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노동자의 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혹실드의 감정부조화 개념 연구

        김익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1

        감정부조화는 혹실드의 텍스트 원문에서는 ‘emotive dissonance’로 모리스와 펠드만의 텍스 트 원문에서는 ‘emotional dissonance’로 표기되고 있다. 이 상이한 표기 사이에 의미상의 차이 가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한 첫 단계로 혹실드의 연구의 문헌학적 검토 를 통해 혹실드가 말하는 감정부조화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 약할 수 있다. 첫째, 감정부조화는 감정교환의 3가지 요소, 즉 감정법칙feeling rules, 표면행위 surface acting, 내면행위deeping acting 사이의 역동이 만들어내는 불편감, 즉 3요소의 조합으 로 발생하는 4가지 형태의 부조화들을 통틀어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감정부조화와 인지부조 화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감정부조화가 주는 불편감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지의 변환을 유도하는 것은 효율성에 있어 한계가 있다. 셋째 감정부조화는 감정노동이 인간 의 마음에 끼치는 아픔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준이다. 감정부조화가 빚어내는 존 재에 대한 현상적 폐해는 소외와 소진이다. 현대사회에서 인간이 겪는 가장 심각한 아픔인 소 외 증상과 소진 증상은 예술치료의 구체적인 치료대상이다. 감정부조화가 만들어내는 소진과 소외같이 우리의 정서적 에너지를 급감시키는 이런 부정적 결과들과 더불어 살기 위해서는 우 리는 끊임없이 정서적 에너지를 보충해야 한다. 예술치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바로 이 정서 적 에너지를 보충하는 일이 되어야 한다.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ochschild’s 'emotive dissonance' and Morris & Feldman’s 'emotional dissonance'? In this paper, as a first step to find the answer, we analyzed Hochschild’s texts concerning the concept.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emotional labor focused on the concept of emotive dissonance of Hochschil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motive dissonance refers to all four forms of dissonance that cause discomfort among the three elements of emotional exchange: feeling rule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Second,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emotive dissonance and cognitive dissonance, just as cognitive and emotional systems do not work in the same way. Therefore, the efficiency is limited in inducing the transformation of cognition as part of efforts to reduce the emotive dissonance. Finally, emotive dissonance is a key criterion for measuring the extent of the pain caused by the emotional labor. The phenomenal harm to the existence of emotive dissonance is alienation and burn out ; the most serious emotional pain in modern society. In order to live with these negative consequences, we must constantly supplement our emotional energy. That is the most important role of art-therapy.

      • KCI등재후보

        신라 불탑(佛塔)의 형식과 금강역사 부조상(浮彫像) 연구

        김지현 ( Kim Ji Hyun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4 文物硏究 Vol.- No.25

        본 논문은 신라 佛塔에 浮彫된 금강역사상의 彫像的 의의를 불탑의 형식과 구조적 관계 속에서 고찰해 보았다. 현존하는 불탑 부조상 중에서 금강역사상은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도상이다. 634년에 조성된 분황사 석탑의 초층탑신 네 면의 감실 좌우에 2구씩 총 8구의 금강역사상이 배치되어 있다. 이 탑은 벽돌 모양의 石材를 쌓아올려 조성한 造積形 석탑으로 전탑과 外形이 유사하여, 석탑이지만 전탑계열의 불탑이라 할 수 있다. 분황사 석탑은 감실과 실제 석문이 있어 도상을 부조한다면 여러 상들 중에 문지기 역할의 금강역사상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 선덕여왕이 왕위에 오른 뒤 기념비적인 사찰로 조성한 분황사와 석탑 그리고 석탑의 부조상에 단순히 문지기 역할로서 금강역사상을 배치했다고 단정하기는 너무나 당연하고 평면적이다. 삼국 중 가장 늦게 불교를 공인한 신라는 신라가 불국토라는 이미지의 부여와 함께 불교 발생지인 인도와의 직접적 관련성을 지속적으로 부각시킨다. 그 절정은 선덕여왕으로, 아버지 이름은 백정, 어머니 이름이 마야인 선덕여왕은 고타마 시타르타에 비견된다. 즉, 선덕여왕이 다스리는 나라, 신라는 곧 부처의 나라가 된다. 이런 상징성을 가진 선덕여왕의 즉위와 함께 기념비적으로 세운 사찰의 석탑에서 인도 스투파와의 친연성이 엿보이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전탑으로 조성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탑보다 공력과 경제력 소모를 요하는 조적형 석탑은 인도 스투파를 의식한 불탑으로 신라가 불국토라는 정통성 작업의 연장선상에서 생각할 수 있다. 중국의 전탑 및 唐代 조각 양식이 분황사 석탑의 형식과 금강역사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음은 부인할 수 없지만 인도 스투파의 상징성과 그로 인한 정통성의 강조 또한 배제할 수 없다. 이를 통해 분황사 석탑의 감실과 금강역사상은 佛舍利가 모셔진 불탑과 그 외 공간을 경계하는 스투파의 조형과 연결 지을 수 있다. 나아가 분황사 석탑은 사리신앙의 상징으로 존숭되던 초기 불탑의 성격을 지녔음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가 되면 감은사지 석탑으로 대변되는 전형양식의 일반형석탑이 새롭게 출현한다. 전형양식의 일반형 석탑이 新式의 불탑이라면, 통일신라 이전의 전탑, 목탑, 조적형 석탑의 형식은 古式의 불탑이라 할 수 있다. 금강역사 부조상은 신식의 불탑에 비해 고식의 불탑에서 더 많이 조성된다. 이는 통일신라시대 이후 등장하는 전형양식의 일반형 석탑의 구조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이전의 불탑보다 초층탑신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른 부조 공간의 협소함은 금강역사상과의 조형적 부조화를 초래한다. 또한 내부 공간의 不在에 따른 감실의 생략과 문비로의 대체는 이후 초층탑신에 문지기 역할의 금강역사상을 굳이 조성하지 않아도 되는 근본적인 이유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곧 전탑계열의 불탑에서 역사상이 조성되는 것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금강역사상이 불탑의 형식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부조상임을 방증한다. 더불어 금강역사상은 9세기 전기 이후의 불탑에서는 거의 부조되지 않는 시기성과 함께 경주 일대와 전탑의 보존이 잘 되어 있는 안동에서 확인되는 지역적 특징을 보인다. 이는 탑부조상으로 제작된 금강역사상이 초기 불탑의 형식에 등장하는 부조상이기 때문이다. 초기 불탑은 불교의 빠른 수용을 보였던 경주 일대라는 지역적 제한과 9세기 전기 이후에는 등장하지 않는 시기성과도 직결된다. 當代 유행하던 신앙 및 경전적 도상과 함께 9세기 전형양식 석탑의 전국적 확산은 금강역사상이 부조상으로 도태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This paper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pagoda relief of Vajrapani, which is sculptured on Sila Buddhist pagodas, in the form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 Buddhist pagoda. From among existing Buddhist pagoda reliefs, the Images of Vajrapani is an icon manufactured in the earliest perio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four-sided altar of the first body of the Bunhwangsa(Bunhwangsa temple) stone pagoda created in 634, a total of eight the Images of Vajrapanis are placed in pairs. This pagoda is a masonry stone pagoda created by brick-shaped piling stone materials; thus, its appearance is similar to a brick pagoda. Also, although it is a stone pagoda, it may be a Buddhist pagoda of the brick pagoda group. The Bunhwangsa stone pagoda has an altar and an actual stone gate. Accordingly, if an icon is sculptured, the Images of Vajrapani, which played the role of a doorkeeper among various statues, may be the most appropriate; however, it is too natural and plain to conclude that the Images of Vajrapani was placed simply in the role of a doorkeeper on the relief of the stone pagoda at Bunhwangsa, which was established as a monumental Buddhist temple after Queen Seondeok rose to the throne. Sila, which adopted Buddhism as the official religion the latest among three kingdoms, highlighted consistently the direct relationship with India, the birthplace of Buddhism, along with the endowment of an image of Sila as a Buddhist land. The high point may be a factor that the name of the father of Queen Seondeok can be compared with Baekjeong, her mother`s name can be compared with Mayaro, and Queen Seondeok can be compared with Gotama Siddhartha. In other words, Sila under the rule of Queen Seondeok becomes a nation of Buddha. It may not be a coincidence that there appears an affinity between the stone pagoda of a Buddhist temple established at the time of the coronation of Queen Seondeok with such symbolism and an Indian stupa. A masonry stone pagoda, which requires more effort and financial resources than a brick pagoda even though it can be established as a brick pagoda, may be thought of in the continued context of working on creating legitimacy which demonstrates that Sila is a Buddhist land as the Buddhist pagoda in awareness of the Indian stupa. It cannot be denied that a brick pagoda and the sculpture style of the times in China had a direct effect on the type of the Bunhwangsa stone pagoda and the Images of Vajrapani, the symbolism of an Indian stupa, and the emphasis on the subsequent legitimacy also cannot be excluded. Through this, the altar of the Bunhwangsa stone pagoda and the Images of Vajrapani can be connected to the formation of a stupa that borders the Buddhist pagoda on which the sarira is enshrined and the remaining spac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dentify indirectly that the Bunhwangsa stone pagoda had the character of an early Buddhist stone pagoda, which was revered as a symbol of sarira faith. Beginning in the United Sila period, there appears newly a general type stone pagoda of the regular styl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Gameunsaji stone pagoda. Provided that the general type stone pagoda of the regular style is a new type of Buddhist pagoda, the brick pagoda, wooden pagoda, and masonry stone pagoda before the United Sila period may be considered to be old fashioned Buddhist pagodas. Many more Images of Vajrapani reliefs were created in the old fashioned Buddhist pagodas compared with the new type of Buddhist pagoda.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change of a general type stone pagoda of the regular style that appears after the United Sila period. That is, as the size of the first body becomes smaller than for previous Buddhist pagodas, there is a lack of space for sculpturing. This caused a formative disharmony with the Images of Vajrapani. Also, the omission of an altar and the replacement of this with a door plate along with the absence of an internal space provide a fundamental reason why the Images of Vajrapani, which played the role of a doorkeeper at the first body later, did not have to be established. This is in the same context that the Images of Vajrapani was created in the Buddhist pagoda in the brick pagoda group, and disproves that the Images of Vajrapani is a relief closely related to the type of Buddhist pagoda. Furthermore, the Images of Vajrapani exhibits a regional characteristic which is confirmed in the time area and Andong, where brick pagodas are well preserved, along with time, which was barely sculptured in Buddhist pagodas after the early 9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 Images of Vajrapani, which was prepared as a pagoda relief, is a relief that appeared in the form of the early Buddhist pagoda. The early Buddhist pagoda is directly related to regional limitation, namely to the Gyeongju area, which showed rapid acceptance of Buddhism, and time, which does not appear after the early 9th century. Along with the prevalent faith of the times and scriptural idols, the expansion of the 9th century brick pagoda type stone pagoda nationwide brought about the result that the Images of Vajrapani was abandoned as a relief.

      • KCI등재후보

        경조사 부조금

        조은성(Cho, Eunseong),변숙은(Byun, Sook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부조금 지출이 가정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부조금에 대한 학술적 조사는 거의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연령, 종교가, 소득, 자산, 학력, 직업, 주관적 사회지위, 자녀 결혼가능성, 체면민감성, 미혼자녀수가 부조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령대별(30, 40, 50, 60대) 및 성별에 따른 할당 표본추출을 실시하여 308명의 유효표본을 얻었다. 부조 횟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에서 직업, 자산, 자녀 결혼가능성, 주관적 사회지위가 유의하였다. 1회당 부조금에 연령, 연령제곱, 성별, 소득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부조금 총액에는 연령, 연령제곱, 직업, 자녀 결혼가능성, 주관적 사회지위가 유의하였다. 부조 횟수와 1회당 부조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다르며, 부조 횟수와 1회당 부조금은 서로 상충 관계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달리 부의금보다 축의금 지출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efforts on spending behaviors of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in Korea, despite its practical importance 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d such spending behaviors by lifetime-event types (i.e., wedding, funeral, first-birthday party, and sixtieth-birthday party).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uch spending per event, aswell as the total amount of such spending per year. Both positive and inverted-U relationships were hypothesized for the effects of age on the expenditure on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For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unmarried childr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Men were expected to give more money and give money more frequently for others" lifetime events, compared to women. Those who have a religion were expected to give money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do not have a religion. Income, asset, education level, occupation, subjective social position, the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wedding in the near future, and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were also expected to have relationships with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spending behavior. After excluding untrustworthy responses, 308 valid samples were obtained. We ran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ith three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uch spending per event, as well as the total amount of the spending per year. Occupation, asset, and the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wedding in near fu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hile subjective social posi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with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money. Age, square of age, gender, and incom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verage amount of the spending per event. Age, square of age, occupation, and the likelihood of children’s wedding in near fu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with the total amount of the spending per year. Theoretical implications. Fist, the determinants of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verage amount of spendingmoney per event. Second, there is a tradeoff between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pending per event. Third, people tend to spend more money for others" congratulatory events than condolence events. Lastly, more than half of the consumers seem to give less amount of money per event and give money less frequently than the fact known to everyone.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부조금 지출이 가정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부조금에 대한 학술적 조사는 거의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연령, 종교가, 소득, 자산, 학력, 직업, 주관적 사회지위, 자녀 결혼가능성, 체면민감성, 미혼자녀수가 부조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령대별(30, 40, 50, 60대) 및 성별에 따른 할당 표본추출을 실시하여 308명의 유효표본을 얻었다. 부조 횟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에서 직업, 자산, 자녀 결혼가능성, 주관적 사회지위가 유의하였다. 1회당 부조금에 연령, 연령제곱, 성별, 소득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부조금 총액에는 연령, 연령제곱, 직업, 자녀 결혼가능성, 주관적 사회지위가 유의하였다. 부조 횟수와 1회당 부조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다르며, 부조 횟수와 1회당 부조금은 서로 상충 관계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달리 부의금보다 축의금 지출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efforts on spending behaviors of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in Korea, despite its practical importance 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d such spending behaviors by lifetime-event types (i.e., wedding, funeral, first-birthday party, and sixtieth-birthday party).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uch spending per event, aswell as the total amount of such spending per year. Both positive and inverted-U relationships were hypothesized for the effects of age on the expenditure on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For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unmarried childr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Men were expected to give more money and give money more frequently for others" lifetime events, compared to women. Those who have a religion were expected to give money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do not have a religion. Income, asset, education level, occupation, subjective social position, the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wedding in the near future, and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were also expected to have relationships with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spending behavior. After excluding untrustworthy responses, 308 valid samples were obtained. We ran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ith three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uch spending per event, as well as the total amount of the spending per year. Occupation, asset, and the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wedding in near fu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hile subjective social posi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with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money. Age, square of age, gender, and incom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verage amount of the spending per event. Age, square of age, occupation, and the likelihood of children’s wedding in near fu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with the total amount of the spending per year. Theoretical implications. Fist, the determinants of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verage amount of spendingmoney per event. Second, there is a tradeoff between the frequency of giv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money and the average amount of spending per event. Third, people tend to spend more money for others" congratulatory events than condolence events. Lastly, more than half of the consumers seem to give less amount of money per event and give money less frequently than the fact known to everyone.

      • KCI등재

        동성마을 잔치 부조(扶助)의 양상과 호혜성 -20세기 중후반 경북 영양군 감천마을의 사례-

        박선미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aspect of feast mutual aids of paternal clan village during the Mid to Later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describe the types and principles on how reciprocity is practices in the blood relationship.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it is representative cultural phenomenon to find out the social relations of several units, the outcome of the study on the mutual aids to this point has been minimal. The subject site for the study, Gamcheon Village of Yeongyang-gun, Gyeongbuk, is the paternal clan village for Nakan Oh Clan that it is the representative case to explain, more than anything else, how the mutual aids culture is practiced in the blood relationship. Furthermore, it enables to explain the type and principle of mutual aids between the head family and jisonga(families of the offspring who is not the eldest son), and it is possible to disclose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de of clans through the foregoing. As for the type of the feast mutual aids, there are three-fold in manual mutual aids, mutual aids in goods, and cash mutual aids. The mutual aids maintains only the cash mutual aids with the succession of the manual mutual aids and mutual aids in goods to be weakens as they are solidified as the ‘cash mutual aids’ as time went on to the later part of the 20th century. However, in the paternal clan village, the practice of feast mutual aids and its reciprocal relationship are conspicuous in manual mutual aids. While the upper-level head family(Gukheon head family) receives the manual mutual aids from all jisongas, including the lower-level head family, the upper-level head family has made the ‘status enhancing’ mutual aids to upgrade the status of jisonga and clan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the jisonga. This is construed in the point of view for practicing the code of clans in the clan. In other word, the characteristics of feast mutual aids for the paternal clan village have different type and implication depending on head family or jisonga, and there are mutual aids of head family-type and mutual aids of jisonga-type. In addition, the head family has the property or cash equally for mutual aids with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jisongas regardless of the volume of mutual aids and its presence. This indicates that the logic and value of ‘equitableness’ would have greater priority in the position of role and duty of head family or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이 연구는 20세기 중후반 한 동성마을의 잔치 부조 양상을 살펴보고, 혈연관계에서 호혜성(Reciprocity)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그 유형과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부조는 여러 단위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관한 연구 성과는 미미하였다. 연구대상지인 경북 영양군 감천마을은 낙안오씨 동성마을로서 혈연관계에서 부조문화가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해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종가와 지손가 사이의 부조 유형과 원리를 해명하고 이를 통해 종법의 실천양상도 밝힐 수 있었다. 잔치 부조의 형태는 몸부조, 현물부조, 현금부조 세 가지이다. 부조는 20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부조금’으로 고착화될 정도로 몸부조와 현물부조의 전승은 점차 약화되고 현금부조 형태만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동성마을에서 잔치 부조의 실천과 호혜적 관계는 몸부조에서 두드러졌다. 큰종가(국헌종가)는 작은종가를 비롯한 모든 지손가로부터 몸부조를 받는 반면에 큰종가는 지손가에 대내외적으로 지손가와 문중의 위상을 격상시키는 ‘위상 제고(位相提高)’부조를 하였다. 이는 문중 내 종법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된다. 즉, 동성마을 잔치 부조의 특징은 종가냐 지손가냐에 따라 그 형태와 의미가 달라졌는데, 종가형의 부조와 지손가형의 부조가 있었다. 또한, 종가는 지손가로부터 받은 부조의 양과 유무에 관계없이 지손가들 사이에 차등을 두지 않고 균등하게 현물 또는 현금을 부조했다. 이는 종가 내지는 종손의 역할과 도리의 입장에서 ‘형평성’의 논리와 가치를 더욱 우선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 KCI등재

        동성마을 잔치 부조(扶助)의 양상과 호혜성

        박선미(Park, Sun-mi)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20세기 중후반 한 동성마을의 잔치 부조 양상을 살펴보고, 혈연관계에서 호혜성(Reciprocity)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그 유형과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부조는 여러 단위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관한 연구 성과는 미미하였다. 연구대상지인 경북 영양군 감천마을은 낙안오씨 동서마을로서 혈연관계에서 부조문화가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해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종가와 지손가 사이의 부조 유형과 원리를 해명하고 이를 통해 종법의 실천양상도 밝힐 수 있었다. 잔치 부조의 형태는 몸부조, 현물부조, 현금부조 세 가지이다. 부조는 20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부조금`으로 고착화될 정도로 몸부조와 현물부조의 전승은 점차 약화되고 현금부조 형태만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동성마을에서 잔치 부조의 실천과 호혜적 관계는 몸부조에서 두드러졌다. 큰종가(국헌종가)는 작은종가를 비롯한 모든 지손가로부터 몸부조를 받는 반면에 큰종가는 지손가에 대내외적으로 지손가와 문중의 위상을 격상시키는 `위상제고(位相提高)`부조를 하였다. 이는 문중 내 종법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된다. 즉, 동성마을 잔치부조의 특징은 종가냐 지손가냐에 따라 그 형태와 의미가 달라졌는데, 종가형의 부조와 지손가형의 부조가 있었다. 또한, 종가는 지손가로부터 받은 부조의 양과 유무에 관계없이 지손가들 사이에 차등을 두지 않고 균등하게 현물 또는 현금을 부조했다. 이는 종가 내지는 종손의 역할과 도리의 입장에서 `형평성`의 논리와 가치를 더욱 우선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aspect of feast mutual aids of paternal clan village during the Mid to Later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describe the types and principles on how reciprocity is practices in the blood relationship. Nowithstanding the fact that it is representative cultural phenomenon to find out the social relations of several units, the outcome of the study on the mutual aids to this point has been minimal. The subject site for the study, Gamcheon Village of Yeongyang-gun, Gyeongbuk, is the paternal clan village for Nakan Oh Clan that it is the representative case to explain, more than anything else, how the mutual aids culture is practiced in the blood relationship. Furthermore, it enables to explain the type and principle of mutual aids between the head family and jisonga(families of the offspring who is not the eldest son), and it is possible to disclose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de of clans through the foregoing. As for the type of the feast mutual aids, there are three-fold in manual mutual aids, mutual aids in goods, and cash mutual aids. The mutual aids maintains only the cash mutual aids with the succession of the manual mutual aids and mutual aids in goods to be weakens as they are solidified as the `cash mutual aids` as time went on to the later part of the 20the century. However, in the paternal clan village, the practice of feast mutual aids and its reciprocal relationship are conspicuous in manual mutual aids. While the upper-level head family(Gukheon head family) receives the manual mutual aids from all jisongas, including the lower-level head family, the upper-level head family has made the `status enhancing` mutual aids to upgrade the status of jisonga and clan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the jisonga. This is construed in the point of view for practicing the code of clans in the clan. In other word, the characteristics of feast mutual aids for the paternal clan village have different type and implication depending on head family or jisonga, and there are mutual aids of head family-type and mutual aids of jisonga-type. In addition, the head family has the property or cash equally for mutual aids with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jisongas regardless of the volume of mutual aids and its presence. This indicates that the logic and value of `equitableness` would have greater priority in the position of role and duty of head family or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 KCI등재

        중국 혁명 역사 제재 부조의 시대별 구성적 특성 복합 연구

        학춘우(Hao, Chun Yu),이선정(Lee, Sun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3

        본 연구는 역사 제재 부조의 역사적 맥락에 근거하여 창작 제재를 선택하고 그 구성을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시대마다 사회의 주류인 이데올로기의 영향 아래, 혁명 역사 제재 부조의 발전은 각자의 미학을 뚜렷하게 만들었다. 어떻게 하면 예술 창작과 구성적 특성에서 균형점을 찾고, 혁명 역사 제재 부조라는 공공예술이 시대에 맞게 발전할 수 있을까. 중국 혁명 역사 제재 부조는 시대별 따라 구성적 특성을 무슨 변화를 하는지 이 글의 연구 목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례분석을 통해 시대별 혁명역사 제재 부조를 비교 분석하고 역사적 배경, 미학적 구성 등을 설명하고 시도하였다. 혁명 역사 제재 부조가 보여주는 미학적 형식을 정리하고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 인문정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시대별로 다른 부조에 나타나는 시대적 사건이나 배경환경 및 이데올로기의 요구가 그 시대의 창작에 끼치는 중요한 영향과 발전을 탐구하였다. 둘째, 혁명 역사 제재 부조는 혁명적 문화 해석에 치중하면서 화면구성을 강화했고, 두 시기의 부조구도 창작 모두 구성의 특징을 따랐다. 셋째, 혁명역사제재 부조는 공공예술의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인간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여백 공간, 부조의 파악도 중요하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혁명 역사 제재 부조 발전에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elected creative sanctions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historical sanctions relief and began with an analysis of their composition. Under the influence of ideology, the mainstream of society from time to time, the development of revolutionary history sanctions has made each person"s aesthetic distinct. How can we find a balance between art creation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how can public art, called revolutionary history sanctions relief, develop according to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what changes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China"s revolutionary history. Therefore,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dissonance of revolutionary history sanctions by era through case analysis and expla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esthetic composition. It helps to organize the aesthetic forms shown by the revolutionary history sanctions relief and understand the history, culture, and humanistic spirit of the Korean people.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plored the significant effects and developments of the creation of the era, such as the events of the times, background environment, and ideological demands that appear in different reliefs from one particular era to another. Second, the construction of the screen was strengthened b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volutionary culture, and the creation of the two period"s auxiliary structures foll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Third, human participation is essential because the aid of revolutionary history sanctions falls within the scope of public art, and the identification of space and relief is also important.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provide various possib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 for revolutionary history sanctions.

      • KCI등재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浮彫像 연구

        박아연(Park, Ah-ye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2 美術史學 Vol.- No.43

        본고는 경상남도 山淸 泛鶴里 삼층석탑에 새겨진 부조상의 도상 및 양식적 특징을 검토하여 존명과 조성 시기를 논하고, 이 부조상이 통일신라 석조미술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범학리 석탑 상층기단 부조상은 한 면에 2구씩 모두 8구가 배치되어 있고 무장형의 八部衆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 상들은 팔부중의 전형적인 도상적 특징을 지니고 있지 않아 단언하기 어렵다. 또한 금강역사나 사천왕 등 다른 특정 도상이라고 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도 없다. 그러므로 상층기단 부조상은 특정 존명을 명명하기는 어려우므로 넓은 의미에서 ‘神將像’이라 일컫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범학리 석탑 1층 탑신석의 부조상은 한 면에 1구씩 4구가 배치되어 있는데, 1층 탑신에 위치한다는 점, 연화좌 위에 앉아 있고 두광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菩薩像임을 알 수 있다. 네 보살상은 공양하는 자세로 손에 지물을 들고 있기 때문에 供養菩薩像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 보살상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이다. 동면의 보살상이 중심이 되고, 나머지 공양하는 보살상의 방향이 정면(현재 동면)을 응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보살상들의 자세와 시선은 참배자가 탑돌이를 할 때, 정면을 향해 공양하는 보살상을 시작으로, 시각적으로 연동하면서 공양하는 보살들을 보며 예경 하도록 의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후반이 되면 석탑의 상층기단에는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고 있지만 존명을 알 수 없는 신장상이 많이 나타나며, 1층 탑신에 위치하는 부조상으로 보살상이 등장하므로, 범학리 석탑은 9세기 후반 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범학리 석탑에 부조된 신장상과 보살상의 조각 수법은 저부조로 입체감이 떨어지며 선각을 많이 이용하여 표현했다. 대체로 9세기 이후에는 새김의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양감으로 보더라도 범학리 석탑은 9세기 이후에 조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더불어 도상적 특징을 통해 통일신라 9세기 후기의 석탑, 석조여래좌상 대좌, 僧塔에 부조된 신장상 및 보살상에서 범학리 석탑 부조상과 친연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범학리 석탑의 부조상과 같이 상층기단에 신장상과 1층 탑신에 보살상으로 구성된 조합은 흔치 않은 사례이다. 이는 상층기단의 신장상을 통해 석탑을 수호하고, 1층 탑신의 공양보살상을 통해 부처를 공양한다는 의미를 담으려 한 것으로 생각된다. 범학리 석탑은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시작한 탑 부조상이 9세기 후반이 되면 경주 이외 지방에서 어떤 모습으로 변모해 가는지 그 변화를 잘 보여주는 대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ages of the Buddhist deities carved in relief o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Beomhak-ri in Sancheong, Gyeongsangnam-do, to determine the date of their production, and to assess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based on a close examination of their iconic and stylistic features. There are eight Buddhist images carved on the upper base of the Stone Pagoda, i.e. two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base, which has led some specialists to argue that the figures represent the Eight Deva Guardians of Buddhism,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no definite clues to support this view. It is equally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se images represent either the Vajra Guardians or the Four Heavenly kings. A more plausible view is that they represent the Divine Warriors in a broader sense. The body of the first story of the stone pagoda is also carved with four Buddhist deities in relief, one on each of its four sides. The fine details of the images, and the symbolic objects they hold in one hand in particular, suggest that they are bodhisattvas offering precious gifts to the Buddha. One interesting element of these bodhisattvas is that the image carved on the eastern face appears as the central figure, while the other three are turned fully to the front, that is, they are all facing east. The attitudes and eyes of these carved figures suggest that they wer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Buddhist worshippers would pay homage to this eastward-facing bodhisattva first of all when starting their ritual circumambulation of the pagoda. It was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i.e. the late ninth century, that stone pagodas in Korea first featured images of the Divine Warriors - whose identities remain unknown to this day - on their upper base, and representations of the bodhisattvas on the body of the first story. In this regard, the stone pagoda at Beomhak-ri clearly displays the characteristic style of Unified Silla pagodas of the late ninth century. Similarly, the images of the Buddha carved on the pedestal and those of the Divine Warriors and bodhisattvas carved in relief on the main structure show that this pagoda is closely connected with stone pagodas of Unified Silla dating from the late ninth century.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the Divine Warriors carved on the upper base and the bodhisattvas incised on the body of the first story of the pagoda is rarely seen in other pagodas of the same period. Such a combination suggests that the builders of the pagoda wanted the Divine Warriors to protect the pagoda and the bodhisattvas to represent devout worshippers offering treasures to the Buddha. The Stone Pagoda in Beomhak-ri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s some light on how the representation of Buddhist deities carved on Korean stone pagodas evolved from the seventh to the late ninth century.

      • KCI등재

        동물과 폴리스

        김혜진(Kim, Hyejin) 서양미술사학회 2017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6 No.-

        본 연구는 고전기 아티카의 봉헌 부조와 장례 부조에서 다양한 동물의 유형을 살펴보고 연구 대상에서 재현된 동물에 관한 고대의 문헌과 고고학적 증거, 미술사적 연구자료 등을 통해 동물 도상의 의미를 추론하고자 한다. 고전기 아티카의 봉헌부조는 봉헌자와 그 가족이 지녔던 신들에 대한 종교적 믿음을 희생 제물로 사용된 동물을 통해 가시화하고 그들의 종교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희생동물은 그 주인과 가족의 경제적 능력의 수준을 넌지시 알리는 역할과 더불어 봉헌자가 희생제를 통해 신과 인간의 사이에 소통, 살아 있는 가족들 사이의 유대를 강화하는 데에서 기여한 인물이라는 점을 명시하는 역할을 한다. 고전기 아티카의 비석에서 개는 물론이고 사냥을 통해 잡은 야생 동물을 지배할 수 있었던 남성의 뛰어난 신체와 정신력을 암시함으로써 죽은 자의 영웅성을 기념한다. 특히 장례 부조에서 사냥개와의 감정적 교감이 드러나는 순간이 선택됨으로써 소유자가 향유한 물질적, 정신적 여유를 묵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새의 도상이 있는 아티카의 비석에서도 유사한 경향 이 확인된다. 장례 부조에서 새는 ‘죽음’의 상징물인 동시에 그것을 주고받는 인물들 사이에 ‘애정’의 상징물이기도 하다. 또한 가내에서 여성과 아이들이 새를 매개로 보이는 상호작용은 그들이 정서적으로는 물론이고 물질적으로 여가를 누리던 존재임을 시사한다. 봉헌부조나 장례 부조는 사회 성원이라면 누구라도 접근할 수 있는 성소나 공동묘지에 눈에 띄게 설치되어 있었기에, 이들 부조는 봉헌과 장례라는 일차적인 목적 외에도 그 주인공이 되는 인물이나 가족이 사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한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담고 있었다. Depictions of animals appearing in Attic votive and funerary reliefs of the Classical period are examined and their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dedicant or the deceased, will be probed. The various kinds of sacrificial animals seen in votive reliefs are visual tokens of the dedicant’s religious piety; they are also a memento for the dedicant’s ability to afford such sacrifices to propitiate the gods not only for his family but also for the community. A hound dog in funerary relief, depicted in the company of its deceased owner, alludes to the physical and mental superiority of the deceased over his subordinates. Pet animals in funerary reliefs, typically shown alongside women in a domestic setting, imply that the deceased was a member of a well-off family. Other pet animals (mainly birds) in funerary reliefs, often portrayed as a gift given to children, allude to the untroubled life the deceased enjoyed in a harmonious family. Considering the votive and funerary reliefs were to be on public display at a sanctuary or necropolis, we posit that these animals were loaded with strong symbolic messages regarding the social status of the dedicants or the deceased.

      • KCI등재

        존 싱어 사전트 벽화의 부조 연구

        이미경(Rhi, Mikyung) 서양미술사학회 2017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6 No.-

        존 싱어 사전트는 보스턴 공공 도서관 벽화에 다양한 재료의 부조들을 성형, 도금, 채색하는 방식으로 벽화 표면 위에 부착했다. 그는 벽화에 부조 장식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매체의 장점을 발견하고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부조 매체의 독특한 효과를 창출했다. 그는 벽화의 설치시기에 따라, 양식, 테크닉 등을 다양하게 실험했으며, 따라서 벽화 설치 연도에 따라 그가 사용한 부조 재료들은 확연히 구분된다. 사전트는 1차 설치에서 석고, 2차 설치에서 파피에 마세, 3차 설치에서 링크러스타-월튼과 금속 요소들을 지배적으로 많이 사용했다. 그는 회화적 특성을 보강하고 회화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부조 요소를 사용했다. 그는 필요에 따라 저부조와 고부조로 다양한 테크닉을 선보였으며, 고부조 효과에 대한 관심은 이후 조명이 파생시키는 극적인 효과에 대한 관심으로 변화를 선보였다. 그는 부조를 회화의 보조수단뿐 아니라 공간 전체를 하나의 통합된 예술체로 인식했으며, 건축적 변경을 통해 회화, 조각, 건축의 세부와 회화를 통합시켰다. 그 결과 그는 회화, 조각, 실내 디자인을 결합하며 단순한 벽화 감상을 뛰어넘는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생성해냈다. 또한 그는 부조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다양하게 해석함으로써 부조의 영역을 건축으로까지 확장하여 통합된 예술로 제시했다. 비록 사전트의 벽화가 번거로움 때문에 다른 벽화가들로부터 외면 받았지만, 그의 노력은 벽화 재료의 혁신과 미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였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In his murals at the Boston Public Library, John Singer Sargent applied relief elements of various materials onto the surface using molding, gilding, and coloring. He experimented with a distinct set of materials, patterns, and techniques for each of the installation phases that spanned a period of over twenty years. The relief materials he used varied over time from plaster to papier-mâchéto Lincrusta-Walton to metal. He tried to exploit the strengths of individual relief materials while overcoming their respective limitations an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se materials, could create a unique visual effect for the murals. Sargent used the reliefs to reinforce the expression of paintings while overcoming its inherent limitations. He employed various techniques of haut-relief and bas-relief, as deemed necessary, and tried to utilize dramatic effects caused by lighting. He even incorporated the surrounding architectural elements of a building into the murals. Envisioning his murals to be integrated, comprehensive art that transcends traditional murals, Sargent unified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into a unique art form. Despite some critical reservations on his use of relief elements in murals, his efforts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innovation in mural media.

      • KCI등재

        총동원체제기(1939~1945) 강제동원 조선인 노무자 대상 재해부조의 연원과 양상

        박진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7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that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system for Korean forced labor was less a benefit coming from the mobilization for the wartime colonial labor force than it was merely an incidental effect of working in Japan, a different legal domain. Contrary to the poor circumstances in colonial Korea, in Japan,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system subdivided by types of work was gradually institutionalized nationwide: Factory Act (1916), Mining Labor Compensation Rules (1916), and Worker Accident Compensation Act (1931). In addition, the medical insurance and pension insurance coexisted and took charge of compensation in part: Health Insurance Act (1927) and Worker Pension Insurance Act (1942). When a Korean laborer entered “the inner land” (Naechi), he could benefit from the worker protection system including compensation for industrial accidents at least in principle, although the boundaries of the legal domain within the Japanese Empire were clear-cut. Labor immigration on the basis of so-called “forced mobilization” (Kangjetongwǒn) since July, 1939, became the most prevailing way to cross the sea, it was still only one of the official ways of “immigrating to the inner land” (Naechitohang). It is natural to see, therefore, that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system, which had already been applied to “Korean residents in Japan” (Chaeiljosǒnin), was also applied to Korean forced labor. In fact, when Korean laborers working in Japan by “forced mobilization” were injured due to accident on duty, they could receive medical expense and/or compensation for sick leave or disability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s of Japan. 이 연구는 강제동원 조선인 노무자에게 적용된 노동재해 부조제도가 전시 식민지 노동력 동원의 반대급부이기 이전에 내지라는 법역으로의 진입에 따르는 부수적인 효과였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열악한 상황과 다르게 내지에서는 직종별로 분화하여 노동재해 부조가 제도로 정착해가는 동시에 의료보험이나 연금보험 명목으로 마련된 제도도 병존하며 부조 일부를 담당하였다. 이처럼 제국 내의 법역 간 경계가 엄연하였음에도, 내지에 거주하면 조선인일지라도 원칙적으로 내지의 노동재해 부조제도와 공적보험에 포함되었다. 1939년 7월 시행된 이래 비중이 점차 증가한 결과, 내지 도항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을 뿐, 강제동원도 결국 내지 도항의 공식적 경로 중 하나였다. 그러므로 내지에 거주하는 조선인에게 이미 적용되고 있던 노동재해 부조제도가 강제동원 조선인 노무자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었을 것이라고 봐야 한다. 실제로 강제동원 방식으로 내지에 진입한 노무자들도 업무상 재해를 당한 경우 직종에 따라 <광부노역부조규칙>이나 <공장법>, <노동자재해부조법>에 의해서 부조를 받았으며, <건강보험법>과 <노동자연금보험법>의 적용 대상이었다. 업무 중 부상을 입은 노무자들은 부조규정에서 정한 신체장해등급과 건강보험 표준보수등급을 종합하여 책정된 부조료를 지급받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