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백제 불교조각의 대외교섭

        진정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e Later Baekje Kingdom, founded by Gyeonhwon in 892, had for a brief period the most powerful army among the Three Later Kingdoms, and used its own reign title, Jeonggae (literally meaning “Authoritative Opening”). The kingdom was embroiled in almost permanent war with the other two Korean kingdoms, Silla and Later Goguryeo (later Taebong, and then Goryeo), over the unification of all three, until Goryeo brought about its final collapse in 936. It also maintain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not only with Goryeo and Silla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with Wuyue and Later Tang in China, and with Japan. This study focuses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Later Baekje and its mutual exchanges with Silla, Goryeo, and the Chinese dynasties as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The first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Buddhist ceremonies and rites held in Later Baekje and the Buddha statues produced by Baekje artisans for the purposes of worship. The study then takes up other topics such as the relations between Later Baekje, Silla and Goryeo (and Taebong before it) and their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s respective sculptures, as well as the Buddhist statues of the Five Dynasties in China.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892-936) is extremely short compared with other time periods in Korean history, yet the Buddhist sculpture of Later Baekje shows a unique combination of Baekje and Unified Silla styles. The Buddhist sculptural works of Taebong exhibit similar features, although they are more decorative and elaborate, while Goryeo statues tend to be more imposing figures. The stylistic differences in the Buddhist statue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lso reflect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kingdoms’ political goals and relations with Silla. The artisans of Later Baekje actively adopt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Unified Silla statues, as evidenced by the Buddha Triad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in Wanju and the Standing Stone Buddha in Cheolcheon-ri, Naju. These statues suggest that Gyeonhwon admired the cultural heritage of Silla, as shown by the fact that he regarded himself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 of Unified Silla, while proclaiming that he did so in order to restore Baekje. Meanwhile, the Buddhist statues of Later Baekje show few signs of influence of the statues of Taebong or, after the later 1920s, those of Goryeo, with which it had been at war since its foundation. Interesting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Later Baekje Kingdom (i.e. the area around present-day Naju), which had previously been occupied by Taebong and Goryeo, there are various Buddhist sculptural works made by Taebong and Goryeo artisans, including the Seated Stone Buddha of Yonghwasa Temple in Jangheung (Taebong) and the Rock-cut Seated Buddha of Bungmireugam Hermitage, Daeheungsa Temple, Haenam (Goryeo). Of the Later Baekje sculptures,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discovered at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and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of Buljusa Temple in Gunsan exhibit the influence of sculptures from Wuyue in China, which maintained close diplomatic relations with Later Baekje. Statues with a voluminous face and lean body, characteristic elements of Wuyue statues, are found mostly around Gunsan, which was a major port linking Later Baekje and Wuyue, suggesting that the Buddhist artisans of Later Baekje were under the influence of Wuyue across the Yellow Sea. 892년 甄萱이 건국한 後百濟는 한때 후삼국 중 가장 강대한 군사력을 자랑하였으며,‘正開’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후백제였던 만큼 936년 고려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 끊임없이 三韓一統을 위한 전쟁을 진행하는 한편, 신라·고려는 물론 中國의 吳越과 後唐 그리고 일본과도 적극적인 외교를 펼쳤다. 본고는 후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복원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써, 후백제 불교조각이 신라·고려, 그리고 중국 불교조각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후백제 佛事의 양상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불상이 조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후백제 불교조각과 신라 불교조각과의 관계, 태봉과 고려 불교조각과의 영향 여부와 함께 중국 오대 불교조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후삼국기가 매우 짧은 기간이었음에도 후백제 불교조각은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바탕으로 일부 백제 형식을 차용한 특징을 보인다. 반면, 태봉의 불교조각은 후백제 불상과 마찬가지로 통일신라 불상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섬세함과 장식성이 두드러지며, 고려의 불교조각은 건장함과 당당함이 극대화 되었다. 이처럼 후삼국의 불교조각이 제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후백제, 태봉, 고려가 추구하였던 정치적 지향점과 對新羅觀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특히 후백제는 완주 봉림사지 삼존불이나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에서 볼 수 있듯 통일신라 불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데, 이는 후백제가 백제의 부흥을 표방하였음에도 견훤이 신라의 지방관을 자임하는 한편 신라의 문화를 동경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건국부터 적대적이었던 태봉이나 920년대 후반부터 적대관계였던 고려의 영향은 후백제에서 살펴볼 수 없다. 다만 태봉과 고려의 점령지인 후백제 서남해일대(나주일대)에 태봉과 고려가 직접 조성한 불상이 전하고 있을 뿐인데, 전자의 사례가 장흥 용화사 석불좌상이고 후자의 사례는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좌상이다. 또한 후백제 불교조각 가운데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입상, 군산 불주사 금동불입상 등에서는 후백제와 빈번한 교류를 하였던 중국 오월 불교조각의 영향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 불상은 오월 불상에서 볼 수 있는 풍부한 양감의 얼굴과 평판적이고 홀쭉한 신체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들 불상은 지역적으로는 후백제와 오월의 중요한 무역항이었던 군산지역 인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정치뿐만 아니라 불교조각에 있어서도 후백제와 오월과의 교류가 빈번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과 기록자료로 본 황해도 성불사(成佛寺)의 불교조각

        허형욱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1 No.-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일제강점기의 유리건판 사진과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는 1950년 한국전쟁으로 북한 지역 소재 문화유산이 큰 피해를 입기 전의 모습을 알려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이에 최근 유리건판과 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활용한 북한 지역 불교조각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고에서는 황해도의 대표적 사찰 중 하나인 황주 성불사의 불교조각에 대해 기존 성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새로운 의견을 개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기록을 토대로 성불사의 연혁을 정리하고 현황을 짚어본 후, 유리건판 속 존상별 제작시기와 조성배경 등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성불사 불교조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1945년 해방 이전 성불사의 불교조각은 보살상 2건, 여래상 4건, 삼존상 1건의 총 7건이 확인된다. 제작시기에서는 고려 전기 2건, 고려 후기 1건, 조선 전기 3건, 조선 후기 1건의 분포를 보인다. 이 가운데 오늘날 실물이 남아있는 2건이 주목된다. 먼저 성불사 응진전에서 촬영되었다는 고려 전기 석조약사여래좌상이다. 이 상의 당시 대좌 실측도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현재 정방산 내금강 골짜기의 옛 상원암 터에 전하는 머리없는 석조약사여래좌상 및 대좌 부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판단이 맞다면 북한 지역에 전하는 고려 전기 불교조각의 작례를 새롭게 확보하는 것으로서 의의가 크다. 다른 하나는 성불사 극락전에서 발견된 조선 1454년(단종2) 작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이다. 이 상은 현재 사리원력사박물관에 보관 중이며 조선 전기 이북 지역에서 확인되는 소형 금동불의 기년작으로서 중요하다. 본고는 성불사라는 단일 사찰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지역 불교조각을 고찰한 사례 연구이다. 앞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자료가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면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의 연구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dating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official document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useum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significant materials documenting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before it was severely damaged in 1950 during the Korean Wa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recent years in studies of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based on these photographs and documents. This paper presents some new comments on the Buddhist sculptures at Seongbulsa Temple in Hwangju, one of the most famous temples in Hwanghae-do Province, based on the related existing research outcomes. This paper aims to facilitat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sculptures at Seongbulsa Temple by chronicling its history based on historical records, examining its current status, and exploring in detail the prod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the Buddhist sculptures featured on gelatin dry plates. Prior to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Seongbulsa housed at least seven sculptural items: two Bodhisattva statues, four Buddha statues, and a triad. Two items are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one is from the late Goryeo period, three ar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nd one i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mong them, two surviving items are noteworthy. One is the early Goryeo-era Stone Seated Bhaishajyaguru Buddha photographed in Eungjinjeon Hall at Seongbulsa Temple. A close examination of a schematic drawing of the sculpture’s pedestal made at the time it was photographed reveals that its material accords with the materials used for the headless Stone Seated Bhaishajyaguru Buddha and pedestal currently found in the old Sangwonam Hermitage site in the Inner Geumgang Valley of Jeongbangsan Mountain. This accordance could mean that the statue is a new significant example of early Goryeo Buddhist sculpture in North Korea. The other notable sculpture is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created in 1454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Danjong) and discovered in Geungnakjeon Hall at Seongbulsa. This statue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Sariwon History Museum in Hwanghae-do Province. It is an important example of a dated small gilt-bronze Buddhist statu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found in North Korea.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focusing on Seongbulsa Temple. Further utiliz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gelatin dry plate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 KCI등재

        원주 법천사지의 고려시대 불교조각

        최성은(Choe, Songe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29

        이 글은 원주 법천사지에서 출토되었거나 수습된 고려시대 불교조각에 대해서 살펴본 글이다. 법천사지 출토의 불교조각품은 완전한 상태의 것은 없고 대부분 훼손되었거나 작은 파편에 불과하지만 불, 보살상을 비롯하여 공양상, 석등 화사석 등 다양하고 수준 높은 조형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나말여초 이래 고려시대 중기까지 크게 융성했던 법천사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출토품들 가운데 석조공양보살상의 하체부분은 법천사의 탑 앞에 공양상이 안치되어 있었음을 말해주며, 연산 개태사와 오대산 월정사, 강릉 신복사지의 공양보살상과 같은 동일한 형식의 고려시대 공양보살상들에 비해서 조각적으로 이르다고 판단되는 요소도 발견된다. 법천사지 탑비전지에서 출토한 석등의 화사석편에는 이 공양보살상들과 거의 유사한 형태의 공양상이 부조되어 석탑 앞에 놓였던 공양보살상의 도상이 석등의 장식에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출토된 사자상의 몸체를 통해 법천사에 쌍사자가 받치고 있는 석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머리 정상이 높은 보살상은 ‘미륵’으로 생각할 수 있는 새로운 도상의 보살상이 법천사에 봉안되어 있었음을 알려준다. 법천사지 출토의 고려전기의 불교조각들은 사실적인 표현과 섬세하고 부드러운 조형성 등이 잘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조각적 특징은 아마도 당시 수도 개경에서 유행했던 불교조각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법천사가 개경의 사찰들과 긴밀한 관계에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중앙지역의 불교미술이 법천사에 이식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s of the Goryeo period unearthed from the Beopcheonsa Temple-site at Wonju. Excavated images, though mostly damaged pieces, still show a high quality of stone sculptures, which exhibit the high status of Beopcheonsa flourishing from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 on to the mid-Goryeo. An offering Bodhisattva image, only part of his lower body suviving, demonstrates that there was a pagoda and its offering image at Beopcheonsa (Beopcheon temple) in the Goryeo period. A relief of an offering image, most likely a part of stone lantern, shows a Bodhisattva with a tall cylindrical crown offering incense. This piece tells that offering Bodhisattvas placed before a stone pagoda at Woljeongsa, Sinboksa, Gaetaesa temple were holding incense. Part of the lower body of a stone lion reveals that Beopcheonsa had a stone lantern supported by two lion images, which were popular from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A stone Bodhisattva image now in the Wonju History Museum, which is quite similar to the stone Bodhisattva images of Maejiri at Wonju and of Seolbulsa at Goesan in his exaggerated high head, could be a new type of Maitreya, who will descend from the Tushita Heaven and receive enlightenment for the three preachings. The Buddhist images unearthed from Beopcheonsa temple-site are mostly stone works except for three tiny bronze images. However, since a great number of Buddhist images were made of wood, lacquer, bronze, and clay during the Goryeo Period, it is fair to assume that images made of these materials carved in subtle and delicate ways might also have been enshrined in the halls of Beopcheonsa, which were most likely burned and reduced during many wars.

      • KCI등재

        朝鮮 後期 彫刻僧과 佛像樣式의 변천

        최선일 한국미술사학회 2009 美術史學硏究 Vol.261 No.261

        본 논문은 조선후기(1600-1910)에 사찰에 봉안되는 불상을 제작한 조각승과 그 계보를 중심으로 개별 조각승의 불상양식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 불교조각은 조각승의 활동과 불상 양식을 바탕으로 네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성립기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사찰의 중창과 중수로 인하여 불상의 제작이 1600년부터 서서히 이루어지다가 1620년대 중반부터 1640년 전반까지 명산대찰의 주요 전각이 건립되면서 3m-5m의 대형소조불상이 제작되었다. 이 시기 활동한 대표적인 조각승은 玄眞, 守衍, 淸虛, 淸憲, 無染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불상을 제작한 특징이 있다. 전성기는 1651년부터 1740년까지로, 조각승들은 名山大刹의 부속건물인 冥府殿, 靈山殿, 八相殿 등과 지역에 대표적인 사찰에 100㎝ 정도의 중형 목조불상을 6-9명의 조각승이 제작하였다. 이 시기부터 같은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들은 신체비례와 대의 표현 등에서 동일한 형태의 불상을 제작하였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조각승은 17세기 중반의 無染, 雲惠, 勝日, 熙藏, 17세기 후반의 色難과 丹應, 18세기 전반의 進悅과 夏天 등이다. 정체기는 1741년부터 1800년까지로, 18세기 중반부터 불상 제작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불상의 중수와 개금이 늘어나게 되고, 18세기 후반에는 불상의 중수․개금을 불화승들이 주도적으로 하게 되면서 조각승의 존립 기반이 붕괴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를 대표적인 조각승은 尙淨, 戒初, 封玹, 戒心 등이다. 쇠퇴기는 1801부터 1910년까지로, 불상 제작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조각승의 존립이 어렵게 되고, 불화승이 불상의 제작까지 주도하면서 조각기술이 급격히 쇠퇴하는 시기이다. 이들 조선후기 조각승의 계보는 玄眞의 계보(玄眞→淸憲, 勝一→ 熙藏→寶海), 守衍의 계보(太顚→守衍→性玉, 靈哲→雲慧, 敬琳→印性, 三忍), 淸虛의 계보(元悟 →覺敏→淸虛→法玄, 賢允), 無染의 계보(幸思→無染→海心, 道祐, 性修, 敬性 → 雪坦과 丹應, 卓密), 色難의 계보(色難→忠玉, 楚卞, 一機→夏天), 進悅의 계보(自修→性諶→進悅→太元, 尙淨→戒初, 奉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조각승들이 만든 목조불상은 대부분은 동일한 형태에 얼굴 표현이나 착의법 등이 약간 다를 정도로 표준화 된 불상을 만드는 것이 조선후기 불상의 특징이다. 또한 전국을 무대로 조각승들이 활동하면서 지역적인 특징보다는 조각승 계보간의 불상의 형태가 차이를 보인다. 아직까지 조사된 문헌기록의 한계로 개별 조각승의 生沒年代나 交流關係 등을 밝힐 수 없었지만, 이러한 조각승의 활동과 불상 양식의 접근을 통하여 이제까지 막연하게 추정되어 왔던 무기년명 불상의 제작 시기와 조각승을 추정한 것은 한국 불교조각사에서 조선후기 불교조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기 때문이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generations of sculptor-monks of late Joseon (1600-1910), who involved in the creation of images in Buddhist temples. It is both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lineages linking sculptor-monks of this period and retrace their individual evolution in their sculptural style. Four different periods may be discerned in the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Joseon, according to the prominent sculptor-monks and prevailing sculptural style. The first period begins in the 1600s,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 of reconstruction, in the aftermath of the Hideyoshi invasion of 1592, repairing and rebuilding Buddhist temples ravaged by war, and sculpting new Buddha statues to replace those that had been lost or destroyed. The reconstruction effort gradually gained momentum, and many major temples came to completion across the country between the mid-1620s and the early 1640s. This was accompanied by the creation of large clay images of the Buddha standing 3-5 m tall. Prominent sculptor-monks from this period included Hyeonjin, Suyeon, Cheongheo, Cheongheon and Muyeom. This period’s production of Buddhist sculpture was characterized by a high degree of variety. The second period, corresponding to the heyday of late-Joseon Buddhist sculpture, began in 1651 and ended in 1740. For a mid-size sculpture in the range of 100 cm in height, sculptor-monks generally worked in teams, which would typically consist of six to nine members. They worked in minor worshipping halls of large temples, such as Myeongbujeon, Yeongsanjeonl or Palsangjeon, and major regional temples. This period saw the emergence of distinct sculptural traditions, and there was a consistent and homogenous pattern among works produced by sculptor-monks belonging to the same tradition, both in terms of bodily proportions and the depiction of garments and drapery. Among the representative sculptor-monks of this period were Muyeom, Unhye, Seungil and Huijang who enjoyed notoriety in the mid-17th century; Saengnan and Daneung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Jinyeol and Hacheon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ir heyday was followed by a period of stagnancy, starting around 1741 and lasting until 1800. From the mid-18th century, the demand for Buddhist sculpture gradually ebbed, with a commensurate increase in demand for repair and re-gilding toward the same period. From the late 18th century, painter-monks took on most repair and re-gilding work done to Buddhist sculptures, making sculptor-monks largely irrelevant. Well-known sculptor-monks from this period include Sangjeong, Gyecho, Bonghyeon and Gyesim. The period of decline is situated between 1801 and 1910.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sharp drop in the overall production of Buddhist sculptures, and even the very few sculptures made were supervised by painter-monks, further eroding the sculptor-monks’ standing, and Buddhist sculptural art of Joseon took a big step backward as a consequence. Sculptor-monks of late Joseon belonged to several different artistic lineages: the tra dition founded by Hyeonjin (Hyeonjin – Cheongheon and Seungil – Huijang – Bohae); the lineage represented by Suyeon (Taejeon – Suyeon – Seongok and Yeongcheol – Unhye and Gyeongnim – Inseong and Samin); the lineage of Cheongheo (Wono – Gakmae – Cheongheo – Beophyeon and Hyeonzon); the Muyeom lineage (Sinsa – Muyeom – Haesim, Dou, Seongu, and Gyeongseong – Seoltan, Daneung, and Chosim); the lineage begun with Saengnan (Saengnan – Chungok, Chobyeon, and Ilgi – Hacheon); and the Jinyeol lineage (Jasu – Seongsim – Jinyeol – Taewon and Sangjaeng – Gyecho and Bonghyeon). These traditions, however, were hardly distinct from each other, concerning wooden sculpture. Most wooden Buddha statues from late Joseon resembled each other in their overall style as well as facial expressions and showed very little individual variations, except for slight differences in garment style. Meanwhile, as renowned scul...

      • KCI등재

        조선 후기 불교조각의 독창성

        송은석(Song, Unsok)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4 美術史學 Vol.- No.28

        이 글은 조선 후기 불교조각이 갖고 있는 독창적 요소를 圖像, 造形性, 流派의 본격적 성립이라는 세 측면에서 해석한 글이다. 첫 번째 도상의 측면에서는 전체 불교권에서 유일한 제화갈라보살-석가불-미륵보살로 구성된 ‘一佛二菩薩形’의 三世佛 도상의 창안에서 찾아보았다. 두 번째 조형성 측면에서는, 불전 내 의식의 빈번한 설행으로 촉발된 불전 내부의 불단, 대좌, 바닥 등의 평면상, 입면상 변화로 인해 궁극적으로 불상 조형이 변화한 것에서 찾아보았는데, 이 과정에서 조각가들의 독창적 면모가 잘 드러나 있었다. 세 번째는 유파의 탄생에 관련된 독창적 면모이다. 조선 후기는 임진왜란으로 파괴된 사찰을 재건하기 위하여 수많은 불상을 조성하고 천여 명의 조각승들이 활동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사승관계에 기반을 둔 유파가 출현하였으며, 각 유파들은 자신들만의 개성적인 작품을 제작하였다는 점에서 독창적인 면모를 찾을 수 있었다. 조선 후기에 지어진 사찰의 나한전에는 십육나한상과 함께 삼세불상이 주존으로 봉안되어 있다. 삼세불은 중앙의 佛形의 석가상을 중심으로 하고, 좌우의 미래불인 미륵, 과거불인 제화갈라가 모두 菩薩形으로 봉안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왜냐하면, 조선과 같이 십육나한상(혹은 십팔나한상)이 조성되었던 중국에서는 십육나한과 삼세불이 결합된 사례가 하나도 없으며, 십육나한과 결합하지 않은 독립적인 삼세불상도 모두 佛形의 삼세불만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과거-현재-미래의 授記三世 중에서 석가와 미륵 사이에 無佛時代를 수호하는 십육나한이 들어감으로써 과거-현재-미래가 보다 완전하게 이어져 있게 된 것이다. 즉, 삼세불과 십육나한은 시간과 수기를 매개로 완벽하게 결합된 존재들이기 때문에, 조선에서처럼 한 공간 안에 봉안되었을 때보다 완벽한 결합이 될 수 있다. 즉, 도상의 측면에서 나한전의 一佛二菩薩形의 삼세불은 조선 후기에 새로 창안된 도상이며, 조선 후기 불상의 독창적 면모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불상의 조형적 특징이라고 알려진 ‘목을 숙이고 자세를 웅크린’ 모습은 불전 내 의식의 성행으로부터 시작된 일련의 건축 구조 상의 변화에 대하여, 조각가들이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여 만들어 낸 조형이라고 추정되었다. 불전 안에 많은 신도들이 모여들었던 조선 후기 사찰에서는 예배상의 존엄성을 갖추기 위하여 불단과 함께 높은 대좌가 별도로 더 설치되었는데, 조선 전기 이전의 불상보다 두 배 가량 높은 위치에 불상이 봉안되기에 이르렀다. 봉안 위치의 변화 속에서 조각가들은 예배자와 예배상의 영적교류를 이루기 위한 불상의 圓滿相을 표현하기 위하여 목을 숙이고 웅크린 자세를 취한 불상을 창안하게 된 것이었다고 판단되었다. 조선 후기 조각이 가진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는 조각승 유파가 본격적으로 성립한 일이다. 임진왜란 이후 전국적인 재건 불사에 따라 급격히 늘어난 불상 조각의 수요에 따라 수많은 조각승들이 활동하게 되었고, 사승관계에 따른 자연스런 집단이 형성되었다. 집단 내 조각승들은 많은 불사를 함께 행하면서 점차 사승관계에 따른 교육-학습 관계가 보다 중요하게 이루어졌으며, 首長의 조각 방식과 樣式을 공유하는 유파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파의 본격적인 성립은 개인 조각가의 독창성을 바탕으로 한 작가 의식에서 시작하였다고 판단된다. 조선 후기의 불교 조각은 종교미술이 가진 근본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圖像, 樣式, 流派 면에서 조선 후기만의 독자적이고 독창적인 면모를 갖고 발전하였음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불교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불교의 밑바탕은 낮은 곳에서 좀 더 폭넓게 자리를 잡으며 능동적으로 변화하였던 결과일 것이다.

      • KCI등재

        『三國遺事』에 보이는 미술사 자료의 분석과 검토

        최응천(Choi, Eung Ch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2

        『三國遺事』에는 塔像編 뿐 아니라 다른 여러 편 속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분량의 미술사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술사 관련 자료를 분석해 보면 탑상편에는 사지의 창건과 연혁이 10건, 폐사지의 위치 확인이 3건, 불교조각의 제작시기와 조성배경이 11건이었고 불탑의 제작시기와 조성배경 6건, 계단과 불사리 신앙 3건, 불교공예 5건, 불교회화 4건, 박물관의 기원 1건으로서 모두 43건 정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는 불교조각이 가장 많은 수효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타 편에 수록된 미술사 자료는 사지의 창건과 연혁이 17건, 불교 건축이 2건이며 탑상의 조성이 13건, 계단과 불사리 신앙 2건, 불교공예 4건, 불교회화 5건, 고대 박물관의 기원 2건으로서 45건이 확인되며 그 중에서 사지 창건과 연혁 부분이 가장 많은 17건이었다. 기타 편에 보이는 미술사 자료는 탑상 편에 실린 내용과 중복되거나 유사하지만 부언 설명이나 강조하는 내용을 보태기도 하였고 일부에서는 탑상 편에 누락된 미술사 관련 내용이 보이는 점에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三國遺事』에 보이는 미술사 관련 자료는 탑상 편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탑상 편에서 제외되거나 전혀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자료의 게재가 꽤 많은 곳에서 등장된다. 둘째, 『三國遺事』에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 고대 사원의 창건시기와 조성 배경과 같은 연혁을 다룬 글이 도합 27편에 달한다. 여기에는 한 편에 몇 개의 사찰이 동시에 언급되기도 하지만 불교미술 뿐 아니라 불교사에서 사찰의 연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그 다음 가장 중요하게 평가할 수 있는 불교조각과 불탑의 자료는 도합 30편에 이르며 상대적으로 불교조각의 관련된 자료가 월등히 많았다. 또한 탑상 편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부분 중 하나가 戒壇과 舍利信仰에 관련된 부분이다. 이들은 황룡사 구층탑에 봉안된 사리를 포함하여 신라 및 통일신라 사리기 및 사리신앙 연구에 귀중한 일조를 한다. 한편 불교공예에서 가장 중요한 범종을 다룬 皇龍寺鍾· 芬皇寺藥師· 奉德寺鍾 조에서는 지금은 사라졌지만 경덕왕 754년에 황룡사 종이 주조되었으며 크기 1장 3촌, 49만 7천 5백 81근이란 중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추하면 현존하는 성덕대왕 신종의 12만근보다 3배 이상의 금속이 소요된 점에서 366㎝보다 최소 두 배 가까운 크기였다고 추정된다. 통일신라 범종의 명칭에서 지금 龍鈕라고 불리는 종을 거는 고리 부분이 고래를 무서워 한다는 葡牢로 불리었으며 지금은 사라진 撞木의 모양을 고래 형상으로 만들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신라 사리기의 구성과 형태를 볼 수 있는 자료로서 어금니를 넣은 사리기의 구성이 안쪽에 침향으로 합을 만들고 그 바깥은 순금합, 다시 백은함과 바깥에 유리로 함을 만들고 바깥 겹은 나전함으로 중첩 봉안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였다. 특히 함과 합을 구별한 것으로 보아 뚜껑의 유무에 따라 함과 합을 구분한 것으로 보이며 각 함의 폭이 크기를 줄여가며 중첩되도록 만든 것을 시사한다. 불교회화 자료는 비교적 적은 3편에 불과하지만 주로 千手千眼觀音, 普賢菩薩, 11面觀音과 같은 밀교와 관련있는 변화 관음상을 벽화 위주로 제작한 사실을 밝혀준다. 마지막으로 단편적이지만 신라 궁내에서 보물 창고의 역할을 한 天尊庫란 수장고 시설과 명칭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탑상 편 이외 편에서 보이는 미술사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사찰과 창건과 연혁을 다룬것이 17편 정도로 가장 많았는데, 탑상 편에서 다루지 않은 중요한 사찰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어 보다 집중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탑상 조성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수효는 불교조각이 9편, 불탑이 4편으로서 탑상 편에 비해 적지만 良志使錫, 迎如師 布川山 五比丘, 大城孝二世父母 조는 『三國遺事』가 지닌 미술사적 가치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구체적인 자료이다. 불교조각의 경우 塑造像에 관련 기록이 많다는 것은 지금은 남아있지 않지만 당시에 소조상의 제작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점을 시사해준다. 또한 유가종의 개창주인 대덕 대현스님과 관련된 남산 茸長寺와 봉안된 미륵석조장육상은 『三國遺事』를 통해 그 실제가 입증된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戒壇과 舍利 信仰 관한 기록 가운데 금산사에 봉안되었던 사리를 나누어 金剛山 鉢淵寺에 나누어 줬다는 기록은 왜 지금 발연사에 금산사 계단과 동일한 계단이 설치되어 있는지 잘 보여주는 주는 자료이다. 두 편의 불교건축 자료 중에서 感恩寺 관련 기록과 불국사 창건에 관련된 내용은 751년 김대성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최소 774년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다시 국가에서 마쳤다는 점을 밝혀주어 최소 30여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므로 불국사 석굴암 관련 제작 시기를 규명하는데 좀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불교회화는 그리 많지 않지만 벽 위에 53불과 聖衆 및 天神, 五岳神君을 그렸다는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된다. 불교공예는 개별 설명이 없는 단편적인 六環杖, 水晶念珠, 철 솥, 石鐘에 관한 자료에 불과하여 아쉬움을 준다. 고대 수장고인 天尊庫에 관련된 기록 이전에 貴妃庫라는 국가의 보물을 보관하는 수장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일연스님은 미술사 관련 내용이 중심을 이루는 탑상 편을 별도로 분류함으로써 그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미술사의 개념이나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전문적인 지식 보다는 전부터 전해오는 고대의 자료를 섭렵하고 이를 보완하는 목적이 더 컸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부분은 황룡사와 황룡사 9층목탑, 그리고 자장과 관련된 여러 창사의 연기, 또한 스님이라는 신분상 매우 귀중하게 다룰 수밖에 없었던 불사리 신앙과 관련된 부분으로 파악된다.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yusa, 1285), compiled by a Goryeo monk named Iryeon, is one of the oldest extant books on Korean history. The chapter titled ‘Pagodas and Images’ (Tapsangpyeon) contains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Korean art. A close examination of the chapter revealed that it contains information about forty-three references to Korean art history, including ten references to the foundation and chronology of Buddhist temples, three on the locations of closed temples, eleven on the prod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Buddhist sculptural works, six on the constr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pagodas, three on ordination platforms and sarira worship, five on Buddhist arts and crafts, four on Buddhist painting, and one on the origins of museums. Of these references, the largest number of cases concerns Buddhist sculpture. The book also contains forty-five references to Korean Buddhist art history in its other chapters, including seventeen on the foundation and chronology of Buddhist temples, two on Buddhist architecture, thirteen on the construction of pagodas and images, two on ordination platforms and sarira worship, four on Buddhist arts and crafts, five on Buddhist painting, and two on the origins of museum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hapters of the book requires a careful review for the purpose of classification, because some entries overlap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apter on pagodas and images as they were intended to provide an additional explanation or to emphasize certain facts, while others contain information omitted from the aforementioned chapter. It seems that Iryeon wrote the chapter on pagodas and images in order to focus on information about the Buddhist art of his country, indicating that he was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Buddhism’s artistic heritage. The intention behind the arrangement of the chapter seems to have been to bring together and supplement old materials rather than to introduce concepts related with art history or specialized knowledge. It is noteworthy that of the numerous Buddhist topics covered in the book, Iryeon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Hwangnyongsa Temple and its famous Nine-Story Wooden Pagoda, the Buddhist temples established by the eminent Silla monk Jajang, and the relics (sarira) of Shakyamuni Buddha, which must have been invaluable objects of worship for devout Buddhists like him.

      • KCI등재

        中國 山西省의 小形佛敎石窟에 관한 硏究 -羊頭山의 북조 석굴군을 중심으로-

        서남영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7 No.-

        본고에서는 山西의 小形佛敎石窟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그 중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羊頭山石窟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羊頭山石窟은 현재 총 9굴이 확인되는데, 북조시기에 조성된 예는 제3~8굴이며, 석굴의 규모나 불상의 구성 등에서 주요 석굴은 제3굴과 제5굴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먼저 羊頭山石窟의 현황을 살펴보고, 主室, 如來像, 力士像의 양식과 형식적 특성을 山西지역 불교조상 및 北朝 도상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羊頭山石窟의 제3굴의 주실 입구 좌우에 배치된 여래입상과 제5굴의 이불병좌상감은 北魏가 和平年間(460년경) 大同에 曇曜五窟을 개착한 이래로 北魏 불교의 융성기인 太和中期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불보살의 착의법이나 불감의 구성 등에서 北魏 전반기 雲岡石窟의 영향이 농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羊頭山石窟 중 장방형 主室의 형식, 三尊像의 구성, 여래상의 漢化式 착의법은, 北魏후기의 雲岡의 3기 석굴 및 龍門, 鞏縣石窟 등의 조상과도 공통점이 확인되기 때문에 북위의 낙양천도 이후의 漢化政策이 불교조상에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羊頭山石窟에는 제3, 6굴을 제외한 북조석굴에서 역사상을 주실 좌우에 쌍으로 배치하고, 역동성과 사실적인 근육 표현이 강조되어 있다. 이러한 역사상이 北魏후기의 龍門石窟 등 6세기 중반부터 낙양과 그 인근 지역에서 확인되는 점에서 羊頭山石窟도 이러한 새로운 역사상의 영향 하에서 성립된 것으로 추정했으며, 일부 좌우가 양식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북조시대 역사상의 과도기적인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했다. 본고에서는 羊頭山石窟의 역사상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변화를 北魏의 洛陽遷都로 인한 龍門石窟 및 洛陽 인근 석굴의 조상 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산서의 최남단에 위치하는 高平은 북위 孝文帝 시기에 淸化寺가 건립되는 등 일찍이 명승이 모여든 불교 성지로서, 북조만기와 수대에는 저명한 고승인 慧遠이 머물며 수행하던 곳으로 불교가 상당히 융성했던 곳이었다. 또한 高平의 역사 지리적인 특성 및 北朝시대 山西지방의 교통로의 검토를 통해, 羊頭山石窟이 위치한 高平이 北魏 시기에 발달한 大同과 洛陽을 연결하는 山西의 남북 간선로상의 주요 요충지였던 점에서, 北魏 太和年間 이래로 北齊 시기의 新양식을 수용하기보다는 北魏 양식을 고수하는 한편 炎帝 神農氏와 같은 지역 특유의 토속적인 민간문화와 결부되면서, ‘고평인근 특유의 지방 양식’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羊頭山 북조석굴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지방색은 석굴 내에 남아있는 공양자가 황제나 귀족이 아니라 고평 인근에서 활동한 민간의 신도단체였다는 점에서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羊頭山石窟을 통해 북위가 太和18年에 단행한 洛陽遷都라는 역사적인 사건과, 북위불상의 漢化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산서의 교통로를 매개체로 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석굴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As a part of the study on the small Buddhist caves of Shanxi, this paper focuses on the Yangtoushan Caves, which are relatively well preserved. A total number of nine Yangtoushan Caves are currently confirmed. The third through the eighth caves are examples of caves built during the age of the Northern Dynasties. The main caves are considered to be the third and the fifth Caves.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Yangtoushan Caves, and then examined the style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room, the Buddha statue, and the Guardian King statues by comparing with the Shanxi Buddhist statues and the Northern Dynasties. As a result, the Standing Buddha plac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of the third cave (in the Yangtoushan Caves) and the Seated Sakyamuni and Prabhutaratna of the fifth cave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around the middle of the Taihe period (the flourishing period of Northern Wei Buddhism), after the Northern Wei built tanyaowuku in Datong around 460 A.D. It is considered that the influences of Yungang Caves in the first half of the Northern Wei are especially rich in the dress code and the composition of the niche for Buddhist image. In addition, the type of the rectangular chamber in the main room, the composition of the Buddha statue triads, and the dress code of the Chinese styl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hird period cave of Yungang Caves in the late Northern Wei period, and the statues of the Longmen and Gongxian Caves, It can be said that the Chinese style policy after Luoyang capital was reflected in Buddhist statues. On the other hand, the Yangtoushan Caves are arranged in pairs on the both sides of the Guardian King statues, except for the 3rd and the 6th caves, which emphasize dynamic and realistic muscle expression. The Guardian King statues were confirmed in Luoyang and its neighboring areas since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including the Longmen Caves of the latter days of the Northern Wei, and it was presumed that the Yangtoushan Caves were formed under this new Guardian King statues influence. But also as a demonstration of the transitional development in the Northern Dynasties Guardian King statues. In this paper, it is presumed that this change confirmed in the Guardian King statues of the Yangtoushan Caves positively accommodates the ancestral form of the Longmen Caves and Luoyang caves due to the Luoyang capital of Northern Wei. Located in the southernmost end of Shanxi, the Buddhist sanctuary is where the Qinghua temple of Confucius was erected at the time of the Northern Wei period. It was the place where Huiyuan, a prominent Buddhist priest, stayed and performed Buddhism. In addition, since the histori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aoping and democratization period were examined and the traffic roads of Shanxi province was examined, it was a key point on the north and south highway of Shanxi connecting Datong and Luoyang, Since the year, it has maintained the North style culture rather than accepting the new culture of the north-western period, and it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local indigenous cultures and assumed to have evolved into a "certain local style to the Gaoping." This local color, which is found in the Northern Dynasties Caves of Yangtoushan Caves, again confirmed that it was not the emperor or the nobleman who remained in the cave but a private shrine that was active in the vicinity of the Gaoping. In this way, i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events of transferring the capital to Luoyang Taihe 18(A.D. 494) the Northern Wei through the Yangtoushan Caves, and the phenomenon of the Chineseization of the northern Buddhist statues, I think I can find the meaning of the caves.

      • KCI등재후보

        中國 山東지역 隋代 佛敎石窟과 摩崖造像

        양은경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구 한국미술사연구소 ) 2003 강좌미술사 Vol.20 No.-

        山東地區石窟和摩崖造像以濟南、靑州、東平爲中心開鑿開窟活動。 而且這些石窟和摩崖造像的開鑿年代多集中于隋代。 隋代石窟代表有濟南千佛山2개窟、龍洞1개窟、靑州駝山第2窟, 其他均爲摩崖龕像。 隋代龕代表有靑州市駝山3洞、云門山1、2洞, 濟南市玉函山摩崖龕、龍洞龕、東佛욕寺龕、千佛山小龕, 東平縣的白佛山第1、2龕。 隋代開鑿的洞窟數量雖然不少, 但該地區佛敎窟龕長期以來沒有引起學術界的重視。 這是因爲除靑州駝山第2窟等기개石窟之外, 一般洞窟都爲龕形洞窟或利用天然洞窟、崖面開鑿的龕, 幷且規模也不大。 80-90年代, 諸城市、靑州市發現一大批佛敎造像爲中國國內外學術界所촉目。 對山東佛敎造像專題硏究的論文陸續刊登, 提出與往日不同的意見。 此后, 學術界越來越重視硏究該地區佛敎造像, 然而有關該地區石窟的硏究, 仍然顯得흔薄弱, 從考古學角度進行的綜合硏究還從未有過。 隋之前, 山東地區佛敎藝術多利用金銅、石頭、木頭、泥塑等雕造單體造像。 但是進入隋王朝, 該地區有活躍的開窟活動。 隋代山東石窟和摩崖造像, 在平面·窟頂·正面刑制、造像組合方面, 仍承襲南北朝時期此地區摩崖造像龕的傳統。 但是倒凹字形石窟平面形式、正壁雕佛像的整體造像組合的特点是隋代出現的。 在造像組合方面也爲不規整的組合。 如一佛、一菩薩、二佛、二菩薩、三佛、三菩薩等無脅侍像或不規整的造像組合。 這些事實均流行于隋代。 如此隋代新出現的石窟形制、造像組合等的特点, 除了山東地區之外其他地區也出現而漸漸流行。 但是該地區摩崖龕像的方形正面形制與同時期東部地區流行的北齊響堂山式圓拱龕、菩提樹圓拱龕不同, 成爲隋代山東地區的特点。 隋代山東地區石窟造像和摩崖造像最大的特点爲鉤紐式袈裟、交領衫、交領式袈裟。 而且這些造像特点也同樣流行于同時期其他地區, 倒了唐代却不流行。 因此我們可知, 這些造像特点是隋代全國性樣式。 換言之, 鉤紐式袈裟、交領衫、交領式袈裟樣式是眞正的隋代造像藝術風格。 隋代山東地區菩薩像把裙腰上升到胸部高處。 這種菩薩像着衣方式也見于其他地區的單體造像。 這種着衣方式摹擬當時婦女的常服。 不過山東地區菩薩像多穿着二層裙子, 這種菩薩像樣式也成爲山東地區的因素。 隋王朝平陳, 就結束了南北分裂的局面, 從而使社會安定, 經濟日益繁盛。 突厥、吐谷渾等的邊患也기乎消除, 國力也日益强大。 鞏固中央的統一, 均田制、府兵制等各種制度的成功, 總會給社會、平民生活帶來安定。 上層地方官員從中央長安安排到各개地區, 而且地方官員移動範圍是全國。 在這些北周系上層地方官吏中, 他們地管統治的東部地區, 也有參與建佛寺活動。 由于隋文帝召北齊地論學、華嚴系統高僧及其弟子入京, 東部地區與長安之間僧人有頻繁的往來。 文帝人壽年間全國立舍利塔, 均選名僧, 從長安派到全國各區。 如此社會穩定, 在各개方面東部與其他地區之間有自由的往來。 而且這種交流以長安爲主發生關系。 因此隋代新出現許多新的因素, 尤其是新出現的石窟形制、造像組合、窟龕造像樣式主要受長安地區北周系統的影響而有變化。 根据現存銘文題記、圖象, 我們可知隋代山東地區石窟和摩崖造像主尊多爲阿彌陀佛。 由于邑義、法社等民間信仰團體和老百姓積極參與開窟、鑿摩崖龕的活動, 造像題材方面也日益注重阿彌陀佛。 在實際修行中, 邑義、法社都特別重視戒律。 民間信仰團體邑義、法社都期望往生淨土。 而且到隋代時, 有關阿彌陀淨土的經典已經譯出흔多, 這種簡便易行的學說較易爲普通民衆所接受。 北齊時期以皇室貴族、高僧爲中心熱烈崇拜的華嚴佛主盧舍那佛, 到了隋代東部地區大住聖窟等仍有雕造。 不過山東地區却極爲??見, 被阿彌陀佛取代。 隋代晋冀豫地區佛敎主要繼承北齊以慧光、法上爲主的업都佛敎, 仍多爲法上、信行、僧稠法系。 尤其是北齊地論、華嚴系統的靈裕、慧遠的活動對晋冀豫地區佛敎、佛敎窟龕有深遠的影響。 隋代업都不再是一개王朝的首都, 已經衰落。 因此不像北齊時期那樣能구對山東地區有흔强大的影響。

      • KCI등재

        唐代 初期 四川地域 佛敎文化의 地域性 - 金牛道를 따라 형성된 初期 石窟群을 中心으로

        김은아 불교미술사학회 2022 불교미술사학 Vol.33 No.-

        This study reviewed on the sculptured forms group made along Jīnniú road out of the traffic lines across Cháng’àn and Chéngdū and investigated the locality of Buddhism in Sìchuān District in early Tang era. The most remarkable one from the studies in this respect, new formation and pattern which had been introduced from Cháng’àn was popular earlier through this road than other regions and such fashion took a lead in the forms around other traffic roads in Sìchuān District and Cháng’àn as well. It was decided that such background i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monks to Sìchuān District due to upheaved political situation at the end of Sui Dynasty and early of Tang era. In addition, the biblical study revealed that Buddhism in Sìchuān area was in severe conflict with Daoism. In this situation, making and displaying ‘Image of Buddha Amitabha with fifty Bodhisattvas’ as a meaning of Clean Ground World presented at present to the home-based believers was one of the way to solve the issues of the Buddhism at that time. It is believed that the popularity of such forms deemed to reflect the willing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the Buddhism of Sìchuān District. In relation to these, the features of making the statues rarely dicovered other than Sìchuān area such as the statue of Gautama Siddhartha with ear rings or holding maņi or accompanied with 8 guardian statues regardless of the name of the statue of Gautama Siddhartha. Such features were not individualistic but intended to express the Clean Ground World. On the other hand, Juxtaposed Images of a Buddha and the Celestial Worthy were found in a single inche. This point was considered as a part for discussing the locality of Sìchuān Buddhism differentiated with other eras and other districts. 본고는 金牛道를 따라 형성된 석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여 당대 초기 사천지역 불교의 지역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로써 당대 초기 금우도 주변에 제작된 석굴들에서 확인되는 특징은 사천의 다른 지역이나 사천 이외의 지역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는 금우도가 장안과 성도를 잇는 교통로라는 측면이 장점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隋末 唐初의 어지러웠던 정치상황으로 인해 승려들이 사천지역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대 초기 사천지역 불교문화의 특징 중 아미타불오십보살상의 제작은 다른 지역에 비해 두드러진다. 불보살이 안락세계에서 사바세계로 이동한다는 점 때문에 사바계에 살고 있는 신자들에게 좀 더 가깝게 이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특징 때문인지 당대 초기를 지나 장안과의 문화교류가 다시 밀접해지는 성당이 될 때까지 사천의 서방정토신앙을 대표하는 도상으로 자리 잡았다. 사바세계에 살고 있는 신자의 입장에서 아미타불과 보살을 실견한다는 것은 사후 서방정토로의 왕생과 다른데 여기에 사천지역 불교의 지역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존격에 상관없이 보주를 들고, 이당을 착용하고 있는 장엄여래상도 의도 된 것이라고 보았다. 보주와 이당은 정토를 의미하는 모티브로 제작되어, 신자가 사바세계에 현현한 정토세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상징적인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불보살의 뒤편에 등장하는 팔부중도 설법하는 불국토에서 설법하는 여래의 주변에 등장하는 聽衆의 역할로 제작되었다고 보았다. 신자가 보주와 이당을 통해 나타낸 정토를 체험하고, 정토에서 여래의 설법에 참여하는 구체적인 이미지를 갖는데 팔부중 도상이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한편 당대 초기 사천지역에서 보였던 불교와 도교의 대립상황은 실제 상의 제작에 있어서 도교상의 증가와 불도상이 제작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 불도상은 성당대 사천의 다른 곳에서 확인되는 불도상 및 다양한 존격의 이불병열상 제작으로 이어졌다. 신자들은 종교적 역할이 다른 두 상을 제작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부분이야 말로 신자들의 의도가 반영된 사천지역 불교문화의 지역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 KCI등재

        평원ㆍ영양왕대 고구려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

        최성은 ( Choe Songeun ) 한국고대학회 2020 先史와 古代 Vol.- No.63

        고구려가 정치적으로 안정되었던 25대 평원왕(559~590)과 26대 영양왕(590~618)이 재위했던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까지 약 반 세기 간의 불교조각을 통해서 중국 南北朝와 倭에 대한 고구려의 불교문화 교류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평원왕 18년(576) 북제에 갔던 고구려 승려 義淵은 法上의 가르침을 받고 귀국하여 고구려 불교를 一新하였다고 알려져있다. 의연은 북제에서 여러 불교 典籍을 가져왔으며, 이때 북제 불상도 고구려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평원왕 12년(570)에는 왜국에 사절을 보내 외교적 관계를 시작하였으며 영양왕 6년(595)에 왜로 건너간 慧慈(?~622)는 20년간 聖德太子의 스승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僧隆과 雲聰(602년)을 비롯해서 慧灌(605년) 및 曇徵과 法定(609년) 등도 왜로 건너가 수준 높은 고구려 불교를 알린 기록이 있다. 불교문화를 앞세운 對倭교섭에서 ‘금동불상’은 고구려 왕실이 왜 조정에 보내는 중요한 예물이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현재 전하는 飛鳥時代불상들 가운데는 고구려 불상들과 이 상들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불상들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평원ㆍ영양왕대의 고구려 불교조각으로 소형의 在銘일광삼존불상들이 전해오고 있는데 소형의 상들을 통해 당시 불교조각의 전모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으나 6세기 불교조각은 5세기 후반의 고식적인 요소와 6세기의 새로운 요소가 섞여 있는 복합적인 양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 전해오는 大津石山寺금동불입상, 法隆寺헌납보물 143호 금동삼 존불상, 飛鳥寺금동장육불좌상[飛鳥大佛]을 이러한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石山寺금동 불입상과 法隆寺헌납보물 143호는 고구려에서 전래된 불상으로 판단되며, 飛鳥寺금동장육 불좌상(飛鳥大佛)은 고구려에서 전해진 불상의 範本을 기초로 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의 두 상에서는 古式요소와 새로운 요소가 混在하는 점을 근거로 하였다. 飛鳥寺 금동장육불상에서는 착의형식의 일부분이 발해초기 이불병좌상에서 나타나는 고구려적인 요소를 보이는 점과 飛鳥寺가람배치가 고구려의 일탑삼금당식이라는 점, 飛鳥寺건축에 고려척[고구려척]이 사용된 점, 영양왕이 飛鳥寺불상의 주조에 황금 삼백냥을 보낸 기록을 들어 飛鳥寺창건과 불상조성에 고구려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았다. monk Faxiang(法上), an eminent figure of the Daśabhūmikā school of Buddhism. When Uiyeon returned to Goguryeo in the year 576 or 577, it is assumed that he brought back a few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from Northern Chi, and that he renewed Goguryeo Buddhism. In 570, King Pyeongwon sent an envoy to Japan to start diplomatic relations and, years later, King Yeongyang sent the monk Hyeja, who stayed for twenty years in Japan as a teacher of Prince Shotoku. Many other Buddhist monks of Goguryeo were sent to Japan, and they developed the Buddhist culture of Asuka Japan. Several extant Buddhist images dated to King Pyeongwon and Yeongyang periods, though small in size, show that old traditional stylistic features of the later half of the fifth century are mixed with new aspects of the style of the sixth century in a single im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oguryeo Buddhist sculptures, three Buddha images in Japan gilt-bronze image of Ishiyama-dera(石山寺) at Otsu, No. 143 gilt-bronze Buddha triad of Horyuji(法隆寺) now in Tokyo National Museum, and gilt-bronze Great Buddha image of Asuka-dera(飛鳥寺) are stylistically and iconographically examined in comparison to the Buddhist sculptures of China and Kore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From this investigation, it is fair to assume that the Ishiyama-dera image and No. 143 o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