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능적 요구조건 도출

        홍성철,김선화,양찬수,Hong, Sung Chul,Kim, Sun Hwa,Yang, Chan Su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5

        지구 온난화로 인한 북극해 해빙의 감소로 새로운 항로의 개척과 지하자원 개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북극해를 이용하는 선박의 증가로 해양사고와 오염의 가능성이 증대됨에 따라, 폴라코드(Polar Code)를 제정하여 극지역운항매뉴얼(PWOM) 등 북극해 운항선박에 대한 기준요건의 강제화 준비를 진행 중이다. 북극해를 운항하는 선박은 해양기상 이외에도 해빙의 영향을 받으므로 안전하고 경제적인 항로를 지원해 줄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해사기구 폴라코드에 대응하기 위해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능적 요구조건을 도출하였다. IMO 폴라코드를 기반으로 도출된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의 기능적 요건은 북극해 운항선박에게 해빙관측 및 예측정보를 이용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한 항로를 동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도출되었고, 북극해 항행위험지도 생성 기법, 북극해 항해계획 기법, 해사안전정보(MSI) 생성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적 요건으로 구성된다. 또한,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요구조건을 도출하여 개발될 시스템이 IMO 폴라코드의 북극해 항행선박 인증절차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성과를 폴라코드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해빙관측 및 예측기술의 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국제적인 교류 및 정책 제안 등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attention on the Northern Sea Route has been increased as the decreased sea-ice extents in Northern Sea raise the possibility to develop new sea routes and natural resources. However, to protect ships' safety and pristine environments in polar waters,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has been developing the Polar Code to regulate polar shipping. The marine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is essential for ships traveling long distance in the Northern Sea as they are affected by ocean weather and sea-ice. Therefore, to cope with the IMO Polar Code, this research propose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to develop the marine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for the Northern Sea Route. The functional requirements derived from the IMO Polar code consist of arctic voyage risk map, arctic voyage planning and MSI(Marine Safety Information) methods, based on which the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is able to provide dynamic and safe-economical sea route service using the sea-ice observation and prediction technologies. Also, a requirement of the system application is derived to apply the marine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for authorizing ships operating in the Northern Sea. To reflect the proposed system in the Polar Code, continual international exchange and policy proposals are necessar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ea-ice observation and prediction technologies.

      • KCI등재

        중앙 북극해 공해어업에 관한 국제입법 동향 분석

        임지형(Jee-Hyung Lim) 한국해사법학회 2016 해사법연구 Vol.28 No.3

        이 논문에서는 변화하고 있는 중앙북극공해 어업에 대한 국제입법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북극해는 기후변화와 함께 북극의 어업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현재 북극은 베링해와 바렌츠해를 중심으로 어장이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최근 해빙의 양이 줄어들면서, 중앙북극 공해의 어업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북극 연안 5개국은 중앙북극해의 어업에 대한 3차례(2010년 오슬로 회의, 2013 년 워싱턴 회의, 2014년 누크회의)의 회의를 개최하였다. 2015년 7월 북극 연안 5개국은 오슬로에서 예방적 접근을 근거로 하여 ‘중 앙북극해에서의 비규제 공해어업방지에 관한 선언(이하 오슬로 선언)’을 발표 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2015년 12월 미국은 ‘중앙북극해 비규제 공해어업 방지 협약안’을 만들어 채택하고자 관련 국제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는 과학자 회의와 함께 개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 회의는 ‘broader process’ 방식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아이슬란드, 유럽연합(EU)도 참여하 여 진행되고 있다. 원양어업국인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중앙북극공해에 대한 국제입법 동향을 살펴보는 것 또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중앙북극해 공해에 대한 국제회의 과정을 통해 오슬로 선언 과 중앙북극해 비규제 공해어업 방지협약안의 형성 과정을 살펴 볼 것이다. 또한 동 선언 및 협약안과 타 협약과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해 살펴 봄으로서, 향후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입장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on the trend of international legislation on the changing fisheries in the high seas of the Central Arctic. In the Arctic Ocean, there have been a lot of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the fishery environment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In the Arctic, fishing grounds has been formed with Barents Sea in the North Atlantic and Bering Sea in the North Pacific. However, there has been a strong possibility of fisheries in the high seas of the Central Arctic as the thawing of the Arctic ice slows down recently. For such reasons, five(5) Arctic coastal States held three times inter-governmental meetings on fisheries in the high seas of the Central Arctic: Oslo in 2010, Washington in 2013 and Nuuk in 2014. In July, 2015, five(5) Arctic coastal States announced the Declaration Concerning the prevention of Unregulated High Seas Fishing in the Central Arctic Ocean(hereinafter “Oslo Declaration”) on the authority of precautionary approaches. With this Declaration, the US convened a meeting to make a draft on the Agreement to Prevent Unregulated High Seas Fisheries in the Central Arctic Ocean on December 2015. And they are consistently hold the meeting on high seas fishing in the central arctic ocean; the December 2015 Washington DC Meeting, the April 2016 Washington DC Meeting and the July 2016 Iqaluit Meeting. These meeting are unique in that it was held together with Scientific Workshops. Besides, they are operated with “broader process” and governments of the Republic of Korea, Japan, China, Iceland and EU participated. It may be significant that Korea as a major distant water fishery state reviews the trend of international legislation in the high seas of the Central Arctic as well. This article reviews and analyses Oslo Declaration and a draft on the Agreement to Prevent Unregulated High Seas Fisheries in the Central Arctic Ocean. Furthermore, it recommends some point for the position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for the Arctic Ocean.

      • KCI등재

        북극해항로와 북극해 자원개발: 한러 협력과 한국의 전략

        홍성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2 국제지역연구 Vol.15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the Northern Sea Route(NSR)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esource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of the Arctic sea. And furthermore, this report analyze Arctic strategy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bilateral relations with Russia. Based on this results, Korean-Russian cooperation and Korean strategy in the Arctic sea will be analyzed. Since climate change accelerated melting of sea ice in the Arctic, interest toward Arctic region of neighboring such as China, Germany, Japan is increasing. Northern Sea Route(NSR) shipping through the Arctic Ocean via the Northern Sea Route could save about 40% of the sailing distance and shorten more than 10 days od the sailing time from Asia to Europe comparing to the existing Southern route through the Suez Canal. Together with transit transportation along the Northern Sea Route, since the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western part of Russian Arctic sea are ongoing, demand in the field of maritime transportation concerning Arctic resource development will be large in the foreseeable future. Since commercial voyage along the Northern Sea Route and resource development in the Arctic sea will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Korea also need to challenge Arctic shipping and resource development in the strategic point of view. 본 논문은 기후변화로 인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는 북극해 지역에서 우리나라의 국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북극해 진출방안은 북극해항로를 통한 유럽과 아시아간의 해상수송과 북극해 자원개발 분야 등 두 가지로 대별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북극해항로의 경제적 잠재력, 북극해의 자원개발과 인프라, 동북아 주요 국가들의 북극전략 분석 내용 등을 토대로 북극해에서의 한-러 협력과 한국의 전략을 모색해 볼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북극전략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나라도 북극지역에서의 국익증진을 위해 정부차원에서의 단계적인 북극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단기적으로는 북극해에서 영향력이 있는 러시아, 노르웨이 등 북극 연안국가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하며 특히 북극해항로를 실질적으로 관할하고 있는 러시아와의 해운 및 자원개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북극연안국가들과 정부 및 민간부문에서의 인적 교류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우리나라 조선업체와 해운회사들은 현재 북극해에서 해양플랜트 수출 및 통과수송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으므로 정부 차원에서도 해운협력 강화를 통해 민간 기업들이 북극해에 보다 활발히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책도 강구해야 한다. 지금은 북극해에서의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단계이므로 중기적으로 북극해 관련 국제사회의 제반 논의에 지속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정부 차원에서 북극 위원회(Arctic council) 옵저버 회의, Polar code, 북극 환경보호 문제, 북극해에서의 수색 및 구조 등 북극해 관련 공동 논의 과정에 반드시 참여하여 우리의 입지를 굳히고, 동시에 관련 국가들과의 공조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우리나라 내부적으로는 정부 유관기관 및 연구소, 관련 학자들의 의견을 청취하여 국가 차원에서 장기적인 북극정책 방향을 수립해나갈 필요가 있다. 북극해항로를 통한 통과수송 및 북극해 자원개발 문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해야할 사업이다. 해상수송과 자원개발 같은 대형 사업은 그 특성 상 민간기업 차원의 추진보다는 대규모의 자본투자와 국가 차원의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실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정책적인 판단이 선다면 러시아 등 주요 북극 연안국가들과 해운 및 자원개발 관련 장기 협정이 체결되어야 한다. 북극해항로 경유 통과수송과 북극해의 자원개발 문제는 수년 내에 급격히 진척될 전망이므로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북극해의 해상운송에서 나타나는 운항위험요인과 해상보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예병환 ( Yae Byung Hwa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3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7 No.2

        북극지역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와 이상기온에 의해 북극의 해빙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의 변화는 인류의 과학적 영역과 생활공간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역설적으로,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는 글로벌 생태계를 위협하는 재앙인 동시에, 북극지역에서의 새로운 에너지자원개발의 가능성과 함께 북극해의 활용 가능성을 전제로 한 북극항로의 상업화는 전 세계 무역항로의 변화와 함께 물류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북극항로를 활용한 국제해상물류루트로서 상용화 가능성과, 러시아 등 북극권 국가들의 크루즈 관광 등의 문화적 공간 확대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북극해의 해상운송은 국제해상운송의 혁신을 촉구하게 될 것이다. 해상운송에서는 수 많은 위험요인들이 존재한다. 유럽에서는 중세 이후 해상운송이 선박의 운항과정에서 나타나는 수 많은 위험요인들을 극복하면서 대항해시대에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콜롬부스의 신항로 개척과 동인도 교역의 비약적인 증가는 해상운송에는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인을 회피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의 모색하면서 가능하였다. 해상운항의 위험을 회피하는 가정 대표적인 방법으로 모험대차방식이 이용되었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해상보험의 기초가 되었다. 북극해의 극한 환경적요인은 해상운송에서 위험을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북극해를 경유하는 해상운송과정에서 나타나는 위험요인은 크게 안전운항을 저해하는 운항위험요인과 운항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과 같은 환경위험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북극해의 극한 환경으로 인해 북극해를 운항하는 선주와 해운회사들은 그들이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것보다 더 많은 해상사고위험에 직면한다. 북극해를 경유하는 선박의 운항에는 안전운항을 위한 각종 시설과 관련 인프라가 적고, 극한의 기후환경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항로를 운항하는 선박들에 비해 사고의 위험 또한 증가하게 된다. 북극항로의 활성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북극해의 운항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서 북극해 해상운송의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해상보험제도의 도입 방안을 모색한다. 북극해 해상운송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 및 사고율에 관한 통계자료는 사고방지를 위한 사전조치를 취하거나 사고로 인한 추가비용을 추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또한 북극해 운항선박의 해상보험의 효율적인 보험요율을 책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Changes in the environment due to climate change are greatly changing the scientific domain and living space of mankind.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are disasters that threaten the global ecosystem, whil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energy resources in the Arctic. In addi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Arctic route via the Arctic Ocean heralds a logistics revolution along with changes in global trade routes. In particular, as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as an international maritime logistics route using the Arctic route and the possibility of revitalizing cruise tourism in Arctic countries such as Russia are increasing, maritime transport in the Arctic Ocean will urge innovation in international maritime transport. There are numerous risk factors in sea transport. In Europe, since the Middle Ages, maritime transport has developed rapidly in the era of navigation, overcoming numerous risk factors that appear in the course of ship operation. The exploration of new routes in Columbus and the rapid increase in East India trade were made possible by seeking reasonable ways to avoid various risk factors that may appear in maritime transport. The adventure loan method was used as a representative way to avoid the risk of maritime operation, which became the basis for marine insurance in modern society. Extrem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rctic Ocean add to the risk of sea transportation. Risk factor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maritime transport through the Arctic Ocea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operational risk factors that hinder safe operation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There are fewer facilities and related infrastructure for safe operation in the operation of ships through the Arctic Ocean, and the risk of accidents increases compared to ships operating on general routes due to the extreme climat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seek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Arctic route, various risk factors that may appear in the operation of the Arctic Ocean are examined and ways to introduce an efficient maritime insurance system to revitalize Arctic sea transportation as a means to eliminate these risk factors. Research on accidents and accident rates that appear in the Arctic Ocean maritime transport process will be important data for setting the efficient insurance rate for marine insurance for ships operating in the Arctic Ocean

      • KCI등재

        북극해 항로의 동해루트가 독도문제 등에 미치는영향 연구 -안보・군사 등 지정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박성황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1 No.-

        중국의 부상에 따라 미중 패권경쟁이 가시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미국・일본・인도・호주가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 비전>이 각각 새로운 해양질서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같은 새로운 해양질서 충돌의 시행착오 무대는 세계 도처의 해양지역이다. 이런 와중에서 한국은 3면이 바다인 점에서 새로운 양대 해양전략의 충돌에서 예외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동해바다는 미국과 가장 강력한 동맹국인 일본의 서해안 전지역과 연결되어 있어 일본으로서는 해양안보상 급소와 같은 중요성을 지닌 지역이다. 한편, 바람직하지 않는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북극해의 역설’이 성립되어 냉대와 불모의 지대로 인식되었던 북극지방이 활기를 띠게 되고 북극해 항로가 각광을 받는 이변이 진행되고 있다. 기상학적 이변과 기존 물류수송의 제반 문제점들로 인해 북극해 항로의 필요성이 더욱 제기되고 있는데 남방항로에 비해 북극해 항로는 항행거리가 국가와 도시에 따라서는 60%까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말라카해협과 수에즈운하를 경유하는 남방항로가 해적출몰과 주변국들의 분쟁 등 잦은 해상사고로 인해 오래전부터 대체항로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물류수송의 원활화에 전력을 경주하고 있는 상당수의 국가들은 북극해 항로에 관심을 갖고 있음은 물론, 북극해 개발 등에도 적극 참여하고자 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중에서도 중국은 북극해에 접해 있지도 않고, 북극에서 무려 3,000km나 떨어져 있지만, 스스로를 ‘근북극국가(近北極國家)’로 규정하면서 북극 문제의 중요한 이해당사자(Stakeholder)로서 북극에 개입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개설되는 북극해 항로중 독도 인근을 통과하는 동해루트는 한・중・일 삼국은 물론 유럽국가들과 북극연안국가들도 이용하는 국제적 해로로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이중 동해 루트를 가장 많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이 동 항로 본격 운항을 계기로 동해에서의 해양세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고 미국과 일본이 이를 견제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과정에서 독도를 한 가운데 두고 있는 동해루트에는 제반 위험요소가 산재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강대국들의 해양전략 충돌과 북극해 항로 개설시 예상되는 동해루트 주변의 제반 위험요소를 공격적 현실주의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동지나해와 남지나해, 센카쿠열도 등에서 미국・일본・동남아국가들과 해양 세력갈등을 진행중인 중국이 최근들어 동해에 대해서도 해양세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과 중・러의 군용기 합동훈련 등 일련의 위험요소 들의 배경과 의미를 조명해 보고 이같은 움직임이 북국해 항로 동해루트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해 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독도영유권 문제 부상, 미・일 대(對) 중국의 해양세력 갈등 그리고 한・미・일 대(對) 중・북・러 대립구도에서 오는 마찰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으로는 첫째, 북극해 항로 개설이 현실화되기 이전에 정부차원에서 울릉도와 독도 근해를 항행하는 외국선박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북극해 항로중 동해루트 운항부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창의적이고 선제적인 방법으로 주변국을 리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With the rise of China, competition for supremac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nia is becoming visible, and the Indo-Pacific Strategy led by the United States, Japan, India, and Australia and the One-to-One Road Vision, led by Chnia, each seek to establish a new maritime order. The trial and error stage of this new ocean order conflict is in maritime regions all over the world. In the midst of this, Korea cannot be exceptionally present in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new maritime strategies as the three sides are sea. In particular, the East Sea is connected to the entire west coast of Japan, the most powerful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so it is an area of equal importance to Japan for maritime security. Meanwhile, due to the undesirable global warming phenomenon, the “paradox of the Arctic Ocean”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Arctic region, which was recognized as a cold and barren region, is invigorated, and The Arctic Ocean Route is in the limelight. The East Sea Route, which passes near Dokdo, among the Arctic Sea routes opened by such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n international sea route used by European countries and Arctic coastal countries as well as Korea, China and Japan. Of these, China, which is expected to use the East Sea route the most, is highly likely to expand maritime power in the East Sea with full-scale operations on the East Sea route.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the East Sea region will turn into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geopolitically examine the propulsion trends of neighboring countries on the Arctic Ocean route and the confrontation of maritime forces in Northeast Asia, a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llision dynamics of the East Sea route brought about by the East Sea route in advance. In particular, China, which is in conflict with the US, Jap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East China Sea, the South China Sea, and the Senkaku Islands, has recently moved to expand its maritime power in the East Sea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a series of risk factors such as joint training of military aircraft between China and Russia. Let’s shed light on the meaning and examine the effect of this movement on the East Sea route of the Northern Sea route. As a countermeasure by the Korea government, first, before the opening of the Artic Ocean route becomes a reality,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foreign ships navigating near Ulleungdo and Dokdo. second, Korea should be able to secure at least the initiative in the East Sea route operation part of the Artic Ocean route. It is necessary for us to lead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a creative and proactive way. Third,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Japan, North Korea, and Russia, which actually have terrtorial sovereignty on the East Sea, is important. This paper pointed out the need to strengthen Korea’s status by developing a cooperative channel for the East Sea countries, including the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the East Sea route of the Arctic Ocean, Dokdo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ast Sea regionally, and if we deal with it well, it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of international exchanges and mutual interests. But if we don’t deal with it properly, it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international friction and conflict.

      • KCI등재

        북극해항로의 글로벌 공급사슬로서의 활용방안

        김기태(Ki-tae Kim),홍성원(Sung-won Hong) 한국국제상학회 2014 國際商學 Vol.29 No.2

        기후변화로 북극해상의 빙하가 녹으면서 동아시아와 북유럽을 잇는 최단거리의 북극해항로 활용을 통한 공급사슬이 가시화되고 있다. 실제로 액체화물운송을 중심으로 하는 북극해항로운항이 점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북극해항로의 배경과 현황을 설명하면서 북극해항로를 활용하는 공급사슬에 대한 몇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먼저 해운시장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주제별로 그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북극해항로가 가지는 리스크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북극해항로를 활용하는 정기선서비스시장에서의 허브항 문제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북극해항로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전제조건에 대해 설명하였다. 북극해항로를 활용하는 정기선운송은 기후 및 쇄빙선 서비스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기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북극해항로구간이 전체 항로의 중간구간이라는 점을 활용하여 북극해항로를 벗어난 지점에서부터 목적항까지의 운항구간에서의 속도 변화를 통해 정기선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북극해항로에 대한 정기선 서비스에서 동아시아 항들의 허브항으로는 부산항도 충분히 경쟁력을 가진다. 장기적 관점에서 북극해항로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는 러시아와의 협력 관계가 중요하며 이는 러시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중요한 리스크 회피방안이 된다. Purpose : Supply chain using the Northern Sea Route(NSR) as the shortest passage connecting the East Asia and North Europe becomes possible, as the Arctic ice is melting due to climate change. In fact, The number of maritime transportation via the Northern Sea Route with a focus on transport of liquid cargo increases gradually. In this paper, by introducing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the Northern Sea Route, we are trying to mention about the some issues about supply chain by using NSR.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First, we explain its possibility by key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hipping market. Second, we present the risk regarding navigation on the Northern Sea Route, and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risk. Third, we discuss the problem of hub port in the market of liner services that take advantage of the Northern Sea Route. Finally, we explain the precondition which i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the Northern Sea Route. Results : It is difficult for liner service using NSR to keep schedule because of the uncertainties such as unpredictable weather and incertain ice breaking service. But considering that the NSR is a middle section of the full voyage connecting East Asia and Europe, it is possible to keep the schedule of liner service by changing speed on voyage to the destination port. And Busan may be a potential hub port for liner service using NSR. Conclusions : Cooperation with Russia is needed in order to use NSR efficiently for the long run. It also becomes an important mitigation method for Russian risk.

      • KCI등재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능적 요구조건 도출

        홍성철,김선화,양찬수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5

        International attention on the Northern Sea Route has been increased as the decreased sea-ice extents in Northern Sea raise the possibility to develop new sea routes and natural resources. However, to protect ships’ safety and pristine environments in polar waters,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has been developing the Polar Code to regulate polar shipping. The marine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is essential for ships traveling long distance in the Northern Sea as they are affected by ocean weather and sea-ice. Therefore, to cope with the IMO Polar Code, this research propose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to develop the marine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for the Northern Sea Route. The functional requirements derived from the IMO Polar code consist of arctic voyage risk map, arctic voyage planning and MSI(Marine Safety Information) methods, based on which the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is able to provide dynamic and safe-economical sea route service using the sea-ice observation and prediction technologies. Also, a requirement of the system application is derived to apply the marine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for authorizing ships operating in the Northern Sea. To reflect the proposed system in the Polar Code, continual international exchange and policy proposals are necessar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ea-ice observation and prediction technologies. 지구 온난화로 인한 북극해 해빙의 감소로 새로운 항로의 개척과 지하자원 개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북극해를 이용하는 선박의 증가로 해양사고와 오염의 가능성이 증대됨에 따라, 폴라코드(Polar Code)를 제정하여 극지역운항매뉴얼(PWOM) 등 북극해 운항선박에 대한 기준요건의 강제화 준비를 진행 중이다. 북극해를 운항하는 선박은 해양기상 이외에도 해빙의 영향을 받으므로 안전하고 경제적인 항로를 지원해 줄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해사기구 폴라코드에 대응하기 위해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능적 요구조건을 도출하였다. IMO 폴라코드를 기반으로 도출된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의 기능적 요건은 북극해 운항선박에게 해빙관측 및 예측정보를 이용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한 항로를 동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도출되었고, 북극해 항행위험지도 생성 기법, 북극해 항해계획 기법, 해사안전정보(MSI) 생성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적 요건으로 구성된다. 또한, 북극해 안전운항 지원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요구조건을 도출하여 개발될 시스템이 IMO 폴라코드의 북극해 항행선박 인증절차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성과를 폴라코드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해빙관측 및 예측기술의 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국제적인 교류 및 정책 제안 등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 부산지역의 미래성장 유망산업 및 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

        류동근(Dong-Keun Ryoo),남형식(Hyung-Sik Na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0 No.1

        최근 우리나라 정부와 지자체들은 북극해와 관련한 다양한 정책을 발굴하고 북극해 대응 기구를 구성하여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북극해 정책 수립에 앞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북극해 및 북극항로 활성화에 따른 국내 유망산업은 무엇인지,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해양, 해운, 항만물류, 수산 정책 중 어떤 정책들이 북극해 및 북극항로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지역의 미래 유망산업에 대한 성장성과 경쟁력을 평가하고, 북극항로 활성화를 위한 추진 사업의 중요성과 시급성 그리고 부산지역 경제 기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해양·해운·항만물류, 수산 관련 업계 관계자, 해양수산부 및 부산시의 정책담당자, 관련학계, 연구원 등 총 64명의 전문가 집단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북극항로 상용화에 대비하여 부산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선박이 부산항에서 선박급유, 선박수리, 선용품공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한편 동남권에는 조선산업이 발달되어 있다. 북극항로의 상업화로 내빙선박의 수요가 증가하고 국내 조선 및 조선기자재 산업이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특수선박에 대한 조선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극지용 선박 건조를 선점해야 할 것이다. 북극항로가 활성화되면 부산항은 북극 자원개발을 위한 해양플랜트 전진기지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부가가치 해양플랜트, 기자재 및 관련 서비스업 육성, 해양플랜트 공급기지 구축 등의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북극해와 관련된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북극해 사업 진출 확대와 향후 북극해 및 북극항로 이용에 따른 전문 인력 수요 증대에 주도적으로 선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단기적으로는 북극항로 전문인력 양성은 러시아 등의 교육 전문기관과의 제휴를 통하여, 극지 전문인력 양성 교육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는 해운·항만·물류분야의 전문 인력인 빙해역 항해사(Ice Navigator), 선박관리 전문가, Ice Pilot의 양성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수산산업의 경우 북극해 지역까지의 어장 확대로 인해 원양 어획량 증대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원양어업과 수산물 가공업이 유망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양 어업과 관련해 조업 가능 대상국의 법?제도 파악과 극지 조업이 가능한 어선 및 어업장비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Because the thawing of the Arctic ocean is slowly accelerating due to global warming, recently exploring resources in Arctic ocean and transporting resources by using the North Pole route have been getting spotlight. Since the original route transported by the Suez Canal from Korea to Europe could be shorten about 8,000km in distance(decreased about 38% compared to the original route), which means shortening about 10 voyage dates, it is expected to bring huge logistics cost reduction. Once the North Pole route is commercialized successfully,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s future of Busan port and guides for economic development of Bus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usan port and the economic growth of Busan area by researching promising industry, based on the effect of freight transporting by the Northern sea route on the economy of Busan.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64 people of experts in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relevant government, and academics. The survey finding shows that port logistics industry is a promising business in Busan in terms of its growth and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feeder network facilities that prepare for commercialization of the Northern sea route as a short and medium term plan and provide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in polar regions. Ship supply business would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t is identified that revitalization of shipbuilding and ocean plant industry should be done in terms of Arctic business. With regard to the fishery industry it is found that modernization of fishery ship and development of fishery equipment used in polar areas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북극해(北極海)’를 둘러싼 초국경 경쟁과 지역협력의 거버넌스: 최근의 경과와 시사점

        우양호(Woo, Yang-Ho),이원일(Lee, Won-IL),김상구(Kim, Sang-G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1

        최근 ‘북극해(北極海)’는 국제사회의 이권과 글로벌 경제의 새로운 화두가 되었다. 하지만 현재 다양한 분야와 이해관계자가 연계되어 있는 북극해 문제의 복잡성으로 인해 효과적인 초국경 협력구조나 지역거버넌스를 구축하 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북극해는 국제적 공유와 협력의 모범지역이라는 주장이 있는 반면, 향후에 다국적 경쟁과 영유권 분쟁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라는 양면적 평가가 존재한다. 이는 글로벌리즘 (globalism)과 로컬리즘(localism)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글로컬리즘(glocalism)적 거버넌스가 필요한 곳이 바로 북극해라는 주장을 이끌어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북극해에서의 초국경 거버넌스와 네트워크 사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경쟁의 원인, 협력의 특성, 제도와 운영논리를 이해하는 것에 있다. 또한 북극해 확보경쟁을 유발시킨 기존 초국경 거버넌스의 구조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북극해 연안의 장기적 협력기제와 성공가능성을 전망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북극해에서 전개되어 온 초국경 경쟁 및 협력관계는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가 가장 대표적이지만, 이들이 강력한 거버넌스 기구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한계점도 노정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 그 대안으로 ‘북극서클(Arctic Circle)’이 새로 등장하여 초국적 거버넌스의 확장이 이루어졌으며, ‘북방포 럼(Northern Forum)’을 통한 북극해 연안지역과 지방정부간 결속도 한층 강화되었다. 또한 ‘북극프론티어(Arctic Frontiers)’와 ‘북극과학최고회의(Arctic Science Summit Week)’, ‘북극대학네트워크(University of Arctic)’ 등을 통한 민간부문과 학계로의 자생적 네트워크도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북극해 지역의 상황변화에 따른 거버넌스의 변화압력도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북극해를 둘러싼 다국적 경쟁과 협력구도의 전개도 점차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북극해의 초국경 경쟁과 협력의 거버넌스는 지금 동아시아에서 함께 살아가는 우리나라 및 여러 연안지역과 긴밀한 연관이 있으며, 향후 참여와 협력의 방식에도 중대한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음을 새로이 밝혔다. The Arctic Ocean has become a subject of greater strategic interest over the past few years, due in part to the overwhelming evidence of climate change and growing access to the region s natural resources. The Arctic Ocean is a dynamic and complex area in which many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actors have key interests, including Arctic countries, European Union and Asia. Because of global warming, the thawing of the Arctic ice caps is slowly accelerating. In fact, Arctic sea ice is melting much faster than any models predicted. From this view, the Arctic Ocean is a key area for Europe and Asia, politically as well as economically. Besides, the Arctic Ocean is increasingly becoming a priority on the international agenda. So, This study discussed formation of cross border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the Arctic Ocean within regional and interregional economic and non-economic exchanges, examining the impact of the European Union and Asia. For example, the purposes of Arctic Council and Arctic Circle creation were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achievement among the Arctic countries, coordination of social and economic, ecolog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Arctic Ocean. Focusing on the primary initiative in the Arctic Ocean, Arctic Council,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cross border network and cooperation system in the Arctic Ocean. Nonetheless,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international level and regional level of Arctic governance to understand the discontinuity and limits of the governanc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for recent trends in Arctic Governance, this study discussed the success and failure of cross border network and examine several important factors which will significantly influence on its future development in the Arctic Ocean.

      • KCI등재

        북극해항로 관련 러시아 법제의 최근 동향

        노영돈(Don Loh Yeong),박원(Won Park) 서울국제법연구원 2011 서울국제법연구 Vol.18 No.2

        이 논문은 북극해항로와 관련된 현행 러시아의 국내법령과 앞으로 제정될 북극해항로 관련 연방법률의 제정안을 분석함으로서 북극해항로에 대한 러시아의 국내 법제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극해상에 위치하는 항로는 북서항로와 북동항로, 그리고 북극의 해빙(海氷)감소가 지속될 경우 향후 항해가 가능하게 될 북극중앙항로로 구분할 수 있다. 북극해항로는 위 구분 상 북동항로에 속하는 항로로서, 동아시아-러시아-유럽을 통과하는 북동항로의 구간 중 유라시아 대륙 북부연안을 통과하는 러시아의 연안에 속한 항로를 일컫는다. 북극해항로에 대한 러시아의 국익을 보장하고, 북극해항로를 국제적인 항로로 개방하기 위하여 러시아는 새로운 연방법률을 제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법률안은 북극해항로와 관련된 4개의 현행 연방법률의 일부 내용을 개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해당 법률안을 통하여 변경되는 사항의 주요 내용으로는 북극해항로의 범위 변경과 새로운 운항규칙의 제정, 북극해항로사무국의 업무 규율, 그리고 북극해항로의 국가 운영을 강화하기 위해 쇄빙선 선단 및 쇄빙선 지원업무 등을 국가독점의 형태로 규정하고 보조금을 지급하기 위한 해당 연방법률의 개정 등이다. 해당 법률안은 북극해항로를 직접적으로 규율하는 최초의 연방법률로서, 현행 법령의 문제점으로 언급되었던 북극해항로의 범위해석에 대한 조문 내용을 변경함으로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북극해항로를 경유하는 해협의 국제법적 지위에 대한 논쟁의 여지를 남기게 된 것은 한계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북극해항로에 대한 새로운 연방법률을 위한 법률안은 북극에 대한 관할권을 강화하기 위한 러시아의 북극정책의 일환으로 제정된 법률안이다. 북극해항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제정될 북극해항로에 관한 새로운 연방법률과, 연방법률에 의거하여 제정될 예정인 새로운 ``북극해항로지역의 운항규칙``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Draft Federal Law "On Amendments to some Legislative Acts of the Russian Federation in the State regulation of commercial navigation on the route in the water areas of the Northern Sea Route"」 (hereafter ``Draft Federal Law``) which is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Transportation of Russian Federation in 2010. The Northwest Passage and the Northeast Passage in the Arctic Ocean are important sea route as alternative routes for Southern Sea Route through the Suez Canal. The Northern Sea Route(hereafter ``NSR``) is the middle part of the Northeast Passage, acrossing the north coast of Russian`s Eurasian Continent. To develop the NSR as international seaways for Russia`s national interest, Russian government has submitted ``Draft Federal Law``. Some articles in current 4 federal laws are amended by ``Draft Federal Law``. According to the ``Draft Federal Law``, the boundary of NSR is newly defined and we can expect the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NSR to be settled, but the dispute on the legal status of some straits to be continued. Russia emphasizes their jurisdictions of the NSR in the Arctic Ocean through the ``Draft Federal Law``. To promote and make opportunity of the NSR as the alternative seaways to Europe efficiently, it is important for us to examine ``Draft Federal Law`` and new regulations thoroughly once ``Draft Federal Law`` is ena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