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사의 정보원 속성, 언어ㆍ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진료만족 및 행동 의도와의 관계 : 정교화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정미영 한국소통학회 2017 한국소통학보 Vol.16 No.4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소 외에 의사의 다양한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요인을 FGI(심층인터뷰)를 통하여 도출하고, 의사의 중심경로로 전문성을, 진실성과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주변경로로 하여 의사의 정보원 속성과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진료만족도 및 행동의도(재방문 의도, 긍정적 구전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바탕으로 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 중에서 음성언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몸짓언어, 시간)을 도출해 냈으며, SPSS 프로그램 20.0을 이용해 각 요인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심경로인 의사의 전문성과 주변경로인 진실성,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 중에서 시간을 제외한 음성언어와 몸짓언어가 신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신뢰성의 구성요소인 전문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진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중심경로인 의사의 전문성과, 주변경로인 의사의 진실성,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 모두 진료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밝힌 것처럼 환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의사의 전문성이며, 이외 주변경로인 의사의 진실성,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도 선행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의사는 환자를 대할 때 눈 맞춤과 환자의 말에 경청하며 웃어주고 고개를 끄덕여주는 등의 비언어를 많이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의사에 대한 신뢰성은 진료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의사의 신뢰성과 진료만족도 역시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신뢰성과 진료만족도의 매개역할을 조사한 결과, 의사의 전문성, 진실성,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신뢰성과 진료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의사의 언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재방문과 긍정적인 구전의도와 같은 행동의도를 위해서는 의사에 대한 전문성 인식뿐만 아니라 의사의 진실성 인식, 언어・비언어커뮤니케이션 요인, 의사에 대한 신뢰성 인식, 성공적인 진료만족도 역시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 variety of do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of their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attribute of a sourc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doctors on the treatmen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heir patients with doctors' expertise as a central route and trustworthines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s peripheral route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first conducted qualitative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hose results were used to categorize the verbal communication factors of doctors into one categorie of "vocal language" an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of doctors into two categories of "kinesics and chronemics". And assumed interaction among each factors with program called SPSS 20.0.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of a doctor's expertise as a central route and the perceptions of a doctor's trustworthiness, the positive evaluation of doctors' vocal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cluding chronemics as peripheral routes had positive effects on credibility. Finally the perceptions of a doctor's expertise was especially a precedence factor to have bigger influences on credibility. Second, as a result of the leading factors study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medical treatment, all of the factors including doctor's expertise as a central route, and doctor's trustworthiness as a central route and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s peripheral routes were found to affec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medical treatment. As stated in previous studies, the most critical element to satisfying the patients’s need is the expertise of docto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do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s also important as a leading factor. In the end, it is also important for doctors to use a lot of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nudging their heads and smiling at the words of a patient when they deal with patients. Third, the study also analyzed that the credibility to doctors affects positive effect on the treatment satisfaction of the patient. Fourth, the study also analyzed that the credibility to doctors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affects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Fif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mediating roles of the credibility of the doctor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credibility of the doctor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also played a mediating role in a doctor's expertise, a doctor's trustworthiness, the positive evaluation of do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s behavioral intentions. These finding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verbal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study of communication styles of doctors. Also For a behavioral intention like a revisit intention and a positive oral inten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perceptions of a doctor's expertise and a doctor's trustworthiness,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the credibility of the doctor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of the patient should be preceeded.

      • KCI등재

        비서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질적 연구

        최연우(Choi, Yeonwoo),전지현(Jeon, Jihyeon) 한국비서학회 201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8 No.2

        다른 직무와는 다르게 비서는 업무의 범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고 조직과 상사의 성격에 따라 업무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정형화된 커뮤니케이션만으로는 업무를 진행하기 어렵다. 비서학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으나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비서가 업무상 상대방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무엇을 파악하는지, 비서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상대방에게는 무엇이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서 20명을 대상으로 비언어커뮤니케이션 경험에 대한 중요사건중심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 응답내용을 전사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비서의 커뮤니케이션 대상은 임원, 사내동료, 타 회사 비서, 내방객 순으로 나타났다. 비서는 상대방의 신체언어, 유사언어, 신체적 외양에 포함되는 여러 하위요인을 통해 상대의 기분, 상태 등을 파악하고 있었다. 또한 임원, 사내동료, 타 회사비서, 내방객들 역시 비서의 신체언어, 유사언어, 신체적 외양 등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비서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며 비서의 업무처리능력을 파악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서가 상대방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으로 무엇을 파악하고 자신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무엇이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파악해봄으로써 비서관점에서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본 기초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비서직을 희망하는 학생들 또는 신입비서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자료로 비서에게 필요한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Unlike other employment, the work that secretaries perform requires more than linguistic communication due to the fact that secretaries’ scope of the work is sometimes not clearly defined and their work varies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boss and the organization. Despite tha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e field of secretarial scienc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communication and surprisingly none at all on nonverbal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secretaries with focusing on body language, physical appearance and the paralanguage required for secretaries.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20 secretaries were interviewed to discover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focusing on other nonverbals that they needed to identify, and those nonverbals, they believe were expressed by secretaries to other people involved in the company. The secretaries’ communication targets were divided into executives, colleagues, secretaries of other companies and visitors. The secretary was aware of the others" mood and condition through the others" body language, para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In addition, secretaries believed that executives, colleagues, secretaries of other companies, and visitors were assessing secretaries" image and work performance through the secretaries’ nonverbal commun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that presents nonverbal communication systematically through secretarie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educational materials for novice secretaries and students in secretarial science,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nonverbal communication.

      • KCI등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각매체 비교연구 - 중국 손짓언어를 중심으로

        이노미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 손짓언어의 시각매체 교육효과와 학습자 관여도에 대한 특성과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이한 언어를 사용하는 한ㆍ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손짓언어는 각기 다른 문화규범에 의해 형성된 상징기호인 까닭에 다의적인 메시지 해석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비언어 습득을 위한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주요목표는 상이한 문화구성원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비언어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학습자의 인지태도 변화를 유도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때문에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에서의 인지적 접근을 위한 시각매체의 활용은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촉구하여 비언어 정보취득에 유용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점에 의해 중국 손짓언어 교육의 시각매체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효과에서는 한국 영상자료가 가장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으며 학습자 관여도에서는 중국영상과 한국영상, 사진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시각매체별 관여도에서는 학습자의 흥미가 학습효과에 효율적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에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시각매체 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비언어 단서에 대한 새로운 지각과 함께 매체 자료내용이 학습과정에 유기적으로 통합되었는지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통한 문화갈등 해결 능력의 긍정적 효과가 보다 확대되도록 시각매체의 올바른 활용방안이 구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론적으로만 수행되었던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인지적 접근교육에 실용성을 부여함으로써 시각매체 교육방안의 실질적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instructional media of chinese hand languag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learner’s involvement and seek ways to promote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inducing changes in cognitive attitude of learners with the acquisition of nonverbal information through smooth communications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for cognitive approach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enhances the motivation of learners and works as a useful tool for the acquisition of nonverb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edia of chinese hand language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in terms of effects of learning, Korean visual data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achievements and in regard to learners’ involvement, it was found that more learners were interested in Chinese images, Korean images, and photographs. Considering these results, in order to promote instructional media education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along with raising new awareness about nonverbal signs, it should be reviewed if the contents of the media are organically integrated in the learning process. Furthermore, to expand the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cultural conflicts through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ways to properly use instructional media should be sough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nvolved practicality in the cognitive approach to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has only been made theoretically, and provided practical starting point for instructional media education.

      • KCI등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바라본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대한 접근 및 분석

        목선아(Seonah Mok),백준기(Joonki Pai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논문은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분류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를 분석하고 관객, 작품, 작가간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분류방법 중 기호 및 의미 분류방법[1]을 기반으로 4가지 유형을 분석하고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작품 분석에 적합한 오감, 몸짓, 단서, 상호작용의 기준으로 재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각 유형에 상응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작품을 분석하여 유형별 특성을 도출해 내었다. 또한 작품들이 각 유형에 중첩되는 영역을 분석하고 상호작용하는 대상을 분류한 결과, 작품에 포함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다양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유기적 접목에 의해 관객과 작품을 연결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분류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분석을 통해 관객, 작품, 작가간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 제시한다. In this study, we studied methods of communication among audiences, artwork and artist and analyzed interactive media art usi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s. We analyzed the 4 typ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sign and meaning[1] and reclassified suitably for analysis of interactive media ar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we draw typical characters by analyzing interactive media artwork which were corresponding to the each types. Also we analyzed overlap area and classify. Through these processes, we found communication methods in interactive media artwork connect audiences and artwork by organic combination of several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approach about the communication among audiences, artwork and artist through analyzing interactive media art using nonverbal communication.

      • KCI등재

        한국레저기업의 언어커뮤니케이션 및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골프장 캐디 서비스 중심

        송재훈 ( Jae Hoon Song ),이병관 ( Byung Kwa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4

        기업이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골프장업도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고객과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 원활성이 크게 요구되는 분야로서 특히 인적 구성원의 접점서비스 행태가 고객만족과 직결될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골프장업에서 고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고객이 플레이 하는 오랜 시간 동안 경기보조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캐디의 커뮤니케이션이 고객만족에 어떠한 방향으로 관계를 갖는지 그리고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관계를 갖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언어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두 가지 차원 중 어떠한 요인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고자 서울 및 경기도, 충청도에 소재한 골프장 및 골프연습장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09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또한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방법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방법에 제시된 과정과 방법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디의 언어커뮤니케이션은 고객만족도를 높여주는데 유용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설정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골프장 캐디가 고객 응대시 언어적 소통의 질을 높여야 하며, 특히 고객이 충분히 수용할 만한 언어적 표현을 명확하게 하여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따라서 캐디는 경기 시 골프코스에 대해 고객에게 정확하고 전문적인 언어적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고, 급작스런 질문에 대한 응대와 상황에 따른 대화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골프장 경영자는 고객과의 관계를 캐디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기 보다는 경영적 입장에서 고객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캐디에게 전문적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전문인으로서의 교양과 소양을 겸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캐디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 중 신체언어와 신체외형 요인은 고객만족도를 높여주는데 유용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신체언어가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설정된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골프장에서의 캐디는 고객과의 접점시간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인적요원이다. 따라서 그들은 긴 시간 동안 고객 응대시 언어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차원인 자세, 용모, 태도 등이 고객의 플레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도 종사원의 온화한 얼굴표정이나 적절한 제스츄어 등은 고객에게 신뢰감 및 친밀감을 형성시켜주고, 반면에 비스듬한 자세 및 굳은 표정 그리고 단정하지 못한 복장 등은 고객을 불쾌하게 만든다고 하여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이 고객만족과 밀접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골프장 경영자는 캐디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체언어나 신체외형 등을 내포하고 있는 캐디의 자세, 태도, 복장, 용모 등의 준수 매뉴얼 등을 개발하여 이를 교육에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골프장 고객만족도는 고객의 충성도를 높여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설정된 가설 3은 지지되었다. 최근의 골프장은 과거와 다른 고객만족을 위한 마케팅이 필수불가결 한 사실로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만족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골프장은 고객들의 충성도가 높아져 그 만큼 더 높은 회원가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골프장 경영자는 고객의 요구에 대해서 반응성 있는 태도를 보이고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캐디 서비스는 골프장 경영에 있어서 일부분이라 할 수 있지만 고객을 응대하는 접점종사원으로서의 비중을 고려한다면 그 파급 효과는 클 것으로 예측되기에 이에 대한 전문적 대응이 필요하다. 종합하면, 골프장업에서 캐디 서비스 요인 중 커뮤니케이션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고객만족도를 이끌어내는데 유용한 인자임이 증명되었다. 특히 비언어커뮤니케이션 요인 중 신체언어와 신체외형이 고객만족에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골프장 캐디의 고객응대 자세 및 태도, 복장, 얼굴표정, 용모 등이 고객에게 신뢰감 및 친밀감이 형성되어 보다나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골프장 경영자는 이에 대한 시사점을 인식하고 캐디와 관련한 능동 적인 마케팅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As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companies are constantly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Golf course businesses, more than any other industry, require smooth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and the service for the customers in contact, in particular,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the communication skills of a caddies``, who acts as an assistance for, and, therefore, closely works with, a customer playing golf,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also if customer satisfaction has any correlation with customer loyalty. In addition, we explored which type-verbal or non-verbal-of communication has bigger impact.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golf courses and their customer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total 309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lso,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to verify the hypotheses. We have thus arrived at significant conclusions: first, the first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finding that caddies`` verbal commun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caddies`` at a golf course should develop the quality of verbal communication when serving a customer, and especially by making clear verbal expressions so that the customer would fully understand. Therefore, a caddies`` should provide the customer with accurate and professional verbal information on the golf course during the game, and be able to actively respond to abrupt questions and conversation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The manager of the golf course, therefore, will have to offer regular training for caddies`` regarding effective verbal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rather than leaving it to the caddies`` themselves, and also prepare programs that will help the caddies`` to impro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qualities. Second, in terms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caddies``, kinesics and physical appearance were found effective in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Kinesics, in particular, turned out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partly supporting the hypothesis 2. Among the staff at a golf course, caddies`` spend the most time with a customer, which explains why they should realize that not only verbal communication but their attitude, appearance, and demeanor can affect the player. The previous research also put emphasis o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since genial expression and appropriate gesture project credibility and friendliness to a customer, whereas tilted posture, blank expression and unkempt dressing can be unpleasant to them. B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caddies’ non-verbal communication, the managers of a golf course should develop guidelines regarding the caddies’ kinesics and appearance-such as posture, attitude, and dressing-and apply those in training programs. Third, the study show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t a gold course contributes to customer loyalty, supporting the hypothesis 3. Unlike in the past, the golf courses these days realize marketing for customer satisfaction is essential, and those who put more effort in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increase the customer loyalty, hence, the membership fees. Hence, the managers should try to adopt responsive attitude and improve service quality for the customers. There is a need for professional response to caddies`` training, because, although it is only part of the management of a golf course, caddies`` service has huge impact on the customers. In conclusion, in terms of caddies`` service at a golf course, communication is a significant factor in raising customer satisfaction. Among the 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kinesics and appearance substantial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mplies that the attitude, demeanor, dressing, facial expression, and appearance can form credibility and friendliness for customers, creating more synergy. Therefore, golf course managers will have to recognize this and pay more attention to active marketing that involves caddies``.

      • KCI등재후보

        휴먼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

        류홍채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2023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Vol.5 No.2

        이 논문은 휴먼이미지학과 관계된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범위 및 요소들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통해 휴먼이미지와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관계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커뮤니케이션학 중 비언어커뮤니케이션 영역은 음성언어 이외의 비음성언어와 신체행위, 외양, 환경대응행위 등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방식과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요소와 기능들이 휴먼이미지학의 구조와 매우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커뮤니케이션학이 휴먼이미지학의 연구방법론으로 높은 활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요소와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휴먼이미지학에서 의미를 생산하는 행위 및 의미를 부여하는 것과 동일하다. 말, 글, 행위, 외양, 복장, 헤어스타일 등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은 휴먼이미지 형성의 핵심적인 요소들에 해당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pe and elemen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related to human image science.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image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as examine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area in communication studies studies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communicating through non-verbal language other than vocal language, physical actions, appearance, and environmental response a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ments and functio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are very similar to the structure of human imagery. This confirms that communication studies have high utility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human image studies. The elemen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 are the same as the act of producing meaning and giving meaning in human imagery. Non-verbal communication elements such as words, writing, actions, appearance, clothing, and hairstyle are key elements in forming human image.

      • 영상콘텐츠에 나타난 한국인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 연구- 영화 ‘괴물’을 중심으로

        정미강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Study on Korean Nonverbal Communication in Video Contents - Focusing on the Korean Movie 'The Ho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nonverbal communications in the korean movie 'The Host'. Generally, nonverbal communication is considered less importantly than verbal, and the papers on the subject of korean nonverbal behaviors in video contents such as movie, game, animation are insufficient. However, digital multimedia replacing print media composed of text, nonverbal communications receive at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d features of nonverbal communications in video contents, and discussed Ekman & Friesen's functional methodology and McNeill's semantic methodology.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the criterion for analysis of nonverbal behaviors was set up, and the data from the movie 'The Host' were analyzed. As the result, total 173 behavior video clips are selected from the movie as korean nonverbal behaviors, and meanings and functions of each data are determined by context and speech. This paper shows the number, percentag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data.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onverbal communication and effectively produce video contents. Also, the analysis model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studies of korean nonverbal communication. 본 논문은 영화 ‘괴물’을 통해 한국인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고 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정이나 제스처와 같은 비언어적커뮤니케이션은 언어만큼 주목받지 못해 왔으며, 특히 한국인의 비언어 행위에 대한 연구는 영상콘텐츠 분야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텍스트가 중시되던 인쇄매체에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매체로 문화적 주류가 변화하면서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콘텐츠가 범람하고 있고, 이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상콘텐츠에서 나타나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여기에 적용가능한 관련연구로서 기능론적 접근방법과 의미론적 접근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영상콘텐츠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분석·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한 후, 이에 따라 영화 ‘괴물’의 비언어 행위 데이터를추출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총 173개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각 데이터는 행위가 이루어진 상황, 대사, 동작표현, 의미, 기능유형, 세부기능유형의 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각 세부유형의 데이터 개수와 비율, 그리고 각 유형별 행위에 대한 특징들과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들은 한국적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이해하고 영상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연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분석틀은 향후 한국적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 모형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비언어 행동과 한국어 교육

        박갑수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오늘날은 국제화시대요, 다문화시대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국어만이 아닌, 외국어를 알아야 하고,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외국어를 배우는가 하면, 한국어를 외국인에게 가르친다. 커뮤니케이션은 언어행동에 의한 소통과 비언어행동에 의한 소통의 두 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 가운데 비언어행동에 의한 의사소통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가 하면, 중요성을 지닌다. 사람들은 언어행동보다 비언어행동을 신뢰한다. 그럼에도 그간 이에 대한 무지와 관심의 부족으로 교육이 소홀하였다. 광의의 언어교육은 문화교육이라 할 수 있다. 비언어행동은 문화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은 앞으로 문화와 함께 비언어행동에 관심을 기울여 원만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언어 행동은 독립적으로, 또는 언어행동과 더불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 언어행동과 함께 수행되는 경우는 중복, 부정, 대체, 보충, 강조, 조절 등의 구실을 한다. 비언어행동은 크게 7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그것은 신체동작학, 시선접촉학, 신체접촉학, 근접공간학, 시간개념학, 향취접촉학, 부차언어학의 대상으로서의 비언어행동이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7대 영역에 걸쳐 한국의 비언어행동과 차이를 보이는 각 민족ㆍ 국가의 비언어행동의 사례를 조사ㆍ제시하였다. 한국어교육에 이러한 비언어행동의 사례를 잘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도(企圖)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바람직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원활한 이문화(異文化) 커뮤니케이션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특수한 문화를 반영하는 비언어행동의 사례는 앞으로 더욱 많은 것이 수집되어 한국어교육에 활용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위한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 평가연구

        이노미 ( No M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을 측정, 평가함으로써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흔히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언어적 측면만을 강조하여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수반되는 비언어 메시지의 중요성이 간과됨으로써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문화갈등이 증폭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손짓언어는 메시지 해석 오류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체계화된 교육과정의 훈련 없이는 인지과정의 태도변화를 조정하기 쉽지 않은 까닭에 인지능력개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중국 손짓언어에 대한한국 대학생들의 인지능력을 검토한 결과조사대상자의 72.8%가 매우 저조한 주변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동작유형별 인지능력에 있어 정보제공동작과 다중손짓언어, 개체손짓언어의 인지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그 외 중국어 수준과 중국체류기간, 비언어 학습경험이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의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중국손짓 인지능력 향상의 문화 간 비언어커뮤니케이션 훈련의 교육적 가치를 고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duce base data to search the educational methods of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by measuring and evalu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In most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only linguistic aspects are emphasized and the importance of nonlinguistic messages that accompany them is disregarded, amplifying the cultural conflict due to nonverbal communication. Especially, hand language has high possibility of misinterpreting the message so it is hard to change cognitive process without systematic training through education course. So the education to develop cognitive ability to recognize hand language is regarded importa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reviewed Korean college students’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72.8%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at a very low Isolation level. In terms of cognitive ability depending on gesture types, the recognition rate of information-providing gesture, multiple hand language, and traditional hand language marked significantly low, and the subjects’ level of Chinese, duration of stay in China, and nonlinguistic learning experience turned out to be main factors in the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This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base data required for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 KCI등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과 사진치료기법에 관한 고찰-상징적 사진치료를 중심으로-

        이지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3

        인간의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는 각 개인의 자아 커뮤니케이션 성숙도 측면에 따라 차이를 두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무엇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각 개인이 부여하는 의미론의 문제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의미론적 논거들과, 이를 바탕으로 언어학을 기반으로 하는 기호학적 관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상담심리치료 영역에서 가장 직면성이 강한 사진치료기법 중 하나인 상징적 사진치료기법을 다룸으로써 이 기법과 과정 속에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인 사진 이미지와의 의미론적인 측면을 논하고자 하였다. 특정 이미지를 연상하게끔 유도하는 기법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하며 이를 상징적 사진치료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고찰로서 의미론과 기호학적 관점을 기술하였다. 둘째,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지각적 기호론, 의미론과 상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상징적 사진치료 과정을 통해 언어학에서의 상징적 기호화 및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재현적 부호화가 수행되는 단계에 따른 이론적 고찰과 검증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기호학에서의 의미론과 상징적 기호의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시지각 요소의 재현적 부호로서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고찰을 시도함으로써 상징적 사진 이미지와 함께 하는 상징적 사진치료 과정에서는 두 가지 과정이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첫째, 사진 이미지가 가지는 요소들은 비언어적 속성을 지닌 재현적 부호로서 내담자의 잠재적 내면 의식 속의 경험적 기억들을 표출하도록 의미적 직관력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내담자가 선별한 사진 이미지와 함께 상담자(치료자)와 내담자 간의 언어적 대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사진 이미지로부터 상징적 기호로서의 특성이 도출된다는 점이다. It is true that the activation of hum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depends on the side of each individual's self-communication maturity. But more important than what essentially is given by the fact that each individual is in fact a matter of semantics. In this specification, the language of communication with semantic reasoning, which, based on a semiotic perspective, based on linguistic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the face in the area of gender is one of strong symbolic pictures photo therapy treatment techniques this approach by addressing scheme and non-verbal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photo images and to discuss aspects of the semantics of study. Leading to a particular image reminded technique dealing mainly symbolic character, and it is called photo therapy. In this study, first, the theoretical study of language as a communication point of view was described semantics and semiotics. Secon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perceptual Semantics, semantics and Theoretical Study emblem was attempted on. Third, based on this iconic photo of linguistics over the course of treatment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s a symbolic representational symbolic encoding is performed on the stage was to try and verif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Consequently, the semantics of the semiotics of symbols and symbolic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message of each element i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representational code by trying Study on the symbolic photo images with photo therapy process, the two processes you can verify that this was being done. First, the image is a picture with elements of non-verbal representational properties as a sign of potential clients to express the inner consciousness of semantic memory genus empirical intuition that it plays a role in induction. Second, the client-therapist with a selection of photo images (therapist) and client verbal face-to-face communication between the pictures from the image in the process as a symbolic sign of properties that can be der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