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XML 뷰 트리 기반의 XML 질의 처리 모델

        정채영(Chai-Young Jung),김현주(Hyun-Ju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1 No.5

        본 논문에서는 XML 뷰 트리 기반 랩퍼의 질의 처리 모델을 제시한다. 질의 처리과정은 뷰 합성, 지역 정보원에 대한 질의 변환, 그리고 결과 문서 생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XML 뷰와 XML 질의어를 XML 뷰트리로 표현하는 XML 뷰 트리 기반의 질의 처리 모델을 제시한다. XML 뷰 트리는 가상의 XML 문서의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에 경로식의 탐색이 쉽고, XML 뷰에 대응되는 XML 스키마 생성과 질의 결과 문서생성을 위한 템플릿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XML 뷰와 XML 질의의 XML 뷰 트리를 통한 개념적 통일은 다단계 XML 뷰 정의와 합성을 쉽게 지원한다. This paper presents a query processing model in a wrapper based on the XML view tree. The query processing in a wrapper requires view composition, query translation into local sources, and generation of XML documents from local query results. We present a query processing model based on the view tree, where the XML views and the XML query is represented by the view tree. Since the view tree keeps the structure of a virtual XML document, it is easy to navigate the path expression. The view tree is also used as a template for schema generation and XML document generation as a query result. Moreover this conceptual uniform abstraction for the XML view and the user query makes it easy to support a multi-level XML view and to implement our composition mechanism.

      •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형성 뷰 관리

        김상호,이성호,이성종,류근호 충북대학교 컴퓨터 정보통신 연구소 1999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7 No.2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의 이력을 표현하기 위해서 시간 지리정보시스템은 과거의 모든 자료를 저장해야되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자료를 통해서 데이터를 관리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을 가진다. 시공간 뷰는 이러한 시간 데이터베이스의 방대한 자료에 대한 처리에 걸리는 노력과 비용의 문제를 줄일 수 있는 기법이다. 시공간 뷰는 기본 데이터외에 형성된 뷰를 다시 정장해야 되기 때문에 저장공간이 많이 필요한 반면,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시공간 뷰를 정의하고, 시공간 뷰 인터페이스, 시공간 뷰 분석기, 시공간 뷰 생성기, 시공간 형성 뷰 구현기등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시공간 뷰를 이용하여 시공간 뷰를 이용한 경우와 시공간 뷰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의 비교횟수를 가지고 성능평가를 한다. 시공간 뷰는 방대한 자료를 다루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If tempor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epresent history of objects in real world, the systems must save all data. But, it is very expensive to process all saved history data. Spatiotemporal view solves the expense problem and the overload problem in those systems. It give us a fast speed and a low expense of processing query while it needs extra spaces to save materialized view. In this paper, we define a spatiotemporal view and make a spatiotemporal view interface, a spatiotemporal view analyzer, a spatiotemporal view builder and a spatiotemporal view materializer. And then, discover a difference of the compare times between using spatiotemporal view and not using it.

      • KCI우수등재

        관계 DBMS의 실체뷰 기능을 이용한 XML 실체뷰 지원

        김승훈(Seunghun Kim),강현철(Hyunchul Kang) 한국전자거래학회 2006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1 No.4

        XML이 웹상에서 데이타 교환의 표준으로 등장한 이래 웹 환경에서 e-Commerce와 같은 웹 기반 비즈니스응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XML 웨어하우스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관계 DMBS가 XML 웨어하우스의 저장소로 사용될 경우, XML 웨어하우스의 XML 실체뷰는 관계 DBMS의 관계 실체뷰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XML 문서가 관계 튜플로 저장되기 때문에 XML 실체뷰를 정의하는 XML 질의는 SQL로 변경된다. 만일 변경된 SQL 문으로 관계 실체뷰를 정의하면, XML 실체뷰는 해당 관계 실체뷰를 구성하는 튜플들에 대한 XML 태깅만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런 기법의 가장 큰 장점은, 소스 XML 문서가 변경될 때마다 XML 태깅을 제외한 XML 실체뷰의 일관성 유지를 관계 DBMS가 수행해준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XML 실체뷰 기법을 제시하고 Windows 2000 Professional 환경에서 실체뷰 기능을 갖춘 상용 관계 DBMS를 사용하여 Java로 구현하였다. 성능 실험은 웹상의 e-Commerce 벤치마크인 TPC-W의 XML 문서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논문이 제시한 XML 실체뷰 기법이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 emergence of XML as the standard for data exchange on the Web, XML warehousing technology is required to efficiently support Web business applications such as e-Commerce. When the RDBMS is employed as the storage for XML warehouse, XML materialized views of the XML warehouse could be provided by leveraging the materialized views of the RDBMS. Because XML documents are mapped into relational tuples, an XML query defining an XML materialized view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SQL. If relational materialized views were defined with the transformed SQL statements, the XML materialized view could be obtained just by XML-tagging the tuples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al materialized views. The foremost advantage of such a scheme is that the RDBMS does take care of XML materialized view consistency except XML tagging whenever their source XML documents are updated. In this paper, we proposed such a scheme of providing XML materialized views, and implemented it using a commercial RDBMS equipped with materialized view facility in Java on Windows 2000 Professional environment. XML documents in TPC-W, Web e-Commerce Benchmark, were used in performance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proposed scheme for XML materialized views was very effective.

      •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부가 파일을 이용한 복합 뷰 관리 기법

        정웅교(Woong-Kyo Chung),신성현(Sung-Hyun Shin),김진호(Jin-Ho Kim) 한국정보과학회 데이터베이스 소사이어티 2004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0 No.3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여러 소스로부터 수집한 요약 정보를 유지하는 실체뷰로 유지하여 이 요약 정보를 원하는 복잡한 질의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소스 데이터가 변경될 경우 이에 따라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내용도 함께 수정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소스 데이터들이 여러 사이트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실체 뷰를 관리하는 것이 상당히 복잡하다. 보통 실체 뷰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그 뷰를 다시 재 생성하는 방법과 소스 데이터의 갱신된 부분만 반영하는 점진적인 방법들이 있다. 점진적인 관리 방법은 소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사항을 부가 화일 또는 보조 릴레이션 등에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뷰를 갱신하는 방법으로, 부가적으로 유지하는 정보의 양이 적고 뷰 관리에 드는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진적인 뷰 관리 방법의 하나로 부가 화일과 조인 부가 화일을 사용하여 다양한 관계 연산을 포함하는 복잡한 질의로 정의되는 실체 뷰를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또는 이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비용 모델을 분석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 비용 모델을 기반으로 성능을 비교ㆍ분석하여 본 논문의 방법이 다른 기존의 방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였다. Data warehouse can be stored as materialized views derived from one or more sources in order to support efficient accesses to the integrated data. The materialzed views can provide fast accesses to complex queries of data warehouse environment. Because data sources are distributed over remote sites, we need an efficient maintenance of the views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data sources. There can be classified into two approaches in maintaining the materialized views: the view redefinition and the incremental view maintenance. The incremental view maintenance updates views incrementally by using auxiliary relations or differential files which have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source data changes. Thus it requires only small amount of additional information and it can modify materialized views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cremental view maintenance algorithm which updates efficiently materialized views defined as complex queries including various relational operations by using differential files and join differential file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define the cost model then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previous ones.

      • KCI등재

        멀티 뷰 기법 리뷰: 이해와 응용

        배강일,이영섭,임창원 한국통계학회 2019 응용통계연구 Vol.32 No.1

        Multi-view learning considers data from various viewpoints as well as attempts to integrate various information from data. Multi-view learning has been studied recently and has showed superior performance to a model learned from only a single view. With the introduction of deep learning techniques to a multi-view learning approach, it has showed good results in various fields such as image, text, voice, and video. In this study, we introduce how multi-view learning methods solve various problems faced in human behavior recognition, medical areas, information retrieval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In addition, we review data integration principles of multi-view learning methods by classifying traditional multi-view learning methods into data integration, classifiers integration, and representation integration. Finally, we examine how CNN, RNN, RBM, Autoencoder, and GAN, which are commonly used among various deep learning methods, are applied to multi-view learning algorithms. We categorize CNN and RNN-based learning methods as supervised learning, and RBM, Autoencoder, and GAN-based learning methods as unsupervised learning. 멀티 뷰 기법은 데이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려는 접근 방법이며 데이터의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하려는 시도이다.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멀티 뷰 기법에서는 단일 뷰 만을 이용하여 모형을 학습시켰을 때 보다 좋은 성과를 보인 경우가 많았다. 멀티 뷰 기법에서 딥 러닝 기법의 도입으로 이미지, 텍스트,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 뷰 기법이 인간 행동 인식, 의학, 정보 검색, 표정 인식 분야에서 직면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소개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멀티 뷰 기법들을 데이터 차원, 분류기 차원, 표현 간의 통합으로 분류하여 멀티 뷰 기법의 데이터 통합 원리를 리뷰 하였다. 마지막으로 딥 러닝 기법 중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NN, RNN, RBM, Autoencoder, GAN 등이 멀티 뷰 기법에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때 CNN, RNN 기반 학습 모형을 지도학습 기법으로, RBM, Autoencoder, GAN 기반 학습 모형을 비지도 학습 기법으로 분류하여 이 방법들이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다중 카메라로 관심선수를 촬영한 동영상에서 베스트 뷰 추출방법

        홍호탁,엄기문,낭종호 한국정보과학회 2017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4 No.12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video cameras that are used to record and broadcast live sporting events has increased, and selecting the shots with the best view from multiple cameras has been an actively researched topic. Existing approaches have assumed that the background in video is fixed. However, this paper proposes a best view selection method for cases in which the background is not fixed. In our study, an athlete of interest was recorded in video during motion with multiple cameras. Then, each frame from all cameras is analyzed for establishing rules to select the best view. The frames were selected using our system and are compared with what human viewers have indicated as being the most desirable. For the evaluation, we asked each of 20 non-specialists to pick the best and worst views. The set of the best views that were selected the most coincided with 54.5% of the frame selection using our proposed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set of views most selected as worst through human selection coincided with 9% of best view shots selected using our method, demonstrating the efficacy of our proposed method. 최근 스포츠 중계에 동원되는 카메라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많은 카메라 화면 중 순간적으로 최고의 화면을 고르는데 어려움이 있다. 지금까지 스포츠 경기를 촬영한 영상들에서 자동으로 최고의 화면을 선택하는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지만 배경이 고정된 영상들만을 고려해 배경이 움직이는 영상들을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영상 별로 관심선수를 추적하여 획득한 영상 내 관심선수 영역을 대상으로 관심선수의 활동량, 얼굴 가시성, 다른 선수와의 겹침 정도, 이미지 블러 현상 정도를 매프레임 마다 정량적으로 나타내어 정량화된 값을 기반으로 최고의 화면을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베스트뷰를 20명의 일반 사람들에게 베스트 뷰와 워스트 뷰를 선택하게 하여 사람들이 선택한 베스트 뷰, 워스트 뷰와 비교한 결과 베스트 뷰와 일치율이 54.5%로 낮았지만 반대로 워스트 뷰와 일치율이 9%로 확실히 사람들이 선호하지 않는 화면은 선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Google ‘Street View’와 개인정보 보호의 법적 문제점

        정연덕(Chung Yeun Dek) 한국정보법학회 2009 정보법학 Vol.13 No.3

        Google ‘Street View’는 전 세계 주요 도시의 도로와 주변 사진을 Google Map에서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Google ‘Street View’는 지도와 사진을 조합해 실제 거리 모습을 보여주는 정밀 위치정보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지리정보를 얻을 수도 있지만 사람의 얼굴과 자동차 번호판 등이 노출돼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제기되어왔다. 미국, 일본, 유럽에서 사생활 침해 및 초상권 침해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왔다. 그리스와 스위스를 제외한 기타의 국가에서는 서비스를 허용하고 있다. 구글의 ‘스트리트 뷰’ 서비스나 다음의 ‘로드뷰’ 서비스가 현행법상 개인정보보호에서 직접적으로 개인정보 침해가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개인정보의 종류와 범위가 매우 포괄적이며 다양하므로 개인이 도로에서 걷거나 자동차를 운행하는 모습이 지도 서비스에 존재하는 것이 개인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의 정의에 따르면 개인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정보에 제공에 이르지 못하므로 비록 사람의 얼굴과 자동차 번호판 등이 노출되더라도 사생활 침해의 우려는 매우 적다. 향후에는 개인의 휴대전화 위치정보, 지도 정보, 인터넷과 연결된 CCTV 등이 결합된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의 국내 진입에 대비하여 우리 기업의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과 동시에 혹시라도 발생할지 모르는 남용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이를 조화롭게 해결하는 새로운 개념의 프라이버시와 그에 따른 가이드라인이 연구되고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People can see virtually street of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with the aid of the Google ‘Street View’. It is the services of pictures in conjunction with Google Map. It shows the actual distance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is service users may obtain useful geographic information. However privacy problem may concerns because people’s faces and license plates are exposed. Privacy concerns was issued in United States, Japan and countries of Europe. Countries, except Greece and Switzerland, permitted the service. Google’s ‘Street View’ Service have little problem of infringement of privacy. The defi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very comprehensive and diverse range. The image of individuals standing on the road, license plate may invoke privacy problem. However,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blurred image can not identify individuals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Although a person’s face and license plate is exposed, it may occur little privacy concerns. In the future, information may combined with cell phone location information, maps information, CCTV. This new service may have possibility of information abuse. Thus a new concept of privacy and harmonized privacy guideline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가상 답사 공간 불균형에 대한 실천적 대안: 구글 스트리트 뷰로 가상 답사 공간 만들기

        홍태완 한국지리학회 2023 한국지리학회지 Vol.12 No.4

        구글 스트리트 뷰는 원격으로 360도 거리 이미지를 체험할 수 있도록 개발된 가상 답사 공간이다. 기업이 공간 데이터 생산을 주도함에 따라 접근이 쉽고 상업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스트리트 뷰가 잘 조성되었으나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고 접근이 어려운 지역은 스트리트 뷰가 미비하여 가상 답사를 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공간 데이터의 공백은 스트리트 뷰를 통해 가상 답사를 하려는 사람들의 장소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답사 공간에서의 지역 간 불균형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 행동주의의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가 실천할 수 있는 대안을 제안한다. 먼저 스트리트 뷰를 통해 가상 답사가 어려운 지역 중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곳을 선정하여 교사가 직접 촬영한 이미지로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생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상 답사 공간이 탐구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가상 답사 공간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에 대하여 교사 수준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Google street view is a virtual fieldwork space developed to allow users to experience 360-degree street images remotely. As companies take the lead in spatial data production, street views are well established in areas that are easy to access and have high commercial value, but areas that are relatively less interesting and difficult to access are excluded from street views, making virtual fieldwork impossible. This gap in spatial data can affect the perception of a place by people conducting a virtual fieldwork through street view. In this study, we raise the issue of regional imbalance in virtual fieldwork space and propose alternatives that teachers can practice based on discussions on data activism to improve this. Among areas where virtual fieldwork through street view were difficult, places with educational value were selected and street view data was produced using images taken directly by teachers. A learning module was developed so that the virtual fieldwork space created in this way could be used for inquiry-based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specific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at the teacher level to address the structural imbalance problem of virtual fieldwork spaces.

      • KCI등재

        RDF 질의 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실체 뷰 선택 기법

        박재열(Jaeyeol Park),윤상원(Sangwon Yoon),최기태(Kitae Choi),임종태(Jongtae Lim),이병엽(Byoungyup Lee),신재룡(Jaeryong Shin),복경수(Kyoungsoo Bok),유재수(Jaeso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시맨틱 웹의 발전과 함께 RDF 데이터에 대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RDF 데이터는 트리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의 처리 시 높은 조인 비용이 요구된다. 실체 뷰는 질의 처리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실체 뷰는 질의 처리의 결과 또는 중간 결과를 저장 공간 내부에 물리적으로 저장하여 질의 처리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이 아닌 실체 뷰의 접근으로 질의를 처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 결정 트리를 사용하여 실체 뷰를 선택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의사 결정 트리를 통해 질의 처리시간뿐만 아니라 실체 뷰의 크기 및 유지비용을 고려한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제한된 저장 공간에서의 실체 뷰는 증가하였고 동일 개수의 실체 뷰의 유지비용은 감소함을 보인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mantic web, a large amount of data being produced nowadays is in RDF format. RDF is represented by a triple. An RDF database consisting of triples requires the high cost of join query processing. Materialized view is known as a scheme to reduce the query processing cost by accessing materialized views without accessing the database. It is physically stored the results or the intermediate results of the query processing in a storage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terialized view selection scheme by using decision tree to solve such a problem. The decision tree considers the size and maintenance costs of the materialized view as well as the profit of query response times. It is shown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that the proposed scheme increases the number of materialized views in the limited storage space and decreases the update rates of the materialized views.

      • 참조무결성을 활용한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독립적인 데이터웨어하우스 뷰 관리

        이우기(Woo-Key Lee),김창민(Chang-Min Kim) 한국정보과학회 데이터베이스 소사이어티 2004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0 No.3

        데이터웨어하우스(DW) 뷰는 기존의 DB로부터 저장뷰(materialized view)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DW와 DB는 기술적으로나 활용 측면에서 현격한 차이가 있어서 실제로 이들은 별개의 시스템에 구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내용상 DW는 기존DB에 크게 의존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근본적인 한계가 현행 DB와 DW의 철저하지 못한 분리에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대수적으로 보이고, 그 철저한 분리를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이는 기존의 DB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위해 사용하는 참조무결성을 활용하여 DW뷰의 갱신에 적용한 것으로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했다. Most of the data warehouse (DW) systems need underlying tightly coupled but independent databases. There are enough reasons why DBMSs and DW systems should be independent. View materialization is the most common solution to provide fast access to information for the DW that is usually integrated from several het-erogeneous and/or distributed data sources. DW systems can narrowly be confined to a set of materialized views defined over remote source relation. The more popular the DW utilized, the more an urgent DW view maintenance method is required. In order to update a data warehouse view, current databases are inevitably of necessity. In this paper, we suggest algorithms that utilize the referential integrity rules to support the DW views up to date and represented the performance results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