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불교 결사운동의 전개와 현대적 의의

        한성열(韓聖烈)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자기모순의 인식과 반성을 통한 개혁의 핵심이 불교의 결사(結社)이다. 특히 한국불교의 발전에는 결사운동이 뒷받침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불교는 교선일치(敎禪一致)를 과제로 한 결사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현대 한국불교의 방향타가 설정되었다. 그것이 봉암사결사와 상월선원결사로 이어졌다. 고려시대 중기에 결사운동이 일어나 불교계의 정화를 가져오기까지는 지눌(知訥)의 정혜결사(定慧結社)와 요세(了世)의 백련결사(白蓮結社)가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특히 고려 후기 진표(眞表)를 중심으로 한 미륵신앙이 흥기되고 무신난과 몽고의 침입으로 민중의 삶이 피폐하게 되면서 결사운동은 불교계 자정노력의 일환으로 시행되어 도탄에 빠진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즉, 뜻을 같이 하는 도반들이 불교 발전을 위해 사회정화운동 차원에서의 결사를 일으켜 실천적이고 능동적인 불교결사를 하였기 때문에 그 힘이 현대까지도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이라고 평가한다. 비록 정혜결사와 백련결사가 중앙이 아닌 전라도 지역이라는 변방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여파가 현대에까지 이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고려시대의 결사 운동이 갖는 논리적 사상체계를 재조명하여 불교사적 의의를 다시금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를 한국불교 결사의 전개를 다루면서 봉암사결사와 상월선원결사가 잇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Regarding the Buddhist association, the reform through the recognition and the self-reflection of the self-contradiction is the core.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Buddhism, the association movement has been the back support. Regarding the Buddhism in the era of Goryeo, which has been paid attention to in this research, the association which had the coincidence of the lines of the intersections as a task had been proceeded with. And, through this, the rudder of the modern, Korean Buddhism had been set up. That led to the Bongamsa and Sangwolseonwon association. Because the association movement had taken place in the middle period of the Goryeo era, until the purification of the Buddhist circle had been brought forward, the jeonghyegyeolsa of Jinul and the baekryeongyeolsa of Yose had played the pivotal roles.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with the maitreya faith that had Jinpyo at the center rising and with the lives of the people getting impoverished because of the Mushinran and the invasion by Mongolia, the association movement had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self-purification of the Buddhist circle, thereby endeavoring to rescue the people who had fallen into the distress. Or, in other words, because the like-minded dobans had engaged in the proactive, Buddhist association by causing an association on the level of the social purification move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m, I would like to evaluate that the power could be continued until the modernity, too. Although the jeonghyegyeolsa and the baekryeongyeolsa had taken place at the frontiers, which were the Jeolla-do regions, and not the center,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the aftereffects have been reaching the modernity, we must take a look at the Buddhist meaning again by re-illuminating the logical ideology system which the association movement during the Goryeo era had possessed.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associations and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Bongamsa and Sangwolseonwon association.

      • KCI우수등재

        고려후기 백련결사에 대한 재검토

        강호선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58 No.-

        After the 1970s, studies on Buddhism in the late Goryeo have maintained their focus on two Buddhist Communities, i.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Suseon Gyeolsa) and White Lotus Community (Baengnyeon Gyeolsa). Gyeolsa has been highly rated as reformist, popular, and regional movement of Goryeo Buddhism. Nowadays, however, criticism of such argument has been raised and this brings needs of re-research on Gyeolsa to the academia. Gyeolsa of late Goryeo was started in order to criticize Buddhism of those days, not to pursuit rebirth in pure land. Yose found his solution in the tradition of Tian-tai of Song period, not in Uicheon‘s Cheontae school. Most of researches have said Baengnyeon Gyeolsa chose easy practise for the public who had lower intellectual, practise level and ability. However, practise of Baengnyeon Gyeolsa was never easy, because Tiantai’s traditional meditation and method of repentance were not easy and faith of pure land was accepted in context of Tiantai faith and practise. Whether Baengnyeon Gyeolsa aimed at common people or not, it is clearly relevant that Gyeolsa was opened to low class people who lived in province and had lower intellectual. In addition, it was an important social phenomenon that young Confucian scholars who passed national examinations renounced world to Gyeolsa. Recent criticism that if we view late Goryeo Buddhism only focusing on Gyeolsa, it will mislead us to pass over various aspects of late Goryeo Buddhism is correct. Nevertheless, it is also clear that Gyeolsa was new attempts and efforts in the late Goryeo and, being the most notable Buddhist movement in the late Goryeo period, it is still the most important points to understanding Goryeo Buddhism. 고려후기 결사불교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시작된 이후 수선결사와 백련결사라는 양대결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결사의 성립, 전개, 변질은 13~14세기 불교사의 가장 중요한 흐름이었고, 고려후기의 결사불교는 개혁적이고, 민중적이며, 지방사회 중심의 불교라는 점에서 고려전기 개경 중심의 귀족불교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이해되었다. 그러나 최근 이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면서 결사불교를 다시 검토하는 계기가 만들어졌는데, 본 연구 역시 최근 제기된 반론을 계기로 요세의 결사불교를 사상과 시대라는 측면에서 다시 한번 검토하였다. 고려후기의 결사는 동아시아의 기존 결사와 달리 정토왕생에 대한 희구가 아닌 당시의 고려불교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다. 백련결사를 개창한 요세는 그 해결책을 송대 천태종의 수행전통에서 찾고자 했으나 의천에 의한 고려천태종 개창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 한편, 백련결사의 수행에 대해 하근기에 적합한 쉬운 수행을 택하여 대중적인 결사를 지향했다고 이해하여 왔으나 이보다는 하근기까지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 즉, 결사의 저변이 넓었던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전통적인 천태의 지관과 참법을 택한 백련결사의 수행법을 “쉬운” 수행이라 보기 어렵고 정토왕생 역시 천태의 신앙과 수행의 맥락에서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고려후기 결사불교 이해에서 “업유자(業儒者)” 출가의 중요성은 이들의 사회계층의 문제보다는 이 시기 두드러지게 결사불교에만 나타나는 과거급제자의 출가라는 점에 있고, 이후 결사가 중앙의 무신정권과 연결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 있다. 결사불교 중심의 고려후기불교사 이해는 고려후기 불교의 다채로운 흐름을 사장시킬 수 있다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결사는 고려후기 불교에 나타나는 새로운 시도이자 노력이며, 당시 고려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불교였다는 점에서 여전히 고려후기 불교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요소임은 분명하다.

      • 중국(中國) 민간(民間) 불교결사(佛敎結社) 형성의 역사적(歷史的) 배경 고찰

        김한신 ( Kim Han-sh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중국 향촌사회의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 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다양한 명칭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 고유의 행사인 齋會와 중국의 전통적인 관습질서인 春秋二社의 社를 매개로 하여 형성되었다. 대단히 이질적인 성격의 두 요소들이 결합된 형태로 등장하게 되는 민간 불교결사는 당대에 이르러 국가권력의 통제 대상으로 주목될 정도로 크게 성장하였다. 당왕조는 처음에는 민간 결사에 대해서 금지시키려고 하였으나 이후 점차 향촌지배를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송대에 접어들어 민간의 불교결사는 더욱 크게 확산되었고, 이는 송왕조의 종교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교단불교에 대한 당왕조 시기의 간헐적인 탄압과는 달리 송왕조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통제정책 즉 승려에 대한 도첩의 발행과 불교 사찰에 대한 사액을 통해서 단불교를 적극적으로 통제하였다. 송왕조의 불교 통제 정책으로 인하여 교단불교는 그 교세가 정체 내지는 축소된 반면에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당시 상업의 발전으로 인한 기층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크게 활성화되었다. 주로 조상기나 몇몇 중요한 승려들에 대한 기록들을 통해서 부분적인 모습만 알 수 있었던 민간불교결사는 송대에 이르러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송조정은 민간불교 결사에 대해서 그 탈법적인 측면을 경계하고 있었지만, 『夷堅志』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자료들은 민간불교결사가 일반대중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전해주고 있다. 특히 송대에 이르면 이전에 비해서 규모가 크게 확대된 형태의 민간결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국가권력은 이러한 대규모 민간결사의 위험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면서 통제하려고 노력하였다. 비록 중국의 민간불교결사는 전통적인 시각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이는 국가권력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다. 반면에 여러 다른 사료들을 통해서 볼 때, 그 실제적인 모습은 상당히 평화로운 종교적 모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중국 향촌 사회의 관습적인 질서 속에 강력한 기반을 갖고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국가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통제 속에서도 더욱 크게 번성하였던 것이다. The lay Buddhist societies in Chinese local communities are originated both from the traditional Buddhist rituals like upavasatha(齋會) and from the traditional folk religious practices like the spring and autumn festivals(春秋二社). The lay societies of Buddhism had been formed even when the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China. However, they had been clearly show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since the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The lay societies gathered to have religious events such as chanting Buddhist prayers or presenting offerings to Buddha. In addition, they sometimes raised funds for building the Buddhist Statues or inscribing Buddhist texts on the stone stele. In the early period of the history of the Buddhist societies, most of them were led and assembled by Buddhist monks or Buddhist monasteries. However, the societies led mostly by lay people began to be overwhelmed from the Tang period. When the Great Anti-Buddhist Persecution of Huichang(會昌廢佛)(845) occurred, the institutional Buddhism(敎團佛敎) took the brunt of sharp decrease of Buddhist clergies and temples, while the lay socie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were scarcely affected and even became more prosperous. Song dynasty aimed to fully control the Buddhism through bestowing the official plaques or issuing the identification cards of monks which is official permit to become a monk (nun) and join a monastery. As a result, the monasteries and monks of the institutional Buddhism were systematically controlled. At that time, however, since the lay people enthusiastically involved themselves in the Buddhist ritual practices, the lay Buddhist societies could attract a large amount of believers and grow up to be major religious groups. The Chinese Dynasties had conventionally taken a stand against the popular religious assemblies like the lay Buddhist societies. However, the lay Buddhist societies had actually been neither the rebellious secret societies nor the licentious assemblies. In addition, they had peacefully coexisted with the state power at all times. Although the state power had assailed the lay Buddhist societies with a negative stereotyping of the societies, we need to take a true perspective on them beyond the face valu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which were mainly written with conventional perspectives.

      • KCI등재

        中國 民間 佛敎結社 형성의 歷史的 배경 고찰

        김한신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8 사총 Vol.95 No.-

        The lay Buddhist societies in Chinese local communities are originated both from the traditional Buddhist rituals like upavasatha(齋會) and from the traditional folk religious practices like the spring and autumn festivals(春秋二社). The lay societies of Buddhism had been formed even when the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China. However, they had been clearly show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since the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The lay societies gathered to have religious events such as chanting Buddhist prayers or presenting offerings to Buddha. In addition, they sometimes raised funds for building the Buddhist Statues or inscribing Buddhist texts on the stone stele. In the early period of the history of the Buddhist societies, most of them were led and assembled by Buddhist monks or Buddhist monasteries. However, the societies led mostly by lay people began to be overwhelmed from the Tang period. When the Great Anti-Buddhist Persecution of Huichang(會昌廢佛)(845) occurred, the institutional Buddhism(敎團佛敎) took the brunt of sharp decrease of Buddhist clergies and temples, while the lay socie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were scarcely affected and even became more prosperous. Song dynasty aimed to fully control the Buddhism through bestowing the official plaques or issuing the identification cards of monks which is official permit to become a monk (nun) and join a monastery. As a result, the monasteries and monks of the institutional Buddhism were systematically controlled. At that time, however, since the lay people enthusiastically involved themselves in the Buddhist ritual practices, the lay Buddhist societies could attract a large amount of believers and grow up to be major religious groups. The Chinese Dynasties had conventionally taken a stand against the popular religious assemblies like the lay Buddhist societies. However, the lay Buddhist societies had actually been neither the rebellious secret societies nor the licentious assemblies. In addition, they had peacefully coexisted with the state power at all times. Although the state power had assailed the lay Buddhist societies with a negative stereotyping of the societies, we need to take a true perspective on them beyond the face valu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which were mainly written with conventional perspectives. 중국 향촌사회의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 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다양한 명칭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 고유의 행사인 齋會와 중국의 전통적인 관습질서인 春秋二社의 社를 매개로 하여 형성되었다. 대단히 이질적인 성격의 두 요소들이 결합된 형태로 등장하게 되는 민간 불교결사는 당대에 이르러 국가권력의 통제 대상으로 주목될 정도로 크게 성장하였다. 당왕조는 처음에는 민간 결사에 대해서 금지시키려고 하였으나 이후 점차 향촌지배를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송대에 접어들어 민간의 불교결사는 더욱 크게 확산되었고, 이는 송왕조의 종교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교단불교에 대한 당왕조 시기의 간헐적인 탄압과는 달리 송왕조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통제정책 즉 승려에 대한 도첩의 발행과 불교 사찰에 대한 사액을 통해서 단불교를 적극적으로 통제하였다. 송왕조의 불교 통제 정책으로 인하여 교단불교는 그 교세가 정체 내지는 축소된 반면에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당시 상업의 발전으로 인한 기층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크게 활성화되었다. 주로 조상기나 몇몇 중요한 승려들에 대한 기록들을 통해서 부분적인 모습만 알 수 있었던 민간불교결사는 송대에 이르러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송조정은 민간불교결사에 대해서 그 탈법적인 측면을 경계하고 있었지만, 『夷堅志』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자료들은 민간불교결사가 일반대중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전해주고 있다. 특히 송대에 이르면 이전에 비해서 규모가 크게 확대된 형태의 민간결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국가권력은 이러한 대규모 민간결사의 위험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면서 통제하려고 노력하였다. 비록 중국의 민간불교결사는 전통적인 시각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이는 국가권력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다. 반면에 여러 다른 사료들을 통해서 볼 때, 그 실제적인 모습은 상당히 평화로운 종교적 모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중국 향촌 사회의 관습적인 질서 속에 강력한 기반을 갖고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국가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통제 속에서도 더욱 크게 번성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자성(自省)과 쇄신(刷新) 결사’에 대한 고찰 - 성립가능성과 수행을 중심으로 -

        김호성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2011년 1월 26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자성과 쇄신 결사“를 선언하였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5대 결사를 선언하였다. 이는 사실상 종단 전체가 결사체(結社體)가 되었다는 점에서, 결사운동의 역사에서 볼 때 새로운 하나의 시도로 보였다. 과연 결사라고 할 수 있는가? 이러한 의구심 역시 적지 않게 일어난 것이 사실이다. 이 글은 먼저 이러한 의구심으로부터 출발하여 과연 자승 총무원장이 선언한 “자성과 쇄신의 결사”가 결사일 수 있는지를 검토한 디에, 특별히 수행결사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우선 종단이 곧 결사라는 것은 종래 불교사에서 볼 수 있는 결사와는 다른 것이었다. 종단 안에서 종단의 어떤 문제를 극복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결사였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종단=결사’라고 하는 것은 결사의 종래 정의와는 맞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즉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종단결사는 결사라기 보다는, 오히려 결사의 해체라고 보아야 할 것이었다. 즉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자성과 쇄신 결사”는 결사라 할 수 없는 결사(卽非結社)일 뿐이었다. 그렇지만 결사를 형식보다는 그 정신에서 찾는 관점에서 볼 때, “자성과 쇄신 결사”는 결사라 이름할 수 있는 것(是名結社)로 보였다. 왜냐하면 그것은 템플스테이 예산 삭감 등의 문제로 불거지면서, 종단이 정부와의 정치적 유착관계를 단절하고 경제적으로도 독립적으로 운영해 나가고자 했던 선언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적어도 2011년 1월 26일 발표된 총무원장의 「담화문」은 탈권력의 자주불교와 자생불교의 선언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다만 그것이 앞으로 어떻게 지켜질 것인가 하는 점은 차후 이 결사를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5대 결사 중에서 수행결사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서는 사실 아직도 준비중이라 할만큼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침서』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윤리적인 수행법만을 제시하고 있다. 오계, 자자, 포살, 청규 등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이런 점은 한편으로는 윤리가 곧 수행의 출발점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윤리적(倫理的) 수행 내지 윤리즉(倫理卽) 수행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렇게 중심적인 수행법이 종단차원에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어떻게 보면 대한불교조계종은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어떤 하나의 수행법을 선택한 뒤, 그것만을 전수(專修)하는 종파불교적 정체성을 갖는다기 보다는 어떤 수행법이든지 근기에 맞게 실천하면 된다는 회통불교적 정체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서 수행결사는 중심없는 수행을 통하여, 궁극에는 결사의 해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었다. 결사의 궁극적 목적은 결사의 지속이 아니라 결사가 무용한 상황의 창조에 있다는 점에서 일단 “자성과 쇄신 결사”는 그 나름으로 큰 의미를 갖는 사건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평가는 1월 26일에 선언된 「담화문」 자체에 대한 평가일 뿐, 그 이후의 전개과정을 다 넣어서 평가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추후의 또 다른 평가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런 평가에서도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 결사로 기록되고 평가되기를 기대해 본다. 그렇게 된다면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결사여부에 대한 시시비비는 모두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Ven. Jaseung(慈乘), the President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released on January 26, 2011, an essay entitled “Statement: The Association for Self‐Reflection and Renovation.“ It was a surprising fact that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tself suggested the association. Moreover, the statement analyzed and self‐examined that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lost independence from government power, and consequently Buddhism is mired in crisis. With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he suggested “the order is not dependent on political power and let pursuit the way of self‐reliance and self‐esteem.” More specifically, the order has to be independent on the matter of financial aid from the government. The statement came after the government cut the budget for the temple stay programs last December. Even the associations soured over budget cutbacks to the temple stay programs from the government, and one of the purposes of the association is to be protected by the national culture. It could be possible, according to social circumstances, that the order may be dependent on some government funding and lost the spiritual aim to pursue Buddhism for oneself. Six months after the statement, Ven. Jaseung had a media day and announced on June 7, 2011, “We will normalize the rel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seek a solution for traditional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nd dialogue. We will return to the basic principles of harmony to find a solut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e order has accepted governmental support, and carried out its aim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culture while pushing ahead with the revisions of the laws related to the traditional temples and cultural heritage. The order also still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nd the order has pursued a campaign of reform from early this year. As I have already pointed out, there is a still a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and the order could go back to the relationship as “strange cohabitation” with regard to the budget, and each other will be using it for its own benefit. If so,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could be diluted and finally could remain as a mere form. I would expect that the head of the order should lead directly and effectively, and the Association, during the remainder of the period, will see the good result of the Association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 did not deal the whole of the processing of the Association because the Association, as of October 31, 2011, is currently still going on during its nine months. For instance,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and data collections. More importantly, I would emphasize the foundational spirit of the Association: that the order wanted to pursue the independence of Buddhism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politics and the autonomy of Buddhism in terms of economic matters. Even though there are a lot of unexpected situations regarding the Association, I would estimate that the Association will be meaningful when the processes are going to harmonize all of its members. Next, I explore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Association, and the meditational practice of the Association. This practice should be re‐estimated from a new perspective. From the practice association, I think the practical platform suggest two parts. The first is the aspect of ethical behaviors regarding mediation in the everyday life. The keywords of Korean Buddhism for practices such as the five precepts and the three refuges are nothing but the messages characteristic of ethical behaviors. In addition, these ethical forms are eventually the foundation of all meditational practice. These ethical forms are apart from political powers. The second one is “one practice in one day” will be result in the most tremendous practice that will overcome, in my mind, problems of sect Buddhism in Korean Buddhism.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should pursue the synchronization of all Korean Buddhism in terms of the frame of Korean Buddhism by rejecting of the limited perspective that the Order has to focus on the Jogye Order. I would hope that when the Order, as the leader of Korean Buddhism, maintains a stance with catholicity and self‐retrospection in society and history in Korea,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will sincerely carry a great weight.

      • KCI등재

        근대 불교계의 보조지눌에 대한 인식과 계승

        김경집(Kim, Kyung-Jib)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보조지눌의 송광사 정혜결사 이후 그의 수행과 저술은 당대는 물론 현재까지 계승되면서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가운데 근대에 이르러 보조지눌의 인식은 남달랐다. 조선후기 배불정책에서 벗어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서구문물에 힘입어 자강의식이 고조되면서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대해 인식이 생겨났다. 그런 경향은 한국불교사와 불교계에 많은 영향을 준 인물들을 정리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런 평가 가운데 보조지눌은 누구보다도 한국불교 중흥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그의 사상과 실천 또한 근대 불교계의 수행 정립과 도제양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먼저 불교인 스스로 불교역사와 인물을 정리한 근대 불교사서 속에 나타난 보조지눌의 서술과, 그리고 근대 불교학 연구자에 의해 축적된 불교사학 속에 나타난 보조지눌의 시대적 위상과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불교인 스스로 수행을 진작시킬 때 보조지눌의 정혜결사를 어떻게 수용하고 계승하였는지, 그리고 새롭게 형성된 불교계의 후진 양성을 위해 보조지눌의 저술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런 연구결과 근대 편찬된 불교사서의 보조지눌의 서술은 보조국사비의 내용을 답습하는 양상이었지만 그런 과정에서도 찬자들은 보조지눌을 한국불교 조계종의 개조로 보았고, 이는 앞서 구산선문을 계승한 것이며 이후 한국불교 조계종의 본령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불교계에 근대적 교육이 도입되면서 시작된 불교사학은 보조지눌에 대한 역사적 위상을 서술하기 시작하였다. 그런 평가에 의하면 보조지눌은 고려후기 불교계의 혼란과 침체에서 조계선풍을 진작시켜 독립의 종을 연 중흥조이며, 이런 보조지눌의 종지는 禪門의 참학자들이 계승하여 조계종풍이 모두 부흥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근대 보조지눌의 정혜결사는 경허와 한암의 결사운동에 잘 나타나고 있다. 경허는 조선조의 배불정책에서 법맥이 상실되었던 때 보조지눌의 사상을 계승하여 한국 근대불교를 중흥시켰고, 한암은 건봉사에서 보조지눌의 사상을 바탕으로 결사운동을 펼쳐 한국 근대불교의 실천방향이 명실상부 보조지눌의 계승이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보조지눌의 저술 가운데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와 『계초심학인문』은 근대 강원교육에서 꾸준히 강학되었다. 그리고 『수심결』, 『진심직설』, 『정혜결사문』, 『간화결의론』은 선수행의 지침서로 발간한 『선문촬요』에 수록되어 수행자의 지남이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이 경허에 의해 범어사에서 간행된 것으로 볼 때 선풍진작운동과 관련이 깊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지눌 인식과 계승을 살펴볼 때 보조지눌의 사상과 저술은 한국 근대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Ven. Boinul performed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at Songgwangsa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His ideas and writings have been inherited to this day and greatly influenced Korean Buddhism. Joseon Dynasty began a friendly policy toward Buddhism The modern times. Western literature came from outside and people s self-consciousness has increased. Korean Buddhists began to think about their identity. Buddhists began to organize the people who influenced Korean Buddhism. Modern Buddhists chosed the Ven. BojoJinul as a person who influenced Korean Buddhism. His ideas and practices had a great influenced on modern Korean Buddh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Modern Buddhists summarized history and monks. This is the history book of Korean Buddhism. The writers regarded the Ven. BojoJinul as a great monk. Modern Buddhist scholars also evaluated the Ven. BojoJinul. They were concerned with the role of the assistants in their time. They were interested in the succession of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 and his writings that influenced the Korean Buddhist world. They thought that the Ven. BojoJinul was an important monk in Korean Buddhist Jogye-Order. They thought the Jogye-Order flourished by the Ven. BojoJinul. The evaluation of the Ven. BojoJinul of modern Buddhist history is similar. He is a contributor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Ven. BojoJinul’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 was re-executed by the Ven. Kyung-heo and Hanam in modern times. His writing was used as a textbook for the modern monk. In this regard, the Ven. BojoJinul had a great influence in establishing Korean modern Buddhism.

      • KCI등재

        봉암사 결사와 그 불교사적 의미

        이종수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8 No.-

        The Bongamsa Association, led by Buddhist monks Sŏngch’ŏl and Chungdahm, was started in the fall of 1947 as a way to live under Buddhism law and teaching. However, Sŏngch’ŏl left Bongamsa in the fall of 1949 when North Korean partisans invaded. That is when even Bongamsa plunged into war. Furthermore, the association eventually remained unfinished because many Buddhist monks left Bongamsa in the spring of 1950.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has strongly influenced Buddhism. Of the Buddhist monks who participated in the Bongamsa association there were four principal leaders of the Jogye Order and seven executive chiefs. The background of the Bongamsa Association could be the restoration of performance customs in Korean Buddhism, rejection of Japanese Buddhism, thorough practice asceticism of Sŏngch’ŏl, social religious belief, etc.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performance customs, there is referenced the System of Angeo of the three Kingdom period, performance customs of the Goryo and Joseon dynasties and practice asceticism of Buddhists in the Joseon dynasty as the background. Moreover, there is a narrated rejection of Japanese Buddhism in terms of mee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There is also written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as practice asceticism of Sŏngch’ŏl, and about sponsors of believers as the background of social religious belief.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Bongamsa Association are written in six parts. There are three positive aspects as the former and three negative aspects as the latter. First, there is written recovery of the Buddhist priesthood precepts. Second, the focus is on restoration of performance custom in Korean Buddhism. Third i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Buddhism identity focused on Ganhwaseon. Fourth, there is the written prelude of the Order schism (the Jogye Order and the Taego Order). Fifth is the tendency of education and scholarship contempt caused by excessive virtue. Sixth is the negligence of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Korean Buddhism. 봉암사 결사는 “부처님 법대로 조사님 가르침대로” 살아보자는 취지에서 성철 스님과 청담 스님이 주도하여 1947년 가을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빨치산이 봉암사까지 침범하여 전쟁으로 치닫던 1949년 가을에 성철 스님이 봉암사를 먼저 떠나고, 그 이듬해 1950년 봄에 청담 스님을 비롯한 스님들이 봉암사를 떠나면서 결사는 미완성으로 끝나고 말았다. 하지만 그 결사의 정신은 지금까지도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봉암사 결사에 참여했던 스님 중에 조계종의 종정 4명과 총무원장 7명이 배출되었다. 봉암사 결사의 배경으로는 한국불교 수행전통의 복원, 왜색불교의 배격, 성철 스님의 투철한 수행정신, 사회적 불교 신앙 등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수행전통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는 삼국시대 이래의 안거 제도, 고려·조선시대의 수행전통, 조선시대 승려의 수행 정신을 그 배경으로 언급하였고, 왜색불교 배격에서는 시대적 요청의 부응이라는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그리고 성철 스님의 수행정신으로서는 돈오돈수를 들었고, 사회적 불교 신앙의 배경으로는 신도들의 후원에 대해 서술하였다. 봉암사 결사의 불교사적 의미에 대해서는 여섯 가지로 서술하였다. 먼저 긍정적인 측면 세 가지를, 뒤에 부정적인 측면 세 가지를 언급하였다. 첫째 승가 계율 정신의 회복, 둘째 한국불교 수행전통의 복원, 셋째 간화선 중심의 한국불교 정체성 확립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넷째 조계종과 태고종으로 갈라지게 되는 종단 분열의 서막, 다섯째 지나친 선 중심으로 인한 교학 경시 풍조, 여섯째 한국불교 전통문화의 보존 소홀에 대해 서술하였다.

      • KCI등재

        불교의 생명평화 사상과 운동 - ‘생명평화결사’와 『생명평화경』 그리고 ‘생명평화 백대서원 절 명상’

        김석근(金錫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No.-

        불교는 기본적으로 생명과 평화를 중시하는 자비의 가르침이며, 모든 살아있는 존재, 일 중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유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사생(四生)과 육도(六道) 관념을 통해서 구체화되고 있다. 인간의 위상을 상대화되며, 생명체는 행위[업]에 따라 ‘육도’를 윤회하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생명평등’이라는 열린 비전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육도의 중생이 모두가 다 너의 여러 생에 걸친 부모”라는 데 이르게 된다. ‘생명평화 결사’의 정신은 그 「서약문」에 잘 나타나 있으며, 생명평화 무늬(로고)가 상징해주고 있다. 나아가 생명평화의 대동세상이라는 이상세계를 제시해준다. 생명평화는 새롭지만, 그 정신은 불교의 근본 교리와도 통하는 것이다. 결사라는 용어는 불교의 개혁, 혁신운동이라는 지향성을 지니고 있다. 『생명평화경』은 생명평화의 ①세계관, ②사회관, ③ 인간관, ④수행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그것은 불교 혹은 불교적인 사유만을 고집하지 않는다. 『화엄경』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동학, 원불교, 동양철학 등의 공통적인 세계관, 현대 과학이 제시하는 공통적인 세계관, 역사 경험으로 터득한 공통적인 세계관의 정신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했다. 이웃 종교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생명평화 백대서원 절 명상’은 생명평화를 온전하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백가지 서원을 절하면서 하나하나 깊이 생각하고 또 음미하는 것이다. 지극한 정성을 다하여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도록 절하면서 명상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우리의 몸과 마음의 병, 그리고 현실적 삶의 문제를 치유하고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생명평화 수행론’이라 할 수 있겠다. 이들은 불교의 근본정신을 따르면서도 시대와 상황에 맞게, 현재의 언어로 부처의 말씀과 가르침을 설한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불교에서의 ‘전통’과 ‘혁신’이라는 계기를 생각해볼 수 있게 해준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view Buddhism"s Life Peace thoughts and movements. First, I am going to summarize Buddhism"s idea of Life Peace, and then examine the ‘Life Peace Association’, Life Peace Sutra, and ‘Bow Meditation of Life Peace One Hundred Wishes’ as contemporary examples. In the case of Buddhism, it is basically a teaching of mercy that values Life and Peace,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teaching for all living beings and all people. It is embodied through the ideas of ‘Sasaeng’[The four forms in which living things are born], ‘Yukdo’[Six Worlds: hell, monkfish, animal, sura, human beings, heaven], and ‘Samsara’[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ccording to Buddhism"s view of time, We can imagine and obtain an open vision of ‘Life Eequality’. The spirit of ‘Life Peace Association’ is well expressed in the Life Peace Pledge, and the Life Peace Logo symbolizes it. Furthermore, it presents an ideal world called ‘Daedong World of Life Peace’. Life Peace is new, but its spirit is also connected to the fundamental doctrine of Buddhism. The term ‘Association’ has the orientation of Buddhism"s reform and innovation movement. The Life Peace Sutra consists of the World View, Social View, Human View, and Practice asceticis of Life Peace, and they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ife Peace Sutra does not insist on only Buddhism or Buddhist theory. It is unique that it comprehensively reflected the common worldviews based on the reality of existence such as Buddhism, Christianity, Islam, Hinduism, Donghak, Won Buddhism, and Eastern philosophy, modern science, and etc.. It also shows an open attitude toward neighboring Religions. ‘Bowing Meditation of Life Peace One Hundred Oaths’ is to think deeply and savor each one while bowing and meditating the One Hundred Oaths to make Life Peace intact. We think that we can heal and solve the problems of our bodies and minds and real life by choosing "a way of bowing and meditating so that the body and mind become one with extreme sincer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theory of performing Life Peace. While following the fundamental spirit of Buddhism, they may be seen as preaching the words and teachings of Buddha in the current language according to the times and circumstances. It allows us to think of the momentum of "Tradition" and "Innovation" in Buddhism.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교미술의 조성사상

        한지연 ( Jee Yeon Ha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조선후기 산문중심의 불교에서 지향했던 정통성 수립과 왕실의 능침사찰화는 유교적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있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것과 동시에 신앙적 차원이 고양된 것이 내포되어 있다. 교단 내에서의 이와 같은 움직임은 사찰의 중건, 불상 및 불화의 새로운 제작 국면을 맞이하게 됨으로써 사상적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교단 내부의 정통성 수립에 치중하던 이러한 움직임과는 달리 민간이 주도적으로 불교를 이끌어가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민간 주도하의 불교는 주로 고려시대로부터 이어져온 結社의 맥이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결사에 사용될 불교전적을 새롭게 편찬하는 작업도 이루어져 조선후기 불교발전의 또 다른 양상을 도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민간 주도의 불교발전에 따라 의례부분도 상당히 강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불교 역사 상 굽타시대와 비견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조선후기 불교와 불교미술이라 생각된다. 불교사상은 급격하게 쇠락하고 민간신앙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민간의 적극적인 불교참여활동이라는 측면은 인도 굽타시대, 불교사상보다는 민간에서 종교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된다는 측면과 흡사한 부분이다. 표면적으로 불교교단이 쇠락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미술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한다는 부분에 있어서도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조선후기 불교사와 불교미술 발전의 측면을 동시에 조명 하는데 주력했으나, 두 가지 측면을 함께 조명한 연구성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시론적 입장에서 전개된 논문이다.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the artistic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order tri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and to find a way to survive by making Lingqinfocha(陵寢寺刹). The religion suppressed by the social order based on Confucianism needed to inspire the religious level. What the order did in the society at that time could not bring out ideological development. However the need of remodelling of the religious facilities consequently made outstanding progress on the religious art such as statues, paintings and temples. Buddhism among people had been gone on through the associations. As they had made progress with scriptures, the religious ritual formation became stronger. In this way, Buddhism in the late Joseon and that in the Gupta period are very much alike. Both in Gupta era and in the late Joseon, the religion connected with folk believes was flourishing among people when the doctrines were getting weakened. As a result, in both period, the changes of its statues became a turning point in Buddhist art history. However this research is introductory for its inadequate result of focusing on both the religious history and its artistic develop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과 전망

        김경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3

        The social activity of Korean Buddhist believers in Korea began in modern times. It was to check the Japanese Buddhist missionary activity and Christianity from the West in Korea. The Korean Empire established a Jonggyohoe in Anyangam outside Dongdaemun. Jonggyohoe were organized in central and provincial areas but it was abolished in 1904. Around 1910, a group was held to check Christianity and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m was also established.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Buddhist Women's Association were unique. A new Jaegabulgyoundong began in the 1960s. At first, groups not related to the denomination were active. After that, groups belonging to the denomination were active.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modern Buddhism. Furthermore, Korean Buddhism played a major role in democratization.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Korean Buddhism, which relies on the power of public power, was dealt with. Criticized the social reality and promoted Buddhist reform. In the 1990s, Korean Buddhist believers began their own Buddhist movement. The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Buddhism. They showed an active interest in solving social problems. It was critical of the denomination to break the Vinaya. 한국의 재가불자의 활동은 근대 형성되기 시작되었다. 계기는 한국에 진출한 일본불교의 포교활동과 외부에서 유입된 타종교의 견제가 주된 목적이었다. 대한제국은 일본불교를 견제하기 위해 동대문 밖 안양암에 종교회를 두었다. 중앙에 임원을 두고 지방 각 도의 조직을 관장하였다. 그러나 관리서가 1904년 1월 폐지되면서 근대적인 재가불교운동도 막을 내렸다. 근대 불교계에서 자발적인 재가불교운동이 일어난 것은 1910년 전후한 무렵이다. 사찰을 중심으로 타종교인 예수교에 대한 대항, 불교진흥과 공부를 위한 목적, 그리고 지역불교 발전을 위한 목적이었다. 이런 활동은 재가불교의 힘을 성장시켰고 그 역량이 사회활동에 이르게 되었다. 이 가운데 불교부인회는 어려운 환자나 걸인 그리고 어려운 재난을 당한 이재민들을 위한 자선사업을 전개하여 많은 호응을 얻었다. 한국 현대불교에서 재가불교운동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이다. 처음에는 종단과 관련되지 않고 모임이 결성되어 독자적인 활동을 벌였다. 그 후 1962년 4월 통합종단 이 설립되고 신행단체를 육성하면서 전국신도회, 대한불교청년회, 그리고 대학생불교연합회 등 종단관련 재가불교운동이 본격화 되었다. 이런 재가불교운동은 한국 현대불교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80년대 민중불교를 태동시키는데 가교 역할을 하였다. 1980년대 재가불교운동은 80년 사원화 운동, 1983년 전국청년불교도연합대회, 그리고 1985년 재가와 승가의 연합인 민중불교운동연합으로 이어지면서 불교의 자주화와 반독재민주화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젊은 불자들에 의해 공권력에 의존하는 한국불교의 모습을 척결하고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과 불교계의 개혁과 반성을 지향하는 운동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1990년대는 재가자만의 독자적인 불교운동이 형성된 시대였다. 불교의 내적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종단에 대한 비판적 역할도 잊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