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분류학 비교

        김옥남 안암교육학회 2006 한국교육학연구 Vol.12 No.2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recently D. R. Krathwohl who was a co-writer of Bloom's original taxonomy published the revised book with L. W. Anderson. So This study purpos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taxonomy studies by comparing and analysing Bloom's original taxonomy with the recent alternatives, and in this study all four taxonomies - Bloom et al(1956), Hauenstein(1998), Marzano(2001), Anderson & Krathwohl(2001) were examined. Three alternatives raise commonly two points of Bloom et al.'s taxonomy, which are irrelevance of 'knowledge' category and hierarchical relation of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In which, Hauenstein(1998) propose 'conceptualization' instead of 'knowledge' and put 'synthesis' after 'evaluation', and Marzano(2001), Anderson & Krathwohl(2001) propose 'knowledge dimension', and Marzano exclude 'evaluation' category, and Anderson & Krathwohl(2001) establish 'create' as the highest level. The result of comparing, it was reasonable and suggested that a alternative having two dimension structure is more proper rather than others. And It is worth to consider interchanging the place of 'synthesis' or 'create' with 'evaluate', and including meta-cognition as the major-category or sub-category of objectives. And the directions of educational taxonomy study are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axonomy and difference of cognitive objectives in school level. They can be answering by educational taxonomy, so taxonomy studies must refine educational taxonomy.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이 인지적 영역에서, Bloom 등의 분류학에 대한 세 가지 대안적 분류학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목표분류학의 의의와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loom 등의 분류학을 살펴본 후 그 대안으로 제시된 Hauenstein(1998), Marzano(2001), Anderson과 Krathwohl(2001)의 분류학을 비교하고 논하였다 세 가지 대안적 분류학은 Bloom 등의 분류학에 대한 두 가지 공통된 문제제기를 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식’ 범주의 부적절성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Hauenstein은 ‘개념화’라는 범주를 제안하여 ‘지식’과 ‘지적 능력 및 기능’이 아닌 ‘지적 능력 및 기능’으로 목표들의 성격을 단일화하여 위계성을 도모하였다. 이에 비하여 Marzano와 Anderson과 Krathwohl은 별도의 차원으로 분리시켰다. 둘째, ‘분석’, ‘종합’, ‘평가’의 관계 설정에 관한 것으로, Hauenstein은 ‘분석’을 ‘평가’의 하위 유목으로 포함되게 하고 ‘평가’보다 ‘종합’을 더 수준높은 목표로 설정하였다. Marzano는 ‘분석’에 ‘평가’적 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평가’를 범주에서 제외하였다. Anderson과 Krathwohl 역시 ‘창안하다’를 최상위 수준의 목표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 Bloom 등의 분류학과 그 대안적 분류학들을 살펴보면서 앞으로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하게 되었다. 분류학으로서의 체계성과 복잡성을 가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어떤 요소들을 가져야만 분류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 또한 우리 교육에서, 각 학교급별로 추구해야 하는 인지적 목표가 같은지, 실제로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답을 찾는 데에 중요한 틀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분류학으로서의 체계를 보다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지 중심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체계 연구- 분류학 설계의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

        김동욱(Kim, Dong 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2

        본 연구는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한 지난 호 연구에 이은 후속연구로, 분류학 개발의 실제 과정과 결과를 다룬다. 블룸의 교육 목표분류학을 개정한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 체계를 기본 틀로 하여 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학의 내용요소들을 대입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이 명제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에 기초해 있고, 윌슨의 분류학이 학과주의적 지식만 다룬다는 한계에 따라 확장된 인지 관점에서 미적 지식과 통합적 지식, 직관적 사고 등 새로운 미술교육의 내용과 인지 요소들을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지식교육이 놓치고 있는 종합 지적인 인지교육을 지향하는 분류학 체계를 만들고자 했다. 이 분류학에 대해 전문가 62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이 분류학이 타당성과 적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미술교육목표분류학은 미술교육 내용학 분야의 기초적 연구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수업설계, 교육평가, 역량측정 및 진단, 교육과정 개발, 교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미술교육의 인지적 실천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process and results of the taxonomy development as a follow up study after the last issue study which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y on designing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art. Based on the taxonomic system of Anderson and Krathwohl, which revised Bloomʼ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ontent elements of Wilsonʼs educational evaluation taxonomy for art were assigned, and the knowledge and thinking elements which had not been covered in both taxonomy were added to this taxonomy design. Because of the limitation that Anderson and Krathwohlʼs taxonomy only deals with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and Wilsonʼs taxonomy based on discipline, this study has added the elements of aesthetic knowledge, integrated knowledge, and intuitive thinking to the taxonomy in the viewpoint of expended cognition. For this taxonomy, two times of delphi surveys on 62 experts in related fields have been conducted, and confirmed that this taxonomy is valid and appropriate. Thi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art based on cogni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 basic research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al contents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class design, educational evaluation, competence measurement and diagnosis,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it can help cognitive practice of art education.

      • KCI등재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I.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 중 분류학적 이명으로 간주되고 있는 분류군

        신현철,김영동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3

        To confirm the taxonomic identity of taxa described by Léveillé, H. H. A, a French plant taxonomist,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based on the collections of Fathers Faurie and Taquet from the Korean peninsula, we examined the numerous references that contained taxonomic opinions about Léveillé's taxa. Among them, 146 taxa were confirmed as conspecific with other existing taxa. Of them, 79 taxa, including Ajuga devestita, were listed as a synonym of only one species. Sixty-seven taxa, including Bidens robertianifolia, were listed as synonyms of two or more species according to taxonomists. Eight taxa, including Aconitum coreanum, were considered illegitimate names because of later homonym, or other problems. Five taxa, including Rhododendron hallaisanense, were treated either as distinct or conspecific taxa depending on taxonomists. 프랑스 식물분류학자 Léveillé, A. A. H.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Faurie와 Taquet 신부 등이 국내에서 채집한 표본들을 근거로 발표한 다수의 신분류군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이들 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견해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중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146개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Ajuga devestita 등 79개 분류군에 대해서는 일치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으나, Bidens robertianifolia 67개 분류군은 학자들마다 상충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고, Aconitum coreanum 등 8개 분류군은 후일동음명 등과 같은 이유로 비합법명이었다. 한편, Rhododendron hallaisanense 등 5개 분류군은 학자에 따라 독립된 분류군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 KCI등재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김동욱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ies on developing a new taxonomic system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the flow of cognitive researches since the 1960s has been examined, and the existing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examined based on cognitive theori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the 1960s revealed the cognitive nature of perception, and provided the basis of art education as visual education. And the symbolic system theory of the 1970s and 1980s revealed the cognitive nature of art as literacy education in terms of symbol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Since the 1990s, the embodied cognitive theory has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expanded cognition in art education by including sense, behavior, and external environment into cognition. On the other hand, Bloom's taxonomy, as the standard of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Anderson and Krathwohl's taxonomy which modified Bloomʼs one, both deal with only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so there is a limit to exclude the art educational elements such as intuition and emotion. Meanwhile, Wilson 's taxonomy of art educational assessment does not cover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due to the formalism in modern art and the nature of academic department cent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ystem of taxonomy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improves the problems of existing taxonomy from the perspectives of cognition. 본 연구에서는 인지에 기초한 새로운 미술교육목표분류학을 개발한다는 목표아래 인지이론이 새로운 분류학 체계 개발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탐구한다. 이를위해 1960년대 이후 인지연구의 흐름과 미술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기존 교육목표분류학의 체제를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1960년대의 정보처리이론은 지각의 인지적 성격을 밝혀 시지각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근거를 제공하였고, 1970~80년대의 상징체계론은 상징 처리와 해석의 관점에서 문해력 교육으로서미술교육의 인지적 성격을 밝혀주었다. 1990년대 이후의 체화된 인지이론은 신체감각과 행위, 외부환경까지도 인지에 포함시킴으로써 미술교육의 확장된 인지에 대한이론적 바탕을 제공하였다. 한편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과 이를 수정한 앤더슨과크래스홀의 분류학은 명제적 지식과 사고만 다루고 있어 직관과 정서 등 미술교육적요소들을 배제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학은 모더니즘미술의 형식주의와 학과 중심 성격으로 인해 현대 미술교육의 다양성을 포괄하지못한다. 따라서 인지주의의 관점에서 기존 분류학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체계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목표 개발과 분석을 위한 Hauenstein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재조명

        임유나(Lim, Yoo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오늘날 ‘역량’이 학교교육의 방향과 목표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의 목표 분류 체계뿐만 아니라 이들을 종합하는 ‘행동적영역’까지 설정하고 있는 Hauenstein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탐색하여 역량기반 교 육목표에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된 교육목표분류학들의 특징, 역량의 개념과학교교육에의 역량 도입의 의미를 탐색한 후, Hauenstein의 분류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auenstein의 분류학은 세 영역의 총합을 전체(행동적 영역)로 판단한다는 점에서 비판 가능성이 있었고, 학습 상황적 맥락이 보다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과학습과학의 발달에 따른 분류 체계 위계 수준의 타당성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그의 분류학은 유기체로서의 학습자와 전인적 학습의 관점, 경험의 강조와 구성주의의 아이디어, 인지적 영역과 비인지적 영역들을 통합하는 행동적 영역의 설정 등 역량과 공통의 개념적 틀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량교육을 위한 교육목표/성취기준을 개발, 분석하거나, 역량기반 수업 체계의 틀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적용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Hauenstein의 분류학은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비인지적 영역의 중요성을 재고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었다. Today competency is emphasized as the goa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auenstei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which creates classification systems for not only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but also the behavioral domain-and examin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fter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taxonomies for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as well as the concept of competency and the meaning of adopting this concept in schools, the study analyzed Hauenstein’s taxonomy. Hauenstein’s taxonomy is likely to be criticized in that it sets the sum of each domain as the whole (the behavioral domain). Learning context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his conceptual framework. It would be better to review the validity of his taxonomy’s hierarch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science. Nonetheless, Hauenstein’s taxonomy is applicable for develop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objectives or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a learning system. This is because the taxonomy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have the same conceptual framework, with an emphasis on holistic learning, experience and the idea of constructivism, and the integration of the cognitive and noncognitive domains. Moreover, Hauenstein’s taxonomy promotes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both the cognitive and the noncognitive domains.

      • KCI등재

        한국식물분류학회 50년사: 인력양성과 연구활동

        이남숙 한국식물분류학회 2018 식물 분류학회지 Vol.48 No.4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KSPT) on Dec. 13, 1968, the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analyzed. The survey method was based on the homepage of the KSPT and the Korean J. Pl. Taxon, and on data provided by each university about professional manpower. Over the past 50 years, a total of 680 specialists in plant taxonomy have been trained, consisting of 537 master's degree holders (274 males, 263 females) from 30 universities and 143 Ph.D.s (97 males, 46 females) from 26 universities, and the number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1998.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 field of research over the last ten years, revision paper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period of 1988–1997 (72%), but this rate has decreased to 51% over the last ten years, while the number of unrecorded papers has increased to 28%. In the 629 revision papers on taxa, 49% of the taxa belong to Asteraceae, Ranunculaceae, Cyperaceae, Liliaceae, Rosaceae, Fabaceae, Apiaceae, Lamiaceae, Orchidaceae, Oleaceae, Euphorbiaceae, Polygonaceae, and Amaryllidaceae. With regard to changes in research methods, the number of morphological papers increased from 6% to 51%, while pollen papers have decreased from a rate of 20% to only 2%. Chromosome studies account for 3–4%, chemotaxonomic studies 2%, and DNA studies remain low at 3–16%. The percentage of papers in English now stands at 43%, mainly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papers on unrecorded species. 한국식물분류학회가 1968년 12월 13일에 설립된 이래, 전문인력 양성과 학회지 논문에 나타난 연구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 방법은 한국식물분류학회 홈페이지와 식물분류학회지에 나타난 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전문인력 분석은 각 대학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지난 50년 동안 식물분류학의 전문 인력은 총 680명이 양성되었으며, 그 중 석사학위 소지자는 30개 대학에서 약 537명(남성 274명, 여성 263명) 이고, 박사학위 소지자는 26개 대학에서 143명(남성 97명, 여성 46명)이 양성되었으며, 그 수는 특히 1998년 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연구분야의 변화를 10년 단위로 보면, 분류군 실험논문은 1988–1997년에 72%로 가장 많았으나, 최근 10년에는 51%로 감소하였다 반면, 미기록종 논문이 28%로 높아졌다. 학회지에 게재된 전체 연구논문들 중 분류군을 검토한 논문이 629편이며, 그 중 49%를 차지하는 논문의 대상 분류군들은 국화과, 미나리아재비과, 사초과, 백합과, 장미과, 콩과, 미나리과, 꿀풀과, 난과, 물푸레나무과, 대극과, 마디풀과, 수 선화과로 나타났다. 10년 단위로 연구방법의 변화를 볼 때 형태논문은 6%에서 51%로 증가되었고, 화분논문 은 20%에서 최근에 2%로 낮아졌다. 염색체 연구는 약 3–4%, 성분연구는 약 2%로 낮고, DNA연구의 비율도 3–16%로 낮았다. 10년 단위별 전체 논문 수중 영문논문의 비율은 최근에 43% 정도로 향상되었는데, 이는 주로 미기록 분류군들의 논문이 증가한 데 기인한다.

      • KCI등재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국화과: 등골나물족)의 분류학적 검토

        오상훈 한국식물분류학회 2019 식물 분류학회지 Vol.49 No.3

        Eupatorium rugosum Houtt. is known to be an alien invasive species and is listed as an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in Korea. There is also an eastern North American species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 similarly dispersed in Korea.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taxonomic confusion regarding the species. The two names refer to the same species originally described as Ageratum altissimum by Linnaeus in his Species Plantarum. Ageratum altissimum was transferred to the genus Eupatorium and later to Ageratina. Eupatorium rugosum is the replacement name in Eupatorium because of E. altissimum L., an existing name based on the different type. When the species was transferred to Ageratina, A. altissima was published based on its basionym, as the epithet "altissima" was available in the genus. It seems that taxonomic confusion regarding the species in Korea is due to the recognition of the names as different taxa. Ageratina altissima is the correct name for the species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 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즉, Eupatorium속에서는 전혀 다른 기준표본에 근거해 이미 존재하였던 E. altissimum L. 때문에 대체명으로 E. rugosum이 공표되었고, Ageratina속에서는 종소명 'altissima'를 사용하고 있던 종이 없었기 때문에 원명에 근거해 A. altissima의 학명이 공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표된 이름들이 국내에서는 서로 다른 분류군으 로 인식되면서 분류학적 혼란이 야기된 것으로 사료된다. 형태 및 분자 형질을 분석한 연구 결과에 근거해 서양등골나물의 정명은 A. altissima이다.

      • 집단유전학을 통한 곤충집단의 분화 연구

        김효중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현대 곤충분류학은 분자생물학적 방법론의 발달과 함께 종(species)과 집단(population)의 경계 해석에 대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과거의 분류학자들은 대부분 형태, 생태, 지리 정보에 국한되어 종을 기재하고 분류하였는데, 조사지역과 표본수집의 한계 때문에 중복기재에 의한 동물이명 문제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류학적 오류를 바로 잡기위해 분류학에도 분자생물학적 연구방법이 활용되었고 수많은 분류학적 난제들이 해결되었다. 특히, DNA barcoding은 혁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2000년대 중반부터 대부분의 분류군에 폭넓게 사용되어 10여년이 지난 현재 분류학에서 상당히 보편화된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곤충에서의 빠른 분화속도를 감당하기에 미토콘드리아 DNA의 일부분을 연구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였다. 또, 곤충은 아종, 품종, biotype 등의 구별이 어려워 종과 집단의 경계에서 이를 명확하게 해결해줄 만한 접근법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최근에 연구자들은 집단유전학을 활용하여 집단 또는 종의 분화 과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그 활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소모임에서는 그동안 연구결과 소개를 중심으로 분류학에서의 집단유전학 활용과 곤충 집단의 분화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물부추속 (물부추과)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정종덕,김창균,김호준,최홍근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2

        물부추과 (Isoëtaceae)의 물부추속 (Isoëtes L.)은 외부형태의 단순함으로 인해 분류학적 혼란이 있어왔다. 국내에는 I. japonica (물부추)와 I. coreana (참물부추)가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에 I. jejuensis (제주물부추)와 I. hallasanensis (한라물부추)가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I. japonica의 생육지는 재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세 종의 생육지만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세 종과 대만 (I. taiwanensis), 일본 (I. japonica와 I. asiatica), 중국 (I. sinensis) 등 주변 지역에 분포하는 물부추속 식물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국내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종에 대한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과 포자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괴경 열편의 수, 포자엽의 습성과 기공의 유무, 포막의 발달 상태로 I. taiwanensis와 I. asiatica가 식별되며, 모든 종은 포자의 특성에 따라 종의 식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국내에 보고된 종은 대포자 표면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cristate형의 I. coreana, rugulate형의 I. jejuensis와 echinate형의 I. hallasanensis로 각각 구분되었으며, I. japonica는 reticulate형을 가진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각 종을 대상으로 핵 유전자인 LEAFY 2nd intron의 염기서열과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분석 결과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계통을 논의하였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을 보전하기 위하여는 새로운 생육지에 대한 발굴조사와 함께 유전적 부동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보전 대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soëtes L. (Isoëtaceae) is difficult to identify among the infrageneric taxa because of morphological simplicity. Since two species (I. japonica and I. coreana) had been reported, I. jejuensis and I. hallasanensis were described as two new specie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The habitats of all species were confirmed by current studies except for I. japonica. We compared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of seven species, three domestic species and four species in adjacent regions (I. taiwanensis, I. sinensis, I. japonica, and I. asiatica). I. asiatica differs from other species in the lobe number of corm, spreading sporophylls, lack of stomata and degree of velum development. All of the seven species were ident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ega- and microspores. Especiall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our species in South Korea by the types of ornamentation on their megaspores. Each species has a specific type of megaspore ornamentation: I. coreana - cristate, I. jejuensis - rugulate, I. hallasanensis - echinate, and I. japonica - reticulate. We also discussed the phylogeny of the genus in East Asia in relation to recent studies based on the second intron of LEAFY sequence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analysis. We suggest strategies for the conservation of the endangered Isoëtes spec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라산 고유 한라송이풀의 분류학적 위치

        조원범,최병희 한국식물분류학회 2011 식물 분류학회지 Vol.41 No.2

        Pedicularis growing at Mt. Halla of Jeju Island is known as an endemic species of P. hallaisanensis Hurusawa. On the other hand, the plant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P. amoena, P. spicata, and P. verticillata in gross morphology, so the taxonomic treatment of the taxon remains controversial. To clarify the taxonomic position of the plants, we examined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 sequences for P. hallaisanensis and its related species. The plants of Mt. Halla are clearly different from P. amoena and P. verticillata in the morphology of calyx lobes, the length of galea and lower lip, density of glandular hairs on plants, presences of the radical leaves after anthesis and molecular data. However, P. hallaisanensis is not clearly separated from P. spicata distributed in N. E. Asia o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DNA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suggested that P. hallaisanensis should be merged into the former species. 제주도 한라산에 자라는 한라송이풀은 고유종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awa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이 식물은 근연종인 P. amoena, 구름송이풀 또는 이삭송이풀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분류학적 처리가 혼동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 식물의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라송이풀과 근연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 및 핵 리보소옴 DNA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한라산의 이 식물은 꽃받침 열편, 화판 상순과 하순의 길이 비, 식물체의 선모 밀도, 개화기 근생엽의 유무 및 염기서열 자료에서 P. amoena 및 구름송이풀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한라송이풀은 외부형태 및 ITS 염기서열에서 동북아에 분포하는 이삭송이풀과 뚜렷이 구별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형태 및 분자생물학적 자료는 한라송이풀이 이삭송이풀로 통합되는 것을 지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