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그림책을 중심으로
조미경 ( Jo Mea-kyung ),박선희 ( Park Sun-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의 분리불안 내용을 내포한 전래동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분리불안의 과정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의 과정은 어떻게 일어나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래동화에서 분리불안 관련 그림책 41권을 선정하고, Vladimir Propp의 ‘민담형태론’의 내용을 참조하여 추출해 낸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의 과정 표상 요소들로 그림책 내용 분석준거를 구성하여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는 내적 갈등을 야기하는 분리불안의 전조, 갈등 극복을 위한 낯선 세계로의 떠남, 자신과 타인에 의한 분리불안의 극복 시도, 분리불안의 해소에 의한 행복한 결말로 나타났다. 주인공들은 스스로 자립을 인식하거나, 미숙한 상태에 있어 내몰리거나, 부모의 부재에 의해 떠나는 등 다양한 심리 요인에 의한 불안에 직면하게 되어 낯선 세계로 경계 넘기를 하지만, 내적 갈등을 통한 노력으로 긴장과 불안을 해소하고 비로소 독립된 존재로 분리되면서 심리적인 목적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는 분리불안이 전래동화에 나타난 양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분리불안 관련 그림책 연구와 창작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s of separation anxiety commonly seen in fairy tales and examine how separation anxiety in fairy tales emerges and is overcome. For this study, a total of 41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of separation anxiety developed by the Vladimir Propp’s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eparation anxiety was based on such ‘portents of separation’ as characters’ voluntary separation, being separated by the sender, mother/father’s death, forbidden violation, being deprived by the antagonist and bad mother’s jealousy.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it means that children should explore, research, and experience adventures in order to grow up. At this point, there were some conflicts that children can overcome for themselves, while other conflicts were so difficult to resolve that they received help from their supporters or were protected from evil by magical items, which means a character of children having a growth challenge as an inexperienced person. Lastly, as for the ‘ending aspects of characters’, they overcame the separation anxiety as a happy ending with all the anxiety elements completely removed, a happy ending with the anxiety elements not removed or partially removed, and a happy ending with nothing to punish. It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storyline of fairy tales, but there is always an important rule from a psychological aspec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separation anxiety embedded in fairy tal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include the provision of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fairy tale picture book related to separation anxiety.
노현우(Hyun-woo Noh),임하정(Ha-jeong Im),윤홍종(Hong-jong Yun),정훈(Hoon Chung) 반려동물연구학회 2025 Animalia Vol.6 No.1
요즘 반려견이 늘면서 반려견의 무분별한 유기와 안락사가 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 SA)과 공격성(Punishment)이 지목되고 있다. 분리불안과 공격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 주인들은 신체적인 처벌을 선택하고 있다. 따라서 반려견의 신체적 처벌이 공격성과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키워드는 separation anxiety and punishment였으며, 2000년 이후 투고된 문헌을 바탕으로 신체적 처벌이 분리불안과 공격성의 완화에 미치는 영향이 실제로 유의미한지 알아보았다.<BR/>공격성의 원인으로는 개-주인과의 상호작용, 개의 품종, 개 상태에 따라 공격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마당이 있고 가족의 구성원이 많은 집에서 생활하며 신체적인 처벌을 통해 교정되었으며 높은 공격성을 가졌다. 분리불안은 과도한 울음, 부적절한 배변 그리고 주인의 부재시 발생하는 파괴 등으로 정의되며, 문 앞에서 뛰는 행동을 취할 시 더 높은 확률을 가졌다. 분리불안 시 주인은 신체적 처벌을 통해 교정을 하려 하지만 공격성을 증가시키고 불안감을 증가시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없었다.<BR/>분리불안과 반려견의 공격성은 신체적 처벌을 통해 교정되기 어려우며, 보상 기반 방법과 복종훈련을 통해 관리하고 문제 행동 교정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견이 어릴 때부터 문제행동을 교정하고 분리불안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약물치료를 통한 방법도 효과적일 수 있었다. 문헌 조사 결과 대부분의 문헌에서 처벌은 공격성과 분리불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신체적 처벌을 통해 행동이 교정된 개는 낯선사람, 주인, 다른 개에 관한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감을 증가시킨다. 이런 신체적 처벌을 대신하여 행동 교정에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보상 기반 방법, 복종 훈련, 문제 행동 교정 프로그램, 둔감화와 반응대체법과 약물치료를 통해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반려견의 늘어나는 유기와 안락사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반려견의 훈련뿐만 아니라 주인 또한 문제 교정을 위해 신체적 처벌이 아닌 다른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습득하여, 반려견을 교육하여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는 바이다. As pet dog ownership has increased, so too has the number of dogs being abandoned and euthanized. Separation anxiety and aggression are often cited as the primary reasons. In an attempt to address these behavioral issues, many dog owners resort to physical punishment.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physical punishment on separation anxiety and aggression in dogs,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since 2000.<BR/>The results consistently indicated that physical punishment exacerbates, rather than alleviates, both separation anxiety and aggression. Dogs subjected to physical punishment often exhibited increased aggression towards strangers, owners, and other dogs, as well as heightened anxiety. Factors such as the dog-owner relationship, breed, and individual dog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BR/>In contrast, positive reinforcement-based training, obedience train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s were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managing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Desensitization and counter conditioning techniques, along with medication, were also identified as valuable tools for addressing separation anxiety.<BR/>These findings suggest that physical punishment is not only ineffective but also detrimental to dogs' well-being. To combat the increasing rates of dog abandonment and euthanasia, it is crucial to educate dog owners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physical punishment and promote the use of positive reinforcement-based training methods. By implementing effective training programs and addressing underlying behavioral issues, we can create happier and healthier relationships between dogs and their owners.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채리 ( Chae Ri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변화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인천광역시 내 위치한 S 유치원 7세(만 5∼6세) 유아 중 대상으로 분리불안 과 부적응 문제를 가지고 있는 유아들을 재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은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주1∼2 회, 평균 50∼60분씩 총 11회에 걸쳐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C-TRF(한국판 유아행동 평 가척도-교사용), K-CBCL(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부모용)와 동적학교생활화(KSD), 집-나무-사랍(HTP)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양적 분석을 위하여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비모수 검정 방법인 Wilcowon 부호순위 검정(Wilcow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a=.05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 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 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회기별 부적응 횟수 기록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넷째, 집-나무-사람(HTP)검사를 실시한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정서적 안정감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동적 학교 생활화(KSD)검사를 실시한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미술치료는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적,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회기별 부적응 행동변화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미술치료의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치료가치가 기대되며, 향후 대규모의 임상연구와 유아의 발달과정에 따른 차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ositively clinical art therapy can influence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This research selected as its subjects children with problems of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mong 5- or 6-year-old children attending S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elected subjects receive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ith total 11 sessions, for 50 to 60 minutes averagely, once or twice a week, for three months from March till May, 2014. As the testing tools, C-TRF (the Korean edition for teachers), K-CBCL (the Korean edition for parents), Kinetic School Drawing (KSD), and Human-Tree-Person (HTP). To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SPSSWIN 18.0 was employed, and Wilcown Signed Rank Test, one of the nonparametric tests, was utilized, and the significant level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fixed as a=.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it was proved to exert significant effects in quantitative analysi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it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quantitative analysi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how clinical art therapy influenced the records of maladjustment frequency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by sessions, it was proved to show significant effects.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HTP,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KS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verify clinical art therap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nd also it indicated positive effects on their maladjusted behavior, too, by sessions. The above findings imply clinical art therapy is expected to have therapeutic value on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nd follow-up study based on large-scale clinical research will be needed according to a child’s developmental process afterwards.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리개별화 및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분리불안과 함입불안을 중심으로
오남경,권혁철,이영순 한국재활심리학회 2012 재활심리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리불안과 함입불안에 초점을 둔 분리 개별화,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15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결합척도(PBI), 분리개별화척도(SITA), 대인관계문제척도(KIIP-SC)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2.0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분리 개별화의 하위척도인 분리불안은 어머니 돌봄과 상관이 있었으며, 함입불안은 어머니 돌봄, 어머니 과보호, 그리고 아버지 돌봄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문제는 어머니 돌봄, 아버지 돌봄, 분리불안, 그리고 함입불안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기혼 여성의 분리개별화, 자율성 및 친밀감이 행복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용희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3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분리개별화, 자율성, 친밀감이 행복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30-40대(평균 40.34세, 표준편차 3.55) 기혼 여성 122명을 대상으로하여 분리개별화 척도, 자율성 척도, 세대간친밀감 척도, 불안 척도, 행복감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리개별화는 자율성, 친밀감, 불안 및 행복감과 상관관계가유의하였다. 분리개별화를 부모로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모분리개별화는 자율성, 친밀감, 불안에 영향을 주었으며, 부분리개별화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계적중다회귀분석 결과, 분리개별화, 자율성, 친밀감은 행복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친밀감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한편 분리개별화와 자율성은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친밀감 또는 자율성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have studied the effects of the married women's parental separationindividuation,autonomy and intimacy on happiness and anxiety. The subjects are a total of 122 female who have been married, living in Gwangju. The questionnaire, including separation-individuation, autonomy, parental intimacy, happiness, and anxiety scales, are distributed to collect the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utonomy, intimacy, happiness and anxiety. Second, mother'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autonomy, intimacy and anxiety, and father'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the largest effect on happiness. Especi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paration-individuation, autonomy and intimacy predicted happiness,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timacy was significant. Furthermore,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utonomy predicted anxiet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김석수(Kim, Suk-Soo)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2
인간은 이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타자와 관련하여 일정한 불안을 느끼며 살아왔다. 근대 이전에는 인간은 자신의 연약함으로 인해 타자, 그것도 절대타자에 의존하는 삶을 꾸려왔다. 그래서 전근대인은 이 타자에 대한 분리불안을 겪었다. 그렇지만 이 불안은 인간의 무력함과 무주체화를 낳았다. 그래서 근대 계몽적 인간은 자신의 자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타자를 부정하는 삶으로 나아갔다. 그렇지만 근대인은 이로부터 타자에 예속될까봐 우려하는 융합불안을 겪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 불안은 현대인으로 하여금 마침내 또 다른 불안에 휩싸이게 만들고 있다. 즉 현대인은 글로벌 자본이 지배하는 무한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융합불안 속에서 서로를 부정하는 삶에 지친 나머지 자기 속으로 들어가 자기하고만 대화하는, 즉 상상된 타자하고만 대화하려는 또 하나의 분리불안을 겪고 있다. 그런데 현대인의 이런 분리불안은 인공지능과 결합된 타자의 출현, 즉 알파고와 같은 존재의 출현과 더불어 더욱 더 심해질 수 있다. 현실의 타자보다 상상 속의 타자에 관계하려는, 그래서 자기놀이에만 집착하는 현대인은 지능을 지닌 인공적 타자에 점점 더 매료될 수 있다. 그래서 자본가는 자신의 이윤증식을 위해 탁월한 상상력을 지닌 천재적 과학기술자와 결합하여 문화산업, 놀이산업, 소비산업을 더욱 더 확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현대인은 인공적 타자를 소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수동적 주체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바로 이 과정에서 현대인은 자기가 자기에게 예속되는, 그래서 망상증을 겪으며 고립과 우울과 자살로 이어지는 상황으로 점점 더 내몰릴 수도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은 비극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억을 머금은 몸을 통해 현실 타자를 만나는 생활공동체를 제대로 마련해야 한다. 이 길은 각 지역의 일정한 장소에서 살아가는 생활인들이 저마다 주체가 되어 상상력의 공감적 활동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연대적 삶을 구축할 때 가능하다. 이처럼 상상된 타자 만들기를 통해 자본증식을 극대화하는 현대 놀이산업에 작동하는 상상력의 전쟁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우리는 상상력의 창의 능력 못지않게 공감 능력도 길러내야 한다. 우리는 생활세계에 기초하여 상상력의 공감적 연대의 길을 마련함으로써 오늘의 우리들의 삶을 지배하는 추상의 폭력, 즉 물건을 지배하는 화폐의 추상성, 가상세계를 누비는 인공언어의 추상성, 인간에 도전하는 인공지능 기계의 추상성이 낳는 폭력을 극복해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우리는 비로소 서로가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공생하는 길을 마련할 수 있으며, 분리불안과 더불어 망상증에 빠져드는 현대적 주체를 구해낼 수 있다. Humans have lived in feeling a certain anxiety about the others from the moment of birth to the world. In the pre-modern society, humans have lived with depending on the absolute Other because of his frailty. So the premodern have suffered the ‘separation anxiety’ about the others. However, this anxiety has caused the loss of the human subjectivity. Because of this, modern humans ever went to the life to negate the others in order to ensure their independence. But modern people began to undergo the ‘mergence anxiety’ with being afraid of being subjected to the other. And this anxiety is causing the making of them finally engulfed another anxiety. Namely, contemporary humans were tired of the life to negate each other with the ‘mergence anxiety’ in the infinite competition era dominated by the global capital. And so, they are experiencing another ‘separation anxiety’ talking only with the imagined others. But this separation anxiety of them can be getting worse with the emergence of others, such as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namely alpha. So capitalists can be combined with ingenious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 exceptional imagination for their own profit growth, and they can expand cultural industries, amusement industries, consumer industries. Contemporary humans can degenerate into a passive subject that must consume the artificial others owing to this social conditions. In this very process, they can be subjected to themselves, so led to the isolation, depression, and suicide with undergoing the paranoia. We have to build the living community meeting the others through the body with memory in order to overcome them. It is possible when those who are living in the places of the local areas act as subjects, and they invoke the empathic activities and make the life of solidarity with them. We must overcome the war of the imagination working in the contemporary game industry maximizing capital growth by making the imagined others. To do so, we must foster not only the creative skills of imagination, but also the sympathy skills. We must overcome the violence of abstraction that dominates our lives today, namely the violence of abstraction of the currency dominating things, abstraction of the artificial language dominating virtual world, and abstra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s challenging the human with laying the path of empathic solidarity of the imagination based on the local people’s living world. In so doing, we can finally make a way for us to live autonomously and coexist with each other, and salvage a contemporary subjects falling into the paranoia with the ‘separation anxiety’.
장혜경,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1
본 연구는 분리불안으로 인한 등교거부 아동인 9세 여아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가족미술치료가 대상아동의 가족관계 개선과 불안 감소, 등교거부행동 소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사례연구를 통해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4년 4월 26일부터 7월 12일까지 주 2회 50~6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장소는 D시 교육과학연구원 상담실에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등교거부 아동에게는 투사검사인 학교생활화(KSD)와 동적가족화(KFD), Beck의 불안척도(Anxiety Inventory: BAI)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학교생활 및 가족에 대한 지각과 불안 수준의 변화된 상태를 분석하였으며, 부부 불화로 아동에게 불안 원인을 제공한 부모에게는 Roach의 결혼만족도(Marital Satisfaction Scale: MSS) 검사를 실시하여 부부관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질적 분석으로는 각 회기별로 가족 구성원들의 그림과 태도변화 기록들을 활용하여 가족관계의 개선과 아동의 불안감소, 등교거부 행동 소거 과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미술치료 가운데 부부상담이 아동의 분리불안의 원인이 된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한 만족도와 이해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를 5점 만점으로 했을 때 아빠는 2.73점에서 3.31점으로 높아졌고, 엄마는 2.23점에서 3.73점으로 높아졌다. 둘째, 가족미술치료가 등교거부 아동의 불안 수준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미술치료가 부부 및 가족의 정서를 안정시킴에 따라 대상아동의 정서도 안정되어, 불안지수가 사전검사에서 4점 만점에 3.71점이던 것이 사후검사에서 2.67점으로 낮아졌다. 셋째, 가족미술치료가 대상아동의 등교거부행동 소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아동의 학교생활화(KSD)에서 사전에는 담임선생님의 무서운 얼굴, 매 맞는 손바닥 등이 나타났는데, 사후에는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모습이 그려져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동적가족화 (KFD)에서도 사전에는 구획을 지었는데, 사후에는 가족들이 함께하는 모습을 그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등교거부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가족미술치료가 부부 및 가족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등교거부 아동의 분리불안을 감소시켜 등교거부행동을 소거시키고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and how family art therapy can help a truant child and the parents overcome separation anxiety, enhance family relations, and improve truant behavior. This girl had already been absent from school for the last four days, having said that she saw ghosts to show considerable anxiety and insist truancy. The causes of her truancy seems to arise from her fear for her teacher at school and from frequent fights of her parents, which in turn causes family discord to make her feel unstable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on her mother. The therapy program lasted from April-26-2004 through July-12-2004, with total 20 sessions, twice a week. Research tools for the truant child are KSD(Kinetic School Drawing), KFD(Kinetic Family Drawing), and Beck's Anxiety Inventory; while research tools for the parents include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 and sessional analysis of drawings by family and their behavior.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family art therapy is effective to promote satisfaction in marital life. In the MSS, father scored 3.31 in the post-test up-scaled from the score of 2.73 in the pre-test; while mother scored 3.73 in the post-test increased from 2.23 in the pre-test. Thus the family has become emotionally stable and the girl has improved her truancy. Second, family art therapy is shown to be effective to reduce the anxiety level of a truant child, whose truancy is caused by separation anxiety. The child's anxiety index in the pre-test is 3.71 out of total 4 points. Whereas the anxiety index in the post-test is 2.67. Third, the girl in the pre-test of KSD showed the teacher's angry face and her hands flogged, but she exhibited in the post-test of KSD that she played with friends showing some positive changes. Thus, family art therapy is proved to be effective to stabilize emotions of parents and the family, and reduce the truant girls' anxiety level so as to better adapt to s
김재철,조현정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7 No.-
불안(Anxiety)은 심리학에서 뿐만 아니라 종교, 철학, 정신분석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마음을 병들게 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다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과 정신분석학에서의 불안 개념과 그 한계를 먼저 살펴본 후에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그 대안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이는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을 임상적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을 ‘자유로 인한 불안’과 ‘죄의식으로 인한 불안’으로 설명하고, 자유로 인한 불안의 근원을 ‘융합불안(Mergence Anxiety)’으로, 죄의식으로 인한 불안의 근원을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으로 새롭게 해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된 의의는 인간의 불안을 하나의 근원에서만 찾지 않고 분리불안과 융합불안의 양 극 사이에 놓인 것으로 보는 데 있다. 키에르케고어의 ⌈죽음에 이르는 병⌋을 인용하여 불안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세 가지 유형의 퇴행을 설명하고, 영화나 소설에서 나타나는 예시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방식으로 불안으로 인한 증상에 접근하고자 한다.
청년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분리불안, 과보호와 자녀의 분리 - 개별화 및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이인영,정영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4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adolesc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overprotection toward their adolescent child, and maternal psychological adaptation by analyzing data from 201 pairs of middle-aged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who live in Busan.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on toward their adolescent chil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daptation. As expected, maternal overprote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dolescent child’s separation-individuation. A bootstrap analysis indicated, that maternal overprot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paration-individuation in their adolescent children and, in turn, children’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 children’s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but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Maternal overprot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mothers’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need to reexamine the ambivalent role of maternal overprotection in Korean was discussed.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중년 어머니와 청년 자녀 201쌍의 자료를 수집하여 청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가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과는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그리고 청년 자녀를 향한 어머니의 과보호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와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과는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는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어머니의 과보호와 자녀의 분리-개별화는 부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어머니의 과보호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 및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경로를 분석 한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는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그다음 건강하지 못한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는 청년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는 부적 영향을, 우울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어머니의 과보호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와 심리적 적응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어머니 자신의 심리적 적응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본 연구는 한국 어머니의 애정에 근거한 과보호에 대한 대안적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동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의 맞춤관여(Parental Accommodation)가 아동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다은(Da Eun Kim),송현주(Hyeon Joo So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아동의 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부모의 맞춤관여의 관련성에 대해 확인하고 분리불안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 따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부모의 맞춤관여가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의 맞춤관여가 아동의 분리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아동과 부모 141쌍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t-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분리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고, 맞춤 관여 중 어머니의 관여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아동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모의 맞춤관여 중 어머니의 관여와 어머니의 수정이 아동의 분리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불안 성향이 높은 아동의 특성에 알맞은 부모 양육 지침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anxie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arental Accommodat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arental Accommodation between group of high level of separation anxiety and group of low level of separation anxiety. And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f child and Parental Accommodation in child with separation anxiety. For this purpose, surveys were conducted by 141 children who was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child’s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s anxiety. And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seperation anxiety les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more mother’s participation of Parental Accommodation than a group with lower level of separation anxiety. Furthermore child’s Intolerance of Uncertainty, mother’s participation and modification of Parental Accommodation explained significantly child’s separation anxiety. This study is considered to used as a basic data on parenting guidelines suitable for children with high anxiety tend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