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랑호흡"을 통한 부부 영적 친밀감 증진

        김기철 한국목회상담학회 2021 목회와 상담 Vol.36 No.-

        Although spiritual intimacy in a marital relationship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asks to be sought, the church has neither paid full attention to enhancing it nor offered effective education in spiritual intimacy to married couples. A marital relationship in God’s plan is an excellent tool for the married couple in which spiritual intimacy and spiritual growth can be achieved. However, many Christian couples have unintentionally ignored their spiritual intimacy, considering it as an abstract ideal while paying more attention to emotional and physical intimacy, which seems relatively realistic and attainable. Not only the church but also theorists and practitioners of pastoral counseling need to reflect on their own attitudes toward spiritual intimacy in marital relationships and should be able to develop and offer helpful spiritual education programs for marital and premarital couples. In this article I will focus on seeking the meaning, necessity, and ultimate goal of spiritual intimacy in marriage. Using pastoral theology, I will illuminate couples’ spiritual intimacy in order to offer a new direction in designing spiritual education programs for spiritual intimacy. First, I will argue that the previous theoretical way of understanding can be more concrete and practical. In order to activate spiritual respiration at the practical level, first, we need to call it love respiration, which is attainable. Second, in order to activate it, the attitude of being powerless and hopeless as Christian couples in enhancing spiritual intimacy needs to be changed into being willing and positive. Third, spiritual companionship in marital relations can be helpful in enhancing spiritual intimacy through exercises of spiritual discernment and reflection. Last, imaging God is the ultimate goal of spiritual intimacy, and it will take place more actively in the triadic relationship of husband, wife, and God. In imaging God, the couple can understand themselves more clearly and continue to understand God more clearly. 부부 영적 친밀감은 신앙인 부부가 영적 발달과정에서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부부 영적 친밀감 증진이라는 주제에 큰 관심을 기울여오지 못했고 결혼한 회중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부부관계는 결혼한 성인들이 영적 친밀감과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훌륭한 환경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신앙인 커플들은 성숙한 신앙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필요한 영적 친밀감 증진을 주된 신앙훈련 과제로 여기지 않는 듯하다. 신앙인 커플들은 의도치 않게 영적 친밀감을 소홀히 여겨왔고, 부부 영적 친밀감 형성을 추상적이고 이상적인 것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면서, 부부의 정서적, 육체적 친밀감 형성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부부 목회돌봄의 상황 속에서 기존의 영적 친밀감으로서의 사랑경험을 재고찰하고 재해석하여 새로운 방향과 실천적 지침을 제시하기 위해 부부 영적 친밀감에 대해 목회신학적으로 성찰할 것이다. 이를 위해 테오도어 러년(Theodore Runyon)의 영적 호흡에 대한 재해석과 폴 스티븐스(Paul Stevens)의 부부의 영적 관계 이해를 주된 문헌으로 사용할 것이다. 영적 친밀감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통해 부부 영적 친밀감의 의미와 필요성, 궁극적인 목표, 영적 친밀감 증진을 위한 실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끝으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부부 영적 친밀감 증진을 위한 영적 훈련으로 ‘사랑 발견하기’와 ‘사랑 호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영적 훈련과 영적 동반의 경험 속에서 부부 영적 친밀감이 증진되고 부부의 개인적인 관계가 하나님과의 관계로 발전되며 부부는 더 온전한 친밀감을 이루어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혼기 부부의 분리-개별화와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문화적 자기관의 매개효과

        류단비,하정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strual on the separation-individuation and marital intimacy of newlywed couples. Data were obtained from 370 newlyweds. The statistical analyse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dividuation and symbiosis, the subfactors of separation-individuation, bot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rital intimacy. Second, individu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hereas symbiosis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ird, only independent self-construal influenced marital intimacy significantly. Fourth, individuation influenced marital intimac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Symbiosis only had a direct influence on marital intimacy, and no 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iosis and marital intimacy. 본 연구는 신혼기 부부의 분리-개별화와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문화적 자기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결혼한 지 5년 이내의 자녀가 없는 기혼남녀 370명을 대상으로 분리-개별화 척도, 부부친밀감 척도, 문화적 자기관 척도 설문지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분리-개별화의 하위변인인 개별화는 부부친밀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공생은 부부친밀감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다. 둘째, 분리-개별화의 하위변인인 개별화는 독립적 자기관, 상호의존적 자기관에 모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고 공생은 상호의존적 자기관에만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독립적 자기관은 부부친밀감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상호의존적 자기관은 부부친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분리-개별화의 하위변인인 개별화가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개별화가 부부친밀감에 직접 영향을 미침과 함께 독립적 자기관을 거쳐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다는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분리-개별화의 하위변인인 공생은 부부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만을 미치고 독립적 자기관, 상호의존적 자기관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리-개별화의 하위변인인 개별화와 공생은 부부친밀감과 문화적 자기관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독립적, 상호의존적 자기관을 고루 발달시키고 부부친밀감을 형성하는 데에는 성공적인 개별화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부부 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 매개효과

        이수경(Soo Kyung, Lee),조남정(Nam Jeong, Jo)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0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부부 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국 성인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총 373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통계적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긍정스트로크는 부부친밀감과 결혼안정성에 각각 직접적인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의 부정스트로크는 부부친밀감과 결혼안정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부의 무(No)스트로크는 부부친밀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결혼안정성에는 직접적인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친밀감은 결혼안정성에 직접적인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부의 긍정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은 정(+)적인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부정스트로크와 무(No)스트로크 관계에서는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류분석의 스트로크 개념을 부부관계에 적용하여 부부친밀감 및 결혼안정성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부상담 및 치료 현장에서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uple strok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uple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stabilit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surveys for married men and women nationwide. Total of 373 samples were used as valid samples. Statistical data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uple’ positive-stroke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directly effect on couple intimacy and marital stability. Second, the couple’s negative-stroke did not have effect on couple intimacy and marital stability. Third, the couple’s no-stroke did not have effect on couple intimacy, but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directly effect on marital stability. Fourth, couple intim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ly effect on marital stability. Fifth, couple intimacy had a significant indirect- full-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positive-stroke and marital stability but had no effect on couple’s negative-stroke and couple’s no-strok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lied the concept ‘stroke’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to the coupl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intimacy and marital s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practical basic data in the field of couple counseling and treatment.

      • KCI등재

        중년기 부부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 효과

        정은정,서미아 한국가족치료학회 2020 가족과 가족치료 Vol.28 No.3

        Objectives: This study looked at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s between middle-aged couples' attachment and marital intimacy using surveys collected from 208 middle-aged couples. Methods: Total 208 middle-aged coup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ough online surveys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applying SPSS 25.0 and AMOS 25.0. Results: First, when both partners were anxious attachment type, the husband's actor and dependence effects were significant, but the wife’s actor-dependence effect on marital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Second, when both couples were avoidance attachment type the actor-dependence effects on marital intimacy were significant. Third, when the husband was avoidance attachment type and the wife was anxious attachment type, the husband’s actor effect was significant but dependence effect was not significant. Fourth, when the husband was avoidance attachment type and the wife was anxious attachment type, the husband’s actor-dependence effect on marital intimacy was significant, but the wife’s actor-dependence effect on marital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Finally, if the husband was avoidance attachment type and the wife was anxiety attachment type, the wife’s anxiety attach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usband’s marital intimacy nor did it affect the wif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the direction and basis for intervention to promote marital intimacy in marital counseling.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의 부부 애착유형과 부부친밀감 간의 자기-상대방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중년기 부부 208쌍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부애착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첫째, 부부 모두 불안애착인 경우 부부친밀감에 대한 남편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였던 반면 아내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부부 모두 회피애착인 경우 부부친밀감에 대한 남편과 아내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남편이 불안애착이고 아내가 회피애착인 경우 부부친밀감에 대한 남편의 자기효과는 유의미한 반면 상대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아내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넷째, 남편이 회피애착이고 아내가 불안애착인 경우 부부친밀감에 대한 남편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유의한 반면 아내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부상담의 실제에서 부부친밀감 촉진을 위하여 부부애착 조합에 따른 상담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김윤정(Kim, Yun Joung),양혜정(Yang, Hae Chung)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심리내적 변인인 자기성찰과 부부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결혼기간 30년 이하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 척도, 부부친밀감 척도, 자기성찰 척도, 부부갈등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Hayes(2017)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은 연령, 학력, 결혼기간, 종교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원가족 분화경험은 부부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부부관계 맥락에서 자기성찰의 역할과 원가족 분화경험과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 및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기혼여성들에게 원가족에서의 정서경험과 자신과 배우자에 대해 깊이 이해하도록 하며 보다 적응적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을 증진하는 개입이 부부친밀감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married women with less than 30 years of marriag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2017)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rital intimacy perceived by married women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ir age, education, marriage duration, and religious status, and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rital intimacy. Further,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fl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self-reflection in the context of marital relationships, which have rarely been studied, and found the mediation effect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ventions promote deep understandings of married women’s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their spouses and themselves in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ore adaptive conflict coping behaviors w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their marital intimacy.

      • KCI등재

        부부의사소통 및 친밀감 증진을 위한 교류분석적 부부미술치료사례

        백경미,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5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art therapy with TA(Transactional Analysis) modalities for married couple on the improv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study subject is one married couple in J city. The wife(37 years old) has a depression and the husband(37 years old) owns a private business, who have difficulties in marital communication. The 20 art therapeutic sessions with TA modalities of this study were carried out for them by way of both structuralization and non- structuralization procedures once a week, 90 minutes a session.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therapeutic program of this study, two ways of comparative analysis were carried out. One wa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sults of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The other was a comparative analysis of behavior and attitude observations by this art therapeutic ste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found out that this art therapy program with TA modalities is effective on the marital communication, Secondly, it is found out that this art therapy program with TA modalities is effective on the marital intimacy. Thirdly, they lack intimacy each other because there are a lot of cagy interactions between them in a step of forming intimacy and of understanding character of them. However, from the step of improving communication on, the understanding on each other's situation and feeing by way of frank expression of feeling leads to a lot of detailed and complementary interactions. As a result, their martial intimacy is improved. 본 연구는 교류분석적 부부미술치료가 부부의사소통 및 친밀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시에 거주하는 부부로서 우울 증세를 보이는 아내(37세)와 자영업을 하는 남편(37세)이며 부부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회기 진행은 구조화․비구조화를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주 1회, 회기 당 90분으로 총 20회기의 교류분석적 부부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 검사를 사전, 사후, 추후 실시하여 비교 하였고, 부부 미술치료단계에 따른 행동 및 태도를 관찰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적 부부미술치료는 부부의사소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류분석적 부부미술치료는 부부친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밀감형성과 성격이해단계에서는 이면교류가 많아서 서로에 대한 친밀감이 부족하였으나, 의사소통 향상단계 이후부터는 솔직한 감정표현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면서 상보교류가 많아졌고, 그 결과 부부친밀감이 증진되었다.

      • 중년기 부부친밀감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송경옥(Song, Kyung Ok),정민자(Jung, Min Ja)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1 부부가족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중년 부부가 친밀감을 어떻게 형성하며, 그 과정 및 그들의 친밀감 형성 요소와 전략들을 분석하여 이론적 근거를 찾아내고, 부부친밀감 향상을 위한 근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로 40∼64세 중년 부부를 선정하였고,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181개의 개념화, 40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분석결과, 중년 부부친밀감의 인과적 조건은 ‘내적 동기’, ‘결혼을 선택’, 맥락적 조건은 ‘공통된 가치관’, ‘경제력’, ‘배려와 헌신’, 중심현상은 ‘의사소통과 지지’, ‘신뢰’, ‘정서적 교류’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함께하고 싶어함’, ‘서로를 인정함’, ‘자율성’, 중재적 조건은 ‘성생활’, ‘애정’, 결과적으로는 ‘노력하는 부부’, ‘이해하는 부부’, ‘의지하는 부부’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을 통하여 중년 부부의 친밀감 과정은 ‘보살핌의 단계’, ‘부부로서의 삶을 재결단하는 단계’, ‘대안찾기 단계’, ‘성숙한 행복 경험의 단계’로 분석되었으며,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배우자를 신뢰하고 정서적 교류를 통해 서로 이해하고 의지함’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중년 부부의 결혼생활 동안 경험하는 친밀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중년 부부가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oretical grounds by analyzing how middle-aged couples form intimacy, their processes, elements, and strategies to form intimacy and to present grounds for improving marital intimacy. Middle-aged couples aged 40 to 64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to April 2021. As a result of this study, 181 conceptualization, 40 subcategories, and 16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As a result of paradigm analysis in axis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of middle-aged couple intimacy were ‘internal motivation and ‘choice of marriage . Contextual conditions were ‘common values , ‘economic power , and ‘thoughtfulness and dedication’. And, the central phenomena was ‘communication and support , ‘trust and ‘emotional exchange .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wanting to be together, ‘recognizing one another , ‘autonomy , and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sexual life and ‘love. The results were ‘couple that makes efforts,’ ‘couple that understands each other,’ and ‘couple that depends on each other.’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the intimacy process of middle-aged couples was analyzed as “the stage of caring, “the stage of re-determining life as a couple, “the stage of finding alternatives, and “the stage of mature happiness experience, and the key categories in selective coding were “trust in spouse and understand and rely on each other through the emotional exchange. The above findings will provide data on the intimacy experienced during the marriage of middle-aged couples and help them understand broadly how middle-aged couples behave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ir marriag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재혼부부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Hee-Jung Park),변상해(Sang-Hae Byu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재혼부부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 살고 있는 30세 이상의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4일부터 4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은 총 48부를 배포하였으며, SPSS WIN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혼부부의 자기분화수준이 높을수록 부부친밀감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친밀감과 성적 친밀감은 결혼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부갈등대처방식인 성격요인은 결혼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접결과 낮은 자기분화수준은 결혼만족도와 부부친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부갈등에 악순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혼부부를 위한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은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을 고려하여 통합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conflict coping strategies on marital satisfaction for remarried married coupl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4, 2017 to April 25, 2017 for the subject remarried couples aged more then 30years living in Sooul, Gyeonggi province, chungchong province, Jeolla province and Kyeongsang province. 48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and analyzed with SPSS WIN 21.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the remarried couple,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emotional intimacy and sexual intimacy as the sub-factors of marital intimacy, (-), respectively.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resulting in a vicious cycle in marital conflict. And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the unified construction of a marital satisfaction improvement program considering self-differentiation,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conflict coping style.

      • KCI등재

        생활체육 참여자의 부부친밀감이 스트레스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성필,김우경,오현준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의 부부친밀감이 스트레스 및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규명하 고자 전남 동부지역의 스포츠 센터 및 동호회 등에서 참여하고 있는 기혼자 222명의 대상자의 자료로 최종 분석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부부친밀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울은 정서적 친밀감, 사회적 역할수 행 및 자기신뢰는 정서적 친밀감, 인지적 친밀감, 일반건강 및 생명력은 정서적 친밀감, 인지적 친밀감이 부적(-)영향을 미쳤고, 수면장애 및 불안은 정서적 친밀감이 부적(-)영향을 미쳤으나, 성적 친밀감은 정적(+)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 부친밀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적행복은 정서적 친밀감, 성적 친밀감이 정적(+) 영향을 미쳤고, 외적행복감은 정적 친밀감이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렇듯 생활체육 참여자의 부부친밀감이 스트레스 및 행복감에 영 향을 미친다는 결론은 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전남 동부지역으로 대상을 제한하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별로 연구를 분석하여 규명할 필요성이 있으며, 스포츠를 통해 부부친밀감을 향상시켜 행복한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생활체육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find out how couples' closeness affects stress and euphoria, this research was finally analyzed with data from 222 married people participating in sports centers and clubs in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and conclud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effects of conjugal intimacy on stress, depression had emotional intimacy, cognitive intimacy, general health and life force, emotional intimacy, cognitive intimacy had an amulet effect, sleep disorder and anxiety had an amiss effect, but sexual intimacy had a negative impact. Second, after analyzing the effect of conjugal intimacy on happiness, inner happiness had a static effect, sexual intimacy had a static effect, while external happiness had a static effect. As such, the conclusion that couples' closeness affects stress and happiness could be reached. However, since this research limited the targets to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identify them by analyzing them in different regions, and through sports, it can be a happy family life and social life by improving the conjugal intimacy. Furthermore, continuous research is believed to be necessary to help the physical education develop.

      •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 개발-개입연구 방법의 적용-

        심창교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의 결혼생활에서 부부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질적 및 양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개입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노년기 부부들의 문화적인 특성을 부부성숙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위해서 심리사회이론과 교류분석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였다. 또한 기존의 국내외 부부성숙 프로그램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경기도 P시에 거주하는 6쌍의 노년기 부부들이며, 총 8회기의 정기적인 부부성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부들은 매 회기마다 실시한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 수준을 보여주었다. 둘째,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는 자아통합, 의사소통 및 친밀감을 도출하였다. 셋째, 노년기 부부들의 자아통합, 의사소통 및 친밀감 수준을 양적으로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본 연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는 노인들이 연구 질문을 하였을 때 프로그램 활동에 그리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그리고 종료 후에는 그들의 생각에 많은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노년기 부부의 결혼생활에서 부부성숙을 위해 자아통합, 의사소통, 친밀감을 증진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이 참가한 노년기 부부들에게 유용하게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향후 노년기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 데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가 더욱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 for Korean elderly couples using the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elderly couples' marriage enrichment and to develop a program and evaluate its effects by compar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integrity, communication, and intimacy th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six couples living in an urban community near the Seoul, Korea. A total of 10 sessions were implemented, one per week regularl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verage scores of program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was improved steadily. Second, marriage enrichment program for the elderly couple was devel-oped using the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Three domains of the program resulted in self-integration, communication, and intimacy for the elderly couple's marriage enrichment program.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cores of self integration, communication, and closeness before and after the marriage enrichment program for the elderly, respectively. They showed a good compliances of the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in changing elderly's thoughts and attitudes toward their lifestyle. Fourth, there were also meaningful changes in the couples' marriage life after the program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each session and follow up interviews in 6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y showed more open-minded understanding, better relationship, and more joy in their life.In conclusion,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 for elderly couples will be helpful and necessary to im-prove their remaining life for further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