이나 교회 갱신 노력이 자신들만의 공동체 안에 머무르게 되고 보 다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는 데 큰 제약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 특히 제도권 교회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스스로 갱신할 지에 대해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urches not belonging to institutional churches were examined. The problem of institutionalization of churches is an old topic within the academia, but in light of the recent Corona virus situation where a call for churches to overcome the institutionalized customs and implement reform is being voiced, it is noteworthy. Especially, as the phenomenon of ‘de-church’ is accelerating, that a new form of church is being formed is a subject that requires further attention, both academically and pastorally. Conscious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awareness of Christians toward non-institutional churches and understand the new desires for churches and provide pastoral resources.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institutional church members sought more essential faith elements, and their thoughts on institutional church members and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s of church were very different. Moreover, their evaluation of the churches they attend was very positive, and satisfaction, very high. But the evaluation of non-institutional churches on loving neighbors like community services and participations was lower than the institutional churches, showing its limitation. It is hoped that a practical discussion and alternative can be found on how the Korean churche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churches, can deal with and reform itself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 탈교회 현상과 비제도권 교회

        정재영 한국실천신학회 2021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21 No.05

        이 연구에서는 제도권 교회에 속하지 않는 교회들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회 제도화의 문제는 학계에서 이미 오래된 연구 주제이기도 하지만, 최근 발생한 코 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하여 제도화된 관습을 극복하고 교회에 대한 개혁이 이루어 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탈교회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형태의 교회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목회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비제도권 교회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교회에 대한 새로운 욕구들을 이해하고 목회의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비제도권 교회 교인들이 보다 본질적인 신앙을 추구하고 있었고, 기존 교회에 출석하는 교인들과 교회 구성 요건에 대한 생각이 매우 달랐다. 또한 자신들이 출석하는 교회에 대한 평가가 매우 긍정적이 었으며 만족도도 매우 높았다. 그러나 비제도권 교회들이 사회봉사나 참여와 같은 이 웃 사랑에 대한 평가에서 제도권 교회보다 낮다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 특히 제도권 교회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스스로 갱신할 지 에 대해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urches not belonging to institutional churches were examined. The problem of institutionalization of churches is an old topic within the academia, but in light of the recent Corona virus situation where a call for churches to overcome the institutionalized customs and implement reform is being voiced, it is noteworthy. Especially, as the phenomenon of ‘de-church’ is accelerating, that a new form of church is being formed is a subject that requires further attention, both academically and pastorally. Conscious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awareness of Christians toward non-institutional churches and understand the new desires for churches and provide pastoral resources.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institutional church members sought more essential faith elements, and their thoughts on institutional church members and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s of church were very different. Moreover, their evaluation of the churches they attend was very positive, and satisfaction, very high. But the evaluation of non-institutional churches on loving neighbors like community services and participations was lower than the institutional churches, showing its limitation. It is hoped that a practical discussion and alternative can be found on how the Korean churche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churches, can deal with and reform itself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 KCI등재

        비제도권 교회의 유형에 대한 연구

        정재영(Chae Yong Ch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1

        최근 한국에서 제도권 교회들의 성장 정체 속에서 건물, 성직자, 교단 등 기존의 교회 구성의 문법을 따르지 않는 실험적인 새로운 기독교 공동체들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 교회의 틀에서는 의미 있는 신앙생활이 어렵다는 이유로,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가운데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서, 그리고 이러한 모양을 원하는 교인들의 욕구에 부응해 기존 교회의 모습에서 탈피한 신앙 공동체들이 등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회들은 기존의 관점에서는 교회라고 보기 어려울 수도 있고, 또한 기존 교회의 틀로서는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비제도권 교회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학의 연구 방법을 통해 비제도권 교회들의 실태를 밝히고 이들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23개 사례 중에 유형별로는 목회자 없이 평신도들로 구성되었거나 목회자가 있어도 목회자로서 특별한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평신도 교회가 13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일요일에 모이지 않고 평일에 모이는 ‘주중 교회’ 형태가 3개 있었다. 또한 3곳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다른 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간을 모임 때만 빌려서 쓰는 ‘탈공간적 교회’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목적 지향에 따라서 보면, 대안 추구형, 본질 회복형, 필요 반응형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새롭고 다양한 종교적인 욕구에 대해서 한국 교회, 특히 제도권 교회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스스로 갱신할지에 대해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 new type of churches is appearing in Korea. In a midst of stagnation of institutional church growth, experimental, new Christian communities that do not follow the existing paradigm of church configurations like buildings, clergy, and denominations are appearing. In response to the desires of church members who reason that a meaningful life of faith is difficult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ing churches or that there exists a new possibility within a post-modernism, faith communities that are stripped of existing church models are appearing. From an existing perspective, it is difficult to label them as churches, and since they cannot be explained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churches, they are called non-institutional churches. This study, through sociological research method, attempts to show the actual state of non-institutional churches and classify their types. In this study, those non-institutional churches that do not belong to a denomination and live out their faith life according to their own ecclesiology are researched. Of the 23 cases by type, churches that are organized with only lay members and without clergies or though there are clergies they do not function with special authority make up the greatest proportion, at 13 cases. Traditionally, the uniqueness of church is that the Word is declared, and that communion is carried out. But that these practices once belonged only to those ordained clergies who received theological training from a legitimate denomination show these lay churches have escaped Christian tradition. And of the 3 cases of ‘mid-week churches’ where they did not meet on Sundays but on weekdays, one was like a monastery, and the other two did not explicitly express to be a church but carried out the functions of a church. Moreover, there were only 3 cases where they had their own worship or meeting rooms like the traditional churches, whereas the rest only borrowed available spaces from other organizations as needed. And finally, 5 met in their homes. In that sense, most of non-traditional churches can be seen as ‘trans-spatial’ churches. It is a great challenge to the Korean church that attendance in non-institutional churches are on the increase. In a post church growth era, or strictly speaking, after the decline of institutional churches, a new model of churches is appearing, and it is fulfilling their new spiritual desires. With regards to formal structures, these non-institutional churches possess a unique differentiation and autonomous freedom unlike the existing, traditional churches. With regards to these new and diverse spiritual desires, I hope that the Korean church,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churches, can engage in detailed discussions and thus arrive at solutions as to how they will respond and re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