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언어정책의 비교·분석과 그 서술 변화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정책사(언어부문)』(1973)과 『조선로동당언어정책사』(2005)를 중심으로-

        이상혁 ( Lee Sanghyeok )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90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 언어정책의 역사와 그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조선로동당정책사(언어부문)』(1973)와 『조선로동당언어정책사』(2005)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약 30년의 시차를 두고 간행된 두 텍스트를 통해서 북한의 언어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면서 그 역사적 흐름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우선 『언어정책사』(1973)와 『언어정책사』(2005) 두 텍스트의 문헌적 성격과 내용적 특징을 통해서 편찬자가 북한의 언어정책을 기술할 때 어떻게 서술의 하위 범위를 설정하고 구조화했는지 살펴보았다. 그것을 통해서 『언어정책사』(2005) 서술이 『언어정책사』(1973)보다 서술 체계가 좀 더 입체적이고 맥락적 연계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언어정책사』(2005)의 내용적 특징을 검토하면서 『언어정책사』(1973) 이후 어떤 언어정책적 사실들이 새롭게 서술되고 강조되었는지 탐색해 보았다. 다른 한편으로 북한의 언어정책 1기~3기를 관통하면서 일관되게 발전적으로 추진된 언어정책의 두 가지 특징이 ‘어휘정리’와 ‘규범의 발전’이었음을 재확인하였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1980년대 이후 ‘문화어건설 성과의 공고화’ 중심의 언어정책 서술의 내용적 특징을 분석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history and direction of North Korean language policy.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important publications, The Joseon Labor Party Policy History (Language Division) (1973) and The Language Policy History of the Joseon Labor Party (2005)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two texts published about 30 years apar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of history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how North Korea's language policy has changed. First of all, when describing North Korea’s language policy, it was examined how the editor established and structured the sub-scope of the description through the bibliographic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text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Language Policy History of the Joseon Labor Party (2005) has a more three-dimensional and contextual connection in the narrative system than The Joseon Labor Party Policy History (Language Division) (1973). In addition, while examining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Policy History of the Joseon Labor Party (2005), I explored what language policy facts after The Joseon Labor Party Policy History (Language Division) (1973) were newly described and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the two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policy, which was promoted progressively while maintaining consistency from the first to the third period of the language policy in North Korea, were vocabulary arran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norms. Based on this,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language policy statement that strengthened the achievements of building Munhwaeo(문화어) since the 1980s were analyzed. Finally, some of the implications of The Language Policy History of the Joseon Labor Party (2005) to us in North Korea's language policy are summarized.

      • KCI등재

        국어 표준 화법의 현황과 개선 방안 ; 남북 화법 표준화를 위한 한 모색 -호칭과 지칭을 중심으로-

        임칠성 ( Chil Seong Im )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언어예절은 만남의 시작이고 끝이기 때문에 동질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분단 이후 주체사상에 바탕을 둔 북한의 언어 정책은 이념을 기반으로 언어 예절을 변화시켰고, 남한은 무분별한 외래문화의 수용으로 인해 언어 예절이 변화되어 언어 예절에서 남북의 차이는 자못 심각하다. 이 글에서는 호칭과 지칭을 중심으로 남북 화법 표준화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북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북한의 호칭과 지칭 실태를 정리하여 통일의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로 삼았다. 북한은 봉건 잔재 사상이 남아 있다고 생각한 호칭과 지칭을 사용치 않도록 규범화하고 있다. 그러나 서북지역의 방언 조사에 의하면 현재에도 여전히 이런 호칭과 지칭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의 언어 규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언중 사이에서는 언어 관습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주체사상은 집단적 관계를 조장하고,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규범은 집단적 관계를 가족 관계로 확장하여 인식하도록 호칭과 지칭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셋째, 사회적 호칭은 일정한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넷째,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해서는 특별한 호칭과 지칭이 존재한다. 이런 북한의 실태를 바탕으로 표준화의 방향을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규범이 아니라 현재의 사용 실태를 기초로 삼아야 한다. 규범과 달리 시골지역의 일반 언중은 여전히 언어적 전통을 지키는 호칭과 지칭을 사용하고 있다. 둘째, 다름을 인정하고 단계별로 표준화 한다. 하나의 규범으로 전체를 통일하려고 하는 것보다 방언권별로 다양한 사용의 실제를 인정하여야 한다. 전체를 아우르는 표준형과 함께 방언권별 표준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말 뭉치와 같이 화법 뭉치를 구축하여 가장 많이 쓰이고 널리 쓰이면서 생산력이 높은 표현들을 찾아 기본 표현으로 정해야 한다. 이 기본 표현은 전체적인 표준형 결정이나 새로이 요구되는 표현 결정에 기본이 될 것이다. 넷째, 언어의 전통을 표준의 원리로 삼아야 한다. 언어의 전통은 언중의 인식에 깊이 자리 잡은 표현이면서 남북이 쉽게 합의할 수 있는 통합의 원리이다. 다섯째, 강제와 권고의 두 유형으로 표준화한다. 강제 표준화는 현재 쓰이고 있는 표현 중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권고는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표준화이다. 규범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언중의 언어생활을 한 가지로 재단하는 것은 언어의 사회성을 인정하지 않는 꼴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말, 바른말, 쉬운 말이라는 국어 순화의 원칙에 따라야 한다. 다만 우리말이라는 개념을 고유어라기보다 언중에게 아주 익숙한 말의 개념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Since division of Korea into south and north, in north Korea the language prescription based on the Juche ideology has changed their language etiquettes. In south Korea those have been changed by unquestioning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So the difference of the etiquettes has been being more critical. In this paper, I show principles for language etiquettes unification of both sides, centered on call names. I organized actual condition of call names in north Korea through researching some movies, dramas and books of and about north Korea. The Juche ideology has made no use some names those reflect feudalistic idea, such as `-ssi, seobangnim, halabeom, doryeonnim`. But some rural areas they still use some of those names. The ideology has promoted group relationship in their society and has made people use some family names among people in groups, such as, dongmu, dongji, daejangdongjiajumeoni(`a wife of leader`; `ajumeoni` means aunt), seadaeju(`a husband`; `seadaeju` means householder). There are systems in social call names. And they call Kimilseong(the old leader) and Kmjeongil(the present leader) using special names such as `Great leader Kimjeongil dongji`. Based on the research, I suggest some ways for unification principles of language etiquettes. First, they have to based on actual condition. Because prescriptions of both sides are so different and actual conditions in both sides still maintain traditional customs. Second, they should be unified step by step. First, they will be &led in each dialect region. South Korea should accept differences of north Korea caused by ideology. Third, they should decide some basic call expressions which are used frequently and widely and have productive capacity. Fourth, they need to value traditional principles as being important. Fourth, there should be two types of unification, type of rule and type of recommendation. At last, they should obey the principles of pur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principles of proper expressions, correct expressions and easy expressions.

      • KCI등재

        북한의 한문교육과 그 추이

        진재교 ( Jin Jae-kyo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7 No.-

        일제 식민시기를 거쳐 해방과 그 이후의 북한 어문정책은 기본적으로 `언어=민족`이라는 언어내셔널리즘을 배후에 둔 한글전용(국문전용)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한글(국문) 전용의 길에 방해가 되는 표기와 그 사용을 적극 배제하였다. 현재까지 북한의 어문정책은 언어내셔널리즘의 완결체를 보여준다. 국가가 법제로 한글 전용의 완성을 강제하는 것은 근대 국민국가 성립시기에나 있을 법한 발상이다. 이는 어문생활의 사회적 요구와 현재의 어문 환경을 외면한 국수적 언어내셔널리즘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북한의 어문정책은 현실의 어문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내셔널리즘의 과잉 표출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 북한의 한문교육은 김정은 정권등장 이후 축소되어 고급중학교 3학년에서만 배운다. 이는 이전의 양상과 다르다는 점에서 한반도 어문생활에 심각한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제 韓民族의 어문생활과 통일을 대비한 어문 정책의 방향 정립이 시급한데, 한문교육의 강화가 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분단체제 극복이라는 시각에서 볼 때 한문교육은 큰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이 점에서 북한의 어문정책과 한문교육을 확인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became to a considerable degree limited in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11-45). However, in the liberated Korean Peninsula since 1945,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was to a greater extent reduced due to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policies in North Korea, of which the ultimate goals were the sole use of the Korean script hangul. The North Korean government did not take the role of Chinese characters into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in which they utilized hangul as a tool for social unity. Furthermore, they also committed themselves to social integration and the increase of the literacy rate through the expansion of public school education and the elaboration of the system of hangul education. The goal shared by the national language policies of North Korea since 1945 is basically the sole use of hangul based on the conception of “language nationalism,” that is, “language = Nation.” North Korea tried to exclude different writings such as Chinese characters in the hangul writing system, which was viewed as the obstacle to the sole use of hangul. In this respect, North Korean language policies ideally show the completed phase of constructing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system based on language nationalism. As a matter of fact, the government policy to force the sole use of hangul through the powerful legal system might be comparable to the measure taken by the emerging modern nation-states during the modern period. This policy could be considered anachronistic in that it tends to ignore the social demands and actual lingual environments in line with exclusive language nationalism. All in all, despite the efforts to restore the use of hangul, the North Korean language policies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could not completely overcome the traumatic cultural experiences from the colonial period and revealed the inflexibility of language nationalism.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are formed and evolved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other languages, just as culture is. In this process, each culture or language contacts with other cultures or languages, and as a result the impacts may remain within the language system. I think that the idea of exclusive language nationalism that often disregards the interactions with other languages is close to an unrealistic fantasy. The pure and intrinsic language possessed by one nation exists only in one`s conception or logic, but not in actual lingual environments. Imagining the purity of hangul and discussing actual lingual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this notion are totally irrational.

      • KCI등재

        언어정화(말다듬기) 정책의 논리 구축 과정에서 북한 지도이념과 어문민족주의의 상호작용 양상

        최경봉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3 No.-

        본고에서는 북한 지도이념과 어문민족주의의 상호작용이라는 차원에서 북한의 언어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언어정화 정책의 논리가 구축되고 변화하게 된 맥락을 구체화하였다. 이 논의는 다음 두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북한에서 이루어진 관련 논의를 분석하여 국제적 공통성과 민족적 특수성의 융합 논리가 변동하는 양상을 포착하고, 이를 근거로 북한 지도이념(마르크스-레닌주의 및 주체사상)과 어문민족주의의 상호작용 양상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북한의 지도이념으로 확고하던 시기에는 국제적 공통성을 중시하는 융합 논리가, 주체사상을 북한의 지도이념으로 정립해나가는 시기에는 민족적 특수성을 중시하는 융합 논리가 부각되었음을 밝혔다. 둘째, 주체사상화 과정에서 제기된 혁명적 문풍 확립의 논리가 변화하는 양상을 포착하고, 이를 근거로 주체사상과 어문민족주의의 상호작용 양상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문화어 수립 정책이 민족어 정체성 수호를 위한 말다듬기 정책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197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한 전 사회의 주체사상화를 위한 혁명 전통 교육 강화가 말다듬기를 반성적으로 재검토하게 된 계기가 되었음을 밝혔다. In this paper, North Korea's language policy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North Korea's leadership ideology and linguistic nationalism, and based on this, the context in which the logic of the language purification policy was established and changed was embodied. The discussion took place in the following two directions. Firs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orth Korean leadership ideology (Marx-Leninism and Juche ideology) and the language nationalism was expla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relevant discussions in North Korea.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convergence logic emphasizing international commonality emerged during the period when Marx-Leninism was firmly established as North Korea's leadership ideology, and the convergence logic emphasizing national specificity emerg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Juche ideology was established as North Korea's leadership ideology. Seco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logic of establishing a revolutionary literary style raised in the process of Juche ideology were captured, and based on this,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Juche ideology and linguistic nationalism were explained.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policy of establishing cultural language, which began in the mid-1960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policy of language purification to protect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that the reinforcement of traditional revolutionary education for juche ideology in the whole society,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late 1970s, led to a reflective review of language purification.

      • KCI등재

        南北 言語 統合 政策에 대한 專門家 調査 結果 分析

        임현열,최유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pinions of experts of various fields on the policies proposed for the linguistic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study collected policies designed for linguistic unification that were proposed since 2000. After reviewing the selected policies, a list containing 18 linguistic unification policies was finalize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of various fields. The survey provided information on the listed policies and asked the participants to grade the policy according to importance, urgency, and utility on a five point scale.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rea of expertise of the participant and the groups to which they belong.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meaningful since it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future policy implementation. 이 硏究의 目的은 南北 言語 統合을 爲해 提案된 여러 政策들에 對한 各界 專門家의 見解를 分析하는 데 있다. 이 硏究에서는 2000年 以後 提案된 南北 言語 統合에 關한 多樣한 政策을 蒐集하였다. 蒐集된 政策을 檢討하여 最終的으로 18個 政策이 包含된 南北 言語 統合 政策 目錄을 導出하였다. 政策 目錄에 包含된 各 政策에 對해 各界 專門家들에게 設問 調査를 實施하였다. 設問 調査는 政策 目錄과 各各에 對한 說明을 提示한 後, 各 政策에 對한 重要度, 時急度, 活用度를 5段階 評價 尺度에서 評價하게 하는 方式으로 進行되었다. 設問 調査 結果는 專門家의 專攻 領域과 所屬 集團의 特性에 따라 區分하여 分析하였다. 이러한 調査 및 分析 結果는 向後 南北 言語 統合 政策 執行에 있어 重要한 判斷 根據가 될 수 있다는 點에서 意味가 있을 것으로 豫想된다.

      • KCI우수등재

        1960년대 북한 ‘문풍 운동’의 언어정책적 함의-문화어 정책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경봉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2

        본고에서는 1960년대 북한에서 진행된 문풍 운동의 언어정책적 함의를 밝힌다는 목표로 다음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문풍 운동의 출현 맥락을 살펴보면서, 언어정책으로서 문풍 운동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둘째, 문화어 제정의 맥락을 살펴보면서, 이와 관련지어 문풍 운동의 방향 전환이 갖는 의미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논의 과정에서 본고는 ‘주체사상의 확립’과 같은 정치적 맥락에 가려져 부각되지 않았던 북한 언어정책의 내적 동기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어문규범이 확정되고 사전이 간행된 시기를 언어정책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할 수 있는 분기점으로 설정하면서, 문풍 운동의 출현 맥락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표기와 어휘 단위의 규범화에 국한되었던 언어정책의 영역이 문장과 텍스트 단위의 규범화로 확장된 데에서 문풍 운동의 의의를 찾았다. 이는 문화어 정책을 회귀적인 언어정책으로 판단하는 근거가 되었다.

      • KCI등재

        북한어의 개념과 분류 기준 연구

        정유남 ( Cheong Yu-nam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9 No.-

        본고는 북한어 개념 정립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북한어가 가지는 기준을 마련하여 그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2장에서는 북한어의 개념을 남한어와 대비하여 살펴보고 북한어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한 기준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남북한 언어를 구조화하여 6가지 기준에 따라 북한어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북한어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지역적 기준, 시간적 기준, 어휘적 기준, 의미적 기준, 어휘 형태적 기준, 언어 정책적 기준을 제시하고,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북한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and established the criteria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Chapter 2 examined the concept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against the South Korean language and discussed the need for criterias to identify the North Korean concept. Chapter 3 established the concept of North Korean language based on six criteria by structuring the language of the North-South Koreas. The six conditions that the North Korean language should have presented regional, temporal, lexical, semantic, lexical form, and language policy criteria. Although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North-South Korean studies, the concept of North Korean has not been specified, and the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and criterias of North Korean language.

      • KCI등재

        독일의 언어통합 과정을 통해 살펴본 남북 언어통합 정책 연구 - 언어 이질화 극복 방안을 중심으로

        문진숙,지영은,이미정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인문학연구 Vol.- No.56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our language integration by comparing the language policies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process of language integration in Germany, which is considered to have achieved relatively stable social integration after reunifica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language policies of North and South Korea in various aspects such as language norms, dictionaries, education policies, and data policies.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background of East and West German languages before reunification were examined, and language policies such as language research, language counseling centers, and language data formation were assessed in greater detail to determine how they achieved language integration. We have proposed policies and practical measures necessary for the language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fter thoroughly analyzing previous studies done on Germany’s language integration process and comparing them to our situation.

      • 러시아어가 북한의 조선어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노희승(Hee-seung Noh)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연구소 2022 Acta Russiana Vol.14 No.-

        северокорейской языковой норме. Ключевым событием, рассматриваемым в статье, является развёрнутое в 1966 году в КНДР «движение за упорядочивание языка», направленное в том числе на очистку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от русизмов. Привлекая теории российской лингвистической науки, автор показывает, как именно поменялась северокорейская языковая норма с началом этой кампании. При анализе русизмы к тому времени прочно укоренённые в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КНДР, рассматриваются отдельно от прочих заимствованных слов. Автор также показывает, каким корейскими выражениями были заменены слова, ранее заимствованные из русского.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