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불교사찰(佛敎寺刹)에 적용된 비보풍수(裨補風水) 사례(事例) 연구(硏究)

        이진삼 ( Jin Sam Lee ),조성제 ( Sung Jae Cho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9

        풍수지리와 불교는 기본원리는 물론 탄생배경까지 관련성이 없다 할 수 있다. 그런데도, 풍수지리와 불교는 서로 결합하여 많은 문화유산을 남겼다. 풍수지리가 불교에 끼친 영향으로는 사찰의 입지 선정은 물론, 가람배치와 같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도선을 종조로 하는 비보풍수 사상은 국역비보, 국도비보를 위해서 사찰, 탑등을 건립하여 지력을 비보하였으며, 사찰은 종교적인 기능과 비보적인 풍수의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비보적인 기능을 하였던 사찰은 사찰을 보호하기 위한 또 다른 건축물 비보를 하였다. 본고에서는 풍수적 결함이 있는 땅을 보완하기 위한 지력(地力)비보가 아닌,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한 비보풍수에 대하여 사찰에 적용된 비보상징물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사찰에 적용된 비보의 유형에는 장풍비보, 득수비보, 화기제압비보 등이 있는데, 이러한 비보상징물들이 가지는 의의는 재해로부터 안전할 것이라는 심리적인 안정감과 경각심을 일깨워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비보풍수는 우환의식(憂患意識)으로 비보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할 수 있다. 심리적 안정감과 우환의식의 효과를 가져온 건축물에 적용된 비보풍수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적용원리 및 적용과정 등에 대한 보다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e may say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back grounds of the birth of both Pungsujiri and Buddhism hardly have a relevance. However, Pungsujii and Bddhism has combined each other and left a large number of heritages. Pungsujiri has influenced Buddhism a lot in the selecting of temple locations, as well as the space composition like Garam disposition. The idea of Bibo Pungsu could supplement the energy of the land by constructing temples and pagodas for nation and city. Thereupon, the temples have become to have the function of the religion and Pungsu function as supplementary. The temples performed protective function have supplemented another building for the protection of the temples themselves. This report is focused on the study of supplementary symbols applied to the temples as the Bibopungsu for protection of buildings not for supplementing the land energy. The types of Bibo applied to the temples are Jangpoong Bibo, Deuksoo Bibo, Fire-fighting Bibo, etc.. These supplements have brought the effects of preventing calamities by giving the warning and sense of security from calamity. This Bibopungsu could achieved its original goal through awakening the sense against the calamity. Bibopungsu, applied to the buildings to bring the mental stablenss and sense of prevention of calamity, is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filled with the wisdom of our ancestors. For the success and development of it, we have to study more about principle and process of its application continuously.

      • KCI등재

        어촌지역의 비보풍수에 대한 연구

        허영훈(Young hun Heo),천인호(In ho Che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1

        비보풍수란 땅의 부족함을 보완하거나 지나친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써 인위적인 길지로 만들기 위한 일련의 행위이다. 현재까지 비보풍수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내륙지역을 대상으로 전개되었으나 본 연구는 어촌마을 중 특히 동해안 삼척지역의 어촌마을에 적용된 비보풍수를 사례로 하여 내륙지와 어촌지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고 나아가 어촌 비보풍수의 특수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삼척지역 해안에 위치한 어촌은 내륙지의 마을과는 달리 바다와 접하고 있어 비보풍수가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내륙지 비보와 유사한 형태도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내륙지와 해안가 어촌의 비보풍수를 비교할 때 공통적인 행위로서는 소금단지 묻기, 솟대비보, 지명 비보 등이 있었고 그 대상과 상징이 다른 것으로서는 해안숲 비보 등이 있었으며, 어촌지역에서만 특유하게 나타나는 비보로서는 퇴조비 비보, 해신당 비보 등의 유형이 있었다. The Bibo in Feng-shui signifies supplementing insufficiency of land or restraining excessiveness, the way of setting up propitious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 distinctive Feng-shui Bibo applied to fishing villag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between Feng-shui Bibo in land and instance of Feng-shui Bibo applied to fishing village of Samcheok on the east coast.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Feng-shui surrounding does not form relatively in fishing villages compared to farm village. Due to high level of dependence on fishery, Bibo Feng-shui has been variously found in fishing village, Bibo similar to farm village also has been seen a lot. When comparing land Bibo and fishing village Bibo, maritime forest Bibo etc. are analogous, but its object and symbol are different, geographical surroundings Bibo, ToeJoBi(退潮碑), and HaeSinDang(海神堂), etc. as fishing village Bibo, related to a well has been only seen in fishing village.

      • 한국사찰의 비보풍수에 관한 사례연구

        권용무,홍광표,이혁재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7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3 No.2

        한국의 풍수는 죽은 사람들의 무덤을 위한 것 뿐만 아니라, 집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수도나 마을을 결정하기 위한수단이었다. 비보 풍수는 신라 말과 고려 초기에 도선이 도입한 독특한 한국의 풍수라는 방법으로, 한국 고유의 전통에따라 발전되었다. 비보풍수란 풍수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장풍과 득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물과 지형의 부족한부분을 채우는 방법으로 이해되고 있다. 한국에서 이러한 비보풍수가 적용된 사례는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비보풍수가 한국의 자생풍수로 크게 기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사찰의 경우에는 도선의 비보풍수가 가장 먼저 적용된 공간이며, 여타 공간과는 다른 독특한적용방식을 보이고 있어 일반적인 풍수법과는 또 다른 수단과 적용방식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국내 사찰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사찰 비보풍수를 실증적인 적용수단과 적용방식을 확인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비보풍수는 다양한 요소들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적용 방법에서는 결코 땅의 지형을 해치거나, 산의 흐름을 바꾸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 사찰의 비보풍수가 자연 환경을 부분적으로 보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Pungsu of Korea has been the secret of appointing capitals or towns, deciding the locations of houses, as well as finding the places of tombs for dead people. Bibo pungsu was introduced by Doseon during the end of Shilla and the early Goryeo; it is the unique way of Korean Pungsu and has been advanced based on its own tradition. Bibo Pungsu is the way of complementing the lay of the land and water for blocking wind and getting water which are the important issues of Pungsu. There are various instances of Bibo Pungsu; expecially, temples are the places where the Bibo Pungsu of Doseon was appli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application method which can be different from those for other spaces are found. In this study, the investigate for 30 temples were done for finding the measures and the applications methods of the Bibo Pungsu of Korean temples. Also,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all documents and materials for prospecting was conducted. Through the study, it could be known that the factors of Bibo Pungsu have been applied quite generally and comprehensively. Also, they are shown in terms of various factors. The common factor of those application methods is that they never harm the lay of the land or change the flow of mountain streams or basins. This shows that the Bibo Pungsu of Korean temples has complemented the insufficient parts within the order of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

        道詵의 裨補思想 연구 ― 풍수⋅도참⋅음양⋅오행⋅밀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

        이진삼,박상만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Doseon Guksa's 'Bibo' thought. Doseon is called a forefather of Korean Pungsujiri, but the initial documents on him was founded around 250 years after he passed away. So historical documents on him seems to be close to legendry records rather than historical facts because of imagination and political influence. Each material has not only different records but also diverse interpretation concerning an event, therefore a study on Doseon has a its limit in examining facts. In general, precedent studies on Doseon's Bibo thought stress that it takes its root in Docham, Pungsu, or in building sites fixing in tantric perspective. In this paper, I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both the background of Pungsujiri's thought and the building-sites fixing in Tantric Buddhism and tried to look into the origin of Doseon's 'Bibo' thought as well. based on precedent studies. It is often said that Doseon, a disciple of Hyecheol who succeeded to a dharma lineage from Ilhaeng, Chinse monk, was influenced by Buddhism, in particular by Tantric Buddhism. Hence, it seems that the origin of Doseon's 'Bibo' thought derives from Tantric Buddhism. Actually, Ilhaeng was at home in Pungsujiri so that he was renowned as a Pungsujiri expert rather than a zen master. If Doseon took over a dharma lineage from Ilhaeng, he must have been influenced by Punsujiri. Consequently, Doseon's Bibo thought might be influenced by Tantric Buddhism. However, we cannot conclude that his 'Bibo' thought is complete Tantric Buddhism thought excluding Pungsu or Docham. We should understand the origin of Doseon's Bibo thought in cultural and political situation or in the dominant ideology of both a powerful clan of the late Silla and kings of the early Goryeo rather than in the perspective of Tantric Buddhism, Pungsu, and Docham. Local powerful clans of the late Silla and Goryeo kings took Buddha's great power and Pungsu's knowledge their ruling ideology, which is well expressed in 'Ten Instructions.' Doseon's 'Bibo' thought is the very combination of Buddhist elements, Pungsujiri thought and temple pagpda, Docahm, Charyeok, Jubu belief, based on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cosmogony. 본 연구는 도선 국사의 비보사상에 대한 연구로 비보사상의 연원을 규명하는데 있다. 도선은 한국풍수의 종조라 일컬어지지만, 도선에 관한 사료는 도선 사후 252년이 지난 후에야 첫 기록이 나타난다. 그러다 보니 도선에 관한 사료들은 사실적이라기보다는 상상력과 정치적 영향이 유입되어, 역사적 사실보다는 전설적인 진실에 근접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자료마다 상이하게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사건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있어, 도선에 관한 연구 또한, 사실규명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지리의 사상적 배경과 밀교의 택지법을 비교 분석하고, 선행연구자의 연구 분석 및 시대적 상황을 분석하여 도선 국사의 비보사상의 근원을 연구⋅분석 하였다. 한편에서는 도선 국사가 중국의 일행으로부터 법맥을 이어 받은 혜철의 제자로써 불교적, 특히 밀교적인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하여 도선의 비보사상의 연원을 밀교라고 주장한다. 일행은 풍수지리 법에 능통하여 선승보다는 풍수지리가로 더 알려져 있어, 도선이 일행의 법맥을 이어 받았다면, 당연히 풍수지리법의 영향도 받았을 것이다. 그러한 연유로, 도선의 비보사상도 밀교적 영향을 받았을 수 있지만, 풍수나 도참을 배제한 완전한 밀교적 사상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비보사탑으로 대변되는 도선의 비보사상의 연원은 단순하게 밀교, 풍수, 도참이라고 주장하는 것 보다는 나말⋅려초의 시대적 문화, 정치 상황에서, 라말(羅末) 지방호족과 고려 초 왕조의 지배 이데올로기에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라말의 지방호족과 고려 왕조는 불력과 풍수의 지력을 통치 이념으로 삼았으며, 이는 훈요십조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도선의 비보사상은 음양오행에 기조한 풍수지리사상과 사탑이라는 불교적인 요소가 결합되었다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나말⋅려초의 상황이 만들 어 낸 것으로, 불교, 도참, 원시족의 차력(借力)⋅주부(呪符)신앙 및 풍수가 융합된 시대적 문화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풍수비보의 적용사례 연구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을 중심으로 -

        이재영,천인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1 No.-

        This study is analyzed how is fixing theory of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by Dosungugsa(道先國師) reflect and spread out with our lands over some villages. The various forms and BiBo(裨補: types of Complementary Setupis) analyzed by using a example of little small village GuCheonMyun(龜川面) in the region of UiSeong(義城), GyeongBuk(慶北). According to this analyzing results there are some shapes in Appearance Complementary Setup called Cow lying shape(臥牛形), Centipede shape(蜈蚣形) and Snake head shape(巳頭形). For the Geographical designation Bibo ; NaSanDong, CheongSanDong and MiCheonDong are good examples. In Bibo(Rocky Complementary Setup) ; this is formed using a rock that hints the prosperous. There is a thief-shaped mountain in neighboring villages in Moving Bibo(移動裨補) and the object of this was found that can move whole neighboring villages after finding the harm of the village as a thief. Using this kinds of investigations nine examples can be analyzed. Specially Moving Bibo which can move the village as a thief and another new types object of Complementary Setup could be discovered. In the future more universal and object of Bibo will be continually investigated. And fixing theory of Bobo Feng-shui will be achieved in different kinds of fields such as constructions, landscape and immovable property. 풍수의 목적은 생기가 가득한 장소를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소를 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 경우 차선책으로 기존의 땅을 풍수적으로 고쳐 사람이 살만한 곳으로 바꾸는 기술이 비보의 개념이 된다. 본 연구는 우리 풍수의 고유의 특징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는 비보(압승)가 어떻게 우리 땅에 투영되고 있는가를 실제 사례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대상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이다. 연구 결과 구천면의 비보는 형국비보, 안산비보, 지명비보, 규봉으로 인한 마을이동비보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연구대상지에서만 형국비보, 안산비보, 지명비보와 마을이동비보 등 비교적 많은 비보형태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는 규명되지 않았던 마을 자체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시킨 마을이동비보의 새로운 사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보가 거주민의 심리적 안정과 평안한 삶을 추구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면 향후 도시개발, 부동산개발, 지역입지 등에 풍수의 비보가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도國都 풍수의 한 일 비교연구

        천인호(千寅鎬)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한국의 한양과 일본의 교토 입지에 적용된 풍수이론을 규명하고 양 도시에 서로 다른 풍수이론이 적용된 이유와 그 논리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를 선정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고려할 사항 중 하나가 보국保局이다. 이는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사신사(현무ㆍ주작ㆍ청룡ㆍ백호)에 의해 구성된다. 한양 입지는 중국의 풍수서인 『호수경』과 『금낭경』에 영향을 받아 산으로 둘러싸인 입지가 선정되었으나, 교토의 입지는 『황제택경』과 일본의 풍수서인 『작정기』등에 의해 산 강 도로 연못[山川道澤]이 사방으로 구성되는 입지를 선정하였음이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풍수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비보裨補도 한양은 나무ㆍ숲ㆍ연못 등을 통한 지세 비보인 반면, 교토의 경우 귀신이 출입하는 흉한 방위를 의미하는 귀문鬼門방위를 회피하기 위한 방위 비보와 아울러 특정 수목을 식재함으로써 풍수적 결함을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은 음택 이론이 양택과 양기선정에 영향을 주었지만, 일본은 양택 이론이 양기선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결국 풍수이론은 음택용과 양택용이 구분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국에서 발생하여 동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된 풍수이론이 각국의 지리적ㆍ환경적 요인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적용되고 발전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eng-shui theory applied to the location of Hanyang in Korea and Kyoto in Japan to analyze the reason and logic for applying mutually different feng-shui theory to both cities. One of the matters which should be first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cities is the composition of 4 mountains(玄武: black tortoise, 朱雀: red phoenix, 靑龍: blue dragon, 白虎: white tiger) whih surround city. For Hanyang (漢陽), the location surrounded by mountain with influence of feng-shui book of China was considered. However, the location where 4 directions are composed of mountain, river, road and pond was selected for location of Kyoto (京都). While the bibo(裨補) to supplement the defect of feng-shui is form bibo through tree, wood and pond in the case of Hanyang, compass bibo to avoid Kimon (鬼門) compass meaning ominous compass where ghost haunts and the method to supplement feng-shui defect by planting specific tree in the relevant compass are applied in the case of Kyoto. The right theory is that feng-shui was originated in China and propagated to each country in East Asia. Feng-shui theor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omb theory and house theory and the selection of tomb is notably affected by tomb theory and the selection of house and city is affected by house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selection of house and city was affected by tomb theory in Korea, the selection of city was affected by house theory in Japan. This eventually means that feng-shui theory is divided into tomb use and house use. Namely, it means that originated in China and propagated to each country in East Asia, feng-shui theory is applied to mutually different theory and developed,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 of each country.

      • KCI등재후보

        마을의 입지유형별 비보풍수의 형태

        이영진(Lee, Young-ji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0 民俗硏究 Vol.0 No.21

        비보풍수를 민속신앙 및 불교의 습합문화로 보고 마을 사람들의 적극적 풍수사상 도입방식의 하나인 비보풍수가 마을의 입지유형별로 풍수법술에 따라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풍수가 마을입지선택[擇里]과 문화경관 구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택리(擇里) 후에도 끊임없는 영향을 미쳐 마을의 입지환경을 풍수지리에 부합되도록 인위적이고 상징적으로 보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을의 입지유형별 비보법은 대단히 다양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전통사회 성원들이 고안하고 도입한 비보법은 조산(造山)과 조산(造山)숲, 연못, 민간신앙물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전통사회성원들에게 비보풍수가 공유되어 있다는 반증이다. 전통마을이 비보법을 장치하는 이유는 마을을 물리적·상징적으로 체계화·질서화·영역화하려는 의도이다. Regarding defense fengshui as a compromise culture of folk religion and Buddhism,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the defense fengshui adopted has been embodied into traditional villages through fengshui Taoist magics. Findings demonstrate that fengshui has had various impacts on the site selection (Taekni) and cultural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After village sites being selected, fengshui has persistently had surroundings supplemented artificially and symbolically. A great many methods of defense fengshui are used for individual patterns of village locations, in addition to man-made hills, woods, ponds, and objects of worship. This indicates that defense fengshui is shared widely among the residents, who have employed methods of defense fengshui to layout their villages in organized, ordered, and territorial ways.

      • KCI등재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 7개 산사의 풍수비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인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2 No.-

        Focusing on the building’s use(用途) as a temple, this study examines the Feng Shui Bibo(裨補) applied to the seven mountain temples which have been listed as Serial Property of World Heritage Sites in 2018. The seven mountain temples have maintained the temple's legacy in different conditions and ways. Feng Shui Bib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ayout of the temple, and greatly affected on preserving the temple's territory, maintaining the temple, and securing safety from disasters. In other words, Feng Shui Bibo can be said to be a means to supplement three things: Jideok(地德, 地氣), Sudeok(水德, 水氣) and Orientation(方位). Examples of Jideok Bibo include Tongdosa Temple's 'Sajisabangsancheonbibo(寺之四方山川裨補, Installing Jangseung in four directions of the temple site)' and a five-story stone pagoda. Sudeok Bibo is mainly related to fire prevention. There are Guryongji(九龍池), Sogeumdanji(Salt bottle), and Heukmokbangjangsaengpyo(黑木榜長栍標: Black wood pillar) of Tongdosa Temple. Several Yeonji(蓮池) including Samindang(三印塘) are in Seonamsa Temple. Seonamsa Temple also has Haesuja(海水字: writing of 海水) and Gamgwae pattern(坎卦文樣, ☵). For Orientation Bibo, there is Gakhwangjeon(覺皇殿) in Seonamsa Temple, a defensive Bibo building that defends the so-called Gwimunbang(鬼門方: Northeast direction). One of the architectur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culture in the feudal era, especially temple architecture, i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Feng Shui Bibo. 본 연구는 사찰이라는 ‘용도(用途)’를 중심으로 특히 세계유산에 등재된 7개 산사에 적용된 풍수비보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7개의 산사는 각기 다른 조건과 방식으로 사찰의 명맥을 유지해왔다. 풍수비보는 사찰의 배치에 큰 영 향을 미쳤으며, 사찰의 영역보존과 사찰의 유지관리, 재난으로부터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풍수비보는 다르게 말해서 지덕(地德, 地氣), 수덕(水德, 水氣), 방위 등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지덕비보와 관련된 것으로 통도사의 「사지사방산천비보(寺之四方山川裨補)」, 통도사 탑봉의 탑, 봉발탑(奉鉢塔), 부석사의 삼층탑, 법주사 수정봉의 거북바 위와 속리산사실기비(俗離山事實記碑), 마곡사 「사산입안범표(四山立案犯標)」, 선 암사 하나의 철불, 보탑, 부도, 석종을 거론할 수 있다. 수덕비보는 주로 수구 비보로 연결되는데, 대흥사의 청홍교(靑虹橋, 亦名萬瀑橋) 봉정사 석벽(石壁)이 이에 해당하며, 통도사 구룡지(九龍池), 통도사 ‘정시해중인(定是海中人), 구탄천 창수(口呑天漲水), 능살화정신(能殺火精神)’이라는 게송과 소금단지, 선암사 지당 (池塘), 심검당(尋劍堂) 판벽의 상부에 새겨진 해(海)와 수(水), 감괘(坎卦, ☵)와 건 괘(乾卦, ☰)등은 수기유지, 화재예방 등을 위한 조치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이다. 방위비보와 관련하여 거론할 수 있는 것으로 대흥사의 표충사(表忠祠)의 이건, 선암사의 각황전, 중수비(重修碑)와 사적비(事蹟碑), 마곡사는 5층탑, 대광보전 과 대웅보전을 거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고지도에 재현된 풍수 관련 지명 및 풍수적 특성 연구- 『1872년 지방지도』를 중심으로 -

        권선정 한국지명학회 2018 지명학 Vol.28 No.-

        In this study, I tri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fengshui through fengshui place-names represented on the Korean old map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this purpose, I specifically focused on "1872 Regional Map" which contains the most detailed and diverse geographical information among the many old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n I summarized fengshui place-names identified in the map, and examined how the real surfaces were represented on the old map with fengshui. As a result, I could identify that most of fengshui place-names on the old map were related to 'sasinsa' the main elements enclosing 'myungdang(fengshui good place)' and the artificial complementary elements called 'bibo' and 'hyungguk'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Korean fengshui. First, the place-names of 'sasinsa' of Eupchi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county were mostly 'Jusan'(back mountain of eupchi) and 'Ansa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Jusan. Second, the place-names of fengshui 'bibo' as an artificial environment response were universally found in many counties and showed an interesting predominant tendency. Finally, the place-names of fengshui 'hyungguk' in 1872 Regional Map could be found only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cases than the place-names of 'sasinsa' and 'bibo'. This shows that 'myungdang fengshui' as a normal ge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played a major role in the production and use of the Korean old maps including 1872 Regional Map. 본 연구에서는 근대 이전 정상적으로 공유되어 온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에 등장하는 풍수 지명을 통해 전통지리 풍수의 특징적 모습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고지도가 집중적으로 제작되는 조선후기는 풍수 역사상 ‘명당풍수(明堂風水)’가 전국적으로 정상화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작업은 현재적 입장에서 풍수의 거의 전부로 이해되어 온 명당풍수의 제반 요소 중 중요하게 관심 가졌던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조선후기 제작되는 수많은 전국, 지방, 군ㆍ현 단위 고지도 중 가장 상세하고 다양한 지도 정보를 담고 있는 『1872년 지방지도』를 중심으로 고지도에서 확인되는 풍수 지명을 정리하고, 그러한 풍수 지명으로 표현되는 실제 지표현상이 고지도상에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고지도 상에서는 풍수 명당국면의 주요 구성요소인 사신사(四神砂), 풍수에서의 인위적 보완조치인 비보(裨補), 그리고 한국 풍수의 특징적 측면인 형국(形局) 관련 지명 등 명당풍수 관련 지명이 대부분이었다. 먼저 사신사 관련 지명은 군ㆍ현의 행정중심지인 읍치를 명당 국면으로 구성하는 배후 산세로서 주산(주산까지의 맥세)과 주산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안대(案對) 관련 지명이 다수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인위적인 환경대응으로서 풍수 비보 지명은 전국의 다수 군ㆍ현에서 골고루 확인되었는데 한반도 남쪽은 주로 숲을 통한 수구비보, 북쪽에서는 조산이나 제언 등을 통한 사신사나 수구비보 형태로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었다. 끝으로 풍수 형국 지명인데 『1872년 지방지도』에서는 앞서 사신사나 비보 관련 지명보다 상대적으로 아주 적은 사례만 확인되었다. 그만큼 고지도 상에서는 동ㆍ리 수준의 형국 지명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관련 형국이나 형국 지명의 종류가 적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조선후기 일상화되는 명당풍수가 『1872년 지방지도』를 포함한 군ㆍ현지도의 제작, 통용에 주요하게 작용했음을 다시금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계룡 대실지구 풍수환경도시 건설을 위한 풍수적 연구

        이화(Lee, Hwa) 한국역사민속학회 2007 역사민속학 Vol.- No.24

        이 글은 풍수환경도시개발계획을 위한 하나의 연구이다. 대상지는 충청남도 계룡 대실지구이다. 계룡시는 원래 공주시 계룡면이었던 것이 2003년 “계룡시”로 승격되었다. 계룡 대실지구는 한국토지 공사에서 2년간(2006-2007년)의 학술연구용역을 통해 개발계획이 수립된다. 특히 이 계획은 풍수환경 도시로 계획될 것인데 그것은 환경적으로 건강하고 지속발전가능한 모델로서 이루어질 것이다. 화된다. 그동안 여러 도시계획기법들이 있었지만 이번 계룡대실지구의 도시계획기법은 특별히 전통적인 풍수이론을 적용하기로 되어있다. 풍수이론에 따라 논자는 풍수적 이상 공간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그 요소들은 크게 녹지 연결 축인 산의 형태, 물의 흐름, 산과 물의 방위판단이 해당된다. 이러한 대략적인 틀에 따라 대실지구의 주산인 천호산의 지맥을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터천과 용수말천이 만나 농소천으로 합류하는 곳에는 비보숲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현재 공동묘지를 형성하고있는 ‘과호’지구에는 상거지 이외의 상업?행정?종교시설이 입지해야 적합하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풍수적 제안에도 불구하고 현재 경제적 효율성과 맞물린 개발의 한계에 부딪혀 있다. 그러므로 풍수적 개념을 현실화한다는 것은 지나치게 이상적일지 모른다. 그러나 고도성장의 시대에 이러한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존중하려는 풍수개념을 도입하고자 한 의도 자체가 의미있는 출발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태도 자체가 자연의 본래적인 힘을 인식하고 존중하려는 데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on a research model, which is an feng-shui(風水) environmental urban development project. That object area is Gyeryong(鷄龍) Daesil(垈室) section in the Chungcheongnam-do(忠淸南道). This city, Gyeryong is raised in status as a city in 2003. Gyeryong Daesil section maps out the completion of city plan throughout the scientific research service for 2 years(2006-2007), which is sponcered by Korea Land Corporation(韓國土地公社). Especially, this project is going to plan as a feng-shui environmental city, a environmentally sound and continuous developmental model. It is various to express a city-planning technique. Among various ones, this project is intended to apply traditional one, feng-shui theory. According to feng-shui theory, I could extract some indispensable factors composing a feng-shui ideal space. Those are ‘the shape of a green tract of land’ as a green network, ‘the flow of water’ as a blue network, and ‘the goodness of a direction’. If it follows from this framework, approximately, Daesil section‘s the head range, a branch of a Cheoun-Ho Mt. should be protected at most. And the Junction of two streams should be decorated by Bi-Bo forest(裨補숲). And the present’s public cemetery as a feng-shui concept is Gwa-Ho(瓜瓠), which can be developed by commercial or administrative districts. Despite of this basic plan, it is still left the limit of development and actually economical efficiency. That is, feng-shui conceptual city plan may be over-ideal. But the invitation of that in itself is only meaningful in the rapid growth ages. Because that attitude is to recognize and respect the nature’s inherent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