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초기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이 배우자의 긍정적행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현선,박정윤 한국가족치료학회 2015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1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newlywed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relationship standards, which form the foundation of their marriage life, on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rtner’s positive behaviors. The study also aimed to seek ways for the newlyweds to adjust to their married life. Methods: The study targeted 145 newlywed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are married for the first time with less than 5 years of married life and without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argets with regards to their perception and actual application of relationship standards as well as the satisfaction they feel from the partner's positive behavior.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study found for the husbands, the way that they perceive how a marriage life should be had a high level of influence. For the wives however, actual application of the standard had a high level of influence. In other words, the wives are satisfied with their partners’ behaviors when they feel that expected relationship standards are well applied to their actual married life. There was therefore a difference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in terms of the factor that affects their satisf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standards of the newlyweds, their perception on their partners’ positive behaviors, and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different variables at a time when family disorganization of newlyweds is ever increasing.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standards that act as the obstacle to successful married life and further suggested a way for the newlyweds to adjust the standards, which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husband and the wife, to their married life in a harmonious manner. Marriage counselors would need to help the newlyweds to establish a realistic and harmonious standard that would enhance their satisfaction in their marriage life. 본 연구는 결혼생활의 토대를 형성하는 결혼초기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이 배우자의 긍정적행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결혼초기 부부들을 위한 부부상담 및 교육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자녀가 없는 결혼 5년 미만의 초혼인 결혼초기 부부 145쌍을 대상으로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 배우자의 긍정적행동 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편보다 아내의 경우에 부부관계신념 적용변인이 배우자의 긍정적행동을 더 잘 예측하였으며, 남편은 배우자 및 부부관계는 어떠해야한다고 지각하고 있는 신념 자체의 영향력이 높은 반면, 아내는 부부관계신념이 실제 결혼생활에서의 적용정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 배우자의 긍정적행동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남편과 아내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결혼초기에 가족해체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결혼초기 부부들을 대상으로 신념지각과 배우자의 행동에 대한 지각 및 만족 변인들 간의 역동적 관계성을 살펴본 데 의의가 있다. 부부상담사들은 부부가 서로 다르게 지각하는 신념을 조화롭게 결혼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우며, 결혼초기 부부의 결혼만족 증진을 위해 현실적이고 조화로운 신념을 갖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은(Eun Park),김정민(Jung-Min Kim)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그램 개발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예비 프로그램 진행을 토대로,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훈련, 스트레스 대처훈련, 문제해결훈련을 구성요인으로 하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예비부부 10쌍이며, 프로그램은 주 1회 2회기, 회기당 9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는 사전, 사후, 3개월후 추후 검사를 통해 측정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인지적 영역인 부부관계신념, 부부조망수용, 부부관계의 질 지각은 각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인 부부관계신념은 감소하였으며 부부조망수용과 부부관계의 질 지각은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행동적 영역인 부부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행동, 갈등해결전략은 각각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의 하위 요인인 부부관계전념의지와 부부관계전념행동의 점수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전과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를 비교한 결과, 부부관계신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갈등해결전략 중 타협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marital commitment of premarital coupl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first, a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consisting of cognitive restructuring, communication training, stress coping training, and problem-solving training as components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prior researches regarding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eliminary program. The subjects of the program included 10 premarital couples currently resid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two 90-minute sessions per day over four week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pre-, post-, and 3-month follow-up te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1.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ch cognitive domain of premarital couples, including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dyadic perspective-taking, and perception of marital quality showed significant changes. The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which are irrational ones about marital relationship, decreased, while the dyadic perspective-taking and the perception of marital quality increased. Second, each behavioral domain of premarital couples, including marital communication, stress-coping behavio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Third, the scores of marital commitment will and marital commitment behavior, both of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arital commitment of premarital couples, increased significantly. Fourth,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scores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three months after the program ended,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compromise amo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tress-coping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 KCI등재

        가족생활주기별 부부관계신념 지각, 유사성, 적용이 부부간 긍정적 행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윤 한국가족치료학회 2015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that the perception, similarity, and application of relationship standards have on partner satisfaction. It also explored ways of strengthening the marital relationship at different points along the family life cycle. Methods: The researcher surveyed 570 couples in the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focusing on the perception, similarity, and application of relationship standards, as well as on partner satisfaction.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18.0.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b-factors of relationship beliefs, in partner satisfaction, and in partner positive behaviors, relative to the timing of the family life cycle. Relevant variables were distinguished for newly married couples (e.g., education, power-control standards, etc.), couple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e.g., boundary perception, relationship-investment standards, etc.) and couples with school-aged children (e.g., marital type, etc.). Conclusions: Family life cycle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couples’ perceptions, similarities, application of relationship standards, and partner behaviors. Relationship standards,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the family life cycle, should be addressed during couple counseling. 본 연구는 가족생활주기별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 유사성이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이 결과를 부부치료 시에 활용할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둔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신혼기, 미취학자녀기, 취학 자녀가 있는 부부 각 190쌍으로 총 570쌍의 부부였으며, 부부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 척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 상관관계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신념 유사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주기별로 차이가 나타났고 실제생활의 적용에서는 신혼기 부부가 가장 잘 적용된다고 여기고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외부와의 경계 신념은 신혼기와 학령기 집단에서, 배우자의 힘-통제신념, 부부간 투자신념 지각은 신혼기, 미취학기와 학령기 집단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족생활주기별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배우자의 애정적 행동, 도구적 행동, 돌봄 행동에 대한 만족감은 각 주기별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각 주기별 긍정적 행동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차이가 있다. 신혼기 부부는 학력, 결혼유형, 배우자에 대한 힘-통제 신념의 유사성, 관계투자신념 적용정도의 변인이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미취학자녀를 둔 부부는 결혼기간, 종교일치성, 부부간 경계신념 지각, 배우자에 대한 힘-통제와 관계투자 신념 유사성, 경계신념 적용 정도가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학령기 자녀를 둔 부부는 결혼기간, 결혼유형만이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가족생활주기에 따라서 부부의 동일한 행동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차이가 있음으로 부부치료에서 부부간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개입 시에도 가족생활주기, 그들의 부부관계신념의 기대정도, 유사성, 일상생활의 적용 정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다층모형을 이용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분석-

        연규진,연문희,양지웅 한국가족치료학회 2013 가족과 가족치료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 효과(actor effect)와 상대방 효과(partner effect)를 검정하는 것이다. 자녀가 있는 부부 370쌍이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에 대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비합리적 신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ce Model)을 적용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단계적 절차로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인구사회학적인 배경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계적으로 통제하였다. 분석결과, 남편과 아내 사이의 결혼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부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변수인 결혼 전 교제기간, 가정의 월소득, 가족 형태는 결혼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성적 완벽주의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제외한, 의견불일치, 마음 알아주기, 변화가능성, 성 고정관념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는 모두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상담사들은 갈등을 겪고 있는 부부들에게 역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자기-상대방 효과를 이해시키고, 관계개선을 위해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신념을 갖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set out to verify the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on marital satisfaction. Methods: A total of 370 couples completed a survey that measures marital satisfaction and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The researchers conducted multi-level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beliefs on marital satisfaction. To determine the net effect of irrational beliefs on marital satisfaction, the researchers tested and statistically controlled for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With the exception of the belief of being a perfect sexual partner, there were four irrational belief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disagreement of partners, inability to read each other’s feelings and thoughts, invariableness of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 and the partner’s stereotyped sex-role. Conclusions: Counselors need to assist couples i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beliefs so they can have realistic and 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

        부부관계의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자기분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진아,이인수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3

        본 연구는 부부관계의 비합리적인 신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기혼 남녀 5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2.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부관계의 비합리적 신념은 자기분화, 자기효능감,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부관계의 비합리적인 신념이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결혼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분화가 부부의 비합리적인 신념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부간 상호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n irrational beliefs and marital satisfaction. Method: Data from a sample of 532 married men and women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were analyzed with SPSS 22.0 and AMOS 21.0. Results: Irrational beliefs of marital relation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differentiation, self-efficac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hey have an indirec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That is, irrational beliefs directly affect self-differenti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marital satisfaction by mediating self-effica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ouples. The authors proposed future studies.

      • KCI등재

        부부의 관계신념지각,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만족,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희윤(Lee, Hee Yun),조유현(Cho, You Hyun)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4

        본 연구는 부부관계의 상호작용 변인인 관계신념지각과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만족, 의사소통이 부부 각각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하고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부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편의표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82부(191쌍)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0.0을 사용하여 대응표본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편은 부부가 외부와의 경계가 명확할수록, 공격적이고 비난하는 대화를 하지 않을수록, 결혼생활에 만족도가 높았다. 아내는 전업주부인 경우와 남편의 애정적 행동에 만족도가 낮을수록, 남편의 돌봄적 행동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결혼생활에 만족하고 있었다. 또한 남편과 아내는 공통적으로 종교를 믿고 있으며, 문제에 관하여 부부가 논의하며 타협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in relationship standards of couples and the satisfaction in partner's positive behaviors which are interaction variables of couples'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on each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about maintaining healthy and stable marriage and improving the marital relationship. The data were collected in a way of convenience sampling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382 (191 couples) subject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with the applications of paired-t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husbands, participants who have more clear boundary between couples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who have more self-control of conducting aggressive and critical talk, tended to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wives, participants who are full-time housewives and have higher satisfaction on caring behavior and have lower satisfaction on affectionate behavior tended to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And both husbands and wives who have a religion and have more discussion and compromise on the relevant issues, tended to show higher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신혼기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인지가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임하영,박정윤,조유현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4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on the marital stability of newly-wedded couples in order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on marital relationships and utilize the result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s for future family policies.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00 couples who had been married for less than 5 years. Marital stability for the husband became higher when the recognition of boundary belief was at a normal or higher level and when the investment belief was at a higher level. Marital stability for the wife became higher when the recognition of the boundary belief and investment belief were at a higher level. And the level of the application of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marital stability of those husband and wife groups who recognized that boundary belief, power-control belief, and investment belief are all well applied to the couple, were at a higher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for newly-wedded couples can affect their marital stability. Finall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practical and effective information used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counseling to promote healthy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

        기혼 남녀의 부부 상호작용 변인이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윤희,박정윤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in variables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hich worsen marital conflicts in terms of marital interaction and to clarify the relative effects of such variables. The subjects were 295 married males and femal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tendencies of related variables showed that the levels of spouses’ perspective taking and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were higher for both males and females, while the levels of irrational belief for marital relations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ere low. Second, an analysis of spouses’ perspective taking,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irrational belief in marital relations and correlations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howed that spouses’ perspective taking and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for both males and females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he higher spouses’ perspective taking and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the lower the level of irrational belief related to marital relations and the lower the level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his study clarifies that spouses’ perspective taking,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and irrational faith for marital relations influence marital dysfuctional communication and has an implication, in that th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eking methods to solve problems of couples who experience conflicts derived from dysfunctional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