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지역 마을굿의 분포 양상과 지역적 특징

        김월덕(Kim Wol-Duk)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2 No.-

        본 논문은 그동안 전남과 전북에서 각각 이루어져 온 마을굿 조사와 연구 성과를 통합하고, 거시적 관점에서 호남지역 마을굿의 분포 양상과 지역적 특징을 조망해 본 결과이다. 호남지역 마을굿은 제의와 풍물굿으로 이루어지는 ‘당산제’가 호남지역에 전반적으로 분포하는 가운데, 비슷한 자연ㆍ인문적 환경 조건 속에서 역사와 문화를 공유해온 각 권역별로 마을 수호신의 신격 분화에 따라 제의의 중층 구조가 형성되고, 집단적 대동놀이가 결합되기도 하면서 호남지역의 마을굿은 다양한 형태들이 공존하고 있다. 시군별로 지역적 형평성을 고려하여 추출한 마을굿 표본 사례들을 중심으로 호남지역 마을굿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중심 제의와 놀이, 연행 시기, 주요 사제 및 연행자, 연행 방식 등의 측면에서 호남지역 마을굿의 전반적인 특징과 권역별로 드러나는 다양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호남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당산제는 유교식 제사와 풍물굿의 유기적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의와 놀이의 전 과정에서 풍물패가 전면에 나서서 진행을 주도하거나 뒤로 물러나면서 전체 과정을 이끌어 간다.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 볼 때 호남지역의 마을굿에서 풍물굿이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연행 시기는 정월 대보름 전후로 집중되어 있다. 호남지역은 세습무 지역에 속하지만 마을굿에서 무당의 역할을 미약하다. 호남지역 마을굿에서는 제의만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제관과 함께, 연행자로서 제의와 놀이를 모두 담당하는 풍물패의 역할이 중요하다. 연행 방식은 제의와 풍물굿과 대동놀이가 일정한 패턴으로 결합되며 마을굿의 양상이 다양하게 전개된다.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호남지역 북동부 산간지역 마을굿이 다른 권역과 구분 되는 특징은 ‘산(신)제’의 분포에 있다고 할 수 있고, 풍물굿으로 하는 놀이 이외에 대동놀이로서 보편적으로 하는 놀이는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 서부 평야지역의 마을굿의 중요 제의는 ‘당산제’와 ‘천룡제’이다. 천룡신은 주로 마을 뒷산 주령에 위치하는데, 이처럼 산신의 위치를 잠식하면서, 당산신과 평야지역 제의의 중요 대상신으로 공존한다. 농경문화의 핵심지역인 평야지역에서는 지신이자 마을 수호신인 당산신에 대한 제의와 강우신이자 우순풍조를 담당하는 천룡신에 대한 제의를 행하여 마을 수호와 함께 풍농을 기원한다. 평야지역의 마을굿에는 줄다리기와 같은 역동적인 대동놀이가 발달해 있고, 제의와 줄다리기가 일체화되어 있다. 동남부 중간지역은 동북부 산간지역과 서부 평야지역의 중간지역으로 두 지역의 특성이 공존한다. 서부 평야지역처럼 당산제가 널리 분포하고 천룡신에 대한 제의가 나타나지만, 천룡신의 성격은 평야지역보다 미약하고 대동놀이도 발달하지 않았다. 아울러 산간지역의 탑제가 중간지역까지 분포해 있다. 산간지역 마을굿의 특징적 제의 형태가 ‘산제/산신제’라면, 해안ㆍ도서지역의 특징적 제의 형태는 ‘용왕제/갯제’이다. 용왕제가 다른 제의들과 중층적 구조를 이루는 양상을 보이며, 다른 권역에 비해 무속의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n aspect of the distribution of Maeulgut in Honam and the regional features. We can tell that there are overall features and features by each area in the view of a distribution chart of Honam Maeulsgut which is drawn as a result of sampling them. Dangsanje is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Honam region. Dangsanje is an organic combination of a Confucian service and Poongmulgut. Poongmul performers lead the whole sequence of ritual and play in Honam Maeulgut by taking the lead in it or backing up somewhat. The position and proportion of Poongmul-gut in Honam Maeulgut are very high compared with other regions. The timing of performing Maeulgut concentrates before and after January 15th of the lunar calendar, reflecting the cultural feature of Honam region as a well-cultivated region. The position of shaman is not that important in Honam Maeulgut even though Honam is an area of Seseupmu, a kind of shaman whose role is usually hereditary. Priests who are selected by habitants of the village and Poongmul performers who lead the whole process of ritual and pla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onam Maeulgut. Honam Maeulgut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attern which consisrs of a Confucian ritual and Poongmulgut. The features of Maeulgut of Honam region by each a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ortheast area of the mountains of Honam is marked by San(sin)je (a religious service for the mountain god). Secondly, the ritual part of Maeulgut in the western field areas of Honam region combines Dansanje with the united play such as drawing a rope of straw. Thirdly, Cholryongje which is equivalent to San(sin)je of the mountainous areas is found out in the western field area of Honam and the southeast area. Fourthly, Yongwangje (a religious service for the sea god) or Gatje is an important ritual in the seaside districts and islands of Honam region and consists of a multi-layered ritual structure.

      • KCI등재

        천수만에 도래하는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의 변화

        유승화 ( Seung Hwa Yoo ),김준범 ( Jun Beom Kim ),김인규 ( In Kyu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6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변화에 대한 연구를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천수만 부남호와 간월호에서 실시하였다. 기러기류는 주간에 주로 농경지에 분포하였으며, 해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격자별 최대개체수를 이용한 분포도에서, 농경지에서 관찰된 기러기류는 부남호와 간월호 지역 모두 면적이 넓은 지역에 대한 분포비율이 높았다. 특히, 잠자리지역인 저수지와 가까운 지역의 취식비율이 높았다. 기러기류의 주간 취식지는 부남호와 간월호 모두 초기 10월에는 잠자리 지역인 저수지 인근 농경지를 이용하였지만, 월동 중기 1월 이후에는 잠자리에서 먼 지역을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월동말기인 3월에는 개체수 규모가 크게 줄어들고 잠자리에서 먼 지역의 농경지를 더 높은 비율로 이용하였다. 저수지에서 가까운 1㎞이내 지역의 평균 개체수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았다. 월동초기(10~11월)에는 저수지 인근지역이 취식지로 선호되었지만, 12~1월 그리고, 2~3월로 갈수록 평균 서식개체수의 차이가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이내의 격자지역은 초기에 매우 높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차차 감소하여 2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반면, 저수지로부터 2㎞이상 떨어진 지역은 초기에 매우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점차 증가하여 1월말에 최대 이용률을 보이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1㎞이상 2㎞미만에 해당하는 지역은 초기에 2㎞이상지역보다 이용률이 높고, 1㎞미만의 지역보다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11월까지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러기류의 취식지 선택이 잠자리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으며, 취식무리의 체류 시간에 따라서 먹이량이 감소하여 취식지 선택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deals with feeding site distribution aspect and seasonal distribution change of the wintering geese in Cheonsu bay and reclaimed area from October 2006 to March 2007. Geese were distributed mostly in agricultural land(rice field) during day tim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map by maximum counts, observed geese of agricultural land were frequently distributed in large agricultural land. Especially, Geese were more used agricultural land near the reservoir where used as roosting site than the other sites. Diurnal feeding site of the geese were agricultural land near the reservoir with huge flock during early wintering season(October), but geese were used the agricultural land far from reservoir after mid wintering season(after January). The feeding flock size of Geese were decreased and feeding site was more far from the reservoir than in mid wintering season during late wintering season(March). Habitat use rate of the quadrat area where below 1㎞from the reservoir was most high in early wintering season. Contrary, habitat use rate where 2㎞far from the reservoir was shown lowest habitat use rate in early wintering season, but it was increased during mid wintering season(January) and decreased after mid wintering season. Habitat use rate of the agricultural land where 2㎞below and 1㎞far from reservoir was shown middle rate, but it was increased until November and decreased after November. This result shown that feeding site preference of the wintering geese was affected by distance from roosting site(reservoir), and feeding site was changed as a food sources decreasing by stay time of geese flock.

      • KCI등재

        한반도 출토 왜계 갑주(倭係 甲冑)의 분포와 의미

        김혁중(Kim, hyuk -joo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중앙고고연구 Vol.0 No.8

        삼국시대에는 많은 철제 갑주가 다양한 형태로 확인된다. 주목할 점은 한반도와 일본 열도에서 동일한 계통의 갑주가 확인된다는 것이다. 삼국시대에는 일본열도와 관련된 많은 왜계 문화요소가 확인되는데 갑주도 제작 기술이나 정황 등으로 보아 왜계 유물로 판단된다. 그런데 왜계 갑주는 당시 왜정권의 상징적인 유물로 평가되므로 한반도와의 관계를 둘러싸고 많은 이견이 있었다. 기왕의 연구에서는 한반도 출토 왜계 갑주의 제작지 문제에만 관심을 기울였을 뿐, 한반도에서 출토된 왜계 갑주의 출현 배경과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결여되어 있었다. 또한 가야지역은 왜계 갑주가 집중되어 이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하였지만 백제와 신라에서 출토된 왜계 갑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 하다. 이에 본고는 한반도 출토 왜계 갑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부장 양상 및 분포 양상을 검토하여 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대금계 갑주 및 왜계 찰갑의 형식 분류와 전개 양상을 살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를 제외한 삼국 모두 왜계 갑주가 확인되며 각국의 상황에 따라 그 수용 배경과 의미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기왕의 연구는 이러한 왜계 갑주의 한반도 분포가 왜왕권의 철소재 입수와 같은 교역에 따른 군사적 진출로 평가되거나 가야에 집중된 자료만으로 왜와 가야의 관계 중심으로 설명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삼국은 자국의 이해에 따라 왜계 갑주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왜와 적대적인 관계가 유지된 것으로 이해된 신라는 왜계 갑주를 통해 볼 때 당시 신라의 영토 확장 정책과 관련하여 왜와 군사적 교 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백제 역시 일찍부터 왜계 갑주가 확인되는데 영산강 유역에서 확인되는 전방후원분 출토 왜계 갑주는 위세품이라기보다 백제의 남방을 감시 하는 왜계 백제관료의 성격을 나타내는 유물로 이해된다. A lot of iron armors in various shap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been excavated, and it is quite noticeable that same types of armors are found both in Korea and Japan. Japan related cultural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from the remain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se armors are believed to be one of them regarding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r circumstances. Since Japanese style armors are viewed as the symbolic remains of Japanese authority at that time,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One of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issues is about the manufacturing site of Daegeum type armors, which is most likely to be considered Japanese style armors through increasing data and rigorous analysis on the structure. However, it becomes more complicated when clarifying the reason and purpose of Japanese style armors being introduced to Korea.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sites of Japanese style armors found in Korea, and lacked detailed reviews on the background and meanings of those armors. In addition, studies on the armors excavated in Baekje and Shilla area are not sufficient compare to those from Yongnam province, the old Gayaarea. This study was to provide comprehensive data about Japanese style armors found across the country, and to examine the meaning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burial aspects and distribution. The result is that Japanese style armors were identified every area except Corea, and th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meanings ar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kingdom’s circumstance. Previous studies tended to explain the reason of distribution of Japanese style armors in the Korean peninsular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Japan; Japan wanted to acquire iron ores from Gaya, and Japan wanted to establish their outpost on Gaya to acquire iron ores. However, it is highly possible that each of three kingdoms adopted Japanese style armors for their own interest. Although it is considered that Shilla was hostile toward Japan, it is also highly possible for Shilla to trade military products with Japan. Furthermore, Japanese style armors were found out over the Baekje area, and Japanese style armors that were found out from the keyhole-shaped tomb of the Youngsan River area are not Wishinjae, but relics which show characteristics of Baekje’s officials who protected the southern Baekje.

      • KCI등재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 교섭 양상

        유명희(Yoo, Myeong-Heui)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1 No.-

        홍천 지역은 동서로 긴 장방형 모양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면적이 큰 군이다. 지리적으로 홍천 지역은 강원도의 중심에 있으므로 강원도 내에서 여러 문화권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민요는 지역성과 민중성을 담보하여 다른 어떠한 장르보다 지역 간의 변별력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홍천 지역의 자연, 인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민요의 존재 양상이 산간 지역과 들 지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글에서는 홍천 지역과 주변 지역의 민요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하여 홍천 지역 민요의 특징과 분포 양상을 살핀 후 먼저 산간 지역과 주변 지역의 민요 분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홍천 지역과 주변 지역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았다. 〈논매는소리〉는 지역 구분의 지표가 되는 민요이기 때문이다.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는 〈방아소리〉, 〈아라리〉 등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논농사에서 일조량과 물조절은 수확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또한 홍천군 내면과 같이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는 물의 온도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해발 고도가 높을수록 서리와 추위가 일찍 오고 늦게 사라지기 때문에 냉해를 입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연지리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홍천 산간 지역 〈논매는소리〉의 존재 여부가 결정되었다. 또한 홍천 산간 지역 주변지역의 〈논매는소리〉 분포 양상을 함께 고려할 때, 각 마을들은 가장 인접한 곳의 소리에 영향을 받거나 생활권을 함께한 지역의 소리에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Hong Cheon, one of the largest guns of being shaped rectangles, runs east and west. Geographically, Hong Cheon is in the center of Gangwon-do and of several cultural areas as well. Thus traditional folk songs show different peculiarities between regions because those songs includ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ocal life. The aspect of folk songs in Hong Cheon is divided into those of mountain area and field area according to human geography. It is meaningful to divide regions of folk songs by investigating the aspect of regional influences between Hong Cheon and neighboring areas. By analyzing the song of weeding a rice paddy, this paper deals with the influences to have on Hong Cheon and neighboring areas. This song can be a landmark of the regions. The 〈Nonmaeneunsori〉(song of weeding a rice paddy) in Hong Cheon is represented into 〈Bang-a sori〉 and 〈Arari〉. The amount of sunlight and wa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good harvest in rice farming.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sunlight, the temperature of water is critical in Naemyun located at a high altitude because water temp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an elevation. Considering the songs of neighboring areas, 〈Nonmaeneunsori〉 in the mountain region of Hong Cheon is obvious that villages shared their songs one another and had been heavily influenced by nearby areas. It is significant to explai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Nonmaeneun-sori〉 and modes of farming by sea level even though data for investigation is insufficient.

      • KCI등재

        순천만과 벌교 하구 연안습지의 2009년 기준 갈대 및 칠면초 우세 군집 분포양상과 면적 제시

        홍석휘,전승수,엄진아 한국습지학회 2015 한국습지학회지 Vol.17 No.1

        2008년과 2009년에 획득된 KOMPSAT-2 위성영상 자료와 야외조사를 병행하여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염생식물군락의 정밀한 분포경계를 확인하고 분포 양상과 면적을 구하였다.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주요 군락은 갈대와 칠면초 우점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퇴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간대 표층의 수준측량과 퇴적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염습지의 퇴적상은 대부분 실트질 니와 니질 퇴적상을 보였으며 계절변화는 매우 작았고, 지형구배는 경사도가0.0007~0.002∘로 매우 평탄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염생식물은 평균해수면보다 0.7~1.8 m 높은 곳을 점하고 있었으며,갈대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1.1~1.8 m, 칠면초 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0.7~1.3 m 높은 고도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생육하고 있다. 2009년 분포를 기준으로 순천만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79 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22 km2로, 총 면적은 약 1.01 km2이다. 벌교천 하구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 면적은 약 0.31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031 km2이며, 총 면적은 약 0.341 km2이다. 순천만-벌교 하구 염습지에서 각기105개와 60개의 염생식물 단위군락의 분포양상과 면적이 제시될 수 있었다. 2008/2009년 위성영상에 의해 분석된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양상과 면적은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염습지인 해당 연구지역에서 향후 염습지 관련 모니터링의 기본자료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Halophyte distribution pattern and area in the Suncheon-bay and Beolgyo estuary coastal wetlands were analyzedusing KOMPSAT-2 landsat images were taken in 2008 and 2009, and field investigations were fulfilled for confirmingthe precise boundaries of individual halophyte areas. The salt-marsh vegetation in those areas can be classified mainlyinto two dominant communities: Suaeda japonica-dominant and Phragmites communis-dominant communities. Inorder to identify sedimentary characteristics, tidal-flat surface leveling and sedimentary facies analysis had beenconducted. The sedimentary facies of marsh area are mostly silty clayey and clay facies with a little seasonal changeand its slope is very gentle (0.0007~0.002 in gradient). Phragmites communis and Suaeda japonica communities weredistributed in the mud-flat zone between 0.7 m and 1.8 m higher than MSL (mean sea level): zone of 1.1~1.8 m inthe former and zone of 0.7~1.3 m in the latter. In the Suncheon-bay estuarine wetland, on the basis of 2009distribution, Phragmites communis-dominant and Suaeda japonica-dominant communities are about 0.79 km2 and0.22 km2 in distribution area,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Bulgyo estuarine marsh shows that the distributionareas of Phragmites communis-dominant and Suaeda japonica-dominant communities are about 0.31 km2 and 0.031km2 in distribution area, respectively. Individual 105 and 60 dominant community areas and their distribution patterns can be well defined and indicated in the Suncheon-bay and Bulgyo estuarine marshe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area of hylophyte communities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on 2008/2009 satellite images would be valuable as a base of future monitoring of salt-marsh related studies in the study area which is the most important salt-marsh research site in Korea.

      • SCOPUSKCI등재

        한국산 Hotaria 속 반딧불이 2종의 고도별 출현 및 분포양상

        심하식,권오길,Sim, Ha-Sik,Kwon, Oh-Kil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3

        한국산 Hotaria속 반딧불이 2종의 고도별 출현 및 분포양상을 알기 위해 1999년 5월부터 7월까지 18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채집 개체수는 1,096 개체였으며 이중 파파리반딧불이(H. papariensis)는 584개체, 운문산반딧불이(H unmunsana)는 512 개체였다. 이를 토대로 고도별 출현성기를 알아본 결과 200 m 이하 지역에서는 6월 초순에서 중순, 200∼400m 지역에서는 6월 중순에서 말경, 400∼600m 지역에서는 6월말 경부터 7월 초순, 600∼800 m 지역에서는 7월 초순부터 중순에 각각 최고 성기를 나타내었다. 두 종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 조사지역에서 공서하고 있었으며 H papariensis는 북쪽지역에 우세하게 분포하였고, H unmunsana는 남쪽지역에 우세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We have collected two species of firefly, Hotaria papariensis and Hotaria unmunsana to investigate their patterns of appearances and distributions from May to July in 1999 at 18 localities in Korea. A total of 1,096 individuals of these two species were collected: H. papariensis 584 and H unmunsana 512. The highest appearance level of adult firefly was different from each altitude. They appeared from the beginning of June to the end of June at 200 m sea level, the middle of June to the end of June at 200∼400 m, the end of June to the beginning of July at 400∼600 m and the beginning of July to the middle of July at 600∼800 m, respectively, All regions of these two species were cohabit, but Cheju-do region is the exceptional case. H papariensis was dominant at the northern parts and H unmunsana was the sou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전상학 ( Sang Hak Jeon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3 No.-

        진안고원은 지금까지 문화의 점이지대, 고대 교통의 중심지, 백제·신라·대가야의 각축장이라 불리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진안고원을 크게 고총고분이 밀집 분포하는 장계분지와 장수분지가 위치하는 장수권과 금산·무주·진안권으로 구분하고, 고총고분의 주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와 출토유물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수권에 밀집분포하고 있는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4~7세기대의 문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수권에서 새롭게 드러난 고총고분의 분포와 현황을 파악하여 장계분지 120여 기, 장수분지 80여 기, 총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밀집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 고총의 규모나 배치·밀집도의 검토를 통해 삼봉리고분군과 월강리고분군을 중심고분군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장계분지에 자리한 120여 기 이상의 고총들은 금강 상류지역에서 최대 밀집도와 규모를 보이며, 이러한 고총들은 진안고원 가야의 지배자 집단이 조영한 고분으로 이해하였다. 고총의 입지는 분지 내에 펼쳐진 구릉과 들판이 내려다보이며, 분지를 감싸고 있는 산지에서 뻗어내린 지류에 자리하고 있어, 백두대간의 동쪽에서 조사된 가야계 고총의 입지와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봉토의 평면형태는 동서로 긴 장타원형으로 그 가장자리에 호석을 두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가야계 고총 중 봉토 가장자리에 호석시설을 갖추지 않은 것은 하나의 분포권을 이룬다. 남원 월산리·두락리를 중심으로 함양, 산청, 장수지역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진안고원에는 5세기 전반에 가야토기가 등장하여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대가야 양식 토기가 많은 양을 차지한다. 5세기 중반 이후 대가야토기의 확산이 이루어지지만 재지의 묘제 또는 재지토기양식과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대가야 중심집단으로부터 독립적인 자치권이 보장된 지역집단으로서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진안고원의 가야는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 산줄기에 산성과 봉수를 축조·운영하였고,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을 조영하였으며, 5세기 전반에 등장하여 6세기 전반까지 가야계 소국으로 존속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Jinan plateau has been called transitional zone of culture, center of ancient traffic, and arena of competition for Baekje, Silla, and Daegaya,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it. Jinan plateau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Jangsu area with Janggye basin and Jangsu basin where ancient tombs are concentrated and the Geumsan/Muju/Jinan area, and the structure of Stone-Lined tombs, the main tomb style of ancient tombs and the overall trend of excavated articles were to be reviewed. Especially, centering on ancient tombs concentrated in Jangsu area, the cultural trend of 4th~7th century was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current status of ancient tombs newly found in Jangsu area were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120 tombs in Janggye basin and 80 tombs in Jangsu basin to the total of 200+ of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were confirmed to be concentrated in distribution, and through reviewing arrangement/density of these ancient tombs, Sambong-ri ancient tomb site and Wolgang-ri ancient tomb site were taken as the central ancient tomb sites. Especially, 120 or so ancient tombs located in Janggye basin showed greatest density and size at the upper region of Geum River, and such ancient tombs were understood as those built by the ruler class of Gaya in Jinan basin. The location of ancient tombs had a view of the hills and fields within the basin and was in the tributary coming down from the mountain area surrounding the basin, exhibiting relationship to the location of Gaya-style ancient tombs found on the east site of Baekdudaegan. The planar shape was a long ellipse to west and east, and there was no trace of stone tigers around the boundary. There is an area of distribution for Gaya-style ancient tombs without tiger stone facilities around the tomb, to which Hamyang, Sancheong, and Jangsu area belongs centering on Namwon Wolsan-ri and Durak-ri. Gaya potterys began to emerge around 5th century in Jinan plateau, and after mid-5th century, Daegaya-style potterys account for a large amount. After mid-5th century, Daegaya potterys began to spread, but as it is observed that it coexisted with the local memorial service or local pottery style, it appears that they maintained an alliance relationship to Daegaya as a local group with right of autonomy from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It is thought to be highly possible that Gaya of Jinan plateau built and operated fortresses and signal-fire on the mountain range of Baekdudagan and Geumnam-Honam vein, built 200+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and existed as a small Gaya country from 5th century to early 6th century.

      • 중국 함경도방언지역에서의 의문형 종결어미의 실현양상

        전경(全景)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2 중국조선어문 Vol.238 No.-

        중국 조선어 방언은 함경도방언, 경상도방언, 평안도방언을 위주로 3대 방언구역을 이루고 경기도방언, 충청도방언, 전라도방언, 강원도방언은 3대 방언구역에 방언섬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중국 조선어 함경도방언은 대체적으로 연변조선족자치주, 장백조선족자치현, 흑룡강성의 목단강지역과 동북부지역에 분포되여있다. 본 론문에서는 중국 함경도방언지역의 화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의문형 종결어미의 실현형태 및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형태의 지리적 분포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예전과 비교해보았을 때 현재는 어떠한 사용양상의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 KCI등재

        섬기린초에서 엽록체 DNA 염기서열의 종내 변이와 지리적 분포 양상 연구

        이웅,박재홍 한국식물분류학회 2010 식물 분류학회지 Vol.40 No.3

        Sequences of the trnL/F intergenic spacer of chloroplast DN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traspecific evoution and phylogeography of Sedum takesimense (Crassulaceae). The trnL/F intergeneric spacer sequences from 32 individuals of S. takesimense were either 291 bp (17 samples “without indel” in the following) or 297 bp (15samples “with indel 1”) in length due to an indel of 6 bp. Two main cpDNA haplotypes were detected within S. takesimense. The haplotype with indel was found on Ulleung Island and without indel on Ulleung Island and Dok Island. This confirmed the existence of two cpDNA lineages with diffe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s. The cpDNA sequence analysis also suggested a putative long-distance dispersal event between Ulleung Island and Dok Island. 우리나라의 울릉도와 독도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종인 섬기린초는 해안암석지대를 터전으로 넓게 분포하여 울릉도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섬기린초에 대한 엽록체 DNA의 trnL/F intergenic spacer 염기서열을 총 32개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렬된 염기서열 중 하나의 6-bp indel (-ATTCAC-)에 의하여 두 개의 type (TYPE01: 297bp과 TYPE02: 291bp)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두 개의 엽록체 DNA type은 울릉도와 독도에서 뚜렷한 지리적 분포양상을 보여주었다. TYPE01은 울릉도(15개체)에서만 관찰되었고 TYPE02는 울릉도(12개체)와 독도(5개체)에서 확인되었다. 섬기린초는 하나의 6-bp indel에 의하여서로 다른 두 개의 엽록체 DNA haplotype이 확인되고 뚜렷한 지리적 분포양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울릉도와 독도에 자생하는 개체군 내에 진화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계통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고 울릉도와 독도 간 원거리 분산 기작의 가능성을 지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