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0~60대 비만체형 여성의 인체 형상 연구

        김효숙 ( Kim Hyo-sook ),이소영 ( Lee So-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1 No.-

        본 연구의 목적은 40대, 50대, 60대 비만여성의 체형 특성을 파악하여 비만여성의 의복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비만여성의 인체 특성 파악을 위해 `Size Korea 2004`의 직접측정치와 3차원 인체 단면형상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접측정치의 높이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비만여성이 일반여성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으며 높이항목에서는 같은 연령대에서의 비만여성과 일반여성 간에 큰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2. 너비항목과 두께항목, 둘레항목, 길이항목, 몸무게에서는 모두 큰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비만여성의 허리두께와 배꼽수준허리두께가 큰 값을 나타냈다. 3. 둘레항목에서는 비만여성의 허리둘레와 배꼽수준허리둘레가 특히 크게 나타났으며 길이항목에서는 샅앞뒤길이가 크게 나타났다. 4. 40대, 50대, 60대 비만여성을 임의추출하여 3D로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비만여성 피험자의 단면형태는 평균체형여성의 단면과 형태는 비슷하였으나 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며 너비항목보다는 두께항목에서 더 많은 차이를 보였다. 5. 40대 비만여성 피험자는 비교적 평균체형여성의 단면과 형태와 크기가 비슷하였으며 50대 비만여성 피험자는 허리와 배꼽수준허리의 너비와 두께가 평균체형여성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6. 60대 비만여성 피험자는 뒤허리중심의 형태가 평평하며 복부가 전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체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of the body shape for the 40s, 50s, 60s obese women. In order to identify the body shape of obese women,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measurements of `Size Korea 2004` and shapes of 3D horizontal section through the 3D measu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items, obese women`s measurements had high values than non-obese women`s, except for the height. In heigh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ese women and ordinary women of the same age groups. 2. Measurements in width, thickness, circumference, length, and weigh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bese women and non-obese women, and especially obese women`s waist and navel level waist were much thicker than non-obese women`s. 3. The circumference of waist and navel level waist, and length of clutch of obese women had high values. 4. The shapes of horizontal sections of 40s, 50s, 60s obese woman subjects were almost similar to average women`s, but the horizontal sections were bigger and much more thicker than that. 5. The size and shapes of 40s obese woman subject`s horizontal section were similar to average women`s, but 50s obese woman subject had wider and thicker in waist and navel level waist measurements than average women`s. 6. The body shape of 60s obese woman subject is flat in back waist, and protrude in front abdomen.

      • KCI우수등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비만관리 프로그램 실시효과 : 아로마 마사지를 중심으로 With Focus on Aroma Massage

        김명숙,안홍석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1

        연구배경: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출산 후 30대 이후 중년기 여성들은 비만 유병률이 특히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경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비만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어 중년기 여성비만은 외관상 및 건강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복부비만은 심혈관계질환 등 대사성 질환발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본 연구는 30~55세에 해당되는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을 대상으로 기본관리군과 추가관리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에게 각각 다른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측정, 비교하여봄으로써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서울시 강남구 여성센타의 프로그램 광고를 통해 30~55세에 해당되는 여성으로서 체질량지수가 25 kg/㎡이상이면서 허리둘러나 80 cm이상인 복부비만여성을 대상자 66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으로 구성된 병합요법을 실시하는 기본관리군과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외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추가관리군으로 다시 분류하여 10주간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기간동안 계속적인 참여를 한 자는 기본관리군 16명, 추가관리군 23명이었다. 1) 프로그램실시 10주 후 총체중은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4.14 kg, 5.58 kg, BMI는 1.66kg/㎡, 2.41 kg/㎡ 감소되어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다(p<0.01, p<0.001). 실시 10주 후 신차둘레 중 허리둘레는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6.81 cm, 9.09 cm, 복부둘레는4.61 cm, 8.11 cm 감소되어 허리둘레, 복부둘레 모두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으며 (p<0.01 p<0.001), 피하지방두께 중 복부피하지방두께 역시 추가관리군이 유의적인 차이로 기본관리군에 비해 감소의 폭이 컸다(p<0.001). 실시 10주 후 처니방은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3.19%, 4.94% 감소괴어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으며 (p<0.05), 혈압은 추가관리군에서만 수축기혈압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났다(p<0.05). 2) 혈청성분 중 중성지질과 유리지방산은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p<0.05, p<0.01)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추가관리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p<0.001)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0.05), 총항산화능과 AST 역시 추가관리군에서만 유의적인 변화를 가져와(p<0.001, p<0.01),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p<0.05). 결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요법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 실시했을 때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 복부피하지방두께의 감소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감소와 항산화능의 증가에 변화를 주었다. 따라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적으로 실시한 프로그램이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요법으로 구성된 병합요법에 비해 복부비만을 감소시키고 비만관련 질병의 예방에도 효과적인 관리방법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Background: Middle-aged Korean women over 30 years old reportedly become fat in particular after delivery. The obesity ratio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coupled with change in diet pattern, causing appearance and health problems against middle-aged women. Since abdominal obesity particularly relates to metabolic disease including heart/blood vessel disorder, the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are divided into basic treatment group and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who are subject to different obesity managemant program. Then the outcomes are check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se basic data are used to develop efficient abdominal obesity managemant program and to operate professional obesity managemant center. Methods: Sixty six women aged between 30 and 55 who have BMI above 25 kg/m2 and live in Seoul, Korea and whose WHR is 0.85 or more are selected as an subject of this study. They are divided into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for 2nd level study. Abdominal massage is done in addition to the diet education, physical exercise therapy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for the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whereas the basic treatment group is subject to the diet treatment, physical exercise therapy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as an abdominal obesity managemant program. Results: 1)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lose weight 5.58 kg and 4.14 kg in 10 weeks, respectively, while BMI drops 2.41 kg/㎡ and 1.66 kg/㎡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reduces weight and BMI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In 10 weeks,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witness waist circumference decrease by 9.09 cm and 6.81 cm and abdomen circumference decrease by 8.11 cm and 4.61 cm,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reduces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en circumference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Mean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circumference and WHR betwee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In 10 weeks,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witness body fat decrease by 4.94% and 3.19%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notably reduces body fat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In 10 weeks,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skinfold thickness at triceps and suprailiac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whereas there is notable difference in the skinfold thickness between two groups.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effectively reduces abdominal skinfold thickness. There is notable drop in diastolic blood pressure only for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in 10 week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between two groups in 10 weeks. 2) There is notable drop in triglyceride level in serum component of both group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change significantly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showing the remarkabl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There is notable change in total antioxidant and AST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showing the remarkabl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Conclusion: This study also shows that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coupled with abdominal massage using aroma therapy effectively reduces weight, BMI, waist/ abdomen circumference, body fat, abdominal skinfold thicknrs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while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adopting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coupled with abdominal massage using aroma therapy effectively control abdominal obesity and prevent obesity related disorders.

      • KCI등재

        성인 여성의 비만, 자존감과 우울증상 간의 관계

        손연정,김기연 대한비만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1 No.2

        연구배경: 비만한 여성일수록 우울증 발병률이 높고, 우울한 여성일수록 비만해지기 쉽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나, 두변인 간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국내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과 우울증상 간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 비만과 우울증상 간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영향을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2009년 9월부터 11월까지 서울, 경기,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여성을 임의표출하여 연구참여에 동의한 455명이 최종 분석대상이었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키와 체중을 이용해 산출하여, 25k g/m2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하였고, 자존감은 10문항 4점 척도의 자가보고형 측정도구로 사용하였고, 우울증상 유병률은 한국판CES-D 도구를 이용해 절단점 21점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였다. 비만, 자존감 및 우울증상 간의 상호 관련성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비만과 우울증상 유병률은 각 23.7% (108명)와21.5% (98명)였고, 비만도에 따른 자존감 및 우울증상 유병률차이에서, 비만 여성이 정상 또는 과체중 여성에 비해 자존감은 낮고(P =.003) 우울증상 유병률은 높았다(P =.001).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보정한 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비만과 낮은 자존감이 우울증상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P =.009, P < .001). 결론: 비만과 자존감이 우울증상 발생의 영향 요인임이 확인된 바, 향후 비만한 여성과 자존감이 낮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40~59세 복부비만 여성의 상반신 체형 유형화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침착으로 복부비만이 심화되는 한국 40~59세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BMI와 복부비만도 WHR에 따른 상반신 체형을 유형화하고, 그 유형별 체형의 특징을 살펴보며, 우리나라의 기성복 상의류가 복부비만 여성의 체형을 얼마나 커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BMI가 25kg/m2 이상이면서 WHR 0.85 이상인 총 143명의 상반신 신체계측 데이터를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반신 높이 항목은 40대가 50대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상반신 길이도 40대가 50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신 너비의 경우에도 40대가 50대보다 유의미하게 넓었다. 지수치는 허리편평률에서 50대가 40대보다 복부비만이 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0~59세 복부비만 여성의 상반신 체형을 구성하는요인은 6개로 분류되었는데, 상반신 수평, 상반신 수직, 목 관련, 허리 관련, 어깨 관련, 상반신 길이요인이 추출되었다. 40~59세 복부비만 여성의 상반신 체형은 3개로 유형화되었다. 마르고 긴 복부 돌출 체형, 높은 상체 납작 복부 체형, 가는 목 상체 비만 체형으로 분류되었다. 40대는 짧은 상체 납작복부 체형이 가장 많았고, 50대는 가는 목 상체 비만 체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성복의상의류가 40~59세 복부비만 여성의 체형을 얼마나 커버하는지 살펴본 결과, 0%의 커버율을 나타냈다. 기성복의 경우 복부비만 여성의 치수를 커버하는 경우가 매우 낮아 복부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의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복부비만 여성 상의의 경우에는 복부의 돌출로 인해 앞부분이당겨 올라가므로 기존의 가슴둘레/24로 설정되는 앞처짐분만으로는 부족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복부돌출 정도에 따라 앞처짐분을 설정하는 제도법 개발이 요구되었다.

      • KCI우수등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섭식패턴과 혈청성분함량

        김명숙,안홍석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출산 후 중년기 여성들은 비만 유병률이 특히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경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비만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어, 중년기 여성비만은 외관상 및 건강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섭식양상과 혈청성분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BMI, 체지방, 신차둘레, 피하지방두께 및 혈압과 혈청성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서울시 강남구 여성센타의 프로그램 광고를 통해 30∼55세에 해당되는 여성으로서 체질량지수가 25 kg/㎡이상이면서 허리둘fp나 80 cm이상인 복부비만여성을 차상자 66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체지방, 신차둘레, 피하지방두께, 혈압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고 혈청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비만도에 따라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으로 분류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1) 수축키와 확장기혈압이 모두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간 유의적인 차이로 고도비만군이 높았다2) 섭식양상에서 식습관 중 아침결식률이 전체 비만군에서 59.18%였으며 고도비만군이 경도비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1일 평균 열량섭취량은 경도비만군이 1823.91 kcal, 고도비만군이 1740.97kcal로 각각 권장량의 91.20%, 87.05%로서 권장량보다 낮았으며, 고도비만군이 경도비만군에 비해 오히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군의 1일 영양소섭취량은 단백질 인, 비타핀A, 비타핀B₁, 나이아산, 비타민C의 경우 권장량을 초과했으나 칼슘, 철,비타민B₂는 권장량의 66.28%, 67.38%, 84.23%로 권장량 이하로 유사연령대의 일반여성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으며 콜레스테롤섭취는 두 군이 모두 1일 권장량인 300 mg미만을 초과했다. 3) 혈청성분 중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 모두에게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정상보다 높은 수준이었곤, 유리지방산과 ALT는 특히 고도비만군에서 정상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 경도비만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경우 비만도에 따라 유리지방산과 ALT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총항산화능은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 모두에서 정상범위였으나 낮은 수준에 속하였으며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혈청성분과 신체계측치 및 혈압과의 상관관계에서 유리지방산이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 힙둘레, WHR과 양의 상관성을 보여 AST, ALT가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중년기 복부비민자서 섭식패턴의 문제는 과열량섭취보다 아침결식의 습관에 있으며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평균함량은 정상수치보다 높다 또한 유리지방산과 ALT의 함량은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유리지방산, AST, ALT가 체지방 및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신체계측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Middle-aged Korean women over 30 years old reportedly become fat in particular after delivery. The obesity ratio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coupled with change in diet pattern, causing appearance and health problems against middle-aged women. Since abdominal obesity particularly relates to metabolic disease including heartblood vessel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um component and the nutritional aspects of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who are 30 to 55 years old, in order to find the physiological causes and problems of middle-aged abdominal obese women in Korea. Methods: Sixty six women aged between 30 and 55 who have BMI above 25 kg/㎡ and live in Seoul, Korea and whose WHR is 0.85 or more are selected as an subject of this study. Results: 1) As for the diet pattern, 51.72% of pre-obese group and 70% of obese group do not have breakfast,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average daily caloric intake is 1823.91 kcal and 1740.97 kcal for pre-obese group and obese group, respectively which are 91.20% and 87.05% of RDA. It is lower in obese group than in pre-obese group, bu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groups intake more protein, phosphorus, vitamin A, vitamin B1, niacin and vitamin C than RDA, but intake less calcium, iron, vitamin B₂, than RDA, corresponding to 66.28%, 67.38% and 84.23% of RDA, respectively. Obese group and pre-obese group exceed RDA of 300mg. 2) The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are higher in both groups than normal.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is higher in obese group than pre-obese group,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is means that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concentration substantially depends on obesity level.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ntioxidant, AST, but ALT between two groups. The total antioxidant is low and in a normal range in both groups. 3) The free fatty acid, ALT and AST concentration are related with weight, BMI, body fat, abdominal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Conclusion: Comparing pre-obese group with obese group, abdominal obesity of women is related with regularity and with diet pattern such as "skipping breakfast" more closely than caloric intake is.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substantially depends on obesity level in abdominal obese women and the free fatty acid, ALT and AST concentration is related with abdominal obesity.

      • SCOPUSKCI등재

        비만여성과 정상체중 여성의 사회적지지 및 건강지각의 비교

        왕명자,김정아 지역사회간호학회 2004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bdomen-fat rate, life style and social- support between normal weight women and obese women. Method: 304 women objectives from their 30 to 59years of age were selected living in Je-chon city, Chung-Buck province and their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from April 1st to June 30th, 2003. Data were classified into low-weight group (18.5kg/m2), normal-weight group (18.5~22.9kg/m2), over?weight group (23~24.9kg/m2), and obese group (25kg/m2) following the Korean Conference of Obesity, 2001, in which 119 people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91 people in the obese group, i.e. total 210 people were analyzed in sequence. Using SPSS Win 10.1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ile, and by ANOVA, X2 -test and t-test were treated. Results: The average age of obese women was 46.68 distributing 40.7% of forties and 39.6% of fifties while normal-weight women were average 41.73 -year old distributing 53.8% of forties and34.5% of thirties, which revealed aged in obese women. The body fat rate of obese women averaged37.52±4.17%, in which 98.9% of obese women and 21.0% of normal weight women with a more than 30% of body-fat rate resulted in a higher body-fat rate in obese women. The waists of obese women averaged 88.37±8.22cm, in which more than 85cm showed in obese women of 68.2% and normal weight women of 7.6% indicating a higher waist-fat rate in obese women. The abdomen-fat rate of more than 0.85 of waist vs hip-fat showed 74.7% in obese women and 58.4% in normal weight women, indicating a higher abdomen-fat rate in obese women. Obese women and normal weight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level, number of children, religion, menstrual status, and mother's weight. Especially, obese women ate hotter or saltier food than normal weight women preferringmea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marital status, social economic status, occupation, eating habits,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exercise. Social support levels showed a lower rate in obese women than in normal weight women,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Observing areas of social support, obese women showed lower rates in attachment/intimacy, social integrity, opportunity of foster and confidence in value except help and instruction, which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Social support for obese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social hierarchy, religion and menstrual status. Obese women were more negative than normal weight women in health recognition,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 Normal weight women showed higher health recognition when provided high social support and significantly low (p<.01) health recognition when provided low social suppor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recognition in obese women whether high or low social support was given. The health recognition of obese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social hierarchy, number of children, menstrual status, physical exercise, eating habits, eating taste and preference of food. Conclusion: Obese women showed elder than normal-weight women, higher body-fat rate and abdomen-fat rate, lower social support, and a tendency to more negative health recognition. Therefore, providing weight-control program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prevention of recurrence for obese women to prevent progressing to adult disease and promote a healthy life, we suggest that better eating habits and the encouragement of regular physical exercise should be included, as well as total approachment on change of health recognition and social support would be needed.

      • KCI등재

        비만 클리닉 내원 여성의 비만 실태 및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이영선,한인영 대한비만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9 No.4

        Background: Even though obese population is growing and women’s obesity is especially becoming a serious problem, not enough research have given attention to the individual’s psychosocial factors which may play a crucial role in women’s obesit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besity related factors in adult females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such as physical activity,health maintenance factors, quality of lif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with the degree of obesity.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n exploratory survey metho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Adult women who previously visited the health care center for consultation on obesity were included. A total of 313 femal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hospitals and community health care centers in three different cities in Korea. Data on obesity related factors, including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maintainemce factor, demographic factor, quality of life, psychological factor, social factor and obesity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for windows. Results: Mean BMI score of participants was 25.71 (SD: 3.19) and 57.7% were overweight according to the criteria (BMI > 25 kg/m2). The more obese the participants were, there was a greater tendency of history of maternalobesity, tendency to blame their own eating habits and lack of exercise, experience physical symptoms, go on frequent diets, and take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compared to the non overweight group (P < 0.05). Also,overweight women had misperceptions of their own body image, had lower QOL, and experienced higher social physique anxiety compared to non overweight group (P <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need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obesity in women.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target the psychological risk factors are necessary for managing obesity in women. 연구배경: 비만인구가 증가하고, 특히 성인 여성들의 비만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비만 위험요인 및 영향에 개인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관련 요인, 신체활동 및 건강유지 요인, 일반적 사항, 삶의 질, 심리적, 사회적 특성 및 비만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자료수집은 비만을 주소로 의료기관에 내원한 여성 3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인구사회학적 및 비만관련특성, 신체활동 및 건강유지요인. 삶의 질, 심리적, 사회적 특성 측정 도구로 구성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BMI지수 평균은 25.71 (SD: 3.19)로, BMI (25 kg/m2)를 기준으로 57.7%가 비만군에 해당 하였다. 비만일수록 어머니가 비만, 식습관이나 운동부족을 비만원인이라고 생각, 가슴 답답함, 숨이 참, 음식물 과다섭취 증상을 느낌, 본인 체형에 대해 비만이라고 생각함, 체중 조절 노력을 하는 경우, 혈압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건강관련 삶의 질, 비만관련 삶의 질의 각 영역에서 더 낮은 삶의 질을 보고하였으며, 사회적 체형 불안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성인여성의 비만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본인의 체형에 대한 생각이 왜곡되어 있고, 비만 여성의 경우 사회적 체형불안이 높으며, 비만은 낮은 삶의 질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성인 여성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통해 비만 관련 요인과 특히 심리적 비만에 대한 이해를 돕고, 비만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비만으로 인한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중년의 한국인에서 하루 칼슘 섭취와 비만

        이태영,유현정,주남석 대한비만학회 2009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8 No.2

        연구배경: 칼슘 섭취와 비만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년 인구 및 노년 인구에 있어, 하루에 섭취하는 칼슘의 양이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2007년 3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40대에서 60대 사이의 건강한 일반인 836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하였다. 하루 칼슘 섭취량은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비만은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칼슘 섭취량 차이에 따른 비만의 위험도는 다중 회귀 분석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50대 여성에 있어서 비만한 여성의 경우는 비만하지 않은 여성에 비하여 하루 칼슘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비만한 여성 vs. 비만하지 않은 여성; 672.19 ± 240.64 mg vs 776.11 ± 213.59 mg, P = 0.016). 하루 칼슘 섭취량을 사분위수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가장 칼슘 섭취량이 낮은 군에서는 칼슘 섭취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나이와 하루 중 섭취한 총 열량을 보정한 비만의 위험도가 4.82 (95% CI 1.49-19.43, P = 0.016)였다. 한편 하루 칼슘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간에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남성의 경우는 비만과 대사증후군 모두 하루 칼슘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하루 칼슘 섭취량은 50대 중년 여성에서 비만의 유병률과 관계가 있다.

      • KCI등재

        국내 중년기 비만 여성의 생리적 지표에 대한 복부비만관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김경진,홍해숙,박완주,고상진,나연경 대한비만학회 2016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5 No.3

        배경: 한국의 중년여성의 복부비만 유병률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의 종류와 그 효과가 다양하고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규명하여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학술지 392편, 학위논문 380편으로 총 772편의 논문 중 중복된 자료를 제외한 647편에서 조사연구이거나 나이에 적합하지 않거나 대조군이 선정되지 않는 등,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604편을 제외하여 총 43편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주요 비만지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각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 메타 ANOVA와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출간오류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평균 효과크기는 0.22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염증성 지표와 지방분포율은 각각 0.36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대사성 지표는 0.21, 신체계측 지표는 0.18로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질성은 중간 정도의 이질성 (I2=44.5%, Q=844.57, P<0.001)을 보였고,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여부나 출판여부에 따라 효과크기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비만 여성에 대한 건강 증진 및 복부비만 개선에 대한 중재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복부비만프로그램 중재의 효과파악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무용이 비만여성노인의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홍예주 ( Ye Ju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한국무용이 비만여성노인의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 지역 J 노인회관의 체지방률 30% 이상인 비만여성노인들 총 37명을 한국무용집단 20명, 통제집단 17명으로 구성하여 12주간, 주 3회, 일일 60분간, 55-65%HRR 강도로 한국무용을 실시 후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무용은 비만여성노인의 체지방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BMI, 체지방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은 비만여성노인의 안정시심박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폐활량과 심폐지구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하여 12주간 한국무용 참여는 비만여성노인의 체지방량과 안정시심박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BMI, 체지방률, 폐활량, 심폐지구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여성노인의 비만감소에 한국무용이 효과적이며 유산소운동으로서의 한국무용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지만 본 연구에서와 같이 일반 노인들뿐만 아니라 비만노인들을 대상으로 무용이 신체활동으로서 효과가 어떠한지 확인하는 다각적인 연구가 제안되며, 이러한 연구는 무용과학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Korea dance on obesity-related variables and cardiovascular function in obese older women. The subjects were obese older women who were between the ages 65 to 75 with over body fat percentage 30%. Data were collected of 37 obese older women(Korea dance group, 20 and control group, 17) after Korea dance during 12 weeks, 3 times a weeks, 60 minutes a day(including warm-up and cool dow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body fat mass of obese older women did not show effects but BMI, %body fat were increased by Korea dance. Second, resting heart rate of obese older women did not show effects but lung capacit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were increased by Korea danc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Korea dance is effective in obesity reduction of obesity older women and it has also effects of aerobic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