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탄저회를 여재로 활용한 건설현장 발생 탁수의 여과특성에 관한 연구 II. Pilot-test 여과실험

        김진호,주진철,방기웅,강은비,박병욱,최종수,김용혁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3

        실제 건설현장의 탁수 내 부유물질 유출저감용 석탄저회 pilot-test 여과장치를 모사하여 비교적 큰 석탄저회 입경(d≥ 10 mm)을 다층으로 설치하여 pilot-test 여과실험을 실시하였다. pilot-test 여과실험을 통해 석탄저회 여재층의 여과효율은 유입 부유물질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2단 여재층(L≤46.6 cm)까지는 20% 이상의 높은 부유물질 여과효율을나타낸 반면, 3단 이후 여재층(L > 46.6 cm)은 20% 미만의 낮은 부유물질 여과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여과장치의 전단부(2단여재층)에서 부유물질 총 여과량의 70% 이상이 여재 공극을 일부 폐색시키면서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탁도의제거효율은 유입수의 탁도, 여재층의 순서 및 길이와 무관하게 20% 미만의 낮은 여과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입 탁수 내 10 μm 미만의 부유물질 입도는 석탄저회 여재층의 여과를 통해 제거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응집처리 등의화학적 처리가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물질수지분석 결과, 석탄저회 여재의 폐색발생 시기는 510분 내외이며, 부유물질의 평균 여과효율은 67.7%, 탁도의 평균 여과효율은 31.8%로 산출되어 비교적 높은 여과효율을 나타내 건설현장 탁수 내부유물질의 저감에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석탄저회 여재 단위중량(kg) 및 단위면적(m 2 ) 당 석탄저회 여재를 통해여과되는 부유물질량은 석탄저회 여재층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추세식을 활용하여 석탄저회 여재층의 길이에 따라 제거되는 부유물질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물질수지분석과 누적접근법을 통한누적여과량 산출을 통해 건설현장 발생 탁수 내 부유물질 여과용 석탄저회 여재층의 최적 길이는 약 50 cm 내외로 판단된다. The bottom ash pilot-test filtr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duce the discharge of suspended solids from construction sites runoff using relatively large diameter (d≥10 mm) of bottom ash filter media.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bottom ash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input loadings of suspended solids. Whereas the filtration efficiencies of suspended solids were more than 20% up to the second filtration layer (L≤46.6 cm), while the filtration efficiencies of suspended solids were less than 20% after the third filtration layer (L > 46.6 cm). Additionally, more than 70% from total filtered amounts of suspended solids were removed by clogging the pores in the second filtration layer (L≤46.6 cm). On the other hand, the turbidity removal efficiencies were less than 20%, irrespective of the influent turbidity, and the order and length of the bottom ash filtration layer. As a result of the of mass balance analysis, the clogging time of bottom ash filter layer was about 510 minutes, the average filtration efficiency of suspended solids was 67.7%, and the average filtration efficiency of turbidity was calculated at 31.8%, indicating that bottom ash filter layer with relatively enhanced filtration efficiency is effective in reducing suspended solids in the construction sites runoffs.

      • KCI등재

        부유물질이 패류, 어류 및 해조류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에 관한 고찰

        이경선,Lee, Kyoung-Se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1 No.1

        연안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질에 의한 해양생물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용 해양생물(패류, 어류, 해조류 등)에 대한 부유물질의 영향에 관한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1) 부유물질에 의한 해양생물들의 영향에 관한 논문은 주로 패류에 대해서 이루어져 있다. 2) 해양생물에 대한 부유물질의 영향은 주로 급성독성에 대해서 조사가 이루어져 있다. 3)부유물질에 의한 영향 실험은 성패와 치패기의 패류, 난 및 치어기의 어류에 집중되어 있으며, 해조류는 포자를 이용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부유물질에 의한 생물학적 영향은 부유물질의 농도, 노출기간, 생물의 성장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며, 이에 대한 검토는 부유물질의 영향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것이다.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about impact assessment of marine life by suspended solids in coastal waters, the survey about recent study related with suspended solids effects on exploitable marine life (shellfish, fish, seaweed.) was tried. 1) The paper concerning impacts of suspended solids on marine life has been mainly focused on shellfish. 2) Effects of suspended solids on marine life mainly investigated for acute toxicity. 3) Experiments with suspended solids are intended on adult and juvenile in shellfish, egg and juvenile in fish, and spores in seaweed. Biological impacts of suspended solids can vary depending on concentrations, duration, and life stage, and these informations would improve a knowledge of the effects of suspended solids on marine life.

      • KCI등재

        석탄저회를 여재로 활용한 건설현장 발생 탁수의 여과특성에 관한 연구 I. 실내 상향류 여과 컬럼 실험

        강은비(Eun Bi Kang),주진철(Jin Chul Joo),방기웅(Gi Woong Bang),김진호(Jin Ho Kim),박병욱(Byung Uk Park),최종수(Jong Soo Choi),김용혁(Yong Hyok Kim)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2

        비교적 입경이 크고 내외부 공극과 표면적이 잘 발달된 다공성 석탄저회를 건설현장 발생 탁수 내 부유물질의 유출저감에 활용할 수 있는 탁수여재로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석탄저회를 건설현장의 탁수 내 부유물질 유출저감용 여재로 활용 시 부유물질 여과효율은 석탄저회의 입경과 분포, 탁수의 유입선속도 및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입경 3~6 mm의 석탄저회와 입경 10~20 mm의 석탄저회는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이 증대됨에 따라 여과효율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입경 6~10 mm의 석탄저회는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의 변화에도 가장 안정적인 여과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유물질 전체여과효율은 유입부에 위치한 석탄저회의 폐색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석탄저회를 여재로 적용 시 비교적 큰 입경의 석탄저회를 초기에 탁수와 접촉할 수 있는 유입부에 배치하여 여재 폐색을 지연시켜 장기간 여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석탄저회 여재는 다른 여재 대비 높은 여과효율을 나타냈고, 부유물질 유입부하가 증가하여도 안정적인 여과효율을 지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강우 시 부유물질 유입부하량이 단기간에 집중되는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입경의 석탄저회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단기간에 여재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고 높은 부유물질 여과효율을 유지가 가능하며, 여재로 활용 후 건설현장에 지표매립 및 기존 토양과 혼입하여 성토재로 활용이 가능한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여재로 판단된다. The feasibility for usage of porous bottom ash with various diameters and high surface areas as filter media to reduce the discharge of suspended solids (SS) in construction sites was investigated. As a filter media in construction site runoffs,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to reduce the discharge of SS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diameter and the distribution of bottom ash, the linear velocity of turbid water, and the inflow SS loadings. Although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with diameters of 3~6 mm and 10~20 mm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inflow SS loadings increased,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with diameters of 6~10 mm was stable despite of the variations in the inflow SS loadings. Additionally, since the overall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filter media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logging of the inlet in filter media, the bottom ash with greater diameters was installed in the inlet in filter media, and longer life span of filter media was expected. Compared to other filter media,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bottom ash as a filter media was greater and more stable despite of the variations in the inflow SS loadings. Thus, the short-term clogging of bottom ash filter media was protected and greater filtration efficiency of SS can be maintained by efficiently arranging bottom ash of various diameters in construction sites. After the usage of bottom ash as an excellent filter media, the bottom ash can be used as landfill and mixing materials with existing soil at the construction site.

      • KCI우수등재

        해양생물에 대한 부유물질 영향평가 방법 및 임계농도에 대한 고찰

        윤서준,박신영,이창근,김종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2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5 No.2

        Marine sand mining for construction resources increases suspended solids in the marine environment, causing adverse effects on fishery resources. However, criteria for suspended solids in the marine ecosystem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major experimental endpoint and threshold concentration in the biological impact assessment on aquatic organisms for suspended solids. The main experimental taxa were vertebrates (58%), invertebrates (38%), and algae (4%). In terms of experimental endpoints, research on sub-lethal effect was mostly performed (50%), fol-lowed by a lethal (30%) and behavioral response (20%). The oxygen consumption rate in sub-lethal end-point and the feeding rate (pelagic fish) and evasion (demersal fish) in behavioral response were mainly observed in vertebrates (fish). In invertebrates, the lethal study was mainly performed including mortality, reduced population, reproductive rates, egg production rates, and hatchability. Oxygen consumption rate, osmotic pressure, and reduced growth rate were major endpoints in the sub-lethal effect of invertebrates. The reduced population was the only endpoint assessed for algae (phytoplankton). In threshold concentration, copepods were the most sensitive to suspended solids (100–1000 mg L-1) among all taxa, and a relative difference in sensitivity was great by life stage in fish. In addition, differences in impacts between species in the same taxon were great, especially in algae showed a relatively great difference. Overall, in this study, major endpoints, representative experimental species, and threshold concentrations mainly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spended solid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suspended solids. 건설자원으로 사용되는 바다골재의 채취 행위는 해양환경 내 부유물질을 증가시키며 수산자원에 악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바다골재 채취행위로 인해 증가된 부유물질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물질에 대해 수서생물을 이용한 생물영향평가에서 활용되는 주요 종말점(endpoint)과 임계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실험 생물 분류군은 크게 3개의 분류군으로, 척추동물(58%), 무척추동물(38%), 조류(4%) 순으로, 종말점은 아치사반응(50%), 치사(30%), 행동반응(20%) 순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척추동물(어류)에서는 아치사반응 중 산소소비율, 행동반응에서는 먹이섭취율(부어류), 회피반응(저어류)이 주로 관찰되었다. 무척추동물의 치사반응에서는 사망률, 개체군 감소, 번식률, 알 생산율, 부화율, 아치사반응에서는 산소소비율, 삼투압, 성장저해율이 주로 측정되었고, 조류에서는 개체군 감소만 보고되었다. 최소영향농도의 범위로 보았을 때, 전체 분류군 중 요각류가 부유물질에 가장 민감하였고(100–1000 mg L-1), 상대적으로 어류에서 성장단계별 민감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분류군에서 종간 영향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조류에서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부유물질 영향 평가에 주로 사용된 연구 종말점, 대표 시험종, 최소영향농도를 확인하였고, 이는 향후 부유물질 생물영향실험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침엽수 인공림에서 강우사상 시 부유물질의 유출 농도 예측

        남수연(Nam Soo youn),최형태(Choi Hyung Tae),임홍근(Lim Hong geu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5

        본 연구는 경기도 광릉시험림 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자원 유역시험지에 위치한 침엽수 인공림(면적: 2.0 ha)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질의 유출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강우사상 시 부유물질의 유출 농도, 강우량, 유출량, 탁도를 분석하였다. 부유물질의 유출 농도는 초기세척효과로 유출량의 변화에 농도가 반응하기 때문에, 유출량의 증수기 및 감수기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유출량의 증수기 및 감수기에 따른 부유물질의 유출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강우량, 유출량, 탁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부유물질의 유출 농도 예측에 적합한 인자를 결정할 수 있었다. 상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회귀방정식을 산출한 결과, 증수기는 (0.531×강우)+(2.740×유량)+(0.330×탁도)-1.645 (R²=0.874; p<0.01)이고, 감수기는 (-0.022×강우)+(1.275×탁도)-0.148 (R²=0.886; p<0.01)이었다. 탁도와 강우는 증수기와 감수기에서 모두 부유물질의 유출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회귀방적식의 예측도를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부유물질의 유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동채수기 보다는 탁도를 통한 방법을 고려한다면, 좀 더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예측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We examined event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by ISCO automated water samplers in a 2.0ha coniferous plantation forest, Gyeonggi-do, Korea. To estimate event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we used for turbidity data based on rising and falling limbs of the hydrograp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with rainfall, runoff, and turbidity. Based on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statistically as (0.531×Rainfall)+(2.740×Runoff)+(0.330×Turbidity)-1.654 (R²=0.874; p<0.01) for the rising limb and (-0.022×Rainfall)+(1.275×Turbidity)-0.148 (R²=0.886; p<0.01) for the falling limb. Rainfall and turbidity in both rising and falling limb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thus the equations could be elevated for estimating event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Therefore, turbidity method could be recommend better than automated water sample method for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during long-term period.

      • KCI등재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부유물질의 계절적 변동 및 운반양상

        류상옥,김주용,유환수,Ryu, Sang-Ock,Kim, Joo-Young,You, Hoan-Su 한국지구과학회 2000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1 No.2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동계와 하계 동안 부유물질의 변동 및 이동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염분과 조류, 부유물질의 특성이 조사되었다. 무안만에서 부유물질 함량은 계절적으로 크게 변하여 동계에 낮고 수직적으로 균질한 반면, 하계에 높고 수직적으로 성층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하계에는 영산강하구언의 갑문조작에 따라 유입되는 담수와 부유물질이 남쪽을 따라 흐르던 연안류가 약화되면서 북측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유물질의 잔여이동은 서측 만입구에서는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창조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면서 계절에 무관하게 만 내로 유입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남측 만입구에서는 낙조우세와 서측 만입구에서 조석의 비대칭 현상에 의해 만 외부로 유출되는 경향을 보인다. 부유물질의 잔여이동량은 서측 만입구에서 0.0078kg/m ${\cdot}$ sec, 남측 만입구에서 -0.0955kg/m ${\cdot}$ sec로 무안만이 전반적으로 침식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침식현상은 만 내의 조간대를 중심으로 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To understand the variation and transport pattern of suspended matters, salinity, tidal current and suspended matters in semiclosed Muan Bay have been monitored during winter and summer. The suspended matters show considerably seasonal variations with low concentration and homogeneity in the water column during winter season, but with high concentration and layering during summer season. Particularly, during summer season, the freshwater and the suspended matters influxed by the gate operation of the Youngsan River sea-dike are transported northward in accordance with the would flow into the inner-bay by relaxed flood curr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dike and 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But, in the south bay-mouth, those matters outflow through the bay-mouth, resulting from tidal ebb dominance and asymmetry in the west bay-mouth. The residual suspended matter flux is much higher in the south bay-mouth(-0.0955kg/m ${\cdot}$ sec) than that of west bay-mouth(0.0078kg1m ${\cdot}$ sec). Accordingly, The Muan Bay is interpreted as erosion-dominated environments, and the erosion somewhat progresses in the intertidal flat of the bay.

      • KCI등재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한 탁도계 검교정

        조홍연,김백운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5 No.1

        가덕도 인근 연안해역에서 채취된 해저 퇴적물과 연직방향으로 배열된 표사포획장치로부터 획득된 부유물질을 이용하여 탁도계 검교정을 수행하였다. 포획된 부유물질은 모래 함량이 약 6%인 해저 퇴적물에 비하여 주로 실트 및 점토로 조성되었으며, 해저면으로부터의 놀이가 증가함에 따라 세립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저 퇴적물에 대한 탁도계 검교정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는 최소값으로 나타났으며, 수심별로 포획된 부유물질에 의한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는 포획 고도가 증가함(즉, 입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저 퇴적물에 대한 탁도계 검교정 결과로부터 부유물질 농도를 환산할 경우 과대추정의 오차가 발생되며, 본 연구해역의 경우에는 그 오차가 최대 25%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해저 퇴적물보다는 수층에서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하여 보정된 검교정식을 적용하는 것이 부유물질 농도의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Turbidity meter calibrations were conducted using bottom sediment and suspended material collected with a vertical array of sediment traps at the coastal water off Gaduk Island. Compared to the bottom sediment comprising sand fraction of approximately 6%, trapped suspended material was composed entirely of silt and clay fractions and showed a tendency to get finer as elevation from the sea-bed increases. Slope parameter of linear regression due to bottom sediment was of minimum value and values of those due to suspended material increased gradually as the height of sediment trap increases (i.e., sediment size decreases). This result shows that turbidity meter calibration using bottom sediment can cause an overestimation error in the calcul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and that the error can reach up to 25% in case of this stud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use of a corrected calibration curve based on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material instead of bottom sediment may reduce the measurement error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 KCI등재

        부유 및 부착성장 질화균에 미치는 구리 독성의 영향

        김금용(Keum Yong Kim),백주헌(Joo Heon Paek),이상일(Sang Ill Lee) 大韓環境工學會 200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1 No.10

        본 연구에서는 질산화 반응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기존 하수처리장 슬러지를 이용하여 3개월 이상 농축 배양한 후에 부착 및 부유성장 상태로 적응시킨 질화균을 이용하여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목적은 부유 및 부착성장 질화균을 이용하여 이들의 비표면적에 따른 독성물질의 영향을 상호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유 및 부착상태의 농축 질화균의 비표면적을 다르게 하여 각각에 대한 독성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부착성장 질화균 및 부유성장 질화균의 경우 비표면적이 클수록 독성에 대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상태와 탈착상태의 질화균을 사용한 실험에서,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은 탈착상태보다 부착상태에서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는 1.12배, Nitrobacter의 경우에는 1.09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부유성장 질화균을 사용한 경우에는 분쇄 전보다 분쇄 후에 독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 1.46배, Nitrobacter의 경우에 1.35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또한, 기질에 아질산염을 주입하지 않고 실험한 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부착상태와 탈착상태의 질화균을 사용한 실험에서,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은 탈착상태보다 부착상태에서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는 1.83배, Nitrobacter의 경우에는 1.78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부유성장 질화균을 사용한 경우에는 분쇄 전보다 분쇄 후에 독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 1.27배, Nitrobacter의 경우에 1.32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The effect of toxicant on the inhibition of nitrification was investigated, using concentrated nitrifying bacteria of both attached and suspended growth. This nitrifying organism was originally obtained from the activated sludge of sewage treatment plant and cultivat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 growth condition of nitrifying bacteria on toxicity of heavy me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both attached and suspended growth of nitrifying organism was proven to be a major factors in determining the inhibition of nitrification of heavy metal such as Cu++ion. When the condition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was compared in an experiment using attached growth nitrifier, the effect on toxicant was 1.12 times less in attached condition than in detached condition for Nitrosomonas, and 1.09 times less for Nitrobacter. In case of suspended growth nitrifier, the effect on toxicant was 1.46 times less in non-ground condition than in ground condition for Nitrosomonas, and 1.35 times less for Nitrobacter. Also,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a set of experiments, without adding nitrite to the substrate. In an experiment that compared attached condition using attached growth nitrifier with detached condition using attached growth nitrifier, the effect on toxicant was 1.83 times less in attached condition than in detached one for Nitrosomonas, and 1.78 times less for Nitrobacter. In case of suspended growth nitrifier, the effect on toxicant was 1.27 times less in non-ground condition than in ground condition for Nitrosomonas, and 1.32 times less for Nitrobacter.

      • KCI등재

        오염물질 현장측정 및 사례조사를 통한 도로터널 환기기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김효규,백두산,유지오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20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2 No.3

        In this study, a series of site measurement of particulate and gases pollutants at five tunnels were carried out along with case studies to review the suitability of the current road tunnel ventilation design standards. Previous studies by other researchers have shown that the ratios of the level of measurement to the standard were 27.9%, 1.6% and 3.4% for TSP, CO and NOx, respectively. Those measured in this site study shows even lower ratios; the ratios were 2.6%, 0.8% and 0.3%, for TSP, CO and NOx, respectively. The particle size analysis of TSP for the five tunnels shows that PM10 including tire wear and re-suspended road dust exceeded 20.4%. This implies that non-exhaust particulate matter must be taken into account, since the current design standards for the particulate matter (visibility) include only the engine emission. Based on the recent research results, for vehicle emission rate and slope-speed correction factors, revision of ventilation design standards for pollutants is required. WRA (PIARC)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ventilation design standards for pollutants. In addition, enactment of a new road tunnel ventilation system operationstandard or guideline is strongly recommended when considering the low operatingrate of the ventilation system with jet-fans. 본 연구에서는 현행 도로터널의 환기설계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사례조사를 수행하고, 5개 터널을 대상으로 입자상 및 가스상 물질의 농도를 현장측정 하였다. 사례조사 결과는 설계기준 대비 TSP (가시도)는 27.9%, CO는 1.6%,NOx는 3.4%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현장측정 결과는 각각 2.6%, 0.8%, 0.2%의 수준에 불과하였다. 또한 5개 터널에 대한 입자상물질(TSP)의 입경분석 결과, 타이어 마모, 재부유 분진 등의 입자라 할 수 있는 PM10 이상의 입경의 영역은20.4%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도로터널 환기설계 기준으로 제시된 입자상물질은 엔진배출량 외에 비엔진배출량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며, 최근의 연구결과를 통한 제작차 오염물질 배출량 및 경사속도 보정계수 등을 적용하여 대상오염물질에 대한 설계기준의 합리적인 개정이 요구되며 WRA (PIARC)에서도 환기설계 기준의 개정 필요성을 권고하고 있다. 현행 터널 내 낮은 환기설비(제트팬) 가동율을 고려할 경우 향후 터널 내 운영상 관리기준의 신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공업지역의 부유물질 관리를 위한 생태저류지 설계방안

        최보경,이정훈,심현준,이진희,조경화,김상단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5

        In this study, a design method of a bio-retention pond for reducing suspended solids at an industrial area is proposed. After simulating suspended solid loads at a study drainage catchment using SWMM calibrated with the unit load estimation method which is recently sugges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efficiency with respect to the bioretention capacity is quantified. Based on various simulation results, the stormwater captured ratio curve and the average annual fraction of suspended solid loads controlled by a bio-retention pond are derived.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coefficients of the formula for the average annual captured fraction of suspended solid loads, which is missing in the Korean TMDL technical guide, is proposed. 본 연구에서는 공업지역의 부유물질 관리를 위한 생태저류지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단위 추정 방법을 기반으로 검보정 된 SWMM을 이용하여 처리대상구역의 부유물질 배출부하량을 모의한 뒤, 생태저류지의 설계용량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효과를 정량화한다. 다양한 모의결과를 바탕으로 생태저류지 설계용량에 따른 강우유출수 처리비와 부유물질 삭감대상부하비를 유도하며, 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 누락되어있는 부유물질에 대한 삭감대상부하비 매개변수를 추정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