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와 『겐코오샤쿠쇼(元亨釋書)』의 역사인식 비교

        정천구(Jung Chunk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3 No.-

          13세기 동아시아는 정치ㆍ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특히 몽고의 침입으로 시작된 전란의 폭풍은 동아시아 전체를 긴장시켰다. 그러한 변화와 긴장은 불교계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불교사서의 편찬이다.<BR>  불교사서의 편찬은 그 자체가 이율배반적이다. 현상 세계는 찰나마다 변하고, 언어는 그런 현상 세계를 온전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불교적 세계관에서 볼 때, 사서의 편찬은 간과되거나 매우 혁신적인 서술방식을 채택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불교사서는 그 편찬자의 역사인식과 언어관을 들여다볼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자료가 된다.<BR>  송대에는 불교사서가 활발하게 편찬되었는데, 선종의 불교사서와 천태종의 불교사서가 주류를 이루었다. 『경덕전등록』(1004)에서 시작된 선종의 불교사서는 『오등회원』 (1252)에서 마무리되는데, 비록 선종내의 여러 사상적 흐름을 각기 반영하고는 있으나, 선종이라는 종파적 관점에서 자유롭지 못하였다. 선종사서에 대한 반발로 편찬된 『석문정통』(1237)과 불조통기 (1269) 역시 사서(史書) 글쓰기에서는 다소 변화가 있었으나, 역시 천태종의 정통성이라는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짐으로써 종파적 성향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보여주었다.<BR>  송나라의 불교사서와는 달리 고려와 일본의 불교사서는 독특한 형식과 역사인식을 보여주었다. 고려의 『삼국유사』 (1289)는 사실과 허구가 절묘하게 결합되어 있어 역사적 사실보다 그 진실을 어떻게 드러낼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불교사서였다. 게다가 세간의 역사와 출세간의 역사를 아우름으로써, 역사서가 닫힌 세계에 대한 서술이 아니라 열린 세계를 지향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BR>  일본의 『원형석서』 (1322)는 완벽한 형식 속에 오로지 불교적 사실만을 서술한 것이었다. 비록 종파적 관점에서는 자유로웠으나, 지나치게 체재나 서술 형식에 매임으로써 역사는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나아가 모든 일은 변화한다는 평범하고도 보편적인 진리를 간과하게 되었다. 이는 역사를 과거형으로 또 닫힌 세계로 보았음을 의미한다.   In 13th century, there was such a great change on politics and society in East Asia. Invading Sung China, The Mongol made East Asia fall into war, which got into high tension. Such a change and tension also affected Buddhism and various sects of it. Especially, that catches our eyes is Buddhistic historiography.<BR>  The writings of Buddhistic history is antinomy in itself. In Buddhism, Everything is changing momentarily, and anything changing cannot be expressed with words. Therefore, Buddhistic historiography cannot but be taken care by Buddhist monks, if can, there must be made innovations in writing.<BR>  A lot of Buddhistic historiography compiled through the Sung dynasty, which are mainly performed by two sects. They are Zen Buddhism(禪宗) and Tientai Buddhism(天台宗). In Zen Buddhism, Buddhistic historiography began with Jinde chuandenglu(景德傳燈錄) and then came to an end in Wudeng huiyuan(五燈會元). These shed light on each standpoints of various sects within Zen Buddhism, however, it goes to be proved sectarian. In Tientai Buddhism, Shimen zhengtong(釋門正統) was compiled in 1237, and Fozu tongji(佛祖統紀) in 1269. These historiographies were written from a sectarian viewpoint of Tientai. Even if there have been transformations or changes in writing, it could not go beyond Tientai sect like Zen Buddhistic historiographies.<BR>  In Korea and Japan, another formations and writings were taken up in Buddhistic historiographies. Samgukyusa(三國遺事) which was compiled in 1289 cir. in Korea is focused on how to reveal historical truth than historical facts, in which facts and fiction are combined exquisitely. In Samgukyusa, history of the world and that of beyond the world are harmonized, and therefore show us that historiography should not written to manifest the closed world, but the open world.<BR>  Genk?shakusho(元亨釋書) was compiled in 1322 in Japan, in which facts are piled up in perfect formation, and are only Buddhistic. It is free from sectarian viewpoint, but tied up to formation or writing. And thereby it fails to reveal common and simple truth that everything is changing, and history is not fixed. It means that the author of Genk?shakusho took historical facts as being closed.

      • 한국불교전서 검색 시스템 개발

        구현우,김영희,박미화,이재수,신병삼,이용규,이금석,홍영식,한보광 동국대학교 2006 전자불전 Vol.8 No.-

        The classical books of korea buddhism names generically the literature of Korean Buddhism that includes the Korea Bulgyo Chonso and The Korean alphabet Buddhist Sutras. The compilation of buddhism scripture is actively advanced, but the effort that digitalize the Korea Bulgyo Chonso or the Korean archive has been not enough. However, the digitalizing of the culture heritage are worldwide trend. Consequently,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o store the 13th and 14th volume of the Korea Bulgyo Chonso at the database, to develop a retrieval engine for efficiently revising this database and to supply a retrieval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web. To expand the object, we manufacture and supply the CD-title that is the retrieval system that is able to search the database in varied environment. We need three techniques for attaining the object. The first techniques inputs and edits the Korean Buddhism classical books in computers and The second technique stores it in the database. Lastly, it is to develop the interface and retrieval engine that search the database within the internet web and the offline environment. The retrieval system can induce to activate the digitalization of the archive, to promote the management of the culture heritage by using digital library, and to develop the synthetic digitalization technique for the culture heritage. 한국불교전적은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삼국시대부터 우리나라의 선조들이 남긴 옛 문헌들을 발굴 수집하여 출간한 한국불교전서와 해인사 고려대장경을 동국대학교의 역경원에서 한글로 번역한 한글 대장경을 위시한 한국 불교 문헌을 총칭한다. 이러한 불교경전에 대한 편찬 사업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에 비하여 불교전적의 전산화 작업은 현재 미비한 상태이나, 세계적으로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발맞춰 본 연구는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7차 사업으로 한국불교전서 제 13책과 14책을 전산화하여 전 세계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다양한 환경에서 한국불교전서를 검색 가능케 하기 위한 검색 시스템을 CD로 제작하여 보급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3가지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불교전적을 컴퓨터에 입력하고 이를 편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들을 웹뿐만 아니라 인터넷이 되지 않는 컴퓨터에서도 검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검색 기술이 필요하다 이렇게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고문헌의 전산화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전자도서관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관리를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문화유산에 대한 종합적인 전산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 KCI등재

        신위의 紫霞山莊期 시의 한 국면

        신일권(Shin, Il-Kwon) 대동한문학회 2012 大東漢文學 Vol.37 No.-

        申緯는 전통적인 유교의 가문에서 성장했으나 그의 작품에는 불교적 성향의 詩들이 많다. 지금까지 신위에게 불교는 王維와 蘇軾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지식축적과 학문적 확장을 위하여 받아들인 것이라고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는 신위의 불교적 성향의 시가 많은 시기가 유독 자하산장 은거, 평신진첨사 좌천, 평산유배의 기간으로 실제 신위의 불교적 성향의 시들은 대부분 1830년에서 1834년 사이의 작품들임에 주목하여 당시 신위가 안과 밖으로 처한 개인사적 憤恨과 99개의 암자가 있었다는 자하산장이라는 은거 장소의 주위 환경과 승려들과의 교유 등의 원인으로 신위가 불교적 성향의 시를 짓게 되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신위의 불교 시에 보이는 특징으로 선취시의 특징, 불교사상의 문학적 수용을 살펴보았다. 신위의 불교시에는 禪的인 자연관조를 통한 우주적 자각이 바탕이 되어 있고, 자연사물을 노래하면서도 자연흥취만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禪悟, 禪理, 禪趣가 있다. 또 신위는 불교의 空사상을 문학에 수용하여 詩化했으며, 不立文字사상은 그의 시에서 言外之味를 가져와 시밖의 뜻을 남게 하였다. 이처럼 신위의 시에서 불교사상은 한 차원 높은 시적 깊이를 담아내어 그의 시가 더욱 완숙한 경지에 이르게 되는 바탕이 되었다. Shin Wui(申緯) grew up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but he wrote many Buddhist poems. Until now, it has been known that Shin Wui accepted Buddhism for knowledge accumulation and academic expansion influenced by Wang Wei(王維) and Su Shi(蘇軾). Howev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at Shin Wui wrote Buddhist poems due to his personal historic anger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his hermitage at the Jaha mountain cottage with total 99 hermitages and exchange with Buddhist monks by focusing the fact that most of Shin Wui's Buddhist poems were actually written between 1830 and 1834 during his retirement at the Jaha mountain cottage, his relegation to Cheomsa, the position of local minor officer at Pyeongsinjin and banishment at Pyeongsan.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zentic poetry and literary acception of Buddhist thought were examined as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Shin Wui's Buddhist poems. Shin Wui's Buddhist poems were based on universal awareness through zentic natural contemplation and this poems not only talk about natural objects and pleasure but also Zen enlightenment, Zen – li and Zen-fondness. And, Shin Wui adopted and poetized the Sunya idea of Buddhism into the literature, and the Buddhist revelation, intuitive discernment brought hidden feeling between the lines in his poems, showing the meanings beyond the poems. Like this, the Buddhist thought in Shin Wui's poems provided higher poetic depth, becoming the basis for his poems to reach more higher stage of poetry.

      • 한국불교전서 웹 검색 시스템 개발

        김영희,장은실,구현우,박영희,이용규,이금석,홍영식,한보광 동국대학교 2005 전자불전 Vol.7 No.-

        To date, the effort that digitalize the Korea Bulgyo Chonso or the Korean archive has been not enough and we have been difficult to look up the systems that retrieve the Korean archive with the Korea Bulgyo Chonso. However, the digitalizing of the culture heritage are worldwide trend and the digit75 Alizing of the archive and the using the retrieval systems in web is the subject to us which must solve urgently. Moreover, we are regarding the Koreanology that focus on the buddhism philosophy as a main study for a university specialistic with the computer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digitalization of buddhism data is most suitable to the nexus between the buddhism philosophy and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ique. Consequently,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o store the 11th and 12th volume of the Korea Bulgyo Chonso at the database, to develop a retrieval engine for efficiently revising this database and to supply a retrieval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web. The retrieval system can induce to activate the digitalization of the archive, to promote the management of the culture heritage by using digital library, and to develop the synthetic digitalization technique for the culture heritage. 현재까지 한국불교전적 및 한국 고문헌에 대한 전산화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며, 웹에서의 한국불교전적을 포함한 한국 고문헌에 대한 검색 시스템은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문화유산의 전산화 및 전자도서관화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고문헌의 전산화 및 웹에서의 검색 서비스 제공은 해당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는 시급히 필요한 과제이다. 또한 본교는 불교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학과 컴퓨터 정보통신 두 분야를 특성화의 큰 축으로 하고 있으며, 불교자료의 전산화야말로 본교의 특성화 방향인 “불교학과 정보통신 기술”의 연계에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문화유산인 한국불교전서 중의 11책과 12책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엔진을 개발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범용화 되고 있는 인터넷의 웹을 통해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고문헌의 전산화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전자도서관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관리를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문화유산에 대한 종합적인 전산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5차 사업

        구현우,박성은,노진홍,김영희,박영희,이용규,이금석,홍영식,한보광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4 전자불전 Vol.6 No.-

        현재까지 한국불교전적 및 한국 고문헌에 대한 전산화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며, 웹에서의 한국불교전적을 포함한 한국 고문헌에 대한 검색 시스템은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문화유산의 전산화 및 전자도서관화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고문헌의 전산화 및 웹에서의 검색 서비스 제공은 해당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는 시급히 필요한 과제이다. 또한 본교는 불교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학과 컴퓨터 정보통신 두 분야를 특성화의 큰 축으로 하고 있으며, 불교자료의 전산화야말로 본교의 특성화 방향인 "불교학과 정보통신 기술"의 연계에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문화유산인 한국불교전서 중의 9책과 10책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엔진을 개발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범용화 되고 있는 인터넷의 웹을 통해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고문헌의 전산화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전자도서관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관리를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문화유산에 대한 종합적인 전산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It is not enough effort to digitizing the Korean Bulgyo Chonso or the Korean archaic documents until now. Also, it is difficult that we look up systems which retrieve the Korea archive documents in the Web. However, digitizing of culture heritage is a worldwide trend. So, digitizing of the archive documents and using retrieval systems in web are subject which must solve urgently. We are regarding koreanology that focus on the buddhism philosophy as a main study for a university specialization with the computer information communication. Digitization of buddhism data is most suitable to the nexus between the buddhism philosophy and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ique. So,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ore the 9th and 10th volume of Hanguk Bulgyo Chonso in database, to develop a retrieval engine for efficiently search this database and to supply a retrieval service through the Web. The retrieval system can induce to activate digitization of the archive documents, to promote management of the culture heritage using digital library, and to develop synthetic of digitizing technique for the culture heritage.

      • 신위(申緯)의 불교시에 나타나는 특징

        신일권 ( Shin Il-kwo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9 密敎學報 Vol.20 No.-

        본고는 紫霞 申緯(1769-1847)의 불교시에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申緯는 전통적인 유교의 가문에서 성장했으나 그의 작품에는 불교적 성향의 詩들이 많다. 본고는 신위의 불교시에 보이는 특징으로 선취시의 특징, 불교사상의 문학적 수용을 살펴보았다. 신위의 불교시에는 禪的인 자연관조를 통한 우주적 자각이 바탕이 되어 있고, 자연사물을 노래하면서도 자연흥취만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禪悟, 禪理, 禪趣가 있다. 또 신위는 불교의 空사상을 문학에 수용하여 詩化했으며, 不立文字사상은 그의 시에서 言外之味를 가져와 시 밖의 뜻을 남게 하였다. 이처럼 신위의 시에서 불교사상은 한 차원 높은 시적 깊이를 담아내어 그의 시가 더욱 완숙한 경지에 이르게 되는 바탕이 되었다. This study were examined On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Shin Wui(申緯)’s Buddhist poems. Shin Wui grew up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but he wrote many Buddhist poems. This study were examined On the characteristics of zentic poetry and literary acception of Buddhist thought as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Shin Wui’s Buddhist poems. Shin Wui’s Buddhist poems were based on universal awareness through zentic natural contemplation and this poems not only talk about natural objects and pleasure but also Zen enlightenment, Zen - li and Zen-fondness. And, Shin Wui adopted and poetized the Sunya idea of Buddhism into the literature, and the Buddhist revelation, intuitive discernment brought hidden feeling between the lines in his poems, showing the meanings beyond the poems. Like this, the Buddhist thought in Shin Wui’s poems provided higher poetic depth, becoming the basis for his poems to reach more higher stage of poetry.

      • KCI등재

        불교의 문화적 번역

        이만식(Lee, Man Sik)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08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19

        Most Buddhist monks and scholars talk about the insufficient efforts to communicate Dharma Talk[法語] in terms of modern languages. However,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in Buddhism has not been caused only by the lack of communication methods but by the discourse itself. The state of not to rely on letters[不立文字] is meagerly explained by our common language in this postmodern age when the language itself is no longer a reliable device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The first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of Indian sources was distinctively Chinese innovation. Concern with inherent Buddha-nature[佛性] gained prominence in China partly due to the indigenous Chinese preoccupation with the inherent nature of human being. The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that occurred in the Buddhist doctrine in East Asia by the Chinese reinterpretation of Buddhism was highly beneficial to deeply bind the philosophical dimension of Buddhism with the practical aspect. The second significant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is needed now to face the current communication problems of Buddhism. Western thought, including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on, has been suggested as a candidate to provoke a second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to revive the tradition of Buddhism. The cultural translation of Buddhism is explicated here in this paper as one of the practical programs to elucidate Buddhism in terms of Western thought as well as to solve its communication problems.

      • KCI등재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그 역사문화상 기능

        심경호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Pianwen(騈文) has a strict rhyme structure with tonal pattern transposition, couplets, and synchronization of phrase-end tonal patterns in connected stanzas. Furthermore, it pursued splendor with complex literary quotations. In ancient state era Korea, rhetoric of Pianwen and classical Chinese culture were adopted simultaneously, forming distinctive aesthetics. Meanwhile, Pianwen was partly applied to passages of Idu scripts and classical Chinese literary works. This article traced development of Pianwen in pre-modern Korea, illustrating examples of such literary works in various categories, e.g. ①bestowed or tributed literary works, ②ceremonial works, ③examination papers and diplomatic documents, ④Buddhistic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⑤various applications of Pianwen style. In pre-modern Korea, Pianwen was used in epigraphs and diplomatic documents from around 7th century. Circa 654 CE (14th year of Uija of Baekje), an epigraph of Sat'aekchijŏkpi(砂宅智積碑) used Pianwen style couplets and tonal pattern transposition. Sasan Bimyŏng(四山碑銘) by Choe Chiwon in North-South Period was composed of a Pianwen style preface and an inscriptive poem with variation of rhyme. Pianwen style was prominent in North-South Period and the early Goryeo. In the late Goryeo, Choe Hae(崔瀣) compiled Tonginjimunsaryuk(東人之文四六). Also during the Joseon Dynasty, Pianwen used in court occasions, e.g. political and diplomatic affairs, or ceremonies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 beam. Pianwen was criticized by intellectuals because of its stylistic restrictions. However, it had been valued in a transcription field due to following three reasons. (1) From Six Dynasties to Tang, Song, Yuan, Ming, Qing, every ordinances and addresses to the throne used Pianwen, and responsive works for royal demand are also required to apply couplets and rhyme. These literary works are called court literature. In China, conventional court literature had used Pianwen style rather than classics style. Even Ouyang Xiu and Su Shi of Classics school used Pianwen when they draft appointment certificates. In Korea, court literature was used frequently in the same manner. (2) Pianwen style was used in diplomacy to China, especially in imperial correspondences(表箋). Qing specified the format of a document, however, its format was altered every time a new emperor accede. Therefore, intellectuals needed to brush up their ability to compose such works, and tested proficiency of Pianwen in a civil service examination. (3) Pre-modern readers-intellectuals of Korea secured a literary hegemony by mastering tonal pattern and rhyme of literature. Pianwen style that apply such methods was rated high. An ability to compose a ceremonial address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 beam was considered as a high- class cultural act. Even in classical writings, Pianwen style couplets are often used. This tendency was the same in a realm of Buddhist intellectuals. 騈文은 평측 교대와 對偶를 지키며, 聯과 聯의 연결 시 句末 평측을 동일하게 하는 등 外在律이 까다롭다. 이와 더불어 典故를 번다하게 사용하여 華美를 추구했다. 한국에서는 고대국가 시기에 중국의 한문문화를 수용하면서 변문의 서사법을 동시에 받아들여 독자적인 미학을 완성시켜 나가는 한편, 이두식 한문문장과 한문 고문의 행문에도 부분적으로 변문을 활용했다. 본 논문은 근대 이전의 한국에서 변문이 발달한 역사를 추적하고, 실제 문장에 활용된 예들을 부류별로 나누어 예시했다. 즉 ① 변려체 변문 下行文字와 上行文字, ② 변문 儀式文字: 상량문의 예, ③ 科表 부과에 따른 변문 중시, ④ 불가한문의 변문, ⑤ 고문 행문의 변문 투식 대우법 활용 등이 그것이다. 근대 이전 한국에서는 7세기 경부터 변문이 금석문과 외교문서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654년(의자왕 14) 경 「砂宅智積碑」의 비문은 사륙변려체 즉 변문을 의식하여 대우법을 맞추고, 평측 교대법을 의식했다. 남북국 시대 신라의 최치원이 지은 四山碑銘은 변문의 序와 換韻의 銘으로 이루어졌다. 남북국시대와 고려 초에는 변문이 우세했다. 고려 말 崔瀣는 東人之文四六을 엮었다. 조선시대에도 조정의 정치와 외교, 상량식 등에서는 변문을 사용했다. 변문은 형식적 구속성 때문에 문인들의 비판을 받았다. 그렇지만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書寫 영역에서 줄곧 중시되었다. (1) 육조 이후 당ㆍ송ㆍ원ㆍ명에서 청초에 이르기까지 조정의 詔誥表章은 모두 변문을 사용했다. 또 應製 등 館閣文章은 聲律을 강구하고 對偶를 활용하여야 했고, 그 문체는 변문이 중심이었다. 고문가 구양수와 소식도 制誥를 草할 때 고문을 사용하지 않고 변문을 사용했다. 한국의 고대국가, 고려, 조선 전기에서도 조정의 奏章이나 응제문은 변려를 사용하는 일이 많았다. (2) 중국과의 외교에서 긴요하게 이용된 表箋은 변문으로 작성했다. 청나라는 표전의 서식을 정해 주었으나, 새 황제가 등극할 때마다 서식을 개변했으므로, 관각 문인들은 표전 제작의 능력을 연마해 둘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과거시험에서도 줄곧 변려 제술의 습숙도를 평가하는 시험이 부과되었다. (3) 근대이전 한국의 독서-지식층은 평측법과 압운법을 장악해서 문학적 역량을 온축함으로써 문자권력을 장악했다. 따라서 평측법을 行文에 활용하는 변려의 문체는 여전히 존중되었다. 더구나 지역 사회나 공공 정치영역에서 변문 등 상량문 제작 능력은 고급 문화역량으로 간주되었다. 산문의 고문에서도 변문 투의 連句를 활용하는 일이 많았다. 불가 지식층 사이에서도 변문의 제작 능력은 문자활용의 습숙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 KCI등재

        角筆의 起源에 대하여

        김영욱(金永旭)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6 No.-

        이 글은 角筆의 기원에 대한 탐구이다. 각필은 毛筆과 대비되는 硬筆의 일종으로 모필이 발명되기 이전부터 인류가 문자를 새기고 기록하는 데에 사용했던 필기도구를 凡稱한다. 각필은 佛敎文化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불경에 각필을 새기는 방법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한국과 일본까지 전파되었는지에 관한 硏究는 古代 아시아 문화 교류사의 한 일면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文字文化史的인 意味가 있다. 동아시아의 문자 문화는 모필 문화와 각필 문화로 대별될 수 있는데 中國의 文字文化에 짝을 이루는 것이 毛筆이고 印度의 口述文化에 짝을 이루는 것이 角筆이다. 한반도는 북방의 문화와 남방의 문화가 접목하는 곳이었다. 印度의 각필문화가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한반도까지 오게 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알 수가 없지만 필자가 추정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도에는 이미 기원전 3세기인 아쇼카 시대부터 경전의 문자를 각필로 새기거나 기록하는 문화가 융성하였는데 기원후 육세기 혹은 칠세기에 걸쳐 인도의 날란다 대학에 유학한 中國의 승려에 의해 중국으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기원후 칠세기 경에 중국의 長安에 유학한 韓國의 승려에 의해 한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훈민정음에 관한 연구의 회고 ― 창제 배경과 동기 및 목적 그리고 창제자를 중심으로

        한재영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existing arguments and evidence on Hunminjeongeum. It especially focuses on the background, purpose, and motivation of Hunminjeongeum’s invention and on its creator.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background of Hunminjeongeum’s invention. They have suggested several hypothetical backgrounds: 1) the history of writing systems in other countries; 2) philological and phonological background; 3)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4) Neo-Confucianism and I Ching; 5) religious aspect; and 6) writing systems used before Hunminjeongeum in Korea. There are diverse explanations for Hunminjeongeum’s invention: 1) for the sake of people, 2) for writing Chinese characters’ pronunciation, 3) for substituting the existing writing system, 4)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m, and 5) for writing lyrics of songs precisely. It is believed that King Sejong invented Hunminjeongeum; however, researchers differ in their opinions on whether Hunminjeongeum was the sole invention of King Sejong. Since the invention of an alphabet requires tremendous work, it is doubtful that King Sejong, who had to govern the country, invented Hunminjeongeum by himself. However, King Sejong was not assumed to be directly involved in the process. There are various opinions regarding who in fact was involved in it: either the 1) royal family, 2) Jiphyeonjeon scholars, or 3) Buddhists.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existing perspectives on Hunminjeongeum’s invention, drawing conclusions that support existing theories. 본고의 목적은 훈민정음과 관련한 문제들 가운데 창제의 배경과 창제의 목 적 및 동기 그리고 창제자에 관한 문제로 주제를 한정하여 그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 그들이 주장하는 바를 정리하여 보고, 그들 논의가 가지고 있는 논 지 및 근거 자료들에 관해서도 살펴보는 데에 있다.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우 리가 알고 있는 훈민정음에 관한 지식과 정보는 아직도 그 전모(全貌)와는 상 당한 거리를 두고 있는 듯한 느낌을 떨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먼저 훈민정 음 창제의 배경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여 논지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훈 민정음의 창제 배경을 살피기 위한 그간의 시도는 실로 다각적인 것이었다. 세 계 문자사와 우리의 문자사 즉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경험한 문자에 대한 이해라든가 당시의 음운학적인 내용이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으로 이야기되기도 하였으며, 정치·사회·문화적인 측면이라든가, 성리학·역학적인 측면 그리고 종교적인 측면 등도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으로 검토되었다.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에 대해서도 제가(諸家)의 학설은 다양하였다. 어리석은 백성들을 위한 것이라는 위민(爲民)에서 찾기도 하고, 한자음의 정리 와 발음기호로서의 표기를 위한 것이라거나 그동안 사용하여 온 차자표기의 대체가 그 동기 내지는 목적이었다고 보기도 하였다. 그밖에도 불교의 보급 목 적이라든가 악가(樂歌)의 표기를 위한 데에서 목적을 찾기도 하였다. 세종이 손수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는 명제는 이미 상식처럼 된 듯이 여겨 지기도 하지만, 훈민정음을 창제한 주체에 관한 의구심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 다. 국사만으로도 충분히 바빴을 세종이 실로 엄청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훈 민정음의 창제에 직접 관여를 할 수 있었겠는가 하는 것이 친제설(親制說)에 대한 의문의 출발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창제협찬설을 펴는 경우라고 하더라 도, 협찬에 관여한 인물과 협찬의 방식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 다. 세종이 직접 만든 것은 아니고, 학자들에게 명하여 만들었을 것이라는 설과 세종이 다른 이들의 협력을 얻어서 만들었다는 설이 그것이다. 협찬에 의한 것 이라는 주장의 경우에도 구체적인 협찬자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여, 왕실과 집 현전 학사 그리고 불교계 등 각기 다른 견해를 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다양한 견해에 대한 옳고 그름의 판단 작업이 우리의 새로운 과제로 남 겨진 셈이 되었다. 제시되었던 기존의 논의들이 각각 그만큼씩의 진실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그들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결론을 찾아나서는 것이 우리가 밟아가야 할 다음 여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