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추[韭菜]’의 상징성을 통해 본 중국 淸貧觀 연구 — 宋詩를 중심으로

        김원희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8

        중국 전통 儒家 사회에서 맛에 대한 탐욕은 일관되게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중 宋代 文人 士大夫는 理學的 세계관 아래 천하의 안위와 경영이라는 시대적 사명감을 무겁게 짊어지던 지식인으로서, 일상의 즐거움 가운데 특히 미각의 즐거움에 몰입해서는 안 되며, 욕망의 하나인 식욕을 경계해야 한다는 도덕적 틀을 가지고 있었다. 9,000여 명의 작가와 27만여 수의 작품을 모아놓은 『全宋詩』에서 생활사물‘부추’가 언급된 시는 300여 편이며, 그 가운데 ‘청빈’의 상징을 가진 채 中心詩語로 등장하는 작품만 100여 편에 이른다. 이는 특정 음식을 詩材로 한 면에서는 독보적이라 할 수 있다. 생활사물 부추를 시재나 시어로써 사용한 일부 송대 문인 사대부들은‘부추’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을 통해 그들의 작품 속에 그 ‘뜻[志]’, 즉 시대적 사명감과 책임 의식을 은유적으로 투영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가 속 ‘부추’를 읽음은 인격의 모범으로, 사회의 양심으로 송대 사회를 건전하게 이끌어 가고자 한 문인 사대부 지식인들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과 다름 아니다. 본 연구는 송대 시가에서 매우 상징적으로 소통되고 있는 생활사물 ‘부추[韭]’와 관련 음식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의미에 주목하여, ‘부추’가 출현하는 『全宋詩』 속 작품들을 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추’의 문화적 의미, 특히 도덕적 심리적 측면에서 부추가 상징하고 있는‘청빈’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송대 시가에서 부추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첫째, 春興을 노래한 ‘봄을 알리는 전령’으로서의 의미이다. 둘째, 가난한 살림에도 벗을 극진히 대접한 우정을 노래한 ‘부추를 잘라서[剪韭]’이다. 셋째, 北齊 周顒의 典故를 이용하여 제철 蔬食을 통한 養生의 즐거움을 노래한 ‘이른 봄 부추와 늦가을 배추[早韭晩菘]’이다. 넷째, 南齊 庾杲之의 밥상에 ‘부추로 만든 반찬 세 가지[三韭]’가 올라 온 전고를 통하여 청빈함을 노래한 ‘유랑삼구(庾郞三韭)’이다. 본 논문은 송대 문인 사대부의 시가 작품 속 음식이 가지는 상징성을 통해, 그 시대 인물들이 지향하고자 하는 삶의 고뇌를 읽고, 오늘날 청렴의 의미까지 사대부의 정체성과 사상을 연구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 편으론 음식에 관한 연구이자 그 음식을 선택하는 행위와 그 행위에 내포된 관념에 관한 연구이지만, 또 한 편으론 생활 속‘부추’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상징성으로부터 송대 사대부 문인의 청빈관을 고찰하는 과정이다.

      • KCI등재

        Seed Germination Responses to Different Incubation Temperatures and Light Treatments in Four Allium Species Native to Korea

        Jeong Min Kim,Chung Hwa Park,Sang Yong Kim,Yeon Jin Lim,Ji Young Jung 한국화훼학회 2021 화훼연구 Vol.29 No.3

        부추속 식물은 수선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약 1000여종에 이른다. 한국에서는 24종의 자생종이 분포하며 유전자원으로서 큰 가치를 지닌 분류군이다. 그러나 자생부추속 식물에 대한 연구는 일부 종에 대하여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갯부추, 두메부추, 울릉산마늘과 같이 최근 분류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종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생부추속 4종(강부추, 한라부추, 갯부추, 산부추)에 대한 온도 및 명암처리에 대한 발아특성을 조사하였다. 발아 특성은 발아율, T50, 평균발아일수, 발아균일도, 발아속도로 평 가하였다. 강부추와 갯부추는 5℃에서 5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한라부추와 산부추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갯부추 는 남부지방 해변가, 강부추는 강이나 하천주변에 서식하며 한라부추와 산부추는 주로 산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는 종별 생육지의 환경조건에 따른 차 이로 추정된다. 5℃에서 강부추의 발아율은 명조건(70.0%)보다 암조건(93.3%)에서 향상되었으며, T50과 평균발아일수도 단축되었다. 한라부추는 15℃에서 암조건이 명조건보다 발아율이 증가하고 15℃와 20℃에서는 T50과 평균발아일수가 단축 되었다. 그에 따라 발아속도도 증가하였으며 발아균일도도 상 승하였다. 갯부추는 5℃에서 발아율은 명조건(70.0%)보다 암 조건(83.3%)에서 상승했고, 15℃에서 T50과 평균발아일수가 단축되었으며 발아속도가 증가하였다. 산부추는 15℃와 20℃ 에서 T50과 평균발아일수가 단축되었으며 발아속도가 증가하 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처리구에서 명조건보다 암조건이 일부 발아특성을 향상시켰다. 실험에 사용된 4종의 종자는 대부분 15~25℃에서 90%가 넘는 발아율을 보였으나, 다른 발아특성은 온도와 광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강부추와 산부추의 T50,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는 20℃와 25℃에서 가 장 향상되었고, 한라부추와 갯부추는 25℃에서 T50과 평균발 아일수가 가장 단축되었으며, 발아속도도 가장 빨랐다. 결론적으로 발아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강부추는 광과 관계없이 20~25℃, 한라부추는 광과 관계없이 25℃, 갯부추는 암조건 25℃, 산부추는 명조건 25℃와 암조건 20~25℃를 발아 에 적합한 조건으로 제시하였다. Allium L. is a perennial plant in the Amaryllidaceae family and includes 1,000 species. There are 24 indigenous Allium species in Korea, and they have a high value as genetic resourc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ndigenous Allium species and little research on recently classified or unknown Allium species, such as A. pseudojaponicum, A. dumebuchum, and A. ulleungense.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trol (temperature and light) on germination responses of four indigenous Allium seeds (A. longistylum, A. taquetii, A. pseudojaponicum, and A. thunbergii). Germination responses were evaluated by germination percentage (GP), days to 50% of germination of final germination rates (T50), mean germination time (MGT), germination uniformity (GU), and germination speed (GS). GP of A. longistylum and A. pseudojaponicum was more than 50% at 5°C, but A. taquetii and A. thunbergii did not germinate at 5°C. A. pseudojaponicum inhabits beaches in the southern region, and but A. longistylum inhabits near rivers and streams. However, A. taquetii and A. thunbergii mainly inhabit mountainous areas. Therefore, this difference is estimate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ir habitat. At 5°C, the GP of A. longistylum was improved in dark conditions (90.0%) than in light conditions (68.3%); T50 and MGT were also shortened. The GP of A. taquetti increased at 15°C in the dark than light conditions, and T50 and MGT were shortened at 15°C and 20°C. Also, the GP and GU increased. At 5°C, the GP of A. pseudojaponicum was higher in the dark (83.3%) than in light conditions (70.0%); T50 and MGT were shortened at 15°C, and GS increased in the dark. At 15°C and 20°C of A. thunbergii, T50 and MGT were shortened, and GP increased in the dark. Therefore, in the relatively low-temperature group, dark conditions improved some germination responses than the light condition. Most of the four Allium seeds used in the experiment showed more than 90% GP at 15°C - 25°C, but other germination response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light. The T50, MGT, and GS of A. longistylum and A. thunbergii were the most improved at 20°C and 25°C, while A. taquetii and A. pseudojaponicum had the shortest T50 and MGT at 25°C, and the GS was the fastest. As a result, regardless of light, the proper temperature was 20°C – 25°C for A. longistylum, 25°C for A. taquetii, 25°C for A. pseudojaponicum, and 25°C in darkness and 20°C – 25°C in light for A. thunbergii.

      • KCI등재

        C-banding pattern에 의한 한국산 부추속 산부추절의 핵형 연구

        고은미,최혁재,오병운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3

        C-banded karyotypes of eight taxa of Korean Allium sect. Sacculiferum were examined by means of Giemsa techniques. Each of the taxa had their own characteristic bands. Most of the bands on the somatic metaphase chromosomes were mainly located on the short arm, intercalary region and medium sized chromosomes. In addition, the heterochromatic bands were usually facultative, recognized as two spots, and all investigated taxa had a pair of satellites of heterochromatin. The similarities of total length and number of bands revealed that three varieties of A. thunbergii G. Don have a closer cytological relationship than the others. The C-banding patterns of A. longistylum and A. linearifolium were examin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and the former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by the distribution and number of its bands. The proportion of heterochromatic bands suggested that A. thunbergii var. thunbergii is the most primitive, and A. sacculiferum the most advonced, within the section. 한국산 부추속(Allium) 산부추절(sect. Sacculiferum)의 8분류군에 대해 Giemsa 분염법을 이용한 Cbanding pattern을 분석하였다. 절 내 분류군들은 각각 특징적인 C-banding pattern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염색체 단완과 동원체 중간부 그리고 중염색체에 비교적 많은 밴드가 분포하였고, 대부분이 2개의 점으로 인식되는 점상밴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질염색질로 구성된 한 쌍의 부수체가 존재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였다. 산부추, 둥근산부추, 세모산부추는 밴드의 길이와 수, 이질염색질의 양에서 높은 유사성이 나타나면서 비교적 가까운 세포학적 유연관계에 있음이 증명되었다. 강부추, 선부추, 한라부추의 C-banding pattern들은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되었고, 이 중 강부추는 밴드의 수와 분포양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 다른 분류군들과 구별되었다. 절 내 분류군 중 참산부추는 세포 내 이질염색질의 비율에 의해 가장 진화된 분류군으로, 산부추는 가장 원시적인 분류군으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한국산 부추속 산부추절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고은미,최혁재,오병운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3

        Somatic chromosome counts and karyotype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eight taxa of Korean Allium sect. Sacculiferum. The basic chromosome number of sect. Sacculiferum was x = 8, and they could be cytologically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is, a diploid group (2n = 2x = 16) containing A. thunbergii var. thunbergii, A. thunbergii var. deltoides, A. thunbergii var. teretifistulosum, A. deltoidefistulosum, A. longistylum, A. linearifolium and A. taqueti, and a tetraploid group (2n = 4x = 32) with only A. sacculiferum. All observed chromosomes were classified into metacentric, submetacentric and subtelocentric. The metacentric ones appeared in all treated taxa. One or two pairs of submetacentric chromosomes were observed in most taxa except A. sacculiferum, the unique taxon with subtelocentric chromosomes. All taxa had a pair of homologous chromosomes with satellites, and the B-chromosomes found in A. thunbergii var. thunbergii, A. deltoidefistulosum, A. sacculiferum and A. longistylum, were metacentric or telocentric. The karyotypes of A. longistylum and A. linearifolium were first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s for members of the sect. Sacculiferum were valuable characters in identifying taxa, investigating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nd delimiting taxa. In addition, A. thunbergii var. teretifolium, an invalid name (homonym), was renamed as A. thunbergii var. teretifistulosum H. J. Choi & B. U. Oh. 한국산 부추속 산부추절 8분류군에 대한 체세포염색체수와 B-염색체의 유무 및 형태를 포함한 핵형을 분석하였다. 산부추절의 기본염색체수는 x = 8로 염색체수에 따라 2배체형(2n = 2x = 16)인 산부추, 세모산부추, 둥근산부추, 세모부추, 강부추, 선부추, 한라부추와 4배체형(2n = 4x = 32)인 참산부추로 구분되었다. 각 분류군의 염색체는 중부, 차중부, 차단부염색체로 이루어져 있었고, 중부염색체는 모든 분류군들에서 대부분 일반적으로 관찰되었다. 차중부염색체는 참산부추를 제외한 모든 분류군들에서 1~2쌍으로 존재하였으며 차단부염색체는 참산부추에서만 1쌍이 존재하였다. 또한 절 내 모든 분류군들은 부수체를 가진 한 쌍의 상동염색체를 지니고 있었다. 산부추, 세모부추, 참산부추 및 강부추에서는 중부 또는 단부염색체 형태의 B-염색체가 발견되었으며, 강부추와 선부추의 핵형은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세포학적 형질은 산부추절 내 분류군을 식별하고, 유연관계를 파악하며, 분류군의 한계를 논의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동명(hononym)으로 인한 비합법명으로 밝혀진 둥근산부추는 A. thunbergii var. teretifistulosum H. J. Choi et B. U. Oh으로 재명명하였다.

      • KCI등재

        멀칭토양에서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량 변화와 부추에 대한 흡수이행성

        이득영,김영진,문보연,김경진,송아름,최지민,최근형 한국농약과학회 2022 농약과학회지 Vol.26 No.3

        50% Procymidone 수화제를 부추 노지 재배지에 살포하여 멀칭토양 중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변화와 토양 잔류 procymidone의 부추에 대한 흡수이행계수 (Bioconcentration factor, BCF)를 산출하였다 . 약액 처리 후 토 양 중 procymidone의 초기 잔류량은 3.661 ± 0.114 mg kg-1이었고 , 최종 부추 수확 후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 량은 1.634 ± 0.116 mg kg-1으로 감소하였다 . 멀칭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 반감기는 (Dissipation time, DT50) 216.6일이었다 . 부추는 시험 기간 중 총 4회 연속 수확하였으며 , 수확한 부추 중 procymidone의 잔류량은 0.789- 1.854 mg kg-1으로 현재 부추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잔류허용기준량인 5.0 mg kg-1을 초과하지 않았다 . 약액 처 리 190일 경과 후 수확한 부추의 잔류량은 1.854 ± 0.117 mg kg-1이었고 , 최종 부추 수확일인 약액 처리 240일 경과 후 수확한 부추의 잔류량은 0.855 ± 0.085 mg kg-1으로 감소하였다 . Procymidone의 부추에 대한 BCF를 산출한 결과 0.216-0.506이었다 .

      • 열무 및 부추 중 작물 잔류성 시험 및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연구

        양승현 ( Seung-hyun Yang ),강동현 ( Dong-hyun Kang ),윤명섭 ( Myung-sub Yun ),오경석 ( Gyeong-seok Oh ),김민 ( Min Kim ),김가람 ( Ga-ram Kim ),최훈 ( Hoon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본 연구에서는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하여 열무 및 부추 중 pyraclostrobin외 8종에 대하여 농약 안전사용기준에 근거한 약제살포 후, 생육과정 중 시간경과에 따른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무 및 부추 중 pyraclostrobin외 8종에 대한 포장시험은 서로 지역이 다른 2개의 시험포장을 선정하여 전라북도 전주시(포장 1), 충청북도 음성군(포장 2) 소재의 시설재배 농가에서 작물 잔류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열무에 사용 등록된 약제 중 살균제 pyraclostrobin외 3개의 살충제와, 부추에 등록된 살균제 fludioxonil외 4개의 살충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농약을 살포한 후 최종 약제살포일로부터 0, 1, 2, 3, 5, 7, 10일차 및 14일차에 걸쳐 총 7번의 시료를 채취하여 잔류 농약을 분석하였다. 농약 성분별 정량한계는 모두 0.05 mg/kg 이하이었다. 분석법 신뢰성 확보를 위해 열무 및 부추 공시료에 농약 성분별 회수율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처리수준은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배, MRL 중 2 수준에서 결정하였고 분석법 기준인 회수율 70∼110%, 변이계수 10% 이하를 만족하였다. 확립된 성분별 분석법으로 포장시험 시료를 분석하여 잔류농약 경시적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95% 신뢰수준에서 감소상수 하한값을 계산하고 농약 성분별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출하전 일자별 농약잔류허용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시설재배 부추 중 Dichlorvos와 Valifenalate 사용에 따른 경시적 잔류량 변화와 잔류 안전성 평가

        이득영,배지연,송영훈,오경열,김영진,이동열,김진효 한국농약과학회 2022 농약과학회지 Vol.26 No.1

        부추 시설재배지에 20% dichlorvos 유제와 12% valifenalate 액상수화제를 살포하여 이들의 경시적 잔류변 화와 생물학적 반감기 및 잔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수확 당일 약액 살포 후 dichlorvos의 초기 잔류량은 1.709- 2.054 mg kg-1이었으나 , 이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dichlorvos는 LOQ미만으로 불검출 되었으며 , 20% dichlorvos 유 제를 수확 7일 전까지 2회 처리하여도 잔류안전성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Valifenalate의 총 환산잔 류량은 수확 당일 약액 살포 후 13.06-17.63 mg kg-1이었고 , 최종 약제 처리 21일 경과 후 잔류량은 0.891-0.955 mg kg-1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 이는 현재 부추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잔류 허용량인 0.05 mg kg-1을 초과하지 않았다 . Valifenalate에 대한 부추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9.30일이었다 . 따라서 , 12% valifenalate 액상수화제를 수확 14일 전까 지 2회 처리하여도 잔류안전성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 KCI등재

        백합과 전용배양액이 부추의 Ascorbic acid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황화자(Hua Zi Huang),장성호(Cheng Hao Zhang),양은영(Eun-Young Yang),이상규(Sang Gyu Lee),최기영(Ki Young Choi),윤형권(Hyung Kweon Yu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양수분 흡수율과 양이온 비율에 근거하여 백합과(부추)에 적합한 전용배양액을 개발하였다. 원예연구소 배양액액(NSH)을 1/2배액, 1배액, 3/2배액의 농도로 42일간 담액 수경재배를 한 결과 1/2배액에서 세가지 작물의 생육이 백합과 전용배양액(NSL)의 조성은 N 12, P 2.5, K 7, Ca 4 and Mg 2me/L이다. NSL로 처리한 부추 작물의 상대생장율(RGR)은 1.11배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함량(SPAD value)은 1.16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부추의 가장 중요한 영양성분중 하나인 항산화성분-Ascorbic acid의 함량이 1.16배 증가하였다. In this study, nutrient solution for Liliaceae (Chinese chive) leafy vegetable was developed. The various strength (1/2, 1 and 3/2) of nutrient solution recommended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tute (NSH) was applied to the crops in deep flow technique (DFT) system for 42 days. The growth of Chinese chive were highest in the treatment of 1/2 strength. The proper constitution of nutrient solution developed for liliaceae crops (NSL) was N 12, P 2.5, K 7, Ca 4 and Mg 2 me/L. The crops were grown two times in March and September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NSC. As a result, he relative growth rate and the amount of chlorophyll (SPAD value)of Chinese chive treated with NSL were increased 1.11 times. The most important nutrient factor of ascorbic acid were also increased 1.16 times.

      • KCI등재

        시설재배 부추(Allium tuberosum R.)에 대한 살균제 Tebuconazole의 잔류특성 연구

        안재민,김익로,김민기,장순영,임현지,박재옥,황향란,박대한,이광희 한국농약과학회 2019 농약과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시설재배 부추를 대상으로 tebuconazole 수화제(25%)를 살포하여 경과일수에 따른 잔류특성 조사와 위험평가를 통해 안전사용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포장시험은 공시 약제를 2,000 배로 희석하여 수확 예정일을 기준으로 수확 당일, 수확 7일전, 수확 14일전 및 21일전에 맞추어 2-3회 살포하였다. 수거한 시료를 QuEChERS시험법으로 전처리한 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에 의한 정량한계는 0.01 mg/kg, 검량선의 직선성(r2)은 0.9996, 저농도(10 μg/kg) 및 고농도(100 μg/kg)에 대한 평균 회수율은 95.7- 102.1% (C.V. 2.8-4.0%)이었다. 잔류량 분석결과 수확 21-14일전 2회 살포시 3.29 mg/kg (최대 잔류량 3.62 mg/kg), 수확 21-14-7일전 3회 살포 시 7.22 mg/kg (최대 잔류량 7.39 mg/kg), 수확 14-7-0일전 3회 살포시 9.71 mg/kg (최대잔류량 9.89 mg/kg)으로 잔류하였다. 위험평가 결과 tebuconazole의 최대잔류량(9.89 mg/kg)으로부터 산출한 ADI 대비 식이섭취율(%ADI)의 값은 1.88%으로 나타났고, 이론적 일일최대섭취량인 TMDI는 29.0%로 산출되어 부추에 대한 tebuconazole의 노출은 상당히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sidual characteristic of fungicide tebuconazole in Chinese chi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 fungicide tebuconazole (25% wettable powder) diluted by 2,000 times was applied three times with one-week interval and then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date of harvest. The fungicide tebuconazole was extracted with QuEChERS method and residue was analyzed by LCMS/ MS. Method limit of quantitation(MLOQ) in tebuconazole was 0.01 mg/kg (limit detected 0.03 ng) and mean recovery were 95.7-102.1% (low level-high level). The matrix matched calibration curves for tebuconazole in Chinese chives yielded good linearity (r2>0.9996). The fungicide tebuconazole contents ranged were 3.06- 3.62 mg/kg (before harvest 21-14 days), 7.05-7.39 mg/kg (before harvest 21-14-7 days), and 9.51-9.89 mg/kg (before harvest 14-7-0 days). The amounts of tebuconazole residues in Chinese chives was higher as spraying closer to harvest day. The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TMDI) of diet was 29.0% (% acceptable dietary intake, tebuconazole acceptable dietary intake was 0.03 mg/kg b.w./d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contribute on the safe use for the pesticides and management for the safe agricultural products.

      • KCI우수등재

        점토광물질 및 부추생균제 첨가급여가 거세 한우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병기(Byung Ki Kim),정대진(Dae Jin Jung),이준구(Jun Koo Yi),하재정(Jae Jung Ha),김대현(Dae Hyun Kim),황은경(Eun Gyeoung Hwang),이제영(Jea-Young Lee)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1 No.4

        본 시험은 거세한우 비육우에게 천연소재인 점토광물질과 부추생균제를 비육전 · 후기에 수준별 첨가급여시 적정수준과 그 효과가 한우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공시축은 거세한우 (평균 362±10.4kg정도) 40두를 임의배치 (5처리×4두씩×2반복)하여 시험을 수행한 후 도축하여 육질 성분을 분석하였다. 육의 일반성분 중에서 조지방 (crude fat) 함량은 16.94~21.39% 정도였고, 전단력 (shear force value)은 T4구가 2.41kg/cm²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 또한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이 63.65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관능평가의 경우, 연도 및 향미는 T3구 (각 5.50, 5.07점)가 다른 처리구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결과 oleic acid는 47.07~51.99%로서 그 중 T3구 (51.99%)가 가장 높고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according to the dietary when supplemented with levels of the clay minerals and leek probiotics (Allium tuberosum). For the test, 40 samples of Hanwoo steers (average of 362 ± 10.4kg) were randomly placed (5 treatments × 4 each × 2 repetitions), and then butchered to analyze the meat composition. Among the general ingredients of meat, the crude fat content was about 16.94 to 21.39%, and the shear force was the lowest at 2.44kg/cm² in the T4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In addition, the cholesterol content was the highest at 63.65mg/100g in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p < 0.05).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year and flavor of T3 (5.50 and 5.07 points,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p < 0.05). As a result of fatty acid analysis, oleic acid was 47.07 to 51.99%, of which T3 (51.99%) was the highes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