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3차 핵실험 전후 대책

        전성훈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1 전략연구 Vol.52 No.-

        It is highly likely that North Korea will conduct a third nuclear test by the fall of 2012. There have been numerous reports and official remarks indicating that technical preparations are ready and it is the matter of a political decision. There are several motivations that make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o conduct a third test: laying a foundation for the "Great and Powerful Nation" that is supposed to open in 2012, creating a legacy for the ongoing third generation power succession, using as a bargaining chip for nuclear negotiation, enhancing nuclear deterrents by demonstrating more effective and powerful nuclear explosion, and exercising nuclear threat and intimidation against South Korea. Having in mind that North Korea gradually revealed its secret highly-enriched uranium (HEU) program after the second nuclear test in 2009,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a third test would use a HEU warhead. Since November 2009 when first mentioning the existence of the uranium enrichment program for a light water reactor under planning, North Korea has kept inform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program through briefings, letters, and media reports. And a year later in November 2010, North Koreans invited Dr. Siegfried Hecker to Yongbyon and publicized about 2,000 sophisticated centrifuge machines and the "ultra-modern" control room.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after a third nuclear test will be unfolded in two ways. On the one hand, it will declare a freeze of the plutonium capability and also a moratorium of further nuclear testing. It will also promise not to proliferate its nuclear technologies and materials to a third country. At the same time, North Korea will insist on keeping the uranium enrichment program under the pretext of producing nuclear fuels for the pilot LWR under construction. In return, Pyongyang will demand the United States to reduce the USFK dramatically, withdraw the nuclear umbrella for Seoul, and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will propose to have a mutual nuclear disarmament talk with the United States. The idea would be that Pyongyang is willing to give up its nuclear weapons if Washington withdraw its nuclear capabilities from Northeast Asia.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eds to take preemptive measures to deter North Korea from conducting a third test. First of all, it is urgent to tighten the existing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dopted for North Korea. Then, China should be asked to be more forthcoming in exercising its power and carrying out international obligations with the purpose of reigning in North Korea's provocative behaviors.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could nnounce possible measures to implement in case of North Korea's third nuclear testing. 앞으로 1년 정도의 기간 내에 북한이 3차 핵실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2012년은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가 모두 대선을 치러야 하는 시기로서 동북아의 정세가 불안정할 수 있는 안보적 취약기이기 때문에 북한 지도부는 이 틈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 북한이 2차 핵실험 이후 “고농축우라늄”(Highly Enriched Uranium: HEU) 프로그램의 존재를 점차 기정사실화 하면서 마침내 그 존재를 만천하에 공개했기 때문에 3차 핵실험은 순수한 HEU 핵탄두 실험이거나 폭발력을 증대한 핵실험이 될 가능성이 높다. 3차 핵실험을 통해 명실상부하게 핵 억지력을 보유했다는 것을 대내외에 과시하고 자신감을 확보한 후 북한이 취할 새로운 핵전략의 기본 노선은 플루토늄 핵능력을 동결하면서 동시에 HEU를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북한은 6자회담 등 북핵문제 협상에서 동북아 주둔 미군의 존재와 한‧미 동맹 및 미국의 대남 핵우산을 안보위협으로 내세우며 ‘완전한 핵포기’를 거부할 것이다. 그 대신에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타협안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1. 플루토늄 핵무기 생산을 중단하고 현재 보유한 선에서 플루토늄 핵무장 능력을 “동결”(Freeze)한다. 2. 추가 핵실험을 중단한다3. 핵기술과 핵물질의 확산을 중단한다. 4. 2010년 11월 공개한 원심분리기 시설은 시험용경수로의 핵연료 생산을 위한 평화적인 원자력시설이므로 북핵폐기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 다만 이 시설이 평화적인 것임을 입증하기 위해서 IAEA의 사찰도 수용할 의사가 있다. 북한은 이러한 제안에 대한 대가로 주한미군 대폭 감축, 대남 핵우산 철회 등 미국의 대북한 위협제거 조치와 관계정상화 및 경제지원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3차 핵실험을 저지하기 위한 사전대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 ①유엔안보리의 기존 대북제재결의안을 철저하게 이행함, ②중국을 압박해서 북핵정책의 변화를 촉구함, ③핵실험의 징후가 임박한 것으로 판단되면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실시하는 경우 한국이 취할 조치를 미리 공개함. 아울러 3차 핵실험이 실시된 이후 취할 정부차원의 대응조치와 국제적 공조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북한의 핵실험과 우리의 대응

        김강녕 ( Kang Nyeong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09 동북아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북한의 핵실험과 우리의 대응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의 핵개발과 제2차 핵실험, 그리고 핵실험의 파장 즉 유엔안보리의 제재결의와 북한의 태도 등을 분석한 후 북한의 핵문제에 대한 한국의 군사적·외교적 대응책을 도출해 보았다. 6자회담을 통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 미국과 일본 등 국제사회의 거듭된 우려와 경고 등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북한은 2006년 10월 9일의 1차 핵실험에 이어 2년 7개월만인 2009년 5월 25일 2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그럼으로써 국제사회에 적지 않은 파장을 미치고 있다. 이번 북한의 2차 핵실험이 주는 충격의 강도가 1차 핵실험 때를 훨씬 능가하고 있다는 것은 2009년 6월 13일 유엔 안보리 전체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채결된 유엔 안보리 결의안 제1874호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북한의 핵무기 보유 동기로는 ① 군사전략적 동기, ② 국내정치적 동기 즉 선군정치 실현의 유일한 방법과 김정일 실정(失政)의 유일한 만회수단, ③ 대미협상력 증대를 위한 국제정치적 동기(이유) 등을 들 수 있다. 2차 핵실험을 강행한 배경 및 저의는 무엇인가? 여러 요인 중에서도 북한 핵무기 개발의 기술적 문제 해결 필요성, 김정일 건강이상 이후 비핵화에 부정적인 북한 군부의 영향력 증대, 북한의 인공위성 로켓 발사에 대한 미국의 제재에 대한 북한의 반발, 김정일의 후계자의 지도력 과시 필요성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결의(1874호)에 대해 2009년 6월 13일 외무성 성명을 통해 안보리의 대북 결의 1874호에 강력히 반발하면서 ① 우라늄농축 작업 착수, ② 새로 추출한 플루토늄의 전량 무기화, ③ 봉쇄시 군사적 대응 등 3개 대응조치를 선언했다. 우리의 북핵에 대한 대응책은 군사적이면서도 외교적이어야 한다. 우리는 그동안 관련 국가들이 추진해온 6자회담의 취지를 최대한 살려 북한 핵 폐기를 위한 노력은 지속해 나가되, 이와 함께 북한의 핵문제 해결(핵폐기)의 장기화 및 무산에 대비한 북핵 무력화 전략 및 그러한 전력의 증강을 추진해 나가야 하는 것이 우리의 당면과제가 아닐 수 없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Korea`s military and diplomatic measures against North Korea`s second nuclear weapons test. On the 25th of May, 2009, North Korea conducted its second nuclear weapons test. North Korea has detonated two nuclear devices in the past three years.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874 was adopted unanimously by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on June 12, 2009. On June 13, 2009, North Korea announced it has begun enriching uranium. It`s not just North Korea that want a bomb. The Korean government`s measures(strategies) on North Korea`s nuclear test must include diplomatic and military means. Firstly, our military must be able to deter military(nuclear) threats and provocation from the North Korea and build up capabilities to cope well with the uncertain security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ROK and the US have shed blood together in war and will remain staunch allies for years to come. Secondly, our government should do our best in order to make the peaceful resolution of North Korean.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must also seriously review how it will go about implementing its unification and security policies toward a nuclear North Korea if the six party talks fail.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situations in whic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effort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uddenly takes a significant turn for the worse.

      • KCI등재

        북한의 2차 핵실험과 핵개발 의도

        홍성후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2

        This thesis is to seek for the answer how we recognize the 2nd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how we tackle the crisis of nuclear tension in North-East Asia for the peace in the region. To analyse this situation of North Korea nuclear tension, this author tried to evaluate the nuclear capacity of North Korea through the 2nd nuclear test as it is. This papers tries to explain the critical argumentation from international society, checking talk-possibility of six countries concerned and the intention-degree o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through the North East Asia context. It is very hard to look into the hidden intention of North Korea nuclear development.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the author, is that North Korea has been a secret dictatorship country long ago. Therefore the author took the methodology in security circumstance-screening of North Korea, so that indirectly the author could guess what will be the key intention of North Korea Nuclear project. The author tried to evaluate the 1st and 2nd nuclear tests as they are, and he supposed that North Korea overcome the threshold of nuclear weapon development, which means they have a number of plutonium and uranium bombs. But the author devaluated those bombs as primitive weapons, because North Korea has very old nuclear facilities, weak economic capacity and technical insufficiency. He also believes that it will takes long times for North Korea to achieve the possession status of nuclear weapon. Red China and America are concerned uneasily about North Korea intention through nuclear test. International society was so surprised to see North Korea nuclear test that they criticised North Korea strongly, with announcing strong anti-resolution 1874 of U.N. security council. The key problem to solve this crisis will be trust relation set-up between U.S. and North Korea from now on. In a sense, what is really hidden goal of North Korea, may be to get economic aid from western society through nuclear game of North Korea, as the author believes so. China, as a strong ally to North Korea, also regards nuclear weapon of North Korea as dangerous situation. And China has provided lots of economic aids from early 1950 to today. So that North Korea might listen to China advice in short time. China would try to persuade North Korea to abandon nuclear test in future. The author concludes someday finally U.S. and China would control North Korea's nuclear game through the six-party talks. He declared that the real intention of North Korea would be to get a plenty of foreign aid from western countries enough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of North Korea. 본 논문 목적은 “북핵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차 핵실험에서 보여준 북한의 핵능력을 유추해 보고, 핵실험 이후 전개된 국제사회의 반발과 대화 가능성을 살펴본 후 동북아 안보환경 분석을 통해 북한의 핵개발의도를 파악해 보고 있다. 북한의 핵개발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만, 동북아의 안보환경을 분석해 봄으로써 북한의 핵 의지를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북한의 2차 핵실험을 높이 평가하여 북한이 플루토늄탄과 우라늄탄 수개를 제작하였다고 해도 이는 초기단계의 핵무기일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노후된 핵시설, 경제력, 기술력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이 명실상부한 핵 억지력을 갖춘 핵보유국이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한편,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는 UN 대북제재 결의안 1874호를 통해 북한을 강력히 비난하고, 1차 핵실험 때 결의한 1718호 보다 강화된 대북제재에 들어갔다. 그러나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의 방북이후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북미접촉이 시작되었고, 중국 원자바오 총리의 방북 등을 통해 북핵문제에 대한 대화국면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변화는 북한의 핵개발의도가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북한이 핵개발을 통해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변화하는 동북아 안보구조 속에서 그 윤곽을 유추해볼 수 있다. 동북아에서 북한의 가장 든든한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도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원하지 않는다. 특히 중국은 북한과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조약’을 맺고 있어 북한이 핵보유를 강행하여 미국의 무력공격을 받을 경우 자동적으로 미국과 교전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는 자국에게도 위험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현재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받고 있는 경제적 원조와 교류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은 중국의 의견을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보았을 때, 북한의 핵실험 궁극적인 의도는 핵보유국이 아니라 핵 포기의 대가로 경제난 극복과 경제회복에 필요한 원조를 기대하는 것이다.또한 미국과 평화조약 및 수교를 통해 자신들의 체제를 제도적으로 보장받는 것이다. 이 경우 북핵문제 해결의 핵심은 양측의 신뢰구축이다. 즉 평화적 협상과정을 통해 미국을 위시한 협상 참가국들과 북한이 “얼마나 빨리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가”가 중요 관건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핵실험과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

        김강녕(Kang-Nyeong Kim) 한국통일전략학회 2006 통일전략 Vol.6 No.2

        본 연구는 북한의 핵실험과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북한의 핵실험(2006. 10. 9)과 핵개발의 추이, 러시아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북한핵실험과 러시아의 인식·대응 등을 분석한 후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소련은 1948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수립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48년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이 북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은 것도 소련이었다. 처음부터 구소련은 북한의 긴밀한 동맹국이었고 북한은 구소련의 안보를 지키는 완충지대가 되었으며, 소련의 군사적·경제적 원조를 받아 전 한반도에 지배를 확대하려고 했다. 그러나 고르바초프의 신사고 외교에 의해 소련의 대북한 외교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북한은 끝내 국제적 설득과 압력을 무시한 채 핵실험을 강행했다. 국제사회의 요구와 경고에는 귀를 닫고 자신의 일정표에 따라 움직인 것이다. 러시아는 기본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는 접경국으로서의 이해뿐만 아니라 핵강대국으로서의 이해에도 부합된다고 보고 있다. 러시아는 북핵문제가 6자회담 틀내에서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해결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북한에 실험용 원자로 및 핵기술을 제공한 바 있는 러시아는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해서 북한도 잘못했지만 북핵문제의 또 다른 당사자인 미국도 잘못했다는 양비론을 펴고 있다. 러시아는 구소련 붕괴 후 유일 초강대국이 된 미국과의 관계설정에 있어서 미국의 세계정치의 지도적 역할에 대해 국익과 부합되는 경우 ‘편승’(강한 편과 제휴)하고, 국익과 충돌하는 경우 ‘균형’(약한 편과 제휴)하는 ‘편승과 균형’의 전략을 유연하게 구사하고 있다. 러시아는 북한의 핵실험이후에도 변함없이 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 ② 한국과의 경제교류를 통한 실익 추구, ③ 북한에 대한 영향력 복원, ④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 확보 등과 같은 기존의 한반도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푸틴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속도와 북한 핵문제해결을 위한 6자회담의 진전 여부에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될 것이나, 제한적 수준에서나마 양국간 제반분야 협력증진노력은 지속될 것이다. 향후 북핵과 관련해서는 러시아 역할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북한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과 미국의 대응방향이 관심의 초점이 될 전망이다. 중국, 일본 및 한반도와 영토가 맞닿아 있는 러시아는 한반도의 안보와 통일문제와 관련되어 있어 우리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되는 주요국가들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미공조, 국제공조, 남북공조 등의 조화를 모색해 나가면서 우리가 당면한 북한 핵위기를 전화위복(轉禍爲福)시킬 수 있는 해법을 마련하는 일에 중지(衆智)와 역량(力量)을 모아야 할 때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North Korea's Nuke Test(October 9, 2006) and Russian policy toward Korean peninsula.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will influence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mpact on the entire Northeast Asia. As an occupying power after World War II, a close ally of neighboring North Korea for over four decades, and now a country enjoying good relations with both North and South Korea, Russia has significant economic, political, and strategic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 For over four decades, the Soviet Union had an essentially 'frozen'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 firmly backing Pyongyang. But beginning with Mikhail Gorbachev's dramatic foreign policy reforms in the late 1980s, Moscow'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has undergone major changes. North Korea announced on October 9 that it has successfully conducted an underground nuclear test, ignoring repeated warn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announcement of the test came just three days after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warned the North that the action could lead to severe consequences. Russian reaction to North Korea's Nuclear Test has been realistic, gradualistic, and unequivocal. Russia absolutely condemns the test in North Korea, which has inflicted great damage to the non-proliferation process, also urging Pyongyang return to the Six Party Talks. We have no way of property confronting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 and there is no guarantee that Pyongyang will succumb to the pressure of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in the near future. If we can solve it properly, new era of cooperation and reciprocity will be open in the Northeast Asia. It is time to solidify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U.S., Russia, and other peace-loving nations to dismantle the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 유엔의 북핵 대북제재조치의 실효성과 북한의 체제생존전략

        김주삼(KIM JOO SAM)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18 한국과 국제사회 Vol.2 No.1

        북한은 2006년 1차 핵실험을 시작으로 2017년 9월까지 총 6차례의 핵실험을 감행하였다. 북한은 미국의 대북적대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체제수호와 방어적 차원에서 핵무장력 담보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의 전략적 목표가 북미협상을 통해 북한체제 위기를 극복하고 그들의 한반도 사회주의통일을 위한 핵무장력을 완성하는 데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북한의 계속된 핵실험은 한반도평화를 위협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으며, 동북아안보 역학구도에 간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엔안보리는 이러한 북한의 무모한 핵실험에 대해 지난 10년 이상 6차례의 유엔안보리 결의로 대북제재조치를 단행해 왔다. 그러나 북한 김정은 정권은 유엔과 미국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조치에도 불구하고 핵·경제병진노선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조치가 북한에 대한 효과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 것은 북한이 강도높은 핵실험으로 격상시키는데 요인으로 분석된다. 2017년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제재 조치 수단 가운데 하나인 대북 군사옵션은 한반도에서의 전면전과 국지전 양상으로 예상된다. 미 트럼프 행정부는 이전의 미국 행정부의 대북제재조치 양상과는 다르게 세컨더리 보이콧이라는 외교압박전술을 시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조치에 대해 북·미 간 전면적인 군사대결 입장을 밝히며 ‘벼랑끝 전술’로 맞서고 있다. 북한은 당분간 체제생존차원에서 핵·경제병진노선을 추진할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체제는 미·중 간의 현실주의적 국가전략 추진으로 체제붕괴 변수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전략적 선택의 폭은 좁아진다. North Korea conducted a total of six nuclear tests from the 1st test of 2006 to September, 2017. North Korea developed an armed forces security strategy at the level of regime protection and defense to respond to U.S. hostile policy. However, it is certain that strategic goals of North Korea s nuclear test were to overcome a crisis in North Korea s regime through US-North Korea negotiation and complete nuclear armed forces for socialist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s continuous nuclear test is a direct factor in threaten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n indirect factor in security dynamics of Northeast Asia. The U.N. Security Council has enforced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rough six resolutions against North Korea s reckless nuclear test for the past 10 years. However, Kim Jong-Un s regime is in a position to stick to simultaneous pursuit of nuclear and economic development in spite of anti-North sanc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U.N. and U.S.A. It is understood that North Korea was stimulated to conduct intense nuclear test as U.N. and U.S.A s anti-North sanction was not effective on North Korea. Full-scale and local wars are expected as military options, one of anti-North sanctions of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attempted diplomatic pressure strategy as a secondary boycott unlike previous administrations. Nevertheless, North Korea has stood against U.N. and U.S.A s anti-North sanction with brinkmanship tactics, announcing full-scale military confrontation against U.S. It is judged that North Korea will pursue simultaneous nuclear weapon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erms of regime survival. North Korea will have less strategic choices in that its regime may collapse because of realistic national strategy between U.S.A. and China.

      • KCI등재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북정책

        홍은정(Hong, Eun Jung) 한국아시아학회 2016 아시아연구 Vol.19 No.4

        본 논문은 2016년 발생한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북한 정책운동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에서 미중관계를 중국의 대북한 정책의 독립변수로 설정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로, 중국은 미중관계의 구조 속에서 대북한의 전략적 관리차원에서 대북정책을 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국은 미중관계라는 구조적 차원에서 북한의 핵실험 문제에 접근하여 북핵문제를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차원에서 문제의 해결을 꾀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의 미중관계는 협력과 경쟁의 속성을 모두 지닌 관계로 이해될 수 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국은 북한 문제를 두고 미국과 협력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북한문제에 대한 미중관계의 협조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속에서 자국의 한반도 안보이익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은 4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핵실험을 반대하는 입장에서 미국이 희망하는 유엔 대북체재결의 2270호에 동참하는 한편, 북한을 대화와 협상으로 이끄는 평화협정의 병행추진을 주장하였다. 향후 북한이 새로운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 등을 감행할 경우 중국은 미국과 협력과 갈등을 겪는 과정에서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결연히 견지하며, 한반도 문제의 조속한 안정을 이루어 나가는 방향에서 대북 정책을 운용해 나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a’s policy operation toward North Korea since North Korea’s 4th nuclear test occurred in 2016. Its independent variable for inquiring into China’s polity upon North Korea is US-China relations. From research results of analyzing how China perceives the 4th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deals with North Korea, it shows that the interaction structure of US-China relations forces China to take such a strategic management of North Korea. The current US-China relationship might be understood as a cooperation system which includes not only cooperations but also competitions between them in terms of nuclear tests by North Korea, thereby China intends to maximize her security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 In opposition to the nuclear test by North Korea, China participated in the U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at the US had proposed, but at the same time insisted on the promotion of peace agreement that would lead North Korea to the table of conversation and negotiation.

      • KCI등재

        북한의 핵실험과 남한의 남북경협정책

        박순성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6 북한학연구 Vol.2 No.2

        북한 경제는 「7·1조치」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성장률은 그다지 높지 않으며, 북·미 갈등의 심화로 개혁·개방의 효과도 충분히 거두지 못하고 있다. 현재 북한 경제가 직면한 핵심적인 문제는 투자자원의 부족 및 성장잠재력의 소진, 대외환경의 악화 및 대중·대남 의존도 심화, 국민경제의 구조적 분열, 중장기 발전전략의 부재 등이다. 이런 상황 하에서 군사주의적 방식으로 대·내외 안보·경제 위기를 극복하려는 북한 지도부의 전략은 미국의 대북강경정책을 불러왔으며, 이는 다시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와 핵실험을 가져왔다. 북한은 핵실험으로 국제사회에서 더욱 고립되었으며, 북·미 협상이 순조롭게 진전된다고 하더라도 대외환경이 개선되기까지에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글은 현재의 국면에서 남북경협의 의미를 재점검하고 바람직한 남북경협정책을 모색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북핵실험 이후 남북경협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세 가지 질문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북핵실험으로 안보위협이 증대된 상황에서 남북경협정책을 계속 추진하는 것은 합리적인가. 미국의 대북경제제재가 작동하는 상황에서 남북경협은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으며 기대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가. 북한 지도부는 개혁·개방이 아니라 군사주의적이고 폐쇄적인 체제유지전략을 선택한 것이 아닌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면서, 필자는 한국 정부가 현재의 위기국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남북경협의 본질적 의미를 재점검하고, 중장기적 차원에서 남북경협이 북한 경제의 성장과 체제전환, 그리고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도록 대북포용정책에 기초한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펴야 할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North Korean economy has continued to develop after ‘the 7.1 Reform Measures’. But the growth rate has not been so high, and the reforms and opening policy did not realize satisfactory results because of U.S.-D.P.R.K. conflict. The current key problems of North Korean economy are the deficiency of its investment resources, total exhaustion of its growth potential, deterioration of its foreign relations, its dependence on South Korean and Chinese economies, structural division of its national economy, absence of its long-term development stratgy. Under these conditions, North Korea tried to cope with its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by the military-first principle and carried out a nuclear test.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strategy of North and South Korea, North Korean reforms and opening policy, and the economic integration of two Koreas. Also are treated three questions raised by North Korean nuclear test concerning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e validity of economic cooperation policy, the influence of economic sanction intiated by U.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policy intention of the North Korean leadership. Finally we recommend South Korea should carry out engagement policy and active economic cooperation policy toward North Korea.

      • KCI등재

        핵실험을 통해 본 북한의 핵능력

        문주현 평화문제연구소 2010 統一問題硏究 Vol.22 No.1

        2009년 5월 25일 북한은 2006년에 이어 두 번째 핵실험을 감행하였다.두 번째 핵실험에 의한인공지진 규모가 2006년의 그것에 비해 크다는것이 확인됨에 따라 북한의 핵무기 개발 능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북한이 실시한 두 차례 핵실험의 추정 위력을 토대로 북한의 핵무기 개발 능력을 분석하였다.이를 위해,①20kt급 핵무기를 이용하여 핵실험 수행,② 4kt급핵무기를 이용하여 핵실험 수행이라는 2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하였다. 북한의 두 차례 핵실험을 통해 나타난 핵폭발 위력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20kt급 핵무기보다는 4kt급 핵무기를 이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n May 25 2009, North Korea conducted the second nuclear test. Si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eismic magnitude caused by the second nuclear test was larger than thatby the first nuclear teston October 9 2006,manypersons have been very concerned about North Korea``s nuclear weapon development capability, in particular, whether North Korea has already completed the miniaturization of a nuclear warhead. In this paper, the nuclear weapon development capability of North Korea was assessed using the data resulting from North Korea``s nuclear tests. For this, 2 nuclear test scenarios were assumed:① a test using 20kt-yield nuclear bomb;and ② a test using 4kt-yield nuclear bomb. As a result, the estimated explosion yield of the second nuclear test shows that the possibility of using 4kt nuclear bomb is a little higherthanthatofusing20ktnuclearbomb.

      • KCI등재

        북한 핵 실험 이후 북・중 교역 추이와 함의

        김수민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6 평화학연구 Vol.17 No.5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hanges of trade volume and its implic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ince the North’s nuclear tests in 2006. International societies imposed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o challenged the Nonproliferation Treaty system by testing it’s nuclear weapons. China, have denounced strongly the North’s nuclear tests, supported the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the North. However, for China, the condemnation against the North was one thing, the implement of sanctions on the North was another. From the perspectives of China, North Korea is a very important strategic assets. China do not want the instability of North Korean regime by imposing the sanction against the North, therefore, China is try to continue to trade with North Korea as usual. For North Korea, China was an only state that North could depend on while the relations with South Korea and Japan were cut off. As a result, the degree of North Korea's trade dependence on China has soared to 90.3% in 2015 from 28.6% in 1996. This means that North Korea can not operate its economy without Chinese supports and as a result China's influence over the North has increased. The China's increasing influence on the North could be a burden for South Korea in the future of Northeast Asian region. Reaching over 90% of the degree of North’s trade dependence on China resulted from the several factors such as sanctions against the North imposed by international societies, Chinese efforts to block the collapse of North Korean regime, geographic proximity, international economic situations etc. Increasing the degree of the North's trade dependence on China was inevitable consequence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North relations with South Korea and Japan were totally cut off.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 improves, then, the degree of the North’s trade independence would be decreased. The North’s nuclear issue can not be solved only with sanctions against the North but the dialogues with the North should be combined. In this sense, South Korea’s role is very important. South Korea should prepare the peaceful alternatives on Northeast Asian issues, and persuade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Japan, and North Korea. 이 글은 북한의 핵실험 이후 북한과 중국 간 교역 추이를 알아보고 그것의 함의를 살피고자 한다. 핵실험으로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에 도전한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는 제재 카드를 꺼내들었다. 국제사회에서 북한을 옹호해 온 중국도 핵실험을 강력히 비난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동참했다. 북한 핵실험 후 중국 정부나 학계, 일반 중국인의 반응을 보면 중국의 대북정책이 변했다고 할 만큼 북한의 핵 개발에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중국에게 북한은 아직도 전략적 자산이어서 대북 제재 이행은 별개의 문제였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로 북한 체제가 흔들리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중국과 북한의 교역은 계속됐다. 한국이나 일본과의 교역이 중단된 상태에서 국제사회의 제재에 직면한 북한으로서는 기댈 수 있는 곳이 중국일 수밖에 없다. 그 결과 1996년에는 28.6%였던 북한의 대 중국 교역 의존도가 핵실험 이후에 계속 높아져 2015년에는 90.3%에 이르렀다. 이는 북한 경제가 중국이 없으면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만큼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진 셈이다. 동북아 정세로 보아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은 한국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북한의 대 중국 교역 의존도가 90%를 넘어선 것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중국의 북한 체제 붕괴 방지 노력, 지리적 인접성, 국제 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남북 관계와 북일 관계가 악화된 상태에서 북한의 대 중국 교역 의존도가 심화되는 것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만약 남북 관계가 개선된다면 북한이 대외 무역에서 중국에 의존하는 비율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북한 핵 문제는 북한에 대한 제재만으로 결코 해결할 수 없으며 북한과의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 그 점에서 한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한국은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상호 신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관련 국가를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북한은 핵실험 이후 더 공격적인가?

        황지환(Jihwan Hwang)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1

        이 글은 북한의 핵무기 실험 및 보유과정에서 보여준 대외전략과 대외정책의 변화를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국가들이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면 일정한 대외적 행동의 변화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북한은 2005년 핵무기 보유를 선언하고 2017년까지 6차례의 핵실험을 하는 동안 어떠한 대외전략과 대외정책을 보여주었는가? 북한은 ‘사실상의’ 핵무기 보유국 선언 이후 더 공격적으로 변화했는가? 이 글은 북한이 핵실험 이후 대외전략적으로는 현상타파의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대외정책적으로는 현상유지의 상반된 정책을 보여주었다는 점을 설명한다.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North Korea’s national strategy and foreign policy after its nuclear tests? Has North Korea shown quite different behaviors from those before nuclear tests? Is North Korea now more offensive externally as a ‘de facto’ nuclear weapon state? This paper argues that North Korea has possessed a revisionist strategy with nuclear weapons while it has shown a status-quo policy, which makes a gap between strategy and policy in North Korea’s external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