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최근 비서학 연구 분석

        문주영(Juyoung Moon)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도입하여 자연언어로 된 비정형 데이터인 비서학논총 논문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비서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비서학논총』의 2011년 20권 1호부터 2016년 25권 2호까지 수록된 총 98편 논문을 대상으로 국문초록을 추출하여 분석 데이터를 구축하고 용어의 전처리, 정제 작업을 거쳐 총 1559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빈출 상위 10%, 빈도수 23번을 기준으로 150개 단어들을 키워드 집합으로 선정하고 키워드 간 유사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비서학 연구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시각화는 단어클라우드와 단어네트워크를 도식화 하였으며 중심성 분석과 응집구조 분석을 통해 비서학 연구의 중심 주제와 하위 군집 구조를 밝히고 비서학 연구경향을 파악하였다. 키워드 출현빈도 분석을 통해 볼 때 최근 비서학은 ‘비서’에 관한 연구 중 ‘직무’와 ‘조직’에 관한 연구, ‘교육’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활발했으며 주로 ‘∼에 관한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중심성 분석을 통해 단어 네트워크의 중심에는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 취업준비 등과 관련된 단어들과 전통적인 비서학 연구 주제인 조직 유효성 관련 연구가 중심에 포진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컴포넌트 및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11개의 하위 주제 그룹으로 군집화하였으며 이중. 특기할만한 것은 연결중심성 상위 12단어 중 8개단어가 [1]그룹 ‘대학생활 적응’, ‘전공만족’, ‘학업적응’, ‘전공선택동기’ 관련 주제, [4]그룹 ‘이직’, ‘이직의도’, ‘상사’, ‘조직’ ‘조직몰입’관련 주제의 그룹에 속해있어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비서학을 대표하는 하위그룹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re in the field of Secretarial Studies. For this purpos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keywords in the abstracts of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11 to 2016. This study employed NetMiner Program to conduct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1559 keywords were collected for past 6 year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Among them, 150 words were selected as keyword sets based on a appearance frequency. And the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imilarity coefficient matrix of that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retary’, ‘duty’, ‘organization’ and ‘education’ a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in the abstracts during this period. Second, With regards to degree centrality ‘effect’, ‘subdivision’, ‘organization’, ‘major’ and ‘work’ were among the highest. Third, the results of component and community analysis show 11 core subject areas. Finally, word cloud word netword were visualized.

      • KCI등재

        비서학내 연구자 네트워크 분석

        문주영(Moon, Juyoung)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저자동시인용이라는 학술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분석하여 비서학내 연구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구조상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비서학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비서학논총』의 10권 1호부터 19권 2호까지에 수록된 논문 160편을 대상으로 총 640건의 인용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비서학 전체 연구자 네트워크의 구조적 형태에서는 비서의 역할, 역량 등 비서학내 핵심 질문과 관련된 연구 외에 비서학 분야에서 조직유효성 변인 관련 주제로 연구한 연구자들이 네트워크의 중심 가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비서 교과과정 관련 연구, 비서학 영역, 비서학 과제 등과 관련된 연구자들의 가지가 네트워크로 형성되었다. 네트워크 주변부로 갈수록 주제 분야가 다양한 연구자들이 출현하였는데 비서영어교육 관련 연구자들, 비서고용과 고용형태 주제와 관련된 연구자들, 비서자격시험에 관한 주제를 가진 연구자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가장 중심에 Ji, Jd, Jg 세명의 연구자가 위치하였고 이들은 중심성 지수가 가장 높은 연구자들이었다. 이들은 비서학논총 초기부터 활발한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들로 비서학 연구 초기부터 비서의 역할, 비서의 핵심역량, 비서 상사의 관계, 비서직무 등 ‘비서’, ‘비서학’의 근본적인 부분을 고민한 연구자들이다. 두 번째 동심원에 분포하는 연구자들은 주로 직업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과 경영학적 주제를 접목한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들이 함께 분포하고 있다. 상관분석 결과, 비서학 내에서는 저자동시인용빈도가 높을수록 네트워크의 중심에 놓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서학 최초의 연구자 중심의 네트워크 분석으로 인용분석의 대표적 기법 중 하나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이용해 비서학의 연구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Network of Secretarial Studies using by analyzing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01 to 2010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The data used were 160 articles and 42 auth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by means of network analysis techniques using Netminer4.0 software in order to express the research discipline and research patterns of Secretarial Studies. The results of network analysis show that main research topics of researchers were <secretary"s role and role understanding>, <secretary"s performance and ability>,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in the secretarial department>, <secretary and boss relationship>, <English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Three researchers in Secretarial Studies were selected from centrality score. These researchers were belong to the realm of research that can encompass the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matically.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o make the research network of Secretarial Studies.

      • KCI등재

        15년간의 한국 비서학 연구의 성과, 반성 그리고 제안

        심재권(Shim Jae-Kwon),박광철(Park Kwang-Chul),정석환(Jung Seok-Hwan)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2

        사회적 욕구변화와 학문의 세분화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비서학이라는 신생학문의 탄생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비서학의 성립은 전통적인 학문처럼 고유한 연구주제와 연구영역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산업구조의 발달에 따른 사회역사적 필요성과 요청이 더 큰 이유였다. 특히 조직이 거대화되고 전문화됨에 따라 최고관리층이 필요로 하는 정보량은 크게 증대되었고, 이러한 엄청난 정보량의 증가는 전문성 및 정보처리 능력을 갖춘 전문비서의 중요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그리고 그 동안 단순 노무직으로 인식되어온 비서직의 인식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고, 점차적으로 비서들은 조직에서 중요 존재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과 요청이 비서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에서의 비서학 연구의 역사는 타학문에 비하여 일천하고 사회적 인식 또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심지어는 비서학의 정체성의 위기까지 논하는 상황까지 이르고 있다. 이 연구는 비서학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서 성장 발전하는데 기여하고자 지난 15년 동안 축적된 한국 비서학자들의 연구 성과물인 한국 〈비서학논총〉의 발표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었던 함의와 제안은 첫째는 연구영역에 있어 교육과 행태분야 등의 연구에 많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는 연구성격에 있어 처방적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셋째는 연구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는 상당한 수준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는 한국 비서학 연구에 대한 전반적 경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향후 비서학의 연구방향의 정립 등에 어느 정도는 기여 할 것으로 보여 진다. The new science of secretarial studies in the late 20th century is based on the subdivision of academic research in Korea. Not like traditional studies which started with a unique domain of research, the secretarial studies have been the outcome of social needs after gradual development of industrial structure.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secretaries to deal with increased information for top management in a company has changed the concept of a secretary, which was once considered a simple assistant. In this article, in order to help establish the secretarial study as an independent study, the research of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secretarial scholars for the last 15 years, has been analyzed experimentally.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in the journal first shows that the domain of research in this field has been confined to certain parts: education and activities. Secondly, the nature of research is dominantly remedial. Thirdly, the research is well balanced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 KCI등재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관한 고찰

        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1 No.1

        한국비서학회 창립 및 비서학논총 발간 20년 역사를 회고하며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과 비서학 연구에 대한 고찰의 필요에 따라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서학의 학문적 특성을 살펴보면, 학문분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학제간적인 연구 특성과 응용사회과학으로서 현장 실무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비서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기도 하나, 동시에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에 맞춰서 패러다임을 변화하는 학문의 특성으로는 장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서학의 근간이 되는 심리학, 조직행동, 교육학, 관리, 정보관리, 커뮤니케이션 등의 다양한 영역을 지식체별로 살펴보았고, 20년 동안 비서학이 산출한 연구결과를 이 지식체에 대입하여 기술하였다. 이 지식체를 통해서 비서학 연구가 수행되어온 것은 사실이지만, 다양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비서학에서도 나름의 독특한 이론을 정립하는 과정 중에 있고, 비서학의 대표 이론을 발굴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출된 제안점은 ‘비서’와 ‘비서학’에 대한 연구자들간의 합의된 정의(定義, definition)가 필요하다는 것과 비서학의 이론적 결과가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향후 지식의 확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As reflected by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0 year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ecretarial studies and its academic outcomes. The study identified secretarial studies as having a relatively short life history, interdisciplinary, and strong tie with practice as an applied science. These characteristics partially contribute as a hindrance for Secretarial Science to establish its academic identit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could be leveraged to develop secretarial studies by changing its paradigm to meet societal needs. This study also revealed six bodies of knowledge of secretarial studies―psychology, organizational behavior, edu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and cases of applying their theories to secretarial studies. Although the bodies of knowledge have been the basis of Secretarial Science studies, secretarial studies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unique theories via various empirical research, and scholars should continue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representative theories in secretarial studies. In sum, this study suggested to draw agreed definitions of ’secretary’ and ’Secretarial Science’ among scholars and make more of an effort to disseminate knowledge and theories to the practice.

      • KCI등재

        비서학 30년, 주제어 네트워크분석

        문주영,한주원 한국비서학회 202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한국비서학회 창립 및 『비서·사무경영연구』 발간 30년을 돌아보며 해당 기간의 비서학 연구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비서·사무경영연구』논문 데이터를 분석하고 30년 동안 비서학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1993년 1권부터 2021년 30권 4호까지 수록된 총 476편의 논문에서 저자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석 데이터를 구축하고 용어의 전처리, 정제작업을 거쳐 1,033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2편 이상의 논문에 출현한 23.4%, 242개의 단어로 단어 집합을 선정하고 자카드 유사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비서학 30년,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30년간 『비서·사무경영연구』에서 가장 많이 출현한 단어는 ‘비서’이며 ‘비서교육’, ‘비서학’, ‘직무만족’, ‘비서과’, ‘조직몰입’, ‘전문대학’의 순이었다. 이 기간 비서학자들은 ‘비서’, ‘비서교육’, ‘직무만족’, ‘조직몰입’등의 주제에 많은 관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중심성 분석 결과, 유사한 개념들과 가장 많이 연결된 단어들은 ‘조직시민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상사신뢰’, ‘이직의도’, ‘비서학전공대학생’ 등이다. 이 단어들은 비서학 연구의 하위 주제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주제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위 주제 클러스터링을 위해 컴포넌트 및 커뮤니티 분석을 통한 응집성 분석을 시행하여 10개의 하위 주제 그룹을 분리하였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 비서학 30년의 지적구조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학문발달 전체 기간의 비서학 학문의 구조에 대한 이해, 연구 영역에 대한 이해, 관심 영역의 변화,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 변화를 조망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s reflected by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30 year his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re of Secretarial Studies and its academic outcomes. For this purpos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author keywords in the abstracts of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03 to 2021. This study employed NetMiner 4.4.3 to conduct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1,033 keywords were collected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Among them, 242 words were selected as keyword sets based on a appearance frequency. And the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imilarity coefficient matrix of that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retary’, ‘secretarial education’, ‘Secretarial Studies’ and ‘job satisfaction’ ‘department of secretarial science’ a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during this period. Second, With regards to degree central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trust in supervisors’ and ‘turnover intent’ were among the highest. Third, the results of component and community analysis show 10 core subject areas. Finally, word cloud and network diagram were visualized.

      • KCI등재

        국내 수행비서 연구동향 분석

        주일엽(Joo Il-Yeob),조광래(Cho Kwang-Rae)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3

        수행비서는 비서학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서(일반비서)와 경호학에서 정의하고 있는 경호비서가 상호 융합, 확대된 개념으로서 새로운 비서영역이라고 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 수행비서 관련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비서학, 경호학, 행정학 등에서 진행된 국내 수행비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학문적, 실무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수행비서 연구동향 분석을 위하여 온라인(online)으로 제공하는 수행비서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연구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행비서 연구실적, 수행비서 연구내용, 수행비서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은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수행비서 연구를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인 문헌연구를 일부 병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비서 연구실적은 1970년대 1편, 1980년대 0편, 1990년대 0편, 2000년대 18편, 2010년대 4편 등 모두 23편으로 수행비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수행비서의 학문적 영역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행비서 연구내용은 1970년대 직무수행 1편, 2000년대 기본이론 1편, 교육과정 6편, 직무수행 11편, 2010년대 이후 교육과정 2편, 직무수행 2편의 관련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비서학에서는 수행비서에 대한 교육과정 관련연구를, 경호학에서는 수행비서에 대한 기본이론 관련연구 강화가 요구된다. 셋째, 수행비서 연구방법은 1970년대 양적연구 1편, 2000년대 양적연구 5편, 질적연구 12편, 융합연구 1편, 2010년대 질적연구 2편, 융합연구 2편의 관련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양적연구에 대한 비중을 높이고,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하는 융합연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넷째, 수행비서 연구를 위한 발전방안으로는 ① 수행비서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 강화, ② 수행비서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 강화, ③ 수행비서 교육과정 표준화 및 연계교육을 통한 관련연구 장려 등이 있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analyze trends regarding research into executive secretaries, including research progress,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in respect to several fields of study such as secretarial science, security science, and the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to propose possible future improvements in research into executive secretaries.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3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to executive secretaries - one in the 70’s, zero in the 8O’s, zero in the 90’s, 18 in the 20005, and four since 2010. The numbers reflect increasing interest in the field: however, the studies conducted thus far have been insufficient,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better theoretical basis for the assessment of executive secretaries. Second, the themes of research into executive secretaries have been as follows: one on duty performance in the 70’s, one on introductory theory, six on training courses, and 11 on duty performance in the 2000’s, in addition to two studies conducted into training courses and two on duty performance conducted since 2010. With regard to secretarial science, training courses for executive secretaries, and security science, introouctory theories for executive secretary-related research should re developed further in future studies. Third, the methods for research into executive secretaries have been as follows: one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in the 70’s, five quantitative studies, 12 qualitative studies, and one mixed-method study were conducted in the 2000’s, and two qualitative studies and two mixed-methoos studies have been done since 2010. The percentage of quantitative studies should be increased in the future, and more mixed-method research should also be considered. Finally, with regard to possible future improvements for executive secretary research, several approaches may prove useful: for example: 1. consolidating basic and applied research on executive secretary, 2. integrative academic approach for executive secretaries, 3. standardization of executive secretary training courses and the promotion of research related to associated education.

      • KCI등재

        국내 법률비서 연구동향 분석

        김지영(Kim, Ji-Young),박윤희(Park, Yoon-Hee)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법률비서 연구들을 종합하여 법률비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연구물 특성,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방법, 연구주제 및 주제어 특징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법률비서를 제목과 키워드로 검색하여 1995년부터 2021년 9월까지 27년간 발표된 법률비서 관련 논문 총 25편(학위논문 6편, 학술논문 19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물 특성 분석 결과 법률비서 관련 논문은 1995년 시작되어 2010년부터 2014년 시기에 7편으로 가장 많이 발행되었으며, 2015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게재지별로는 비서·사무경영연구(비서학논총) 논문이 가장 많았고, 저자 수별로는 저자 수가 1∼2명인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현직 법률비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최근에는 전·현직 법률비서 등 연구대상이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대상의 소속기관은 대형 로펌이 가장 많았고, 소재지는 모두 서울지역이었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동일하게 많이 활용되었으며, 혼합연구 순이었는데 다양한 연구방법을 시도한 법률비서 관련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설문지, 인터뷰, 문헌조사가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양적연구에서는 기술통계와 관계연구가 함께 진행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에서는 개발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다섯째, 법률비서 관련 연구주제는 법률비서실무, 법률비서의 사회·심리적 특성, 법률비서교육, 기타 순으로 많았다. 법률비서 관련 주제어는 ‘법률비서’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역량’, ‘직무분석’, ‘직무만족’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방향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legal secretaries and identify research characterist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main word characteristics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total of 25 articles published from 1995 to September 2021 were finally remained for the analysis.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year, papers related to legal secretaries began in 1995 and were published the most in 7 articles from 2010 to 2014, and research has been steadily conducted from 2015 to the present. By publication paper,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was the most. By author number, papers with one to two authors were the most. Second, there were many studies on current legal secretaries, and recently, research subjects such as former and current legal secretaries are diversifying.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used equally, and it was in the order of mixed research, and various research methods related to legal secretaries needs to be conducted. Fourth, research topics related to legal secretaries were in the order of legal secretary practice, soci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gal secretaries, legal secretary education, and others. The main words related to legal secretaries were ‘legal secretaries’ with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competency’, ‘job analysis’,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