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추부 후외방 유합술 후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불 유합의 위험 인자

        하임식,이규열,손성근,정일권,선상규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2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for radiographically and clinically assessing nonunion after lumbar spine fusion. Objectives: We wanted to analyze the risk factors for nonunion that requires surgical treatment after lumbar spine fusion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A diagnosis of the nonunion after lumbar spine fusion was made by using only the only radiologic images. The incidence of nonunion has been underreported because there are many asymptomati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plain X-ray films were evaluated for 1317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after lumbar fusion. Nonunion was diagnosed at 1 year after fusion by instability seen on the flexion-extension radiograph and the clinical findings like as sustained pain and local tenderness at the surgical site. The risk factors we reviewed included age, the number of levels fused, associated diseases, smoking, alcohol drinking, the initial diagnosis, a previous history of spinal operation, infection, a clear zone and malposition of pedicle screws and metal failure. The relations between nonunion and the factors mentioned above were analyzed. Results: Thirty-nine patients were diagnosed as having nonunion underwent reoperation and all had surgically confirmed nonunion. Smoking, infection and a previous history of spine oper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nunion (p < 0.05). Clear zones persisting more than 1 year and metal failure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nunion (p < 0.05). Age, the number of fused levels, the initial diagnosis and alcohol drinking were not shown to influence the rate of nonunion (p < 0.05). Conclusion: A through clinical and radiologic evaluation is essential to diagnose nonunion, and this should not be done according to the radiologic images only. Risk factors such as a previous history of spine operation, infection, smoking, the development of a clear zone and metal failure al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nonunion. Additionall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evaluation of these parameters is needed to achieve bone union. 연구 계획: 요추부 후외방 유합술 후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불유합에 대한 후향적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요추부 후외방 유합술 후 발생한 불유합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유합과 관련된 위험 인자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요추부 유합술 후 불유합의 진단은 방사선 사진만으로 평가되어져 왔다. 불유합의 발생율은 많은 무증상 환자들로 인해 적게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의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1317명을 대상으로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불유합은 유합술 시행 1년 후 굴곡 신전 방사선 검사상 추체간의 움직임 및 수술 부위의 국소 동통과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불유합으로 진단된 39명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고, 불유합과 나이, 수술 받은 척추 분절 수, 동반 질환, 흡연, 음주, 최초 수술시 진단, 이전 척수 수술 여부, 수술 부위 감염, 방사선 투과대 발생, 척추경 나사의 이상 위치 및 금속 실패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재수술을 시행한 39명에서 모두 불유합이 확인되었다. 불유합은 흡연자군, 술 후 감염이 발생한 군 및 척추 수술 과거력이 있는 군에서 더 많았고각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그리고 1년째 지속적으로 방사선 투과대 양성인 경우 및 금속 실패와 불유합 발생 간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p < 0.05). 나이, 수술 받은 척추 분절 수, 진단명, 그리고 음주 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 > 0.05). 결론: 기존의 방사선 사진만으로 불유합을 정의하는 것은 제한점이 있어 임상 증상을 진단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전 척추수술 여부, 감염, 흡연, 방사선 투과대 발생 및 금속 실패 등의 경우에서 불유합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골유합 획득을 위해 이런 인자들에 대한 술전, 술 후 평가가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요추 후외방 유합술 후 발생한 제 5요추-1천추간 불유합

        조규정,박승림,정재훈,원만희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2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rate of pseudarthrosis at L5-S1 after posterolateral fusion only for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ease, and to determine the radiological findings that help diagnose pseudarthrosis.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pseudarthrosis rate at L5-S1 is much higher than that at the other lumbar segments. However,there have been few studies for the rate and risk factors of pseudarthrosis at L5-S1.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8 patients who underwent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and posterolateral lumbar fusion were evaluated with a minimum of 1-year follow up. Bony union was evaluated by the bony fusion mass, the angulation on the flexionextension radiographs and the radiolucent zone around the pedicle screws. The patients’ age, bony mineral density,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and lumbar lordosis were evaluated for their association with pseudarthrosis at L5-S1. Results: Pseudarthrosis developed in 22 patients at L5-S1 and in 8 patients at other levels. The change of angulation on the flexionextension radiographs at the last follow-up was 5.2° in the pseudarthrosis group and 1.7° in the fusion group (P=0.3). A radiolucent zone of the sacral screws was noted in 10 patients; in 7 of the 22 patients in the pseudarthrosis group and in 3 of the 66 patients in the fusion group. The average age, the mean number of levels fused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were similar in both groups. Lumbar lordosis was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seudarthrosis at L5-S1. Conclusion: The pseudarthrosis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L5-S1 than that at the other lumbar segments following instrumented posterolateral fusion. Pseudarthrosis was closely related to hypermobile angulation (≥5°) on the flexion-extension radiographs and a radiolucent zone around the sacral screws. 연구 계획: 후향성 연구목적: 퇴행성 요추 질환 환자에서 후외방 유합술 후 발생한 5요추-1천추간 불유합의 빈도를 조사하고, 불유합을 진단하는 방사선적 판독 소견을 알아보았다. 선행문헌의 요약: 5요추-1천추간 불유합은 다른 요추 분절에 비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5요추-1천추간의 불유합의 빈도 및 위험인자에 대해서 발표한 문헌은 별로 없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척추경 나사 기기술 및 자가 장골 이식으로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의 추시가 가능하였던 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골유합의 판정은 이식골과, 굴곡-신전 방사선 사진상 각도의 차이, 나사못 주위의 방사선적 투과대로 조사하였다. 제 5요추-1천추간 불유합과 환자의 나이, 골밀도, 유합 분절수, 굴곡-신전상의 각도차이, 요추 전만각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불유합은 5요추-1천추간에 22명에서 발생하였고 다른 분절에서는 8명에서 발생하였다. 굴곡-신전 방사선 사진상 5요추-1천추 분절에서 각도 차이는 불유합군에서 5.2°였고, 유합군에서 1.7°로 유의하게 달라서, 각도 차이가 5도 이상이면 불유합으로 판정할 수 있었다(P=0.03).천추 나사못 주위에 나타나는 방사선적 투과대는 10명에서 관찰되었다. 10명 중 7명은 불유합된 22명에 속하였고 나머지 3명은 유합된 66명에 속하였다. 평균연령,골밀도 검사상 T-점수, 유합분절수, 요추전만각은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요추 후외방 유합술 후 5요추-1천추 분절에서 다른 분절에 비해 불유합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굴곡-신전 방사선 사진상 5도 이상의 차이가 확인되거나, 천추 나사못 주위의 방사선적 투과대가 나타나면 불유합을 강하게 의심해 보아야 한다.

      • KCI등재

        경비골 간부 골절에서 비골 불유합과 경골 불유합의 상관관계

        고상봉 ( Sang Bong Ko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경비골 간부 골절의 유합 과정 중에서 비골의 불유합과 경골의 불유합과의 상관관계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소아를 제외한 경골 골절과 동반된 비골 골절 환자 322예 가운데 관절과 무관한 전체 비골 골절 환자 198예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9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자신의 인자와 경골 골절 자체의 인자들이 경골 골절과 동반된 비골 골절에서 비골 골절의 유합에 얼마나 의의가 있는지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비골의 유합 여부는 환자 자신의 인자와 경골 골절 자체의 인자의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비골의 유합군에서는 경골의 불유합이 1예 (1/68)에서만 보였으나, 비골의 불유합군에서는 경골의 불유합이 6예 (6/30)에서 있어 비골의 불유합과 경골의 불유합은 상관관계가 있다 (p=0.003). 결론: 경골보다 조기에 유합되는 비골의 불유합 소견으로 경골의 불유합을 어느 정도 추측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ationship of tibial nonunion with fibular nonunion in the tibio-fibular shaft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8 to February 2004, 98 tibio-fibular shaft fractures which did not involve adjacent joints and were followed up at least 1 year wer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tibia shaft fracture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know the above relationship. Results: The patient`s factor and tibia shaft fracture factor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patients with the fibular union, there was 1 case (1/68) of tibia nonunion, but in patients with the fibular nonunion, there were 6 cases (6/30) of tibia nonunion. So fibular nonunion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ibia nonunion (p=0.003). Conclusion: Fibular nonunion was presumed to have a higher risk of tibia nonunion.

      • KCI등재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치료 후 발생한 대퇴골 간부 골절의 불유합의 원인 및 치료

        김성수 ( Sung Soo Kim ),손성근 ( Sung Keun Sohn ),김철홍 ( Chul Hong Kim ),이명진 ( Myung Jin Lee ),왕립 ( Lih Wang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2

        목 적: 대퇴골 간부 골절에 시행한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후 발생한 불유합에 대한 원인을 임상적으로 분석하고, 그 치료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본원에서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로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174예 중에서 비감염성 불유합으로 진단되고 수술적 치료 후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술 후 대퇴골 불유합의 원인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였고 불유합의 치료에 대해서는 금속정 교체술 그리고 금속정 교체 및 자가 골 이식술 두 가지 방법을 선택하였고 최종적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두 가지 치료 방법에 따른 평균 골 유합 시기를 분석하고, 평균 골 유합 시기를 다른 불유합의 원인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40세 (16∼78)였으며, 남자가 17예, 여자가 2예였다. 수술 방법은 불유합의 원인과 형태에 따라 결정하였고, 내고정 금속정 교체술만 시행할 경우가 10예, 금속정 교체술 및 자가 골 이식을 시행한 경우가 9예였다. 전 예에서 한 번의 수술로 골 유합을 얻을 수가 있었다. 전체적인 골 유합 기간은 금속정 교체술만 시행한 경우 평균 18.5주, 금속정 교체술 및 자가 골 이식을 시행한 경우 평균 16.1 주로 자가 골 이식술을 병행한 군에서 평균 골 유합 기간이 앞당겨졌고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5). 평균 골 유합 시기에 따른 불유합의 원인 요소들과 비교한 결과 초기 개방성 골절 및 흡연군에서 유의한 유합 지연을 보였다 (p<0.05). 결 론: 대퇴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후 발생한 불유합의 양상, 골간격을기준으로 한 안정성에 따라 금속정 교체술 및 자가 골 이식술을 선택하여 전 예에서 골 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불유합을 골수강내 금속정 교체술로 치료 시 그 양상과 특히 골간격을 기준으로 골이식 추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ause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treatment for the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s that occurred after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19 cases of aseptic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 in 174 patients after interlocking IM nailing from March 1999 to February 2004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First we investigated the factors causing nonunion. For operative options, two methods about exchange nailing and exchange nailing with bone graft were performed. Finally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with bone union rate by treatment methods and com pared with the nonunion factors statistically. Results: According to the causes and types of nonunion, we performed larger IM nail change in 10 cases and IM nail change with bone graft in 9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Average bone union period were 18.5 weeks in exchange group and 16.1 weeks in exchange with bone graft group.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methods statistically (p<0.05). Com pared with the nonunion factors, initial open fracture and smoking groups showed late union rate statistically. Conclusion: Based on our analysis, IM nail change is a useful method for nonunion after initial IM nailing in fem oral shaft fracture, and additional bone graft that according to the radiologic pattern and stability, especially the fracture gap is also a useful option for nonunion treatment.

      • 쇄골 중간부 골절후 불유합 및 지연 유합의 원인

        윤정로,심재익,김택선,이성종,김영배,김학준,안국환,장재영,홍명표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쇄골 중간 1/3 부위의 골절은 치료 결과가 양호하여 보존적 치료가 원칙적으로 받아 들어지고 잇으며 불유합에 대한 빈도도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전위 및 단축의 정도가 심할 경우 높은 불유합의 결과와 불량한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 있어 이런 예에 대해선 수술적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 저자들은 단축 및 전위의 정도와 불유합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3년 2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본원에 내원 했던 성인 중간부 쇄골 골절 환자 194명 중 완전 전위를 보인 78례를 조사하여 이중 63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후 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4개월 추시 후에도 방사성 사진상 유합 소견이 관찰되지 않으면 불유합의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 63례 중 불유합 및 지연 유합을 소견을 보인 환자는 15(23%)례였다. 골유합을 보인 48례의 단축은 평균 8.6㎜(2㎜-17㎜)였고, 전위는 평균 9.7㎜(2-22㎜)였다 .불유합 및 지연 유합을 보였던 15례에서 단축은 평균 14.5㎜(3㎜-37㎜), 전위는 평균 17.3㎜(4-25㎜)였다. 18㎜이상 단축이 있었던 경우 불유합의 발생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었고(Fisher's exact test, p<0.01), Chi-square test상 16㎜ 이상의 전위를 보였던 경우 불유합 발생과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1). 결 론 : 쇄골 골절 특히 중간 1/3의 골절은 비교적 보존적 치료에 결과가 좋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전위 및 단축이 심한 경우 불유합에 대한 가능성이 높이 때문에 보다 경과 관찰시 유합의 진행이 없으면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한다. Purpose : Because the prognosis of the mid 1.3 clavicle fracture is good, the conservative treatment with a figure of 8 bandage is the gold standard and the nonunions are rare. However, recently surgical treatment is recommended when the shortening and displacement is severe because of the high nonunion rate and the poor clinical resul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at the shortening and displacement at fracture site a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onun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sed the 194 fractures of mid 1/3 clavicle in adults which had been treated conservatively from February 1993 to January 2002 and did the retrospective study. Of these, 78 cases were originally in the middle third of the clavicle and had been completely displaced. We reviewed 63 of these cases. The shortening and displacement at the fracture site was measured on the initial roentgenogram. And the analysis of the patients' chart was done for another predisposing nonunion factors. Nonunion and delayed union are considered to be present when there has been little or no progression of clinical or radiographic healing at a minimum of 4 months after injury. Results : 15 of the 63 cases had developed nonunion.. The average 8.6㎜(2㎜-17㎜) shortening and average 9.7㎜(2-22㎜) in the union patients. The average 14.5㎜(3㎜-37㎜) shortening and average 17.3㎜(4-25㎜) in the nonunion patients. We found that initial shortening ≥18㎜(Fisher's exact test, p<0.01) and initial displacement ≥ 16㎜(Chi-square test. p<0.01)at the fracture sit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onunion. Conclusion : The conservative treatment with figure-80-bandage is the gold standard in the clavicle middle one third fracture. However, the nonunion is commonly occurs in the cases of more of severely shortened and displaced fractures. If there are no signs of callus formation and the patient complains of pain after several week, osteosynthesi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불유합의 원인과 치료

        박경현,김준우,오창욱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1

        Nonunion is caused by various factors related to fracture characteristics, patient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infection. Aseptic nonunion,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 accordance with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fracture: atrophic nonunion, oligotrophic nonunion, and hypertrophic nonunion. Treatment of nonunion depends on the cause and classification. Here, we report our experiences and review the various causes of nonunion and treatment methods available 불유합은 골절의 특성, 환자의 특성 및 치료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인자, 그리고 감염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감염성을 제외한 비감염성 불유합은 골절부의 생물학적 활동에 따라 위축성, 빈영양형, 그리고 비후형으로 나뉘게 된다. 불유합의 치료는 그 원인 및 분류에따라 적절한 치료를 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 저자의 경험과 함께 불유합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쇄골 간부 골절 불유합의 수술적 치료 : 재건 금속판 고정 및 골 이식술 Reconstruction Plate Fixation and Bone Grafting

        변영수,유찬훈,안혁수,문성건,신동주,박준우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쇄골 간부 골절 불유합에 대하여 관혈적 정복, 재건 금속판 고정 및 골 이식을 시행하고 술후 조기 관절 운동을 허용한 저자들의 경험을 보고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쇄골 간부 골절 불유합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축성 불유합이 10예, 비후성 불유합이 6예였으며, 수상 후 불유합에 대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6.5개월이었다. 수술적 치료로 불유합 부위를 노출시켜 섬유조직을 제거하고 골수강을 천공하였으며, 골편을 정복하고 재건 금속판으로 고정하였으며, 자가 골 이식을 하였다. 수술 후 관절 운동은 1주일 이내에 시작하였다. 결 과: 평균 추시 기간은 22.0개월이었으며, 전 예에서 평균 10.0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최종 추시 시의 견관절 운동범위는 전 예에서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나이가 50게 이상인 6예 중 3예에서 동측 견관절에 간헐적인 동통을 호소하였다. 술후 감염, 재검 금속판의 파손, 고정상실, 불유합, 재골절 등의 합병증은 발생치 않았다. 결 론: 쇄골 간부 골절 불유합에 대한 관혈적 정복, 재건 금속판 고정 및 골 이식은 안정성 고정으로 조기 재활이 가능하고 견고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안전하고 확실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out experience with open reduction, 3.5-㎜ reconstruction plate fixation, bone-grafting, and postoperative early mobilization for nonunions of midshaft clavicular frature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were treated operatively for nonunions of the midshaft of the clavicle from 1997 to 2001. Ten nonunions were atrophic and six were hypertrophic. Nonunion had been present for an average of 6.5 months. The operative technique included removing the fibrous tissue from the nonunion site and opening the medullary canal, reduction of the fracture and fixation with a 3.5-㎜ reconstruction plate, and bone-grafting. Postoperative mobilization started within one week. Results: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was 22.0 months. All fracture were united in an average of 10.0 weeks. All patients had full range of motion of the ipsilateral shoulder, but 3 our of 6 patients who were more than 50 years old complained occasional pain in the ipsilateral shoulder at the final follow-up examination. There were no major complications of postoperative infection, metal failure of the plate, loss of fixation, nonunion, and refracture after removal of the implant. Conclusion: The technique of open reduction, reconstruction plate fixation, and bone-grafting is a safe and reliable method to allow early rehabilitation by stable fixation and to predict a high rate of union for nonunions of midshaft clavicular fractures.

      • KCI등재

        상완골 외과 불유합의 골유합술 결과

        임영욱(Young Wook Lim),윤재웅(Jae Woong Yoon),옥인영(In Young O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4

        목적: 소아에서 상완골 외과 골절 후 발생하는 불유합은 흔치 않은 합병증으로 주관절에 많은 합병증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완골 외과 불유합의 치료는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저자들은 상완골 외과 불유합 환자에서 골유합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상완골 외과 불유합으로 진단받고 골유합술을 시행받은 16명(M:F=13:3, 11.8±5.2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불유합의 기간은 평균 56.1개월(5-132개월)이었다. 수술전후의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3개월 이내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수술로 인한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16명 중 3명의 환자에서 수술 전보다 운동범위가 감소하였지만, 모든 환자에서 기능향상을 보였다. 결론: 오랜 기간 불유합이 진행한 경우는 해부학적 위치로의 골유합은 불가능 했지만 연부 조직 박리를 최소화하고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함으로써 상완골 외과 불유합에서도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그로 인하여 다소간 운동범위의 감소는 있을 수 있으니 근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변형의 교정을 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었던 상완골 외과 불유합에서도 골유합술을 시행할 것을 추천한다. Purpose: Although nonunion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is a rare complication in children, it can result in a number of complications, and treatment is controversial. Our study shows the results of using osteosynthesis in patients whose lateral humeral condyle was not united.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s 16 patients (M : F= 13 : 3; Age: 11.8±5.2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nonunion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and who underwent osteosynthesis. The mean period of nonunion was 56.2 months (5-132 months). Outcome measures were range of movement, bone union, functional score, and carrying angle and were assessed both before and after surgery. Results: Bones of all patients were united within 3 months of the operation;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fter surgery. a decreased range of movement was observed for 3 of 16 patients. However, the functional index for all patients was improved. In other words. the range of movement could be reduced while the functional index was improved so that the deformity would be lessened. Conclusion: Osteosynthesis was successful in repairing the nonunion of the humeral lateral condyle Therefore. osteosynthesis is suggested for patients who have had no treatment for nonunion of lateral humeral condyle for a long time.

      •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술후 발생한 대퇴골 간부 골절의 불유합의 치료

        이근배,문은선,송은규,최진,정성택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적 :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술 후 발생한 대퇴골 간부 골절의 불유합의 치료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대퇴골 간부 골절에 대한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술후 발생한 불유합에 대해 치료받은 환자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3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40세(19~68)였으며, 남자가 27례, 여자가 6례였다. 불유합의 형태는 Weber와 Brunner와 분류 방법에 따르면 과혈관형 10예(30%), 무혈관형 21예(64%), 혼합형이 2예(6%), 무혈관형중에서 감염성이 5예(23%)였다. 결과는 수술 방법에 따른 골 유합 기간 및 불유합, 부정 유합, 감염 등의 합병증의 유무로 평가하였다. 결과 : 수술 방법은 불유합의 원인과 형태에 따라 결정하였으며, 5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골수강내 금속정 교환술을 시행한 경우가 7예, 골수강내 금속정 교환술 및 골 이식술을 함께 시행한 경우가 11예, 외고정술 5예, 금속판 고정 및 골 이식술 3예, 해면골 이식술만을 시행한 경우가 7예였다. 골유합 기간은 각각 평균 19주, 17주, 20주, 16주, 15주로서 치료 방법 간에 통꼐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전례에서 술 후 감염이나 불유합, 부정 유합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술후 발생한 대퇴골 간부 골절의 불유합의 치료에 있어서는 불유합의 원인과 형태를 잘 분석하여 그 원인에 맞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골유합을 얻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We analyzed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the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s after interlocking intramedullary(IM) nail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interlocking IM nailing due to femur shaft fractures from May, 1990 to July, 2000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Mean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40 year(Range, 19-68). 27 cases were men and 6 cases were women. By Weber and Brunner classification of the nonunion, hypervascular type were 10 cases(30%), avascular type 21cases(64%), mixed type 2 cases(6%). Infected type among the avascular type of noumion were 5 cases(23%). Results were evaluated with bone union by treatment methods and complications. Results : According to the causes and types of nonunion, we performed IM nail exchange in seven cases, IM nail exchange and bone grafting in eleven cases, external fixation in five cases, compression plating and bone grafting in three cases, and only cancellous bone grafting in seven cases. Radiographical union was achieved in 19weeks, 17 weeks, 20 weeks, 16 weeks and 15 weeks respectively. Ther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methods. There are no cases of nonunion, malunion and infection. Conclusion :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by the cause and type of each nonunion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the bony union in the treatment for the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s after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 KCI등재

        대퇴골 간부 골절에 대한 골수강내 금속정 치료 후 발생한비후성 불유합에서 금속정 교환술의 결과

        조승환,이광철,이상홍,이준영,김동휘,박성해,조영민 대한골절학회 2019 대한골절학회지 Vol.32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outcomes of exchange nailing for the hypertrophic nonunion of femoral shaft fractures treated with intramedullary nailing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March 2015, 35 patients, who had undergone intramedullary nailing with a femoral shaft fracture and underwent exchange nailing due to hypertrophic nonunion, were review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ime of union and complications, such as nonunion after exchange nailing,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Results: Bone union was achieved in 31 cases (88.6%) after exchange nailing and the average bone union period was 22 weeks (14-44 weeks). Complications included persistent nonunion in four cases, delayed union in one case, and superficial wound infection in one case. All four cases with nonunion were related to smoking, three of them were distal shaft fractures, and one was a midshaft fracture with underlying disease. Conclusion: Exchange nailing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 as the treatment of hypertrophic nonunion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Smoking is considered a factor for continuing nonunion even after exchange nailing. In the case of a distal shaft, where the intramedullary fixation is relatively weak, additional efforts are needed for stability. 목적: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한 대퇴골 간부 골절에서 발생한 비후성 불유합에 대해 금속정 교환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대퇴골 간부골절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중 비후성 불유합이 발생하여 조선대학교병원에서 금속정 교환술을 시행한 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금속정 교환술을 시행한 후 골유합 시기와 불유합 등의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고, 금속정교환술 이후에도 발생한 불유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금속정 교환술 시행 후 31예(88.6%)에서 골유합이 이루어졌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22주(14-44주)였다. 합병증으로는 불유합 4예, 지연유합 1예, 표재성 창상 감염이 1예 발생하였다. 불유합이 발생한 4예 모두 흡연과 관련이 있었으며이 중 3예는 원위 간부 골절이었고 1예는 중간부 골절로 기저질환이 있었다. 결론: 대퇴골 간부 골절의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후 발생한비후성 불유합의 치료로 금속정 교환술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흡연은 금속정 교환술 후에도 불유합을 지속시킬수 있는 요인으로 생각되며 원위 간부의 경우 골수강내 금속정의 교환술만으로는 충분한 고정력이 부족하므로 추가적인안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