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부 비동거의 거주형태와 성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경선(Min, Kyungsun),진신(Chen, Chen)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3

        최근 한국에서는 부부가 비동거하는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부부의 공동거주를 전제로 하는 전통적 정의와 평가를 기준으로 부부관계에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부부의 거주형태, 특히 비동거가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하게 분화하고 있는 거주형태가 한국의 가족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거주형태의 외형적 변화와 함께 부부의 주관적 인식을 함께 고려하고자 성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녀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12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부관계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순서형 로짓 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배우자와 비동거할 때 남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모두 낮았고, 배우자와 비동거하는 경우 다른 가족원과 함께 사는 것에 비해 혼자 거주할 때 여성의 부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동거는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고, 배우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다른 가족원에 대한 돌봄은 개인, 특히 여성에게 큰 부담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배우자와 비동거 시에 경험하는 부부역할의 중첩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가사노동에 대한 성역할관과 취업여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배우자와 비동거할 때 경제활동과 가사노동이라는 책임의 중첩이 부부관계만족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여성에게 가사노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전통적 성역할관을 갖지만 자신은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을 때 낮은 부부관계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는 근래에 분화되어 온 가족의 거주형태와 전통적인 성역할관이 맞물리며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Family studies tend to approach to marital-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concept which assumes cohabitation of married couples though the number of couples who live separately with various reasons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cor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arried couples' living arrangement on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role perceptions and to argue that the family studies need to consider living arrangement as an important factor. As an empirical demonstration, we conducte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ependent variable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using '2012 Social Survey' data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husband and wife showed lower level of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when they live separately with their spouses. Also, women who live alon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cohabitate with other family members when they live separately with their husbands. These mean that cohabiting is still important in maintaining good marital relationship and caring family members could be a burden especially for women when spouses are absent.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n who do not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ink that women are responsible for housework showed low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reflect that combined effects of recent changes in living arrangement and traditional gender role affect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on family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허선영(Sun-Young, Heo),하정화(Jung-Hwa, Ha)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관계 내에서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 종단적 상호관계가 어떠한지 탐색하는 데 있다.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하고 부부자료를 하나의 모형에서 분석하기 위해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과 공통운명모형(Common Fate Model)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변인 간 종단적 상호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0차 년도(2015년)부터 13차 년도(2018년)까지의 4개년도 자료로 부부자료(dyadic data)를 구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15년 기준 60세 이상인 부부 1,383쌍(2,766명)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남편 우울, 아내 우울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관계만족도가 남편 우울에 미치는 영향보다 아내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 우울 수준과 아내 우울 수준은 부부 공통의 관계만족도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가 상호순환관계에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관계만족도의 저하와 우울의 증가라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년기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의 개선을 위해서 부부 단위의 개입과 부부 각자에 대한 개별적 접근을 병행해야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For longitudinal dyadic analysis, this study sets up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Common Fate Model,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Data came from four annual waves from the 10th year (2015) to the 13th year (2018)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and the final sample comprised a total of 1,383 married couples over 60 years of age in 201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dent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wi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of older couples leading to low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and with high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inducing low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couples.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an lead to a vicious cyc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to intervene at both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couple level was discussed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맞벌이 확대기 부부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와 심리적 관련 요인의 영향

        민진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맞벌이 확대기 부부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심리적 관련 요인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력과 부부 공통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의 10차(2015년)부터 16차(2021년)까지 7년간 조사된 자료 중 맞벌이 확대기부부(부부 252쌍)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의 변화(초기치와 변화율)에 있어서 개인 차이를 분석하고, 심리적(자아존중감, 우울)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관계만족도의 전반적인 변화양상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선형변화모델의 유의미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율의 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족관계만족도 증가 정도는 개인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는 초기값의 수준에 따라 변화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부간 차이를 보였다. 반면, 배우자의 자아존중감은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개인의 우울은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편의 우울은 아내의 초기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정책의 방향이 ‘가족과 개인의 삶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됨에 따라 정책 마련 시 맞벌이 확대기 가족뿐 아니라 아내·남편에 따른 가족관계만족도 수준과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의 공통요인인 남편의 우울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직장 환경 자원인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등을 활용하여 부부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개입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couples in the expanded workforce,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on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common factors of couples. Metho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0th (2015) to 16th (2021)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which were collected over a seven-year perio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differences in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wives and husbands, and to test whether psychological (self-esteem, depression) factors affect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Results: First, the overall change pattern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but it was confirmed to increase continuously through the significance of the linear change model, and the variance of the change rate of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at the degree of increase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varies between individuals. Second, the degree of change i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initial value. Third, individual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ouples. On the other hand, spousal self-este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individual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husband'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fe's initial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Conclusions: As the direction of policy has shifted to 'supporting families and individual liv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vel and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not only for working families but also for wives and husbands when preparing polic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usband's depression, which is a common factor i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stablish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levels of couples by utilizing workplace resources such as EAPs.

      • KCI등재

        은퇴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 심리적 건강, 은퇴적응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단기 종단연구

        이주연,김득성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d the effects of marit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health, couple’s retirement context, and couple’s interdependency on the change of couples’ retirement adjustment with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or this purpose, data were drawn from 2 waves(2nd wave, 3rd wave)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e analytic sample included 1190 older couples who experienced the transition into retirement of one of the partner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s(models with lagged endogenous variables-lagged effect model) are used to explain adjustment to retirement by both part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marit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health, and retirement adjustment of couples’ were influenced by soci-demographic variables(subjective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as well as resources variables. Second, couples’ retirement adjustment, marit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tates were influenced by leisure satisfaction and marit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health were influenced by adul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husbands. Third, the extent to which partners influence each other in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tates, but process of adjusting to retirement appears to be limited. Specifically, the most powerful variables affecting husbands’ retirement adjustment were leisure satisfact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wives’ retirement adjustment and, adul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the most powerful variables affecting wives’ retirement adjustment were subjective economic status, leisure satisfaction, adul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ir own psychological health. Based on the study find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couples’ retirement adjustment with tim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은퇴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심리적 건강 및 부부의 은퇴상황과 부부의 상호의존성이 은퇴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의 2-3차년 자료를 사용하여 1190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종단적 연구설계인 시차내생변수를 포함하는 모델 중 시차효과모델에 기초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 심리적 건강, 은퇴적응에 부부 모두 통제변인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고, 통제변인 다음으로 은퇴관련 변인보다 자원변인의 설명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부부 모두의 은퇴적응에 자원변인 중 여가활동 만족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남편의 경우 자녀관계 만족도가 부부관계 만족도, 심리적 건강, 은퇴적응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은퇴부부는 부부관계 만족도와 심리적 건강에서 부부간 서로 상호영향을 미쳤으나, 은퇴적응에서는 남편만이 부인의 은퇴적응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남편의 경우 여가활동 만족도, 주관적 경제수준, 부인의 은퇴적응, 자녀관계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고, 부인의 경우 주관적 경제수준, 여가활동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건강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은퇴부부의 은퇴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서로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부부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관련 요인

        최봄이,박하영,송시영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o verify the factors relevant to these trajectories. Method: To achieve this, a three-step approach to the Latent Class Growth Mode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sample of 4,616 married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45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the 13th to 16th (2018-2021)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Results: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revealed thre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igh-level increasing’ (68.9%), ‘moderate-level decreasing’ (26.5%), and ‘low-level decreasing’ (4.6%). The ‘high-level increasing’ group showed that marital satisfaction, which began at a relatively high level, increased further since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in the case of ‘moderate-level decreasing’ and ‘low-level decreasing’, marital satisfaction continued to decline with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age, household incom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relevant to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Thus, wh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conditions were low,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belonging to the trajectories of maladaptive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terogeneity within the group must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have experienced external family stress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lso, this study confirms how socioeconomic resources and health characteristics are relevant to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y considering the heterogeneity in patterns of couples’ adaptation and sub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ornerstone for practical effort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families in the post-COVID-19 era.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유형을 파악하고, 변화유형과 관련한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3-16차(2018-2021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만 45세 이상 유배우자 4,616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성장모형 3단계 접근법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잠재계층성장분석 결과,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은 ‘고수준 상승형(68.9%)’, ‘중수준 감소형(26.5%)’, ‘저수준 감소형(4.6%)’으로 도출되었다. ‘고수준 상승형’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시작된 부부관계 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수준 감소형’과 ‘저수준 감소형’의 경우 부부관계 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지속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관련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 연령, 가구소득, 가구원 수,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 생활만족도, 우울이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수준이 낮을 때 부적응적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외부적 가족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한 중·노년기 기혼자의 부부관계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집단 내 이질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며, 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 특성이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부부가 적응하는 양상의 이질성과 변화유형의 특성을 세분화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가족의 이해를 증진하는 실천적 노력의 초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효선(Hyosun Kim),박정윤(Jeong-Yun Park) 한국가족치료학회 2023 가족과 가족치료 Vol.31 No.1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와 우울감, 자녀와의 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 궤적을 파악하고, 부부관계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남녀 차이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와 우울감, 자녀와의 관계만족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감의 상승은 부부관계만족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며, 자녀와의 관계만족도의 증가는 부부관계만족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남녀 차이에 있어서 중년기 우울감의 변화가 부부관계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의 경우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와의 관계만족도 변화가 부부관계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년기 부부관계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trajectory i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Methods: Analysis was performed apply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was perform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middle-aged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decreased over time. Moreover, changes in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For the gender gap,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depression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was only found for women, while the influence of the rate of change i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on the rate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was related to both men and women, although the effect size of the rate of change was greater for men than for wome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various approaches are required to strengthe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

        노년기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상호관계 - 성별과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이주연,정혜정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this study, using four waves(2010-2013)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a latent growth curve model and multi-group analyses. Participants were 3,149 elderly people aged more than 5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elderly’s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decreased during four-year and intercept of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slope of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Second, the initial level of male elderly’s marital relationship was higher and it decrease more rapidly during the four year but the initial level of female elderly’s depression was higher and it decrease more rapidly. Initial level of old-old group’s depression was the highest but pre-old group was shown the most rapid decrease in slop of marital relationship. Third, results of analysis of longitudinal relationship, intercept of marital relationship was negatively correlated intercept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 intercept of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lope of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and the intercept of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lope of marital relationship. Finally,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relationship according to gender and depression according to age.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 for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for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성별과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5차(2010년)부터 8차(2013년)까지 4년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55세 이상 3149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모형분석과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년기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고, 부부관계 만족도 및 우울의 초기치와 변화율간에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집단간 차이분석 결과, 부부관계 만족도 초기치는 남성이 더 높고 변화율에 대한 감소속도도 더 급격하게 나타났다. 우울 초기치는 여성이 더 높고 변화율에 대한 감소속도도 여성이 더 급격하게 나타났으며, 후기 노년기집단의 초기치 우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변화율에 대한 감소속도는 예비 노년기집단이 가장 급격하게 나타났다. 셋째, 종단적 상호관계 분석결과, 초기치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간에 부적상관, 부부관계 만족도 및 우울의 초기치가 부부관계 만족도 및 우울의 변화율에 부적인 영향, 그리고 우울 초기치가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율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두 변인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는 부부관계 만족도의 경우 성별에 따라, 우울의 경우 연령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에 대한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다문화가정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관계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일반가정유아를 비교대상으로 -

        김진희,임지영 한국부모교육학회 2013 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에서의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관계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다문화유아와 일반유아 각각 60명씩 총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들의 어머니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부부간의 관계가 자녀의 또래관계 및 자녀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결혼만족도, 부부 갈등)가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가정의 경우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문화가정의 경우에는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유아 의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관계(결혼만족도, 부부갈등)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모두 부부갈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부갈등이 일반유아와 다문화유아의 정서지 능 하위변인별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일반유아만이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과 교사와의 관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의 경우에는 결혼만족 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지능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부관계 향상을 위 해서는 부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남편, 시부모 교육 프로그램,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기독인 부부 관계요인과 증진 프로그램 개관

        김광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0 No.-

        Couple relationship grows its significance in a family. Now it is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a family. Hardships of a family members’ result from a broken couple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couple’s bonding factors in detail. And it is widely useful to develop and implement a couple education program. By surveying the literature, this article identifies the bonding factors in a couple relationship. This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enhancement factors in a Christian couple. This shows their relationship enhancement factors by analyzing the three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which are developed in USA and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Korea; Marriage Encounter, Marriage Enrichment, and PREPARE/ENRICH. This article is composed of introduction, couple relationship factors, the three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the programs’ relationship enhancement factors, and suggestions for developing a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the Korean Christian couples. This article provides a basis on developing a couple education program for the Korean Christian couples. This provides practical knowledges as well as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couple education as a Christian education. 남녀가 결혼을 통해 부부가 되면 부부는 상호관계를 통해 함께 성숙해야 한다. 만약 부부의 잘못된 관계가 형성되면 이 부부체계는 가족 내의 여러 다른 체계와 연결하여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오늘 날 가정 문제의 근원은 부부체계 즉 부부관계의 잘못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부부관계요인에 대한 연구와 함께 그것에 기초한 부부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실행되어 부부관계 증진을 도와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 관계에 미치는 주요요인들이 무엇이며, 건강한 기독인부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어떤 요인이 강조되어야하는가를 문헌연구를 통해 밝힌다. 그리고 부부관계 증진을 돕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여러 가지로 연구, 시행되고 있는 다음의 세 프로그램들을 개관한다. 그것들은 ①Marriage Encounter ②Marriage Enrichment 그리고 ③PREPARE/ENRICH이며 각 프로그램에서 강조하는 관계 요인들을 분석한다. 연구의 구성은 들어가는 말, 부부의 발달과제로서의 관계요인과 기독교교육의 과제, 관계요인을 증진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들의 개관 그리고 프로그램에 나타난 부부 관계요인과 한국기독인 부부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제안으로 되어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기독인 부부관계 증진을 위해서 어떠한 요인이 강조되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함으로 부부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기독교교육의 장(場)의 하나인 가정이 감당해야할 부부교육에 대한 학문적 기여와 함께 기독인 부부들이 건강한 부부관계를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분거부부 아내의 부부관계만족도 관련 요인: 학령기 자녀 유무에 따른 차이

        김소영(Soyoung Kim) 한국가족정책학회 2023 가족정책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남편과 분거하는 아내의 부부관계만족도 관련 요인들이 학령기 자녀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가족패널 6차년도 데이터에서 남편과 분거하는 아내 213명을 추출하고, 학령기 자녀의 유무에 따라 이들이 보고한 부부관계만족도 관련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첫째, 학령기 자녀가 있는 아내는 부부공유활동 빈도, 남편의 가사노동분담 만족도, 부부관계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자녀가 있는 아내는 남편의 직장 때문에 분거하고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에 만족할수록 부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학령기 자녀가 없는 아내는 남편의 소득이 많을수록, 남편의 직장 때문에 분거하는 경우, 가족가치관이 전통적일 경우, 부부공유활동이 빈번할수록,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에 만족할수록 부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남편과 떨어져 학령기 자녀와 동거하는 아내가 경험하는 부부관계만족도의 이면에는 자녀교육이라는 변수가 작용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케 하며, 분거하는 부부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생활주기 단계를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213 wives in commuter marriages and whether the factors differed for those with or without children in school ag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6th wave of the KLoWF.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firs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shared more time with husbands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husbands’ sharing of domestic labor and couple relationships. Second,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had better couple relationships when they were in commuter marriage due to the husband’s workplace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husband’s sharing of domestic labor. Third, wives without school-aged children had higher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hen they lived apart due to the husband’s workplace,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husband’s sharing of domestic labor, had traditional family values, when the husband’s income was higher than the wife, and when couples shared more time. Findings suggest that child education might have act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wives’ assessment of couple relationships, and that interventions that aims to improve couple relationships in commuter marriage should consider the family life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