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不栺方鼎時代「穆王說」補

        張德良(Zhang De Liang)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0 아시아연구 Vol.- No.9

        ‘不栺方鼎’이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서는 현재 周昭王시기, 周穆王시기 그리고 周恭王.周懿王시기라는 세 가지 견해가 상존하고 있다. 본 논문은 考古類型學의 방법을 활용하여, 함께 출토되었던 器物.器形,紋樣및 書體등의 네 가지 각도에서 고찰했다. 함께 출토되었던 器物로는 서로 다른 형태를 띠고 있는 두 개의 銅戈가 있다. 하나는 穆王시기에 해당하는 伯墓에서 출토된 微胡一穿戈이고, 또 하나는 西周中期에 해당하는 天馬—曲村M7092에서 출토된 長胡三穿戈이다. 井中偉박사의 연구에 의하면, 전자의 유행은 그 年代의 下限線을 西周시대 중기의 초기단계로 잡을 수 있고, 후자의 유행은 西周시대 중기까지로 볼 수 있다. 그리고 陝西省長安縣張家坡의 西周시대 무덤 M284에서 출토된 咸作豐大母方鼎은 이 ‘不栺方鼎’과 그 器形이 매우 유사한데, 그 시기는 서주시대 중기에 해당한다. 또한 이 ‘不栺方鼎’과 유사한 紋樣을 가진器物로는 陝西省岐山縣董家村의 窖藏에서 출토된 二十七年衛簋를 들수 있는데, 그 시기는 穆王시기에 해당한다. ‘不栺方鼎’의 書體는 시기적으로 穆王시기에 해당하는 豐尊과 共王시기에 해당하는 墻盤의 중간지점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穆王시기에 해당하는 方鼎甲과 가장 근접하고 있는 편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몇 가지 내용을 종합하여 필자는 이 ‘不栺方鼎’의 시기를 西周시대 중기의 초기단계인 穆王시기로 잡았다. 이러한 時代區分은 周原甲骨文에 보이는 ‘不栺’의 활동연대와도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이 사실도 필자의 견해에 또 하나의 중요한 증거가 되어주었다. 그 외에도 이 ‘不栺方鼎’의 시기를 穆王시기로 정하는 일은 상단에 새겨진 竊曲紋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By now there are three kinds of opinion about the dating of the rectangular cauldron of Buzhi: the period of King Zhao, or King Mu or the period of King Gong and King Yih in Western Chou history. The paper studies the co-existing utensils、vessel shape、decoration and the style of calligraphy with the means of typology. Among the co-existing utensils, there were two kinds of dagger axe. One is tiny Hu(flange) with one apertures, which also appeared in the tomb of Dong in Shan’xi Province. The other is long hu(flange) with three apertures, which occurred in one tomb of Tianma-qucun in Shanxi Province. The period of the former is King Mu of Western Chou, and the latter is Middle of Western Chou based on the study of one doctoral dissertation by Jing Zhongwei. Similar rectangular cauldron for Feng Damu(豐大母) was found at the cemetery of Zhangjiapo of Western Chou, which was in the middle of Western Chou. As for the decoration, gui food container for Wei from the hoard of Western Chou at Dongjiacun in Qishan County is similar to the rectangular cauldron, and the period of the gui food container is generally acknowledged as King Mu. The period of the style calligraphy of the rectangular cauldron was between King Mu and King Gong, compared with the Zun for Feng from the Hoard at Zhuangbai and the pan for the scribe of Qiang, and it is closer to the rectangular cauldron for Dong. Based one the analysis above,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period of the rectangular cauldron for Buzhi was King Mu, and this agreed with the conclusion that one person called Buzhi from the oracle inscriptions of the Western Chou at Zhouyuan was living Between the early Western Chou and the middle Western Chou. This is one circumstantial evidence. Once we accept the opinion,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study the pattern of Qiequ(竊曲紋) of the bronze of Western Chou.

      • KCI등재

        신라 중고기의 부방(赴防)과 군역

        이정빈(Lee, Jeong-bin) 한국역사연구회 2015 역사와 현실 Vol.- No.97

        Examined in this article is ‘who’ were actually required to report for military duties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hilla. It was the mid-ancient period when the Shilla government started to mobilize its citizens in military duties, and the people who were subjected to such calling were usually believed to have been the local population. But it seems that was only true in case of mobilizations during wartime, and a somewhat different principle might have been applied in peacetime situations. In that regard, we should take a loot at the concept of ‘Bubang(赴防),’ described in a story of a female with the last name Seol(“薛氏女傳”) which was inserted in Samguk Sagi. According to this story, some of the residents in the capital were ordered to serve at border areas. A similar account can be found from the ‘Shilla’ entry of a Chinese historical text Suseo(隋書, History of Su) , which informs us of various types of recruitment manners other than the Bubang practice. Recruited personnel served both in the capital and at border areas. The region they were sent to serve, the unit they were set to serve in, and the manner of their services varied by cases. Local citizens were allowed to serve at their hometowns. We can see that ‘Bubang’ was the military service expected of the capital residents, which was imposed upon some of the males in the age of 18 to 60, and with the status of below the 6 Dupum grade. They would have been selected from households. Recruitment of them commenced in the mid-6th century when the function of the Ministry of Military(兵部) was officially launched and the Daejang(大幢) units were commissioned. The Military Ministry’s authority was expanded to cover wider local regions, enabling the Bubang practice as seen in the aforementioned tale of Seol the female, eventually.

      • KCI등재

        『부북일기(赴北日記)』에 나타난 사건과 인물에 대한 試探(시탐)

        정시열 ( Si Youl Je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7

        일반적으로 일기는 실용성이 배제된 개인적 기록으로서 비공개적이며 사적인 성격을 띤다. 이 같은 장르적 특성상 그 내용상의 진실성이 담보되었을 때 진정한 가치를 갖는다. 본고에서 논의한 『赴北日記 』는 아버지와 아들이 2대에 걸쳐 赴防(부방)을 다녀오면서 남긴 기록물로서 저자의 관점에서 사실적으로 서술했다는 점이 인상적인 문헌이다. 한 시대의 전체적인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이고 거시적인 시각에서 서술된 자료가 필요 하겠지만 당대인들의 생생한 인물상을 파악하는 데는 『부북일기』처럼 비공식적이고 미시적인 성격의 자료가 유용한 경우도 있다. 『부북일기』는 17세기 무관의 부방 생활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一當百壯士에 선발되어 부방길에 오른 아버지 박계숙과 과거에 급제한 후 出身軍官(출신군관)의 신분으로 부방을 다녀온 아들 박취문이 각각 1년여의 시간을 배경으로 작성한 일기이다. 본고에서는 『부북일기』에 나타난 사건과 인물에 대해 살펴보고자 갈등, 긴장, 그리고 입지와 위상이라는 요소를 텍스트 분석을 위한 키워드로 사용했다. 다양한 상황과 인간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갈등, 부방 임무의 위험과 구속이 초래한 긴장, 군관으로서 자신의 입지와 위상을 공고히 하려는 노력 등을 고찰함으로써 두 저자의 인물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제2-4장에서 검토한 바에 의하면 첫째, 이 두 사람은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데 있어 주로 효, 의리, 자비와 같은 대의명분을 중시하며, 公私(공사)의 조화를 도모할 줄 아는 인물이었다. 그리고 그 사람됨이 상황 통제 능력, 자기 조절 능력, 위기 대처 능력을 겸비했으며, 인지상정의 보편적 덕목을 명분으로 내세울 줄 알았다. 둘째, 그들은 부방 생활과 부방의 여정에서 발생한 긴장감을 폭력적으로 발산하는 대신, 당시 군영에서 허용되는 방식인 활쏘기, 연회, 기녀와의 유희를 통해 예민해진 심사를 이완시키고 고조된 긴장감을 가라앉혔다. 이러한 사실은 그들 부자가 조직의 질서와 개인적 자유 사이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룰 줄 아는 인물이었음을 말해준다. 셋째, 그들 부자는 병영 내에서 부방 무관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자 했다. 이러한 모습은 자기의 입지를 강화하고 위상을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본인의 목소리를 내는 과정에서 주장의 좌절과 관철을 경험했는데, 이 모든 것은 존중 받고 싶은 마음과, 권위와 명예에 대한 지향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두 사람은 무인으로서의 신분적 자각이 강한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diary is personal records excluding practicality and is writing that is private and not open to public. Due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nce its contents secure sincerity, it gets the true value. 『 Bubukilgi』 that this paper is going to deal with is the records written by two generations, a father and a son, visiting frontier, and it is impressive literature because it is described from the writers’ viewpoint realistically. To understand the overall system of a period, we may need materials written by a formal and macroscopic perspective, but to figure out the aspects of humans that are vivid about the contemporaries, sometimes materials that are informal and microscopic like 『 Bubukilgi 』 are found to be useful. 『 Bubukilgi 』 is material that shows a military officer’s life in frontier during the 17th century. This diary was written by father Pak Gye-suk heading for guarding the frontier appointed as Ildangbaekjangsa and son Pak Chui-mun visiting frontier in the status of a chulsingungwan separately for about a year. This article used the elements of the conflict, tension, and position and status, as the keywords for text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aspects of humans of the authors shown in 『 Bubukilgi 』. The paper intends to figure out theaspects of humans of the father and son by considering the conflict shown in various situations and human relations, the dangerousness of the duty in guarding the frontier and tension resulted from the confinement, and effort to solidify the position and status as a military office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ver Chapter 2 to 4, first, these two were the persons who valued just causes such as filial duty, loyalty, and mercy in settling down conflicting situations and knew how to bring harmony between public and private matters. And they were equipped with knowhow to be human through situation-controlling skills, self-control, and risk-coping skills and could uphold mankind’s general virtue based on human nature asthe cause. Second, instead of expressing the tension resulted from their lives and journeys in guarding the frontier violently, they relieved their severe tension and calmed themselves through archery, feasts, and pleasure with the way which were allowed by the military then. This tells us that the father and son were the persons who knew how to bring balance and harmony in between organizational order and personal freedom. Third, the father and son tried to solidify their positions as a military officer in the army. This can be regarded as part of their effort to solidify their positions and elevate their status.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ir own opinions, they experienced both failure and accomplishment. And all of those began by their intention to be respected and pursuit of authority and fame. Withthis fact, we can see that the two were the persons that were strongly conscious about their status as a military man.

      • KCI등재
      • 텔레비전 방송수신료에 관한 행정법적 논의

        김용섭 대한변호사협회 200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63

        텔레비전 방송수신료와 관련한 헌법재판소 1999. 5. 27. 선고 98헌바70 결정은 의회유보원칙을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적용한 최초의 결정으로 독일에서 정설화된 의회유보이론이 한국에도 정착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로 인해 법률유보와 의회유보원칙과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할 것인 가의 문제를 규명할 필요가 있으며, 독일에서 발전한 의회유보설과 중요성설의 내용과 적용범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의회유보는 의회가 입법을 함에 있어 공동체와 국민에게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는 법률로 규율하여야 하며, 그 규율의 정도는 명확성의 원칙에 따라 구체적으로 규율밀도(Regelungsdicht)를 높여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이는 주로 포괄위임금지와 연관되어 논의된다. 구 한국방송공사법 제36조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라 제정된 현행 통합방송법 제65조에서, “수신료의 금액은 이사회가 심의․의결한 후 방송위원회를 거쳐 국회의 승인을 얻어 확정되고, 공사가 이를 부과․징수한다.”고 하여 수신료의 금액을 구체적으로 명확히 규정하지 않고 국회의 승인을 얻도록 입법한 것이 헌법재판소에서 말하는 의회유보의 원칙을 지킨 것으로 볼 수 있는지 논란이 제기된다. 한편, 한국방송공사의 법적 지위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의 문제 역시 행정법상 핵심쟁점의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에서는 “공사는 비록 행정기관은 아니라 할지라도 그 설립목적. 조직, 업무 등에 비추어 독자적 행정 주체의 하나에 해당하며” 라고 판시하고 있어, 독자적 행정 주체라고 보고 있으나 그 지위에 관하여는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여, 특수법인 형태의 공기업으로 파악하는 입장과 영조물 법인으로 보는 입장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영조물법인으로 이해하는 입장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 아울러 텔레비전 방송 수신료의 법적 성격과 관련하여 조세인지, 부담금인지, 수수료인지, 특별부담금인지 논란이 야기되고 있다. 여기서 각종 공과금의 법적 성질을 조세로 볼 것인지, 수수료로 볼 것인지, 부담금으로 볼 것인지, 특별부담금으로 볼 것인지는 법률상 명칭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개별적 공과금의 본질적 특성에 기초하여 법적 성질이 논해져야 하리라고 보며, 이를 특별부담금 이나 조세로 보려면 반대급부가 없어야 하는데, 수상기를 소지한 자는 잠재적으로 공영방송을 비롯하여 다른 민영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지위에 있으므로 법률적 근거하에 강제적인 성질의 수익자 부담금이라는 입장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나아가, 현행 방송법상 수신료 부과․징수의 위탁업무를 한국전력공사에 부여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위탁이 법령에 근거하여 적법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또한 한국전력공사가 행하는 전기료와 수신료의 통합고지방식이 적정한 것인지, 수신료를 미납하여 한국전력공사의 전기공급약관을 근거로 단전조치를 내릴 경우 부당결부 금지원칙에 위반되는 것은 아닌지 등의 문제를 아울러 살펴보았다.

      • KCI등재

        심부 시추공 회수코어와 물리검층 자료를 활용한 절리 및 암반등급 평가

        천대성(Dae-Sung Cheon),최승범(Seungbeom Choi),송원경(Won-Kyong Song),이성곤(Seong Kon Lee) 한국암반공학회 2024 터널과지하공간 Vol.34 No.4

        고준위방사성폐기물 부지 특성화에서 암반공학분야의 주요 평가인자인 절리 분포와 암반분류에 대해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체인 원주 화강암과 춘천 화강암의 심부 시추공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절리 분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ATV의 자료에서 추출된 균열대와 절리면을 활용하였으며, 심도에 따른 절리 빈도, 경사 방향, 경사각 등과 함께 주요 절리군을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인 원주와 춘천 화강암 모두 심도에 따라 절리 빈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각의 절리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함을 보였다. 또한 고각의 절리를 통한 지하수 유동으로 인해 심부에서도 상대적으로 풍화가 많이 발생한 경향을 보였다. RQD도 심부에서 낮은 수준의 값을 보였다. 한편, 저각의 경사각을 갖는 절리군은 고각의 절리군과는 다른 절리 특성을 보였다. 암반분류는 RMR을 기준으로 수행하였고 일축압축강도가 수행된 50 m 간격에 대한 암반분류와 함께 속도 검층자료, 지구통계기법을 활용한 심도에 따른 연속적 암반분류를 수행하였다. 원주 화강암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암반등급을 보였고, 춘천 화강암도 보통 이상의 암반등급을 보였다. 두 화강암에서는 원주 화강암이 보다 높은 암반등급을 보였다. 50 m 간격과 연속적인 암반분류에서 원주 화강암은 천부가 심부에 비해 높은 등급을, 춘천 화강암은 심부가 천부에 비해 높은 등급을 보였다. In site characterization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continuity(joint) distribution and rock mass classification, which are key evaluation parameters in the rock engineering field, were evaluated using deep boreholes in the Wonju granite and Chuncheon granite, which belong to Mesozoic Jurassic era. To evaluate j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racture zones and joint surfaces extracted from ATV data were used, and major joint sets were evaluated along with joint frequency according to depth, dip direction, and dip. Both the Wonju and Chuncheon granites that were studied showed a tendency for the frequency of joints to increase linearly with depth, and joints with high angles were relatively widely distributed. In addition, relatively large amounts of weathering tended to occur even in deep depth due to groundwater inflow through high-angle joints. RQD values remained consistently low even at considerable depth. Meanwhile, joint groups with low angles showed different joint characteristics from joint sets with high angles. Rock mass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ased on RMR system, and along with rock mass classification for 50 m intervals wher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was performed, continuous rock mas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depth was performed using velocity log data and geostatistical techniques. The Wonju granite exhibited a superior rock mass class compared to the Chuncheon granite. In the 50 m interval and continuous rock mass classification, the shallow part of the Wonju granite showed a higher class than the deep part, and the deep part of the Chuncheon granite showed a higher class than the shallow part.

      • KCI등재

        ‘면책적 부인 원칙(Exculpatory No Doctrine)’과 참고인 진술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학(Lee Jae Hak) 대검찰청 2016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1

        사건의 직접적 당사자인 피의자 및 피고인은 인간의 본성 및 본능에 따라 자기비호의 목적하에 자기사건과 관련된 진실을 은폐・축소하고자 할 것이다. 그리고 형사상 자신에게 불리한 진술(자백)을 강요하지 못하도록 하는 헌법과 형사소송법에 규정된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참고인 역시 사건과 관련된 자와의 관계를 이유로 또는 기타 다양한 이유로 수사기관에의 출석을 거부하거나 출석하더라도 진술을 거부하거나 허위의 진술을 행할 가능성 또한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제반사정으로 인하여 형사소송의 핵심 목적 중 하나인 사건의 실체적 진실의 발견에 지장이 초래되고 있음도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그와 같은 상황을 더욱 어렵게 하는 것은 바로 참고인 허위진술의 문제이다. 물론 출석 및 진술의무가 없는 참고인에게 출석 및 진술을 강제하고 허위진술을 처벌하도록 하여 실체적 진실의 발견에 더 가까이 그리고 더 손쉽게 다가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제 규정의 전반적인 도입은 참고인 허위진술죄를 포함하는 사법방해죄의 도입에 관한 기존의 다수의 비판론의 논거가 현실화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참고인의 인간의 본성에 따른 단순 부인 및 소극적 허위의 진술의 경우에는 불처벌로 평가하거나 미연방순회항소법원에서 고안된 ‘면책적 부인 원칙(Exculpatory No Doctrine)’을 명시적으로 도입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본다. 그러나 수사의 심각한 왜곡과 혼선을 초래할 정도의 중대하고도 적극적인 허위의 진술과 피의자에 대한 악의적인 무고성의 참고인 허위진술에 대하여는 국민의 법 감정과 실체적 진실의 발견을 위하여 그에 상응한 적정 수준의 제재를 부과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현재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는 기소 전 증인신문청구제도에 대한 보완방안으로 정당하고도 합리적인 이유없이 수사기관의 수차례의 출석요구에 불응하는 중요참고인 - 단 특정범죄로 그 대상을 한정한 - 에게는 과태료 등을 부과하는 중요참고인 출석의무(구인)제도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단 중요참고인에 대한 출석의무(구인)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유의해야 할 것은 출석의무에 따라 출석한 참고인에 대한 진술의무의 부과이다. 출석한 참고인에 대한 진술의무의 부과는 인간의 본성에 반하는 진술을 강요하는 성질과 인간의 자유의사에 대한 강제의 성격을 갖기에 참고인에 대한 형사제재를 부과하는 속성을 갖는 진술강제제도인 진술의무의 부과는 고려되어서는 안 되리라 본다. 모든 인간의 행위 - 특히 법의 규율대상이 아닌 도덕의 규율 대상인 행위 - 를 법으로 통제하고자 하는 단기적이며 임시적인 처방 및 접근법보다는 장기적이며 좀 더 근원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도록 노력함과 동시에 실체적 진실의 발견을 위한 좀 더 효율적이면서도 참고인의 인권에 대한 최소한의 침해를 고려한 방안에 대하여 고민하는 것 역시 우리의 형사법제가 나아갈 방향이 아닌가 한다. nvestigation are very widespread. Since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held that a false statement before a investigatory agent did not fall within the fraudulent obstruction of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al affairs, suspects, defendants and witnesses have been granted an unlimited freedom to lie in effect. A study on 18 U.S.C. Section 1001, which provides that anyone who falsifies, conceals, covers up by any trick, or device a material fact and makes any materially false, fictitious, or fraudulent statement or document shall be fined or imprisoned not more than 5 years, or both, has been conducted to consider drawing a reasonable and proper line between false statements to be permitted and punished. The reach of Section 1001 in Title 18, U.S.C. covers all materially false statements, including non-monetary fraud made to any branch of Government. That is, the reach of Section 1001 is virtually boundless. This is what caused many federal courts to create an ‘Exculpatory No Doctrine’, holding that falsely answering “no” to an inquiry from an federal agent was, standing alone, not a crime under Section 1001. In 1998, however,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rejected this doctrine in Brogan v.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is doctrine, a mere denial of wrongdoing doesn’t constitute a crime considering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of Fif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Whether a particular false statement falls within the ‘Exculpatory No Doctrine’ appears to be a matter of the circumstances of the case and the circuits pertaining to the exception. But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ruled out ‘the doctrine’ on the ground that by its terms, this section covers any false statement and the Fifth Amendment prohibits only compulsory self-incrimination, and the spirit of the Fifth Amendment did not confer a privilege to lie. Even though we need to adopt this provision to secure proper enforcement of law, some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t may be immoral to lie, but should a denial of guilt made in response to an incriminating or relevant question during an investigation be penalized?

      • KCI등재

        결혼이민자가정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경로분석

        정영순(Chung Young-Soon),전종설(Chun Jong-Serl) 한국가족학회 2010 가족과 문화 Vol.22 No.3

        연구에서는 가정환경 요소인 부방임과 모방임, 외부환경 요소인 또래관계와 차별경험, 개인의 내적기질 요소인 우울이 결혼이민자가정의 초기 사춘기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과정을 경로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방임이 사춘기 아동의 공격성에 여전히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부방임은 모방임과 달리 간접적으로는 물론 직접적으로도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모방임 보다 내적기질 요인인 우울이 초기 사춘기 아동의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외부환경 요소인 차별경험은 우울을 매개로만 공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또래관계는 직접적은 물론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결혼이민자가정의 초기 사춘기 아동의 공격성 완화 및 예방을 위해 모방임 감소 전략과 더불어 우울 완화 전략에 초점을 두어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conducted path analysis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ve behaviors among children of immigrant mothers and various factors such as father’s neglect, mother’s neglect, peer relation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neglect, one of family risk factors, still directly influenced aggressive behaviors among children at their early adolescence, but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other hand, father’s neglect did not have neither direct nor indirect effects on th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which is one of internal characteristics,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aggressive behaviors among the children with immigrant mothers. Discrimination, which is one of environmental risk factors, influenced the aggressive behaviors only through mediating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trategies to reduce or prevent aggressive behaviors among early adolescent children with immigrant mothers should be focused on mitigating their depression and mother’s neglect.

      • KCI등재

        디지털 가시화 기술을 활용한 부여 석조 명문 재검토 기초연구

        김지호,조영훈,류진호,황선빈,다바오르지 한국목간학회 2023 목간과 문자 Vol.- No.30

        국립부여박물관과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디지털보존솔루션랩은 2023년 1월부터 공동으로부여 석조 명문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현재까지 석조 명문의 1행부터 9행까지 조사하였으며, 육안 및탁본 관찰, RTI 및 3D 스캐닝 등의 디지털 가시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부여 석조를 포함한 금석문 자료는풍화와 마모로 인해 육안이나 탁본을 통한 글자의 형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디지털 가시화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글자의 입체적 특징에 대한 정량적 수치화와 필획의 연속적 형상을 객관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석조의 보존상태를 살피며 향후 명문 재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를확보하였다. 부여 석조의 글자 영역은 약 36° 간격으로 총 10개의 세로띠로 구분되어 있으며, 한 영역에 11 자 9행의 명문을 새길 수 있고, 제1행에는 ‘大唐平百濟國碑銘’ 8자만 존재하므로 987자의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 명문 영역인 80∼90행은 글자의 구획선이 명확한 반면, 글자의 존재 유무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번 공동 조사의 성과로는 8행 5열의 글자 ‘加’를 ‘佳’로 재판독하였으며, 2행 11열 ‘百’, 5행 3 열 ‘耀’, 7행 1열 ‘干’에 대해 신규 판독안을 제시하였다. 석조 명문 판독에 있어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명문자료의 신뢰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향후 상호 보완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버지니아 울프 소설에 나타난 타자 철학

        노영신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2 지식과 교양 Vol.- No.9

        본 연구는 미학적, 정치적, 윤리적 그리고 인식론적 문제들을 탐구하고 있는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작품들을 후기구조주의자들의 관점에서 새로이 재조명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세 소설 『제이콥의 방』(Jacob’s Room, 1922), 『댈러웨이 부인』(Mrs. Dalloway, 1925), 그리고 『등대로』(To the Lighthouse, 1927)에서 울프는 전쟁의 위기 속에서 영국사회에 나타난 근본적인 타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들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타인을 완전히 알고 이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회의와 위기감, 그로 인한 의사소통의 실패는 일견 모더니스트 작품의 특징으로 친숙한 것이기도 하지만, 울프의 소설에서는 이러한 타인과의 벌어진 틈이 바로 모더니즘의 윤리학을 정의하는 타인과의 만남으로 강조된다. 이것은 절대적 타자와의 만남과 책임을 강조하고 있는 에마누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의 사상과 그 맥이 닿아 있다.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은 울프 소설의 실험적인 형식의 난해성을 풀어내는데 있어 큰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울프의 소설들을 레비나스의 사유와 함께 새롭게 독해해 보는 시도는 울프의 소설에 나타난 타자 철학의 성격을 밝히는데 일조함에 틀림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