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석사 무량수전 측면 지붕부 결구의구성방식에 관한 재고(再考) : 중국 원대(元代) 이전 목조건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차주환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3

        본 연구는 부석사 무량수전의 측면 지붕부 결구 구조에 관한 연구이다. 부석사 무량수전은 일제시대에 해체 보수한 기록이 있으며, 팔작지붕의 측면 지붕부 결구 구조기법과 추녀, 귀서까래 등의 결합 수법들이 정연한 형태로 결구되지 않고, 조선시대 팔작지붕의 측면지붕부 결구구조와 이질적인 요소가 많아 원형이 아닌 것으로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그 편년에 대해 다양한 의견(13세기, 12세기 건축)들이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어 왔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목조건축 구조틀이라는 관점에 근거하여, 중국 당·송대 팔작지붕에서 부석사 무량수전과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 기법과 유사한 건축을 대상으로 평면비 및 어칸과 퇴칸의 비례를 상호 비교하여 살펴 본 결과 부석사 무량수전의 측면 지붕부결구구조는 팔작지붕에서도 볼 수 있는 기법으로 판단하였다. 부석사 무량수전처럼 측면 서까래가 내부 보(梁)에 직접 접하는 기법은중국 당·송대 팔작지붕 건축에서도 흔하게 볼 수 없는 수법으로, 중국의 팔작지붕은 당대(唐代) 이후에 산화(山花, 합각) 양가(梁架)를구성하여 팔작지붕의 측면을 구성하는 기법이 발달되어, 명청대 이전까지 크게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귀서까래의 발달과정중 평행서까래에서 말굽서까래로 전환되기 이전 방식인 평행복사연(平行輻射椽)이 현재 부석사 무량수전의 귀서까래 방식과 유사한것으로 보인다. 다만, 추녀의 중간부분부터 귀서까래가 걸치지 않는 부석사 무량수전의 방식은 중국에서도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은방식으로 부석사 무량수전의 특성으로 보인다. 이런 기법들을 살펴본 결과 부석사 무량수전의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는 중국 남방지역에서는 볼 수 없으며, 북방 지역의 당·송대(唐·宋代) 및 요대(遼代) 시기에 볼 수 있는 기법으로, 건축물의 편년시기와 평면에서 어칸과퇴칸의 비례 관계를 고려해볼 때 동아시아 북방지역에서 볼 수 있는 고식(古式)의 구조 기법으로 판단된다. 부석사 무량수전의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가 변형된 것이 아니고, 팔작지붕 고유의 방식일 가능성이 있는 만큼 향후 부석사 무량수전의 평면과 어칸 및 퇴칸의 비례,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이전 폐사지 중 팔작지붕으로 추정되는 건물의 측면지붕부 결구구조에 대해 복원 설계에 좋은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side framework structure of the hipped and gable roof of Muryangsujeon at Buseoksa Temple. There is a record that Muryangsujeon was deconstructed and repaired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ncy, and its authenticity has continuously been called into question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hipped and gable side roofs, and the bonding of the rafters and eaves were not in good order and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Joseon Dynasty. Scholars date it differently. It is either dated at 13th century or 12th century. This study compares the non-planar configuration of the middle and front proportions of Muryangsujeon’s hipped-and-gable-roof framework with those of the Tang(唐) and Song(宋) Dynasties in China. It concludes that the hipped-and-gable-roof framework of those architecture were built with the same technique. The style of architecture that side rafters directly touch the internal security (梁), like in Muryangsujeon, is not usual even among the hipped and garble roofs of the Tang(唐) and Song(宋) Dynasties. The technique of constructing the hipped roofs developed much further after the Tang Dynasty because they began to use garble eaves to build the side structure. The technique seems to have developed greatly by the period of Ming and Qing Dynasties. It also seems that the parallel-flat (平行輻射椽) rafter, which is the form of rafters used between the parallelrafter period and the half-flat-rafter period is very similar to the construction style of the current rafters of Muryangsujeon. However, the Muryangsujeon’s eaves do not touch the corner rafter from the middle part. This seems to be a unique style, which is not common in China. In conclusion, the style of the side roof framework of Muryangsujeon at Buseoksa Temple is not of the China’s southern regions, but of the northern regions of Tang(唐), Song(宋) and Liao(遼) Dynasties. And when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year and proportions of the middle front and side front on the same flat, this must be an ancient technique of the northeastern regions of Asia. Since it is likely that the structure of the side roof framework of Muryangsujeon at Buseoksa Temple has not been altered but is a unique style of hipped and gable roofs, this roof can serve as a good guide to restoring the hipped and garble roofs of the pre-Goyreo Dynasty period.

      • KCI등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의 성격에 대한 고찰

        김태형 ( Tae Hyung Kim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5 文物硏究 Vol.- No.28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은 국내 최고의 목조건축물로 널리알려져 왔지만 종교건축물로서의 성격에 대해서는 부석사 경내 중심 전각인 금당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무량수전의 내부에 봉안된 무량수불의 위치나 참배객의 진입 동선 등이 여타의 사찰과는 매우 다른 양식을 보이고 있다. 무량수전은 남향의 건물로 통상 금당에 해당하는 대웅전의 경우 그 정면에 불상이 봉안되는 게 관례였다. 그렇지만 부석사 무량수전의 경우 정면이 아닌 서쪽에 불상이 독존으로 봉안되었고 그 주위에 협시보살 혹은 다른 불상이 함께 봉안되어 있지 않은 것도 매우특징이다. 이러한 건물의 특징은 다른 사찰의 금당에서 볼 수 없는 사례로 필자는 경내에서 수습된 ‘강당’명 명문와를 근거로 무량수전 관련 문헌과 강당 관련 금석문을 비롯하여 여러 사료들을 검토, 재해석 한 결과 부석사 무량수전이 금당이 아닌강당임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현재의 부석사 사역이 남북 축선상으로만 존재해 있던 것이 아니라 동서로 분포하고 있음을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부석사의 창건기가람의 규모에 대해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것과는 달리 대석단을 비롯한 여러전각과 시설들이 676년경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8세기 초 혹은 중반 이전에는 대가람의 면모를 갖추었을 것으로 보았다. 부석사와 관련된 연구는 그동안 중심사역에 해당하는 무량수전을 축으로 하는 공간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필자의 조사 결과 부석사는 남북의 축선으로 이어지는 중심사역 외에 동서로 이어지는 암자구역과 별원구역으로 존재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북유형문화재 제127호 부석사 원융국사비를 통해 무량수전 내 불상봉안 방식이 지엄-의상으로 이어진 화엄일승사상의 구체적 산물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가람배치에 대해 11세기 당시에도 많은 문제제기와 함께 불교 교리적논쟁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고, 결국 금당에 해당하는 전각의 필요성에 따라 보물 제220호 영주 북지리 석불좌상들이 있었던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방동 절터에 별도의 금당을 조성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부석사 무량수전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서산 보원사지의 보물 제106호 ‘법인국사탑비’와 엔닌(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 등의 기록을 통해 강당 성격의 무량수전에서 행해졌던 법회의식의 한 단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무량수전이 교학을 강설하는 장소라기보다는 염불과 예경의식 등을 설행하는 실천 수행의 장으로 활용되었음을 추정하였다.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Yeongju, which is National Treasure #18, has been widely known as Korea``s best wooden structure, but considered a Buddha Hall inside Buseoksa Temple in terms of its character as a religious structure. However, the position of Amitabha enshrined inside Muryangsujeon (無量壽殿:Amitabha hall) or the traffic of worshippers are ver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temples. Muryangsujeon is facing south and in case of Daewoongjeon, which is usually the Buddha Hall, the Buddhist statue was generally enshrined at the front. In case of Muryangsujeon of Buseoksa Temple, the Buddhist statue is enshrined to the west without any bodhisattvas or other statues, making it very unusual.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are not found in other Buddha Halls of other temples. Therefore, I have focused on the tiles engraved with ``Lecture hall`` and compared them with the related literature and engravings related to lecture halls to review and reinterpret various historical resources. As a result, I have come to argue that Muryangsujeon of Buseoksa Temple is a lecture hall, not a Buddha Hall. Along with this, it has been verified through a field study that the current boundary of Buseoksa was not just on a longitudinal axis, but also on a latitudinal axis. Unlike what has been suggested in regards to the scale of Buseoksa at the foundation, it seems that most of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such as ‘Massive stone walls’ were built from around 676 to complete the view of a Big Temple before the early or mid 8th Century. Any studies related to Buseoksa Temple were concentrated on the spaces around Muryangsujeon, which is the central structure. As a result of my study,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Buseoksa Temple has an hermitage zone and a another temple zone that lead from east to west in addition to the central zone on the longitudinal axis. In particular, based on the Stele for State Receptor Oneyung(圓 融::964~1053) in Buseoksa Temple, which is Gyeongbuk Intangible Cultural Asset #127, it was emphasized that the enshrinement of Buddhist statues in Muryangsujeon is a specific product of Huayan Yana(華嚴一 乘) succeeded from Chi Yan (602-668) to Uisang (625-702). It was assumed that there were many problems raised and debates in regards to the layout of the temple back in the 11th Century. As a Buddha Hall was needed a separate hall could have been built at the temple site in Bang-dong Bukji-ri Buseok-myeon Yeongju-si with the stone seated Buddhs of Bukji-ri Yeongju-si, which is Treasure #220. In regards to the functions of Muryangsujeon of Buseoksa Temple, the records of Stele for State Receptor Beopin(法印:900~975) of Bowonsa Temple Site, Seosan, which is Treasure #106 and Ennin``s ..Ennin and the Tang Patrol.. showed an aspect a Buddhist ritual that was performed at Muryangsujeon, which was a lecture hall. Therefore, it has been assumed that Muryangsujeon is not a place for lectures, but a place for practical training including Buddhist prayers and worshipping rituals.

      • KCI등재

        부석사 창건과 무량수전에 구성된 사회적 이념

        문정필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1

        본 연구는 부석사 창건 설화에 얽힌 용 설화의 의미, 풍수지리설로 영향을 받은 전각 터의 의미, 화엄과 정토사상의 의미로 구성된 무량수전의 배치를 통해 통일신라의 사회적 이념체계의 가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용신사상의 사실적 차원, 풍수지리사상의 사회적 차원, 정토사상의 시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창건설화를 해체하여 부석사에 내재한 무량수전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며 사회적 이념으로 구성된 내용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세 가지 이념체계는 사회적 환경으로 구성되어 무량수전의 배치에서 다음과 같은 가치를 지닌다. 첫째, 부석사 창건에 나타난 선묘용 설화는 용신신앙에 불교가 들어와 자리를 잡으면서 습합되었다. 선묘용은 민간신앙의 용이 승천 조건과 불교의 공덕으로 융합되어 불교 설화로 인식된다. 이러한 사실적 차원은 민간설화에서 불교설화로 전이, 이동된 이념적 체계의 가치를 가진다. 둘째,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하는 부석사 무량수전은 명당에 안착되어 있다. 무량수전은 자생적 풍수지리사상과 불교풍수가 결합된 배치를 이루고 있다. 이는 고대에 사찰의 터를 선정하는 방법과 불 교리가 자리를 잡으면서 그 시대 사회와 소통을 이루는 이념적 체계의 가치를 가진다. 셋째, 부석사 무량수전은 극락의 불국토를 배경으로 하여 이상적 가람을 상징한다. 현실 세계의 무량수전은 극락정토의 이상향을 지향하는 화엄종과 풍수지리사상의 혈처가 결합된 자리이다. 이러한 현재는 미래의 극락을 지향하고 과거의 전통신앙을 기억하는 시간의 이념적 체계의 가치를 가진다. 따라서 용신사상의 사실적 차원, 풍수지리사상의 사회적 차원, 정토사상의 시간적 차원이 가지는 의미는 상징화된 무량수전에 구성된 이념적 체계이다. 부석사의 위치와 무량수전의 배치는 창건설화와 관련된 용신신앙, 불교신앙에서 용의 의미, 자생적 풍수지리사상, 불교풍수, 장엄한 극락정토의 이상, 민간신앙 등이 구현되어 있다. 이는 통일신라 문무왕조 시대가 요구하는 사회적 이념을 드러내고, 이들이 체계를 이루고 무량수전에 구성되어 나타나 있다.

      • KCI등재

        항마촉지인 불상의 신라 등장시기와 배경 -부석사 무량수전 소조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정성권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9

        부석사는 의상이 문무왕의 명을 받아 676년 2월에 소백산 남쪽에 창건한 사찰이다. 본문에서는 소조여래좌상의 불단 아래에 깔린 녹유전과 불상 하단의 와적기단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부석사 무량수전 소조여래좌상은 창건기의 원형이 남아 있는 불상임을 논의하였다. 부석사 창건배경에 대해서는 나당전쟁이 격렬하게 지속되는 676년 2월의 시대적 배경을 주목하였다. 당시 시대적 상황의 분석을 통해 의상이 왕명을 받고 부석사를 창건한 것은 나당전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논하였다. 부석사가 소백산맥 남쪽에 조성된 이유는 부석사 북쪽 소백산맥 넘어 분포해 있는 고대 산성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더불어 부석사와 멀지 않은 곳에 있었던 봉화 북지리 지림사가 부석사의 위치 선정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지림사가 삼국시대 이미 다양한 석불이 조성되고 화랑의 순례지역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다. 당나라와의 치열한 전쟁기간 중에 창건된 부석사는 주변 지역 백성들을 위무하고 소백산맥 북쪽에 분포한 다수의 고대 산성들과 후방의 왕경을 원활하게 연계하는 일종의 후방 배후기지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더불어 불력에 기대어 당나라 군대를 몰아내고자 하는 종교적 열망 역시 반영되었다.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은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 아미타불로 조성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아미타불이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는 이유는 당나라 군대를 불력에 기대어 제압해야 할 항마의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부석사 무량수전 소조여래좌상은 우리나라 최초의 항마촉지인 불상이라 할 수 있으며 석굴암 본존불을 비롯한 촉지인계 불상의 한반도 등장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불상이다. Buseoksa Temple is a temple built by Uisang on the south side of Sobaeksan Mountain in February 676 under the order of King Munmu.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foundation made of green bricks and roof tiles under the Buddha statue. Through this, it was discussed that the Buddha statue in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is a Buddha statue that still retains its original appearance from the time of its founding. Regarding the background of the founding of Buseoksa Temple, attention was paid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February 676, when the Silla-Tang War was raging. Through analysi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 the fact that monk Uisang received the royal order and founded Buseoksa Temple is directly related to the Silla-Tang War. The reason why Buseoksa Temple was built south of the Sobaek Mountains is related to the ancient fortresses distributed across the Sobaek Mountains to the north of Buseoksa Temple. Buseoksa Temple, founded during the fierce war with the Tang Dynasty, played a role in comforting the people of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it also played a role in smoothly connecting the numerous ancient mountain fortresses distributed to the north of the Sobaek Mountain Range with the royal border behind it. The construction of Buseoksa Temple also had a religious purpose: to drive out the Tang army through the power of Buddha. The reason why the Buddha statue at Buseoksa Temple is shaped like a hand to ward off evil is because the Tang Dynasty was seen as an object that needed to be subdued. The Buseoksa Temple Muryangsujeon Buddha is Korea's first Buddha statue with a hand shape said to ward off evil. The Buseoksa Temple Buddha statue is a monumental Buddha statue that announced the emergence of the main Buddha in Seokguram Grotto.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소조불좌상과 신라 화엄종 도상의 전파

        이주민(Lee, Ju-min)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9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에는 크기가 2.75m에 달하는 대형 소조여래좌상이(국보 제 45호)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은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조각임에도 불구하고 조성시기와 도상에 대한 논의가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은 고려시대에 많은 수리를 거치면서도 부석사가 창건된 7세기 불상의 원형을 나름대로 유지하여 왔다고 생각되는데, 이것은 불단 아래에 고식의 방형 와적대좌가 남아있는 점이나 王京의 성전사원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녹유전이 무량수전에서도 발견된 점 등에서 어느 정도 유추가 가능하다. 아울러 최근 x-ray 조사를 통해 불두가 목 부분에서 접합된 것이 확인된 사실도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해 준다. 의상에 의해 조성된 부석사 소조불좌상은 아미타불이지만 항마촉지인의 과도기적 모습인 "초기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석사 소조불좌상이 의상 창건당시의 도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면 우견편단을 한 항마촉지인의 가장 이른 예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의 항마촉지인 불상의 도상은 우견편단으로 착의한 대의 끝단을 넓은 띠처럼 표현한 ‘석굴암계’와 같은 우견편단의 착의형식이지만 대의 끝단이 밖으로 접혀지거나 여러 개의 주름으로 표현되는 ‘부석사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두 유형이 통일신라는 물론 나말려초까지 불좌상 조성에 있어 중요한 範本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석사 소조불좌상의 영향은 8세기 중엽에 조성된 갈항사지 석불좌상을 포함하여, 포천 철불좌상, 원주 출토 철불좌상들, 화엄십찰 중 하나인 서산 보원사지 철불좌상(949년경)등 나말여초기의 중부지역 소재 불상들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북지역 일대에서 대의 깃이 밖으로 접히거나 주름이 진 우견편단의 착의형식에 ‘초기 항마촉지인’을 결한 상들이 많이 확인되는 것 역시 부석사 소조불좌상의 영향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부석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좌향에 관한 연구

        박정해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본 연구는 부석사 입지와 축선이 꺾인 모습 속에 나타난 풍수적 특징 을 밝혀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석사는 우리 전통건축이 가지는 특 징 중에서도 입지환경에 따라 건축물 배치의 축이 다른 모습으로 나타 나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찰이다. 부석사의 주산과 안산은 아름다운 형상으로 서로 잘 어우러지는 모습 이다. 또한 핵심적인 의미를 가지고 사찰의 지향점과 특징적인 의미를 가진 혈처에 자리한 무량수전은 가장 건축적 특징을 간직한 모습이다. 부석사의 좌향은 호순신의 지리신법과 부합하지 않는 모습으로, 마치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모습과 닮아 있어 봉황포란형이라 할만하다. 이 와 같이 부석사는 다양한 지형조건을 반영하여 자연과 하나 되는 공간 구성을 이루어냈다. 특히 중요건축물을 혈처에 배치하고 자연지형에 순 응토록 축선에 변화를 실천하는 모습 속에는 당시의 시대상과 경제적 특징까지를 반영하는 모습이다. 더 나아가 입지가 갖는 특징을 실천하 는데 있어 풍수는 가장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the axis of Muryangsu-jeon(無量壽殿) which is deflected from main axis of Buseoksa Temple(浮石寺) is traced with the view of Feng shui features. Buseoksa Temple is a typical one that supports the possibility of setting different building axis based on its location environment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front and backward mountains, so called Ju-san and Ahn-san in Feng shui have gorgeous shape and coordination with each other. And Murangsu-jeon is located on the most accurate acupuncture point of backward mountain chain, which was implicitly pursued as ideal temple location. The aspect of Buseoksa is not applied to the principle,Jirishinbeop (地理新法) written by Ho Sun-shin. But the entire shape of mountain chain is, so to speak, Bong-hwang-po-rahn(鳳 凰抱卵) which means that the oriental phoenix incubates egg. According to topography environment, Buseoksa Temple is located on the acupuncture point of ground and positively applied to a curved axis. So, by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 conditions, Buseoksa Temple was planned to coordinate with nature, and Feng shu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select location, to set aspect and to organize architectural space.

      • KCI등재후보

        부석사(浮石寺) 무량수전(無量壽殿)의 비례 조형미

        이승우 ( Seung W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In 676, Buseok Temple(浮石寺) was built by Oesang(義湘). The Muryang sujeon(無量壽殿) of this temple, that is the oldest wooden construction that exists in Korea, has beautiful symmetry with ration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positional proportion of Muryangsujeon through theory of western proportion. Especially, it"s focused on the golden ratio, root-rectangular and dynamic symmetry of Hambi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ground floor plan included the stylobate represented by root-two rectangular, but inside plan has divine proportion of golden ratio. But, the nave part of this temple rendered the dynamic symmetry of root-five rectangulars for emphasizing perspective space. Second, the horizontal form of front elevation included the stylobate has 1:2(Octave) proportion, and the nave part represented 1:1(Union) proportion stably. Simultaneously, the nave part except the stylobate has dynamic symmetry of root-five rectangulars. Third, in section, the column interval of nave and the height of beneath crossbeam(대들보) is the same distance. So it has 1:1 proportion, The height of nave and aisle represented to dynamic symmetry by root-three rectangles 의상에 의해 창건된 부석사에는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 중의 하나인 무량수전이 있다. 이 무량수전은 부재의 간결미와 함께 아름다운 비례와 조화를 가진 건축물이다. 본 연구는 이 아름다운 미의 원천인 무량수전의 비례를 서양의 비례이론을 통해서 탐구하였다. 특히 무량수전의 실측도면을 통해서 신성한 황금비와 루트 구형 그리고 함비지의 동적 균제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상과 같이 부석사 무량수전의 평면과 입단면을 비례에 투영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단을 포함한 전체 바닥의 평면 비례는 루트2 구형으로 조영되었으며, 내부 평면은 칸수도 3:5의 황금비일 뿐만 아니라, 기하학적 작도에서도 신성한 황금비로 구성되어 있다. 칸의 구획을 위한 내부의 기둥도 황금비의 규준선에 의해서 배열되어 있다. 반면에 내진부분은 루트 5의 구형으로 동적 균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동적 균제는 행태축의 변환과 함께 공간 분할 양상에서도 나타난다. 둘째, 기단을 포함한 전체 정면도는 1:2(Octave) 비례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에, 외진 부분을 제외한 내진 부분은 1:1의 안정적인 비례를 갖고 있다. 셋째, 종단면상에서는 중앙부 고주의 간격이 주심도리와 대들보 하단까지의 높이와 일치하는 1:1비례로 결구되었으며, 단면 하단부는 1:3의 비례로 균제되어 있다. 내진부분의 높이와 함께 외진 부분도 기둥 간격을 기준으로 보면 루트3의 비례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종단면의 높이는 동적 균제가 지배하고 있다.

      • KCI등재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에 관한 고찰

        오세덕(Oh, Se-deok)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8

        Buseoks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in Hwaeom study of Korea known to be established by Uisang. It is one of the important temples in understanding the Korean Buddhist building construction history.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foundation by Uisang,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tinuation of more than 1,000 years. But, it keeps main foundational lines relatively well.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temple alignment of Buseoksa based on extensive research results. In chapterⅡ,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location selection in the initial period of foundation with its social background. As a result, this study conjectured that the perspective of location of Jisangsa temple of China, where the founder Uisang inherited Hwaeom study during his overseas study period in Tangit, influenced the foundation of Buseoksa building. And it is probable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 temple was a mountain temple like Namseonsa and Jisangsa of China rather than a large scale temple as in the present. ChapterⅢ reviewed the change of temple alignment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period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unding period with remains like Muryangsujeon bottom stylobate, stone light, stone pagoda, surface stone subsidiary material of stylobate, Dangganjiju and large stone stylobate. In particular, while the existing studies on Muryangsujeon bottom stylobate style, this study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it would be found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which is later than the existing argument. And, this study also conjectured that the initial foundation of large stone stylobate, the greatest features of Buseoksa would be early Goryeo like Geodonsa temple site, which is later than the existing view. ChapterⅣ reviewed the changes of temple alignment of Buseoksa in Joseon based on more practical literary documents and resources like various Gimun, Hyeonpan and Buseoksa Drawing by Gyeomjae Jeong Seon. 부석사는 한국의 화엄학을 대표하는 사찰로 의상법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불교건축사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찰 중 하나이다. 특히 의상의 초창 이후 1000년 이상의 법등을 이어오는 과정에서 수많은 변화가 발생하였지만 비교적 온전히 가람의 주축선을 유지하고 있는 사찰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 동안의 많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부석사의 가람배치 변화상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부석사의 초창시기 가람의 입지선정 과정과 사회적인 배경을 검토해 본 결과 창건주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통해 화엄교학을 전수 받은 중국의 지상사 입지관이 어느 정도 투영된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또한 현재 같은 대규모의 사찰이 아닌 중국의 남선사와 지상사 같은 산지가람의 사찰로 초창되었을 가능성을 높았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부석사에 남아 있는 무량수전 하부 기단, 초석, 석등, 석탑, 가구식기단의 면석부재, 당간지주, 대석단 등의 석조유물 시기성 제고를 통해 통일신라~고려시대까지 가람배치 변화상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무량수전 하부 기단형식이 기존의 연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 제작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본고에서는 기존의 견해보다 늦은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부석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대석단의 초창시기도 기존의 견해보다 고려초기 원융국사의 중창 때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조선후기 부석사도와 순흥읍지, 선비의 일기 등을 통해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를 살펴본 결과 19세기까지 통일신라시대 완성된 가람의 주축선에 큰 변화없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시대적인 경향을 반영한 많은 부속전각이 세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부석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좌향에 관한 연구

        박정해 ( Jeong Hae Park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0 No.-

        본 연구는 부석사 입지와 축선이 꺾인 모습 속에 나타난 풍수적 특징을 밝혀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석사는 우리 전통건축이 가지는 특징 중에서도 입지환경에 따라 건축물 배치의 축이 다른 모습으로 나타 나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찰이다. 부석사의 주산과 안산은 아름다운 형상으로 서로 잘 어우러지는 모습이다. 또한 핵심적인 의미를 가지고 사찰의 지향점과 특징적인 의미를 가진 혈처에 자리한 무량수전은 가장 건축적 특징을 간직한 모습이다. 부석사의 좌향은 호순신의 지리신법과 부합하지 않는 모습으로, 마치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모습과 닮아 있어 봉황포란형이라 할만하다. 이와 같이 부석사는 다양한 지형조건을 반영하여 자연과 하나 되는 공간구성을 이루어냈다. 특히 중요건축물을 혈처에 배치하고 자연지형에 순응토록 축선에 변화를 실천하는 모습 속에는 당시의 시대상과 경제적 특징까지를 반영하는 모습이다. 더 나아가 입지가 갖는 특징을 실천하는데 있어 풍수는 가장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the axis of Muryangsu-jeon(無量壽殿) which is deflected from main axis of Buseoksa Temple(浮石寺) is traced with the view of Feng shui features. Buseoksa Temple is a typical one that supports the possibility of setting different building axis based on its location environment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front and backward mountains, so called Ju-san and Ahn-san in Feng shui have gorgeous shape and coordination with each other. And Murangsu-jeon is located on the most accurate acupuncture point of backward mountain chain, which was implicitly pursued as ideal temple location. The aspect of Buseoksa is not applied to the principle,『Jirishinbeop(地理新法)』written by Ho Sun-shin. But the entire shape of mountain chain is, so to speak, Bong-hwang-po-rahn(鳳凰抱卵) which means that the oriental phoenix incubates egg. According to topography environment, Buseoksa Temple is located on the acupuncture point of ground and positively applied to a curved axis. So, by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 conditions, Buseoksa Temple was planned to coordinate with nature, and Feng shu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select location, to set aspect and to organize architectural space.

      • KCI등재

        부석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좌향에 관한 연구

        박정해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0 No.-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the axis of Muryangsu-jeon(無量壽殿) which is deflected from main axis of Buseoksa Temple(浮石寺) is traced with the view of Feng shui features. Buseoksa Temple is a typical one that supports the possibility of setting different building axis based on its location environment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front and backward mountains, so called Ju-san and Ahn-san in Feng shui have gorgeous shape and coordination with each other. And Murangsu-jeon is located on the most accurate acupuncture point of backward mountain chain, which was implicitly pursued as ideal temple location. The aspect of Buseoksa is not applied to the principle,『Jirishinbeop (地理新法)』 written by Ho Sun-shin. But the entire shape of mountain chain is, so to speak, Bong-hwang-po-rahn(鳳凰抱卵) which means that the oriental phoenix incubates egg. According to topography environment, Buseoksa Temple is located on the acupuncture point of ground and positively applied to a curved axis. So, by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 conditions, Buseoksa Temple was planned to coordinate with nature, and Feng shu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select location, to set aspect and to organize architectural space. 본 연구는 부석사 입지와 축선이 꺾인 모습 속에 나타난 풍수적 특징을 밝혀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석사는 우리 전통건축이 가지는 특징 중에서도 입지환경에 따라 건축물 배치의 축이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찰이다. 부석사의 주산과 안산은 아름다운 형상으로 서로 잘 어우러지는 모습이다. 또한 핵심적인 의미를 가지고 사찰의 지향점과 특징적인 의미를 가진 혈처에 자리한 무량수전은 가장 건축적 특징을 간직한 모습이다. 부석사의 좌향은 호순신의 지리신법과 부합하지 않는 모습으로, 마치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모습과 닮아 있어 봉황포란형이라 할만하다. 이와 같이 부석사는 다양한 지형조건을 반영하여 자연과 하나 되는 공간구성을 이루어냈다. 특히 중요건축물을 혈처에 배치하고 자연지형에 순응토록 축선에 변화를 실천하는 모습 속에는 당시의 시대상과 경제적 특징까지를 반영하는 모습이다. 더 나아가 입지가 갖는 특징을 실천하는데 있어 풍수는 가장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