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그림책을 중심으로

        조미경 ( Jo Mea-kyung ),박선희 ( Park Sun-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의 분리불안 내용을 내포한 전래동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분리불안의 과정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의 과정은 어떻게 일어나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래동화에서 분리불안 관련 그림책 41권을 선정하고, Vladimir Propp의 ‘민담형태론’의 내용을 참조하여 추출해 낸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의 과정 표상 요소들로 그림책 내용 분석준거를 구성하여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는 내적 갈등을 야기하는 분리불안의 전조, 갈등 극복을 위한 낯선 세계로의 떠남, 자신과 타인에 의한 분리불안의 극복 시도, 분리불안의 해소에 의한 행복한 결말로 나타났다. 주인공들은 스스로 자립을 인식하거나, 미숙한 상태에 있어 내몰리거나, 부모의 부재에 의해 떠나는 등 다양한 심리 요인에 의한 불안에 직면하게 되어 낯선 세계로 경계 넘기를 하지만, 내적 갈등을 통한 노력으로 긴장과 불안을 해소하고 비로소 독립된 존재로 분리되면서 심리적인 목적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는 분리불안이 전래동화에 나타난 양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분리불안 관련 그림책 연구와 창작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s of separation anxiety commonly seen in fairy tales and examine how separation anxiety in fairy tales emerges and is overcome. For this study, a total of 41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of separation anxiety developed by the Vladimir Propp’s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eparation anxiety was based on such ‘portents of separation’ as characters’ voluntary separation, being separated by the sender, mother/father’s death, forbidden violation, being deprived by the antagonist and bad mother’s jealousy.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it means that children should explore, research, and experience adventures in order to grow up. At this point, there were some conflicts that children can overcome for themselves, while other conflicts were so difficult to resolve that they received help from their supporters or were protected from evil by magical items, which means a character of children having a growth challenge as an inexperienced person. Lastly, as for the ‘ending aspects of characters’, they overcame the separation anxiety as a happy ending with all the anxiety elements completely removed, a happy ending with the anxiety elements not removed or partially removed, and a happy ending with nothing to punish. It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storyline of fairy tales, but there is always an important rule from a psychological aspec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separation anxiety embedded in fairy tal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include the provision of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fairy tale picture book related to separation anxiety.

      • KCI등재

        분리불안장애아동의 자기표현중심 모자미술치료 사례연구

        장인숙 ( In Suk Jang ),최은영 ( Eun Yeong Choi ),공마리아 ( Maria Ko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중심의 모자미술치료가 분리불안장애 아동의 분리불안 및 자기표현과 모자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분리불안장애 아동의 분리불안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리불안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변화 및 회기 내 분리불안 행동분석을 통한 빈도 변화를 제시하였다.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표현 척도의 사전·사후 변화를 통해 제시하였다. 모자상호작용의 변화는, 상호작용 표현 분류 기준(정방자, 1986)에 따른 긍정적·부정적 자기표현을 중심으로 모자의 상호작용을 질적 분석하고 빈도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자기표현중심 모자미술치료는 분리불안장애 아동의 분리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아동의 분리불안 감정과 행동의 일치적 반응을 보였다. 둘째, 자기표현중심 모자미술치료는 분리불안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위영역인 내용, 음성, 비언어적인 영역에서 모두 상승하였다. 셋째, 자기표현중심 모자미술치료는 분리불안장애 아동의 모자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mother-child art therapy focused on self-expression affects separation anxiety, self-express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of child who has the separation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a mother of the child and a child who is four years and six months old, was diagnosed as separation anxiety disorder from P mental health hospital in D city, and showed a rack of self-expression by receiving 87 points on general intelligence ability and 54 points on the self-expression scale from the K-WPPSI. Followings were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results, First, the mother-child art therapy focused on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s separation anxiety, specially the child showed correspond response between the child`s separation anxiety and the child`s behavior. Second, mother-child art therapy focused on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s self-expression. Subordinate, both vocal and nonvocal factors were increased. Third, mother-child art therapy focused on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paration anxiety disorder child`s interaction with own mother.

      • 분리불안 아동의 인지행동놀이치료 사례연구

        홍채영 ( Hong Chae Young )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놀이치료(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가 아동의 분리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와 이 증상의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인지행동놀이 치료는 인지적 재구성, 점진적 노출 훈련, 모의 심리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분리불안을 보이는 6세 여아이다. 연구는 M연구소에서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주 1회, 회기 당 40분씩 총 13회기를 진행하였고, 부모상담은 매 회기별 10분씩 13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기술을 바탕으로 아동의 분리불안의 변화와 분리불안을 촉발하는 사고, 분리불안의 수준 및 회피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아동은 연구소 안에서 모와의 긍정적인 분리로 인해 분리불안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이러한 양상은 일상생활(어린이집, 학원, 키즈카페)에 일반화되었다. 둘째, 인지행동놀이치료가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행동놀이치료가 아동의 분리불안 감소와 이러한 증상을 일으키는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에 효과적이며, 분리불안 아동에게 놀이를 활용하여 인지 행동적 개입 가능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on the reduction of separation anxiety in children and the chan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that cause these symptoms.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in this study was organized with a focus on cognitive reconstruction, gradual exposure training, and simulated psychological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ix-year-old girl showing separation anxiety. For this study, a total of 13 sessions of therapy were held at M laboratory from September 2018 to January 2019. Each session lasted 40 minutes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Parents consultation was held for 10 minutes every session for a total of 13 session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research, the changes of separation anxiety and an accident triggering separation anxiety, level of separation anxiety, and changes in evasive behavior of the child were examined based on the descriptions during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 progresse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eparation anxiety due to positive separation with their mothers in the laboratory, and this aspect became common in daily life(the child's home, academy, indoor playground). Second,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of the child with separation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in reducing separation anxiety and changing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that cause separation anxiety and verified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using play in children with separation anxiety.

      • KCI등재

        앤서니 브라운의 『겁쟁이 빌리』(Silly Billy) -걱정인형을 통해본 아동의 분리불안과 수면불안의 해소-

        이영준 ( Young Zun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5 동화와 번역 Vol.29 No.-

        『겁쟁이 빌리』는 분리불안을 겪고 있는 아동의 심리를 다루고 있다. 분리불안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과정에서 일어나는 필연적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빌리가 분리불안을 겪는 이유는 비합리적으로 예상하고 비이성적인 상황을 다루는 소심한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 그림책은 색과 그림을 통하여 등장인물들의 내면적 심리를 섬세하게 잘 표현해준다. 아동들은 화려한 색깔의 그림과 걱정인형들을 통하여 빌리가 겪는 불안에 대해 감정이입을 하게 되고 공감하게 된다. 빌리의 부모는 아들의 분리불안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나 할머니는 빌리의 불안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해소시킬 방법을 찾아낸다. 빌리는 걱정인형을 이용하여 불안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부모는 인지교정방식과 행동교정방식을 통하여 불안과 공포를 일으키게 하는 생각과 행동들을 바꾸게 함으로써 아동들의 분리불안에 관련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 Silly Billy tells a story, who suffers from his separation; however, that is a part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ildren. His anxiety is a kind of emotional response to the anticipation of danger and threats when he is disconnected with his parent. This picture book exposes the inner truth of the characters using various colours and pictures. Children will have insights into their minds, if they can understand the significant meanings of the worry dolls. Billy`s parent fails to relieve his anxiety, but his grandmother solves it by introducing the worry dolls to him. Billy`s anxieties are eliminated by transferring all of his worries and fears to these dolls. Furthermore, both cognitive and behavioral methods must be used together in relieving children`s anxiety. The reason why Billy suffers so much from his anxieties is due to his timidness; his potential is undermined by his shyness in terms of overcoming the anxietie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리개별화 및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분리불안과 함입불안을 중심으로

        오남경,권혁철,이영순 한국재활심리학회 2012 재활심리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리불안과 함입불안에 초점을 둔 분리 개별화,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15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결합척도(PBI), 분리개별화척도(SITA), 대인관계문제척도(KIIP-SC)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2.0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분리 개별화의 하위척도인 분리불안은 어머니 돌봄과 상관이 있었으며, 함입불안은 어머니 돌봄, 어머니 과보호, 그리고 아버지 돌봄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문제는 어머니 돌봄, 아버지 돌봄, 분리불안, 그리고 함입불안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채리 ( Chae Ri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변화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인천광역시 내 위치한 S 유치원 7세(만 5∼6세) 유아 중 대상으로 분리불안 과 부적응 문제를 가지고 있는 유아들을 재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은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주1∼2 회, 평균 50∼60분씩 총 11회에 걸쳐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C-TRF(한국판 유아행동 평 가척도-교사용), K-CBCL(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부모용)와 동적학교생활화(KSD), 집-나무-사랍(HTP)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양적 분석을 위하여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비모수 검정 방법인 Wilcowon 부호순위 검정(Wilcow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a=.05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 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 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회기별 부적응 횟수 기록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넷째, 집-나무-사람(HTP)검사를 실시한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정서적 안정감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동적 학교 생활화(KSD)검사를 실시한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미술치료는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적,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회기별 부적응 행동변화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미술치료의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치료가치가 기대되며, 향후 대규모의 임상연구와 유아의 발달과정에 따른 차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ositively clinical art therapy can influence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This research selected as its subjects children with problems of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mong 5- or 6-year-old children attending S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elected subjects receive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ith total 11 sessions, for 50 to 60 minutes averagely, once or twice a week, for three months from March till May, 2014. As the testing tools, C-TRF (the Korean edition for teachers), K-CBCL (the Korean edition for parents), Kinetic School Drawing (KSD), and Human-Tree-Person (HTP). To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SPSSWIN 18.0 was employed, and Wilcown Signed Rank Test, one of the nonparametric tests, was utilized, and the significant level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fixed as a=.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it was proved to exert significant effects in quantitative analysi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it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quantitative analysi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how clinical art therapy influenced the records of maladjustment frequency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by sessions, it was proved to show significant effects.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HTP,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KS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verify clinical art therap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nd also it indicated positive effects on their maladjusted behavior, too, by sessions. The above findings imply clinical art therapy is expected to have therapeutic value on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nd follow-up study based on large-scale clinical research will be needed according to a child’s developmental process afterwards.

      • KCI등재후보

        분리불안으로 인한 등교거부 아동의 가족미술치료 사례

        장혜경,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1

        본 연구는 분리불안으로 인한 등교거부 아동인 9세 여아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가족미술치료가 대상아동의 가족관계 개선과 불안 감소, 등교거부행동 소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사례연구를 통해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4년 4월 26일부터 7월 12일까지 주 2회 50~6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장소는 D시 교육과학연구원 상담실에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등교거부 아동에게는 투사검사인 학교생활화(KSD)와 동적가족화(KFD), Beck의 불안척도(Anxiety Inventory: BAI)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학교생활 및 가족에 대한 지각과 불안 수준의 변화된 상태를 분석하였으며, 부부 불화로 아동에게 불안 원인을 제공한 부모에게는 Roach의 결혼만족도(Marital Satisfaction Scale: MSS) 검사를 실시하여 부부관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질적 분석으로는 각 회기별로 가족 구성원들의 그림과 태도변화 기록들을 활용하여 가족관계의 개선과 아동의 불안감소, 등교거부 행동 소거 과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미술치료 가운데 부부상담이 아동의 분리불안의 원인이 된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한 만족도와 이해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를 5점 만점으로 했을 때 아빠는 2.73점에서 3.31점으로 높아졌고, 엄마는 2.23점에서 3.73점으로 높아졌다. 둘째, 가족미술치료가 등교거부 아동의 불안 수준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미술치료가 부부 및 가족의 정서를 안정시킴에 따라 대상아동의 정서도 안정되어, 불안지수가 사전검사에서 4점 만점에 3.71점이던 것이 사후검사에서 2.67점으로 낮아졌다. 셋째, 가족미술치료가 대상아동의 등교거부행동 소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아동의 학교생활화(KSD)에서 사전에는 담임선생님의 무서운 얼굴, 매 맞는 손바닥 등이 나타났는데, 사후에는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모습이 그려져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동적가족화 (KFD)에서도 사전에는 구획을 지었는데, 사후에는 가족들이 함께하는 모습을 그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등교거부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가족미술치료가 부부 및 가족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등교거부 아동의 분리불안을 감소시켜 등교거부행동을 소거시키고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and how family art therapy can help a truant child and the parents overcome separation anxiety, enhance family relations, and improve truant behavior. This girl had already been absent from school for the last four days, having said that she saw ghosts to show considerable anxiety and insist truancy. The causes of her truancy seems to arise from her fear for her teacher at school and from frequent fights of her parents, which in turn causes family discord to make her feel unstable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on her mother. The therapy program lasted from April-26-2004 through July-12-2004, with total 20 sessions, twice a week. Research tools for the truant child are KSD(Kinetic School Drawing), KFD(Kinetic Family Drawing), and Beck's Anxiety Inventory; while research tools for the parents include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 and sessional analysis of drawings by family and their behavior.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family art therapy is effective to promote satisfaction in marital life. In the MSS, father scored 3.31 in the post-test up-scaled from the score of 2.73 in the pre-test; while mother scored 3.73 in the post-test increased from 2.23 in the pre-test. Thus the family has become emotionally stable and the girl has improved her truancy. Second, family art therapy is shown to be effective to reduce the anxiety level of a truant child, whose truancy is caused by separation anxiety. The child's anxiety index in the pre-test is 3.71 out of total 4 points. Whereas the anxiety index in the post-test is 2.67. Third, the girl in the pre-test of KSD showed the teacher's angry face and her hands flogged, but she exhibited in the post-test of KSD that she played with friends showing some positive changes. Thus, family art therapy is proved to be effective to stabilize emotions of parents and the family, and reduce the truant girls' anxiety level so as to better adapt to s

      • KCI등재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에 대한 임상적 해석

        김재철,조현정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7 No.-

        불안(Anxiety)은 심리학에서 뿐만 아니라 종교, 철학, 정신분석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마음을 병들게 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다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과 정신분석학에서의 불안 개념과 그 한계를 먼저 살펴본 후에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그 대안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이는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을 임상적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을 ‘자유로 인한 불안’과 ‘죄의식으로 인한 불안’으로 설명하고, 자유로 인한 불안의 근원을 ‘융합불안(Mergence Anxiety)’으로, 죄의식으로 인한 불안의 근원을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으로 새롭게 해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된 의의는 인간의 불안을 하나의 근원에서만 찾지 않고 분리불안과 융합불안의 양 극 사이에 놓인 것으로 보는 데 있다. 키에르케고어의 ⌈죽음에 이르는 병⌋을 인용하여 불안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세 가지 유형의 퇴행을 설명하고, 영화나 소설에서 나타나는 예시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방식으로 불안으로 인한 증상에 접근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혼 여성의 분리개별화, 자율성 및 친밀감이 행복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용희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3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분리개별화, 자율성, 친밀감이 행복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30-40대(평균 40.34세, 표준편차 3.55) 기혼 여성 122명을 대상으로하여 분리개별화 척도, 자율성 척도, 세대간친밀감 척도, 불안 척도, 행복감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리개별화는 자율성, 친밀감, 불안 및 행복감과 상관관계가유의하였다. 분리개별화를 부모로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모분리개별화는 자율성, 친밀감, 불안에 영향을 주었으며, 부분리개별화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계적중다회귀분석 결과, 분리개별화, 자율성, 친밀감은 행복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친밀감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한편 분리개별화와 자율성은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친밀감 또는 자율성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have studied the effects of the married women's parental separationindividuation,autonomy and intimacy on happiness and anxiety. The subjects are a total of 122 female who have been married, living in Gwangju. The questionnaire, including separation-individuation, autonomy, parental intimacy, happiness, and anxiety scales, are distributed to collect the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utonomy, intimacy, happiness and anxiety. Second, mother'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autonomy, intimacy and anxiety, and father'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the largest effect on happiness. Especi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paration-individuation, autonomy and intimacy predicted happiness,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timacy was significant. Furthermore,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utonomy predicted anxiet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글로벌 시대의 과학기술과 자본, 그리고 상상력

        김석수(Kim, Suk-Soo)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2

        인간은 이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타자와 관련하여 일정한 불안을 느끼며 살아왔다. 근대 이전에는 인간은 자신의 연약함으로 인해 타자, 그것도 절대타자에 의존하는 삶을 꾸려왔다. 그래서 전근대인은 이 타자에 대한 분리불안을 겪었다. 그렇지만 이 불안은 인간의 무력함과 무주체화를 낳았다. 그래서 근대 계몽적 인간은 자신의 자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타자를 부정하는 삶으로 나아갔다. 그렇지만 근대인은 이로부터 타자에 예속될까봐 우려하는 융합불안을 겪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 불안은 현대인으로 하여금 마침내 또 다른 불안에 휩싸이게 만들고 있다. 즉 현대인은 글로벌 자본이 지배하는 무한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융합불안 속에서 서로를 부정하는 삶에 지친 나머지 자기 속으로 들어가 자기하고만 대화하는, 즉 상상된 타자하고만 대화하려는 또 하나의 분리불안을 겪고 있다. 그런데 현대인의 이런 분리불안은 인공지능과 결합된 타자의 출현, 즉 알파고와 같은 존재의 출현과 더불어 더욱 더 심해질 수 있다. 현실의 타자보다 상상 속의 타자에 관계하려는, 그래서 자기놀이에만 집착하는 현대인은 지능을 지닌 인공적 타자에 점점 더 매료될 수 있다. 그래서 자본가는 자신의 이윤증식을 위해 탁월한 상상력을 지닌 천재적 과학기술자와 결합하여 문화산업, 놀이산업, 소비산업을 더욱 더 확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현대인은 인공적 타자를 소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수동적 주체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바로 이 과정에서 현대인은 자기가 자기에게 예속되는, 그래서 망상증을 겪으며 고립과 우울과 자살로 이어지는 상황으로 점점 더 내몰릴 수도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은 비극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억을 머금은 몸을 통해 현실 타자를 만나는 생활공동체를 제대로 마련해야 한다. 이 길은 각 지역의 일정한 장소에서 살아가는 생활인들이 저마다 주체가 되어 상상력의 공감적 활동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연대적 삶을 구축할 때 가능하다. 이처럼 상상된 타자 만들기를 통해 자본증식을 극대화하는 현대 놀이산업에 작동하는 상상력의 전쟁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우리는 상상력의 창의 능력 못지않게 공감 능력도 길러내야 한다. 우리는 생활세계에 기초하여 상상력의 공감적 연대의 길을 마련함으로써 오늘의 우리들의 삶을 지배하는 추상의 폭력, 즉 물건을 지배하는 화폐의 추상성, 가상세계를 누비는 인공언어의 추상성, 인간에 도전하는 인공지능 기계의 추상성이 낳는 폭력을 극복해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우리는 비로소 서로가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공생하는 길을 마련할 수 있으며, 분리불안과 더불어 망상증에 빠져드는 현대적 주체를 구해낼 수 있다. Humans have lived in feeling a certain anxiety about the others from the moment of birth to the world. In the pre-modern society, humans have lived with depending on the absolute Other because of his frailty. So the premodern have suffered the ‘separation anxiety’ about the others. However, this anxiety has caused the loss of the human subjectivity. Because of this, modern humans ever went to the life to negate the others in order to ensure their independence. But modern people began to undergo the ‘mergence anxiety’ with being afraid of being subjected to the other. And this anxiety is causing the making of them finally engulfed another anxiety. Namely, contemporary humans were tired of the life to negate each other with the ‘mergence anxiety’ in the infinite competition era dominated by the global capital. And so, they are experiencing another ‘separation anxiety’ talking only with the imagined others. But this separation anxiety of them can be getting worse with the emergence of others, such as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namely alpha. So capitalists can be combined with ingenious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 exceptional imagination for their own profit growth, and they can expand cultural industries, amusement industries, consumer industries. Contemporary humans can degenerate into a passive subject that must consume the artificial others owing to this social conditions. In this very process, they can be subjected to themselves, so led to the isolation, depression, and suicide with undergoing the paranoia. We have to build the living community meeting the others through the body with memory in order to overcome them. It is possible when those who are living in the places of the local areas act as subjects, and they invoke the empathic activities and make the life of solidarity with them. We must overcome the war of the imagination working in the contemporary game industry maximizing capital growth by making the imagined others. To do so, we must foster not only the creative skills of imagination, but also the sympathy skills. We must overcome the violence of abstraction that dominates our lives today, namely the violence of abstraction of the currency dominating things, abstraction of the artificial language dominating virtual world, and abstra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s challenging the human with laying the path of empathic solidarity of the imagination based on the local people’s living world. In so doing, we can finally make a way for us to live autonomously and coexist with each other, and salvage a contemporary subjects falling into the paranoia with the ‘separation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