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유적 출토 비녀에 대한 小考

        김은옥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2 No.-

        본고는 그동안 여러 발해 유적들에서 출토된 비녀에 대한 자료들을 최대한 취합하여 그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비녀의 재료 및 비녀 머리 부분의 형태에 따른 형식 분류를 진행하였다. 비녀는 머리 장신구(首 飾)의 일종으로 머리카락이나 가체를 고정하는 실용적인 기능을 갖고 있으며 특히 비녀 머리 부분의 다양한형태를 통해 화려한 장식의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그동안 발해 비녀에 대한 연구는 주로 ‘발해 장신구’나 ‘발해 복식’의 한 부분으로만 다뤄지거나 특정 재료(청동)로 만들어진 비녀 혹은 단일 유적(크라스키노 성지)에서 확인된 비녀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의 중국ㆍ러시아ㆍ북한 지역에서 출토된 총 80여 점의 비녀 자료를 통해 전체적인발해 비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발해 비녀는 비녀 다리 부분이 한 가닥으로 이루어진 잠(簪)과 두 가닥으로 이루어진 채(釵)가 모두 확인되었다. 비녀는 금ㆍ은ㆍ금동ㆍ청동ㆍ철ㆍ뼈ㆍ뿔 등으로 제작되었으며 그중 청동제 비녀의 수량이 가장 많다. 특히 금제 비녀는 모두 채만 확인되었고 등급이 높은 무덤에서만 출토되어 당시 계층과 관련된 비녀 재료로생각된다. 이는 비녀뿐만 아니라 다른 금제 장신구들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 반면 은제 비녀는 등급이 높은무덤뿐만 아니라 일반 평민 무덤 및 촌락 유적 등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은은 더 이상 계층과 관련된 장신구 재료는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발해 채 머리 부분은 총 4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Ⅰ형식은 비녀 머리 부분에 별다른 장식이 없는형태로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갖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 발견된 금제 채가 모두 Ⅰ형식에 해당한다. 이 형식은발해뿐만 아니라 고구려ㆍ통일신라ㆍ고려ㆍ당 등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Ⅱ형식의 평면 형태는 장타원형이며, 중앙 및 양쪽 끝이 볼록하여 삼각형에 가까운 측단면 형태를 갖고 있다. 특히 정 가운데에 마치 꽃잎을 연상시키는 장식이 있거나 혹은 별다른 장식이 없는 것도 있다. Ⅲ형식 역시 장타원형의 평면과 삼각형에 가까운 측단면을 갖고 있는 것이 Ⅱ형식과 유사하다. 다만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7-8줄의 선이 부각되어 있고 마치 건물의 맞배지붕을 연상시키듯 가운데가 솟아 있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다. Ⅳ형식은 발해 비녀 중 가장 많은 수량이 확인되었다. 흔히 ‘산(山)자형’ 비녀라고도 하며 세 가닥의 꽃받침이 위로 솟아 있는 형태이다. 세부적으로 꽃받침의 층수에 따라 세 가닥의 꽃받침이 모두 단층인 Ⅳ-①형식과 모두 2층으로 이루어진 Ⅳ-②로분류된다. Ⅳ형식 채는 장식의 효과가 가장 극대화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Ⅳ형식 채는 발해 유적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발해 비녀는 수장품의 목적인 무덤뿐만 아니라 성곽 유적, 촌락 유적 등에서 꾸준히 출토되고 있지만 유적성격이나 지역에 따른 발해 비녀 양상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 다만 발해 강역 내에서 광범위하게 확인되고있으며 가장 많은 수량이 확인된 Ⅳ형식 채가 현재 발해 유적에서만 확인되고 있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Ⅳ형식 채는 발해의 전형적인 비녀의 형태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금관가야 여자 머리 장신구의 유형과 착용모습 일러스트 제안

        이주영 한복문화학회 2022 韓服文化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present illustration images of Geumgwan Gaya's queen, noble women, or ordinary women who wear hair accessories. This study categorized women's hair accessories in Geumgwan Gaya, focusing on literature and excavated artifacts related to Geumgwan Gaya, and proposes illustrations of queens, nobles, and commoners wearing hair accessories. Eleven women's hair accessories were excavated from the Geumgwan Gaya ruins, including two combs, five comb-shaped accessories, and four binyeo pieces. The combs and binyeo pieces of the Geumgwan Gaya ruins are significant. They are relics that prove that comb and binyeo were widely used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Since the overall appearance is similar to that of a bird, it is presumed that the view of the bird of the ancients was reflected in the comb-shaped decorations. The queen's headdress was exemplified by referring to the comb and a piece of binyeo excavated from the 25th tomb of Jeopo-dong, Hapcheon, currently stored in the Leeum Museum. The comb and the binyeo were represented, respectively, made of bone and gold in the imaging process. Both accessories were put into the middle of the hairs, which were done in a chignon to be seen from the front. Hair accessories for noble women or their female servants were illustrated hereafter comb-shaped accessories made of bone uncovered from Daeseong-dong Ancient Tomb No. 88. The accessories are imag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ose women's social statu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llustratively depicted hair accessories for noble women so that they appeared made of lacquered bone and decorated with gilded silk threads and gilded beads. In contrast, those for female servants were expressed here to be seen made of bone and beautified with lacquered silk threads and little beads. Meanwhile,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because it illustrated decorative hair accessories worn by the queen, noble women, and ordinary women only based on one image for each social status. .

      • KCI등재

        삼국시대 여자 머리장신구 특성에 관한 연구

        임린 ( Lynn Yim ),김은정 ( Eun Jung Kim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4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6 No.5

        This study classifies features of women’s hair adornments with the functional and decorative aspect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and analyses in regards to their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surroundings. First, the treeshaped and Rod-like hairpin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are not as similar as to the hairpins found in China or other northern countries. It is farming lives and the wood-worship religion established the wearing of high-bun hair styles and tree-shaped hairpins. Second, high-bun hair styles and -shaped hairpins were basic hair decoration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Common high-bun styles finally became one of the cultures that reflected the contemporary thinking. High-bun hair styles, not excessively-decorated, became harmonized with the costume beauty and later developed along with with various -shaped hairpins. Third, Buyao (made of metals and based on flower subjects)in the Three Kingdoms Periodwas a unique style not been seen in the Han and Wei-jin-nam-bei-chao Period. Flowers in Buyao of th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show an elegant sway, which is not excessively-decorated that developed into unique fe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