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조각과 건축의 부재 공간에서 나타나는 현존성에 관한 연구

        고경호,김혜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The distinct characteristic in the contemporary discourse is that the distinctions between individual genres are destroyed and other different genres are blended and combined. Sculpture and architecture as three-dimensional art forms occupying space have intrinsically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wo fields deal with mass and space. However after modernism these two fields have been completely separated and have broadened the interpretation of spac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ime and demands in own unique spheres, but nowadays again sculpture and architecture are integrated, showing the symptom of relativism.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dea of the space of the absence is realized in contemporary sculpture and architecture, defines its concept,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and architecture through the definitio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and architecture is examined according to changes of time and then the significance of the space of the absence is defined through broad-brush review of literatures about the negative space, as space of absence shown in history of sculpture and the invisible space in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this, sculptures as matters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where invisible space is visualized through memories, are analyzed, and the concept of the absence of space of contemporary sculpture and architecture is understood,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and architecture is examined. Through this analysis, the absence of space in contemporary sculpture and architecture exists in both absence and presence beyond dichotomized concept and structure and its signification is interpreted differently in terms of physical positions. Therefore, the encounter of modern sculpture and architecture is building positive mutual relationship and proposed another possible new space art. 현시대의 담론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각 장르를 나누는 경계가 해체되고 서로 다른 장르가 혼합되거나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공간을 점유하는 삼차원의 예술형식인 조각과 건축은 매스와 공간을 다룬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모더니즘 이후 이 두 영역은 완전히 분리되어 각자의 고유한 영역 안에서 시대변천과 요구에 따라 공간 해석을 넓혀왔으나, 다시금 조각과 건축이 상대주의의 징후를 보이며 서로 상호교차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조각과 건축에서 나타나는 부재 공간 개념에 대한 발현양태를 탐색하여 그 개념을 규정하고, 이를 통해 조각과 건축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시대적으로 변화된 조각과 건축의 관계를 살펴보고 조각사에서 나타난 부재 공간인 네거티브 공간과 건축에서의 비가시적 공간에 대한 개괄적인 선행적 연구를 통해 각각의 영역에서 의미하는 부재 공간을 규정한다. 이를 근거로 물질로 드러나 현존하고 있는 조각 작품의 사례와 비가시적 공간이 기억을 통해 가시화된 건축적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현대 조각과 건축의 부재 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조각과 건축의 관계성을 밝힌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현대 조각과 건축에서 발현되고 있는 부재 공간은 이분법적인 개념과 구조에서 벗어나 부재와 현존이 양가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그 의미작용은 인간의 신체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 전개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로써 현대 조각과 건축의 만남은 서로 상호적으로 관계를 맺으면서 새로운 공간예술의 발현 가능태를 시사한다.

      • KCI등재

        사람의 조건으로서 공간의 스펙트럼

        박찬인 ( Pak Chan-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1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일정한 시공간을 점유한다. 그 짧지만 짧은 것도 아닌 시간의 연속선상에서 인간은 공간을 바꾸면서 자라나고 방랑하고 정착한다. 평생을 통하여 인간은 길 떠남과 돌아옴 그리고 정착하여 살기를 반복한다. 공간의 변화는 더디기도 하지만 때로는 극적으로 자주 변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공간이라는 변화무쌍한 환경이 인간을 구속하고, 인간은 그 구속에 순응하기도, 저항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인간은 공간을 통해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우리가 누구인지를 드러낸다. 따라서 공간과 시간은 늘 인문학의 탐구 대상이었다. 시공간의 좌표 위에서 인간이 그리는 삶의 흔적이 곧 문화고 문명이며 인간 자신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의 다양한 스펙트럼이 인문학에 어떻게 투영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인간은 변화하고 공간을 바꾸면서 자신을 유지하고 자신이 누구인지를 잊지 않으려 한다. 다른 사람과 구분되는 차이와 다름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며 사람으로서 나다움, 즉 ‘사람으로서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떠나고 돌아오는 길이라는 공간에서 보이는 인간의 다양한 모습과 함께 머물면서 경쟁하고 다투는 정주공간의 스펙트럼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이때 현대인이 머무는 추상적 공간은 사회이고 구체적 공간은 대개 도시이다. 도시라는 공간은 어찌 보면 다양한 생각의 융합을 만들어내는 용광로이기도 하지만, 도시, 특히 대도시라는 공간에서 우리 인간은 놀랍게도 모두가 사람다운 사람으로 사는 게 아니었다. 사람으로 대우 받는가 그렇지 않은가, 즉 사람으로 인정 되는가 아닌가의 문제는 바로 공간을 당당하게 차지하는가의 문제이기도 하였다. Humans occupy a certain space-time from the moment of birth. Humans grow, wander, and settle down in space, changing their space. Throughout life, human beings repeat their journey, return, and settle down. Changes in space are slow but sometimes change dramatically. Here, the ever-changing environment of space contains human beings, who both conform and resist. In short, human beings reveal who they are and who we are through space. Thus, space and time have always been the subject of humanities’ inquiry. This is because the traces of life drawn by humans on the coordinates of time and space are culture, civilization, and human self. This paper examines how various spectra of space are projected on the humanities. Human beings maintain themselves by changing and changing spaces and try not to forget who they are. A man constantly seeks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from others, and tries to maintain his own self-identity, his identity as a person. In the space of leaving and returning, we looked at the sedentary space where we stayed and compet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abstract space where modern man stays is a society, and concrete space is usually a city. The space of the city is a furnace that creates a convergence of various ideas, but in the space of the city, especially the big city, we are not surprisingly all human beings.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treated as a person or not, that is, whether or not it is recognized as a person, is also a matter of taking up the space fairly. Many studies and data warn that the fragmented and alienated cultural state of today, and the polarization of space brought about by the polarization of the rich and poor, must be healed in a hurry. We are diagnosing that we must build a culture of community with healthy neighbors. The aspirations and cultural desires of each individual’s life should not be the pressure to push each other, but the imagination to seek coexistence by facing each other’s faces. In this article, we studied the humanities by mobilizing a few poems about the space to leave and return. Now we dream of a prospect in which the human dignity of each citizen is respected in the space of this city, and everyone lives next to each other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타자적 공간 연구

        김소현(Kim, So-Hyeon),김종회(Kim, Jong-Hoi)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5

        본 연구는 김종삼 시에 나타난 타자적 공간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비나스의 ‘타자’라는 개념을 차용하여 김종삼 시에 드러난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 공간(physical space)만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닌, 정신적 공간(mental space), 실존의 구조로서 그의 시 세계를 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존재(시인)의 타자적인 것들로 구성된 외부적 공간이 결국 존재의 실존 문제와 직결되어있다는 점을 밝혀내는 일이다. 첫째로, 시인이 주체라는 전제하에 어린아이, 여성, 이웃과 같은 타자의 공간을 살펴보았다. 시인이 축조한 세계는 어린아이, 여성, 이웃으로 명명되는 타인의 공간이다. 이러한 타자적 공간 내부에 진입한 시적 주체는 타자들과 마주보는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시적 주체는 타자의 얼굴을 ‘마주봄’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한다. 둘째로, 시인의 비극적 세계인식이 비롯된 근간을 시인이 체험한 전쟁의 상흔으로 보았다. 시인이 끌어온 레바논, 아우슈비츠 수용소 등의 이 국정서의 공간이 결국 전쟁이라는 거대한 메타포 안에서 시인이 체험한 한국전쟁과 동일한 참혹성, 폭압성을 드러내고 있다. 시인은 전쟁을 겪으며 고통 받은 이들의 비애와 비극적 정서를 공유한다. 시인은 본문에서 이국에 대한 단어들을 가감 없이 사용하는데, 여기서 이국이 주는 거리감은 느껴지지 않는다, 시적 주체는 이러한 이국적 벌거벗음 속에서 실재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셋째로, 시인이 동경한 신성․초월․환상의 공간을 살펴보며 이러한 타자적 공간이 시인을 계속해서 욕망하게 만들고 강한 애착을 갖게 하지만, 사실상 신성 공간으로의 진입은 불가능하며 결국 추방당하게 되면서 주체의 욕망이 좌절될 수밖에 없는 과정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ce of otherness found in Kim Jong-sam’s poems. Borrowing the concept of Levinas’ ‘others’, this author intends to discuss the world of his poems by analyzing space revealed in his poems not just as physical space but as mental space and also the structure of existence. Ultimately, it is to reveal the fact that space as the world of externality consisting of others to the being(poe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existential matters of the being after all. First, this author has understood that the poet examines the space of others, for example, young children, women, or neighbors, under the precondition of an agent and learns that the space of others named as young children, women, or neighbors confronts the agent and allows the agent to exist as the face of others eventually. Second, this researcher regards the origin of the poet having that tragic view of the world is his wound from the war that he experienced, and the space of exotic mood that the poet draws such as Lebanon and Auschwitz Camp reveals the same cruelty and oppression that he experienced from the Korean War within the enormous metaphor of war after all, and he shares the sorrow and tragic sentiment of those in pain suffering from war. This author has learned that distance from the foreign land is irrelevant here and one can exist within that exotic nakedness. Third, examining the space of divinity․transcendence․fantasy that the poet longs for, this researcher has found that that space of otherness lets the poet keep desiring and become strongly attached, but in fact, it is impossible for him to enter the space of divinity, and finally, he gets to be exiled in the end and the agent’s desire ends up withering helplessly.

      • KCI등재

        신경숙 소설의 공간 지향성과 주체 인식 -마당과 빈집의 의미를 중심으로

        양현진 ( Hyun Jin Y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4

        이 논문은 신경숙 소설에서 작중 인물의 주체성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마당 공간의 특성에 의거해 획득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이 전통적인 마당 공간은 내·외부 공간을 이어주는 경계 공간으로서 심리적 물리적 채움에 따라 다양한 공간적 특성을 지니게 되고, 다시 비움으로써 또 다른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성과 불확정성의 공간이다. 건물이나 담으로 둘러싸인 무의미한 여백이 아니라 채움을 전제로 비워둔, 건물과 대등한 관계를 가지는 중심 공간인 것이다. 이 마당은 유동적인 채움을 전제로 하는 빈 공간이면서 새로운 것들을 창조한다는 점에서 ‘코라(chora)’ 개념과 상통한다. 신경숙은 문제적 상황에 직면한 주체가 일상 속에서 맞닥뜨리는 마당 공간을 통해 주체의 동일성과 연속성을 교란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생성하는 코라 공간을 재현하고 있다. 인물들은 자고 먹고 말하는 일상성이 무너지는 퇴행적 국면에서 비현실적인 마당 공간으로 진입하고 그곳에서 추방당했던 무의식을 만나고 상처를 치유하며 성장한다. 충만한 무의식 안으로의 퇴행적 도피는 지금의 ‘나’를 분열시키고 위협하는 듯해 보이지만, 이것은 무의식 안으로 가라앉은 욕망을 복원하고 주체를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이다. 마당의 빈 공간은 비어 있음에 대한 전반적인 지향성으로 확대되는데, 집 밖의 빈터와 빈집에 대한 상상력이 대표적이다. 집밖에 존재하는 빈터에 대한 집착은 공간에 대한 주체적인 감각과 사용을 통한 자아 확장에 대한 욕망이다. 신경숙의 소설에서 인물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시각에 따라 공간을 기획·활용하고 이를 통해 주체성을 경험한다. 특히 집 밖의 빈터는, 공간의 본질적인 의미와 그를 통한 주체성의 발현이 공간을 소유하는 데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점유하고 활용하고 채워가는 과정에서 비롯하는 것임을 드러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집과 빈집은 상반되는 개념이다. 집이 소유와 독점의 욕망을 드러내고 평균화된 사회적 가치관을 반복하는 억압된 곳이라면, 빈집은 단순히 버려진 집이 아니라 주체에게 발각되어 그 빈 공간이 새롭게 인식되고 활용되기를 기다리는, 불확정성의 마당과 같은 공간이다. 코라적 마당 공간을 통해 정체성 확립의 과정을 탐색하는 이 연구는, 신경숙 소설의 여성인물들이 지니는 수동성과 퇴행성이 생산적인 주체 형성에 기여하는 양상을 추적함으로써 그의 소설이 비주체적이고 비관적이라는 부정적 평가를 극복하는 의의가 있다. 또한 마당이라는 세부 공간에 주목한 분석은 신경숙 소설의 공간 연구를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개진하는 가치를 지닌다. In Shin`s novels, the characters` individualities are obtained through the features of the Korean architectural space, the Ma-dang. This study focuses on these space-related individuality recognition in Shin`s novels. The Ma-dang is a border space connecting inner place and outer place. The Ma-dang can have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at psychological or physical things fill it. When it is cleared, the Ma-dang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The Ma-dang is a space that has unfixed features and can have various meanings. The Ma-dang can be categorized as a type of "chora" because the Ma-dang is an empty space that is supposed to be filled with other things and creates new things. Julia Kris Teva focuses on the concept, creating energy among many features of chora and uses chora as the psychological space where each individual`s spiritual characteristics can be plentifully felt. In Shin`s novels, the Ma-dang is a kind of chora space where an individual confronted with a awkward situation can newly see herself or himself in out-of-oneself point of view. Shin`s novels` characters get in the fantastic Ma-dang place when every day life is broken. In the Ma-dang, they meet expelled subconscious minds of their own, heel their wounds and grow up. Although the retrograde flee to subconsciousness looks like to divide and to endanger oneself, the flee is the progress to restore the desire sunken in the subconsciousness and to newly construct oneself. Vacant space in the Ma-dang expands its meaning to the general longing for the emptiness, e.g. imagination of an empty space outside a house or of inside of an empty house. Preoccupied longing for the void space outside a house represents the desire to expand oneself by using and feeling the space individually. Shin`s novels` characters set and use a space according to their own point of view and experience individuality. Especially, a vacant place out of a house shows that intrinsic meaning of a space and manifestation of individuality through space come from occupying, utilizing and filling the space not from just having the space. Therefore an ordinary house is contrary to an empty house. A house reveals desire to have and to monopolize something and is a suppressed place where social normal values are repeatedly executed. In contrast, an empty house is an amorphous place like the Ma-dang and is ready to be detected, newly felt and utilized by an individua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dividuality making process in the Ma-dang. This study shows new viewpoint to overcome the critical estimation that Shin`s novels` female characters don`t have personality, are pessimistic. Analysis on the specified space, the Ma-dang shows more systematic and profound study of the spaces of Shin`s novels.

      • KCI등재후보

        기형도 시의 공간 의식 연구

        한금화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0 No.-

        문학적 상상력에 있어서 공간은 경험과 상징에 의해 새로운 공간으로 인지되며 절실한 가치들의 중심지이다. 그것은 추상적 공간의 성격을 벗어나 정체성을 부여받게 된다. 작품의 내적 공간이 작가의 세계관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작품의 내적 공간을 분석하는 것은 그 작가의 내면세계를 들여다보고 작품을 이해하는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기형도 시의 유년 공간은 부재나 결핍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부재와 결핍은 화자의 존재와 세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재와 결핍의 차가운 유년 공간 ‘집’(방)이 환기하는 이미지는 부정적이다. 공간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도시’ 공간에 대한 부정성으로 연계된다. 이 ‘도시’ 공간은 존재 순환의 법칙이 이루어지지 않는 공간이다. 이는 그 도시 공간이 그 공간에서 실존하고 있는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순환을 억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그는 인식의 전환을 통해 지향 공간인 ‘자연’이 지닌 우주론적 리듬으로의 일치를 향해 새로운 변화를 꾀하게 된다. 부정적 실존 공간인 도시에서는 존재 순환이 부정됨으로 인해 세계와 존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농후했다면, 긍정적 지향 공간인 자연의 순환질서 속에 있을 때에 시적 주체는 긍정적인 존재론적 인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기형도 시에서 주목할 점은 존재 순환성의 충족 여부에 따라 공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In literary imagination, space is perceived as a new one by experiences and symbols and is also the center of urgent values. The inner space of a work has a deep connection with a word view of a writer and to analyze this is an appropriate way for us to look into the inner world of the writer and to understand his works. ‘House’, Ki Hyung-do’s boyhood space in his poems, is expressed as absence or dearth and which seemed to influence a negative recognition of the being of the speaker and the world. Such negative recognition of space is linked with a negativity of ‘urban’ space. This ‘urban’ space, where the law of circulation of existence is neglected, suppresses the ontological circulation of a poetic subject. Therefore, he tried a new change not towards ‘nature’, a space to aim at but for the unity of a cosmological rhythm through the conversion of his recognition. The negative recognition about the world and existence is strongly expressed in that negative city, while the poetic subject has finally reached a positive ontological cognizance when being in nature’s circulatory order, an affirmative space to move toward. From this, what we should take notice of in poems of Ki Hyung-do is that the recognition of space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the existence circularity is fulfilled.

      • KCI등재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과 탈경계적 공간 인식 - 손장순과 김지원의 유학·이민 서사를 중심으로

        임정연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how women perceive spaces as investigating the women’s overseas dwelling experience in the 1970s and the 1980s. The study focused on novels written by Jang-sun Son and Ji-won Kim and analyzed how placeness of these cities, Paris and New York, and residential types such as studying abroad and immigration would get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novel by Jang-sun Son breaks these images of Paris, freedom and generosity, into pieces and re-produces Paris as a city of illusion. Son’s going to Paris to study gave her a chance to enter the inside of Paris and dig into the hidden and deep side of the city. As making use of her being a ‘woman student from South Korea’, not only does she deal with contradictions and repressions of the Korean society but also describes paternalistic violence internalized in the women. The women are considered an in-between with a ‘Parisian’ body but ‘Korean’ thinking, and they do not belong to any of France or South Korea but dispart. Paris is understood as ‘space of drift’ and there, the women realize these differences from the West and fragmentize the core. The background of the novel by Ji-won Kim is New York, and the novel talks about identities and self-awareness of female immigrants. Troubles that the women in Kim’s novel go through are basically caused by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Men are considered selfish and paternalistic while the women dream of stable lives through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 men. The women confirm otherness through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and there, New York, the signifier, becomes a symbol of everyday insignificance. As far as the women understand, New York is ‘space of absence’ filled with silence, deportation, deficiency and loss. 이 논문은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을 통해 여성의 공간 인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손장순과 김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유학과 이민 체험이 파리와 뉴욕의 장소 정체성과 상호 결합하는 방식 및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손장순과 김지원 소설의 여성들은 배타적 남성 공간의 안과 밖, 중심과 주변을 동시에 점유함으로써 경계 너머를 상상하게 만드는 ‘역설적 공간’을 탐색해간다. 이렇게 유학과 이민은 여성의 젠더 정체성을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파리와 뉴욕은 거주와 이주 사이의 경계 공간으로 재표상된다. 손장순은 자유와 관용, 예술과 문학, 낭만과 매혹이라는 프랑스 파리의 장소 표상을 해체한 지점에서 유학 모티프와 ‘유학생 세대’의 초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다. 손장순 소설은 ‘한국인’ ‘여성’ ‘유학생’이라는 세 가지 범주가 중첩되는 지점에서 성과 연애의 문제를 통해 인종, 민족, 젠더 간의 잠재되었던 충돌과 차이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차이’를 또 다른 이주의 동력으로 타진하면서 파리를 탈중심적 ‘표류공간’으로 형상화한다. 김지원 소설에서 여성인물들의 존재 탐색과정은 ‘뉴욕’이라는 장소가 제공하는 삶의 양식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김지원은 남성들과 친밀한 관계 맺기에 실패한 여성들을 통해 뉴욕이라는 기표를 일상적인 무의미의 기호로 환치시킴으로써 뉴욕을 침묵과 추방, 결핍과 상실의 ‘부재 공간’으로 제시한다. 이처럼 모국과 이국, 그 어느 공간에도 정착하지 못하는 여성의 모습은 새로운 이주, 혹은 경계 넘나듦의 삶의 모델로서 유목민적 주체의 탄생을 시사한다. 이렇게 손장순과 김지원은 경계 공간에서 젠더적 삶의 양식을 형상화함으로써 여성이 모든 장소에서 실존적 외부성을 체험하고 탈장소성을 실천하는 존재란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

        숲의 알레고리, 숲의 공간 서사

        윤소영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4 동화와 번역 Vol.47 No.-

        ‘숲’은 아동문학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작용한다. 아동문학은 아동의 성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깊은 성찰을 이루어낸다. 이 지점과 관련된 부분이 바로 ‘숲’이다. 아동이 가족을 떠나 성장 여행을 시작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곳이 ‘숲’이다. 많은 작품에서 숲을 등장시켜 아동의 자아 탐색 공간으로 활용하는데, 숲에서 조우하는 대상 및 그곳에서 벌어지는 많은 사건을 통해 아동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탐색할 수 있다. 특히 숲에서 겪는 어려움은 현실 세계에서 접하는 대상과는 다른 마녀, 늑대 등이 제공하는 것으로 그곳에서 아동은 부모의 도움 없이 오롯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숲의 중요성이 배가된다. 역설적으로는 부모의 통제, 규율을 벗어난 지점에서 아동이 스스로 어려움을 극복해가는 과정을 겪어내면서 진정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숲은 중요한 공간이다. 가족이라는 심정적 안정을 주는 장소를 벗어나 어려움과 도전이 도사라고 있는 자유, 위협의 공간인 숲으로의 여정을 떠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바로 아동의 성장에 큰 밑거름이 되는 것이다. 아동이 ‘숲’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자아 인식, 정체성 탐구 등을 수행하면서 자신에 대한 진정한 성찰을 이루게 된다는 점은 성장을 위한 여정을 떠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특정 대상을 특별한 공간에서 만나면서 그곳에 도사리고 있는 어려움을 극복해가는 과정 자체가 바로 성장이기 때문에 아동문학에서 ‘숲’의 중요성에 대해 천착하는 것은 충분히 의미 있는 작업이다. In children’s literature, a woods functions as a particular space. With various implications, the woods is presented in many works, including the movie “Into the Woods,” which shows narratives related to the woods. The importance of the woods is revealed on a meaningful space for children to leave their family. In particular, children’s crossing to a new space leads to the absence of parents,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child's growth. The importance of the space called ‘woods’ is a key element of this study. The spatiality of a wood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children, the ‘woods’ functions as a space. This is not a place to give comfort and stability, whereas children encounter new objects and is full of dangers and difficulties to overcome in the woods. Most of all, difference between place and space is explored to show each meaning to children’s journey to search for their genuine identities. More specifically, the woods is associated with ‘freedom,’ whereas it can be replaced by danger, witches, fantasy, etc. Therefore, while overcoming various difficulties on that journey, children can get initiation of self-recognition and genuine identities. In this respect, leaving home and going on a journey to the woods functions as a kind of rite of passage for children's mental growth. Also children's self-awareness can become more active through beings related to various events experienced in the woods through solving problems. In conclusion, narratives that take place in a special space called the woods are important thread-like elements that continuously create an allegory about children’s growth.

      • KCI등재

        크리스토프 마르탈러의 연출미학 및 공간전략- <믿음 사랑 소망>에 나타난 무대구현에 주목하여

        이숙경 ( Lee Suk-kyu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8 獨逸文學 Vol.59 No.1

        본고에서는 스위스 태생의 연출가 크리스토프 마르탈러가 연출한 <믿음 사랑 소망>(2012)을 그의 연출미학과 무대구현에 주목해 살펴보고자 한다. 국가, 극장, 장르 불문하고 독일어권 극장에서 전방위로 활동하고 있는 마르탈러는 1993년 이래 베를린 민중극장에서도 간헐적으로 공연하면서 두터운 관객층을 확보하고 있는 연출가이다. 마르탈러의 연출작업에서 눈에 띄는 점은 드라마 텍스트보다는 노래, 말, 낭독에 무게가 실리고, 이례적으로 늘어지며 불협화음을 수반하는 사회적 합창, 의외성을 기반으로 한 반복기법 및 반전기법을 통해 관객의 지각체계를 흔들고 이목을 집중시키는 방식이다. 무대미술가 안나 비브로크와의 공동작업에서는 역사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능동적이고 진취적인 공간이 아니라, 많은 것들이 적체되어 있고 빠져나올 수 없을 것 같은 공간이 소시민사회의 감상성, 희극성, 폭력성과 함께 모습을 드러낸다. 사회적 불의와 권력 메커니즘을 문제 삼는 <믿음 사랑 소망>은 무대 구현의 측면에서 결핍과 부재를 드러내는 상징적 공간, 친밀함과 간극이 공존하는 수행적 공간과 연상 공간, 죽음의 기운이 짙게 드리운 음향 및 소리 공간을 창출하여 전망 없는 현실과 사회적 합창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Bei Marthalers Regiearbeit ist auffallend, dass eher Wert auf Lieder, Worte und Lesen als auf die dramatischen Texte gelegt wird, dass gesellschaftliche Chore mit kontinuierlichen Veranderungen und Dissonanzen haufig gebraucht werden, und dass die Wiederholungstechnik, die auf einer Uberraschung beruht, oft in Erscheinung tritt. All dies bringt das Wahrnehmungssystem des Publikums zum Schwingen und macht dieses durchgehend auf die Inszenierung aufmerksam. Außerdem bringt Marthaler mit der Buhnenbildnerin Anna Viebrock Raume zum Ausdruck, in denen vieles ruckstandig wie verstopft bleibt und man das Gefuhl hat, nicht herauskommen zu konnen. Bei Glaube Liebe Hoffnung werden bezuglich der Buhnengestaltung Raume dargestellt, z.B. ein symbolischer Raum, in dem Mangel und Abwesenheit in Erscheinung treten, ein performativer und assoziativer Raum, wo Intimitat und Distanz bzw. Entfernung koexistieren, sowie ein Raum von Sound und Gerausch, in dem Todesatmosphare herrscht. Diese Raume beziehen sich inhaltlich auf die soziale Ungerechtigkeit und die Machtmechanismen in einer kleinburgerlichen Gesellschaft. Glaube Liebe Hoffnung lasst das Publikum schließlich uber die aussichtslose Wirklichkeit und die Bedeutung der gesellschaftlichen Chore reflektieren.

      • KCI등재

        김소월 시에 나타난 山(산)의 장소체험과 공간의 의미

        노철 ( Cheol Noh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5

        장소체험은 집과 산의 공간적 관련성을 중심으로 유형화 하였다. 세 유형은 집을 중심으로 한 산의 체험, 집과 거리를 둔 산의 체험, 집과 단절된 산의 체험으로 분류 된다. 첫째 유형은 집에 거주하면서 야산을 체험하거나 산보 형태로 산을 오르거나 산 위에서 바다를 바라보는 체험이다. 야산에서 체험은 임의 부재에 대한 설움을 보여주며 산위에서 바다의 조망 체험은 존재의 변화와 자유에 대한 갈망을 보여준다. 둘째 유형 은 산에 거주하는 것이 아니지만 집과 거리를 둔 공간으로서 산의 체험이다. 불붙는 산은 새로운 자아를 찾기 위해 자기를 불태우는 갱신의 공간이자 임과 영웅적 인물의 현재적 부활을 꿈꾸는 공간이며, 떨어져 앉은 산은 들과 대응되는 장소로 문명과 공동 체와 단절된 공간이다. 셋째 유형은 집과 단절된 산의 체험으로 산을 걷거나 넘는 여로의 체험과 산에 갇히거나 산중에 거주하는 체험이다. 산에 갇히거나 산중에 거주하는 체험은 유랑의 피로로 인해 욕망과 꿈을 버리는 좌절의 공간이었으며, 산중에 거주 하는 체험의 시는 절대적 시공간 속에서 생명이 변전하는 허무의 공간이다. 산의 장소체험의 세 유형은 소월의 주체적 전망 모색과 좌절 그리고 새로운 미래의 상황을 보여준다. 하지만 정신적 변모 과정이라고 할 수는 없다. 소월의 시는 짧은 기 간에 동시에 발표된 시들로 소월의 정신적 구도를 보여준다. Spatial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types centering around differences of space. The three typ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experiences of the mountain with his home as the center; experiences of the mountain with some distance from home; experiences of the mountain severed off from home. The first type is experiencing the mountain, taking a walk up to the mountain or viewing the sea from the peak of the mountain as the poet resides at home. Experiences in the mountains show the poet``s grief upon the absence of the lover while the experience of viewing the sea from mountain-top reveals the poet``s thirst for existential change as well as for freedom. The second type is the experience of the mountain cut off from home despite that the poet does not reside in the mountain. Mountain in a flame is a space where the poet burns himself in order to find renewed self.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space where he dreams of the resurrection of his lover and heroic figures. Mountain at a distance becomes a counterpart of plains, place cut off from civilization and community. The third type is experiences of the mountain cut off from home, journeying through the mountain, shut up or residing in the mountain. In this case, mountain is a place of frustration where the poet dismisses his desires and dreams as the result of exhaustion from wanderings. Poems with experiences of residing in the mountain reveals sense of futility in face of changeability of life in absolute time and space. The three types of spatial experiences in the mountain show Sowol``s independent groping for future prospect as well as conditions of future broken new. However we cannot call them process of spiritual changes. Sowol``s poems were publ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reveal the poet``s spiritual composi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