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권리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 변인별 참여 양상

        장혜진 ( Jang Hyejin ),이현진 ( Yi Hyun Je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의사와 참여불가 사유를 부모 변인별로 살펴보았다. D광역시와 G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하는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x2 와 F검증, Scheffe 사후 검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권리 부모교육의 참여의사 측면에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참여의사를 나타냈다. 이전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경험 여부에 따른 향후 부모교육 참여의지를 보면 부모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참여의지가 더 높았다. 자녀수가 많아질수록 참여의사 수준은 낮아졌으며 전업주부의 참여의사가 생산/기능/노무직에 비해 높았다. 가정소득별로는 500만원 이상 가정이 300만원 미만인 가정보다 참여의사가 높았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불가 사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전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답변 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아동권리 부모교육에 더 많은 부모가 참여하기 위해서 부모 변인별 접근방법이 달라져야 하고 특히 부모교육 참여의사가 낮은 집단의 요구를 이해하여 이들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learn about parents’ participation for parental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reasons parents cannot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22 parent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grams located in D city and G province. To analyze the data F-test, x2, and Scheffe test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status of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for parents’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fath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mothers. Parents with the experience of parental education before showed more becoming prospective participants. The fewer children they have, the higher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Full-time homemakers showed higher intentions to participate than production, technical workers/general laborers. Parents with the income of over five million KW suggests higher participation in parental education than ones with the income of under three million KW. Second, while fathers replied that they cannot attent the parents’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time, mothers would not participate in parents’ education because parental education is not helpful. The full-time homemakers would not attend parents’ education because it is not useful. Parents with the experiences of parents’ education before answered rather not to participated in parental education, which was higher than parents with no experiences of parental education before.

      • KCI등재후보

        가족-보육시설 연계활동에 대한 부모참여 실태 분석

        문영보,최복기 한국보육학회 2009 한국보육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efficient materials to enhance mutual collaboration between the family-child care center and the parent by grasping the involvement realities of parent in their connecting activities with family-child care center and analysing variables affecting to involvement of parent. The subject of research was the 291 parents of children who attended in 14 child care centers,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for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Parents involved the most in 'the home correspondence'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arts / the exhibition of student works', and the least in 'the voluntary gathering of parents'. The variables of education revel of parent, the income of family, whether employment of mother, the pattern of family and the quota size of child care center parti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parent involvement in connecting activities with the family-child care center. The higher education level of parent, the income of family and the employed mother than the unemployed, and the three generation family than the parent-child family significantly showed partially the more involvement in the connecting activities with child care center. Also,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arent involvement partially according to the quota size of child care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보육시설 연계활동에 대한 부모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부모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variable)을 분석해 봄으로써 보육시설과 가족의 상호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4개 보육시설에 다니는 유아의 부모 총 291명이었으며 질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부모들은 ‘가정통신문 확인’을 통해 보육시설과의 연계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학예발표회 및 작품발표회’, ‘정기적인 부모면담’, ‘부모 오리엔테이션’에 참여하는 것이었고 ‘부모자치모임’에 대한 참여가 가장 낮았다.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참관수업’, ‘참여수업’, ‘가족참여 운동회’, ‘정기적인 연락’, ‘정기적인 부모면담’, ‘등하원시 대화’, ‘부모 오리엔테이션’, ‘교육자료에 대한 협조’, ‘보육시설 운영’에 대한 참여가 많았다. 가구의 총소득이 높을수록 ‘참관수업’, ‘참여수업’, ‘가족참여 운동회’, ‘정기적인 연락’, ‘정기적인 부모면담’, ‘등하원시 대화’, ‘부모 오리엔테이션’, ‘교육자료에 대한 협조’, ‘프로그램건의’에 대한 참여가 높았다. 가족형태에 따라서는 3세대 가족이 부모-자녀로 구성된 가족 보다 ‘부모오리엔테이션’ 참여, ‘부모교육 특강’ 참여, ‘교구제작 봉사’ 참여, ‘보육시설 운영’ 등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부분에서는 ‘정기적인 부모면담’과 ‘등하원시 대화’에서 취업모가 비취업모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보육시설 정원규모에 따라서 부모의 참여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족참여 운동회’에서는 ‘50명 미만’ 보육시설에 다니는 영유아 부모의 참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예발표회나 작품발표회’와 ‘가정통신문 확인’에서는 정원규모가 ‘50~99명’인 보육시설에서 부모의 참여가 가장 높았다. 교사와 부모의 ‘등하원시 대화’는 ‘50명 미만’ 시설과 ‘150명 이상’인 시설의 부모가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 특강’은 100명 이상인 시설의 부모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액션리서치를 활용한 부모협동 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프로그램 연구

        서진영 ( Jin Young Seo ),윤정민 ( Jeong Min Yun ),장희수 ( Hee Soo Jang ),박예랑 ( Ye Rang Park ),이주연 ( Joo Yeon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액션리서치(action research) 방법을 통해 현장중심의 문제해결형 연구로 진행되었다. 부모협동 어린이집으로 인가받아 운영되고 있는 A어린이집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어린이집의 원장 면접을 통해 효과적인 부모참여 프로그램 개발을연구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어린이집의 원장 1명과 교사 7명 및 기관을 이용하는 학부모 44명을 대상으로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A어린이집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위한 맞춤형 제안을 제공하였다. 다음은 A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첫째, 기존 부모참여 프로그램 중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발표회, 부모교육, 전화상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프로그램 중 좀 더 강화하기를 원하는 부모참여 프로그램 조사 결과 학부모들은 키즈노트/원아수첩, CCTV공개, 전화상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와 강화의견 및 신규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도 조사 결과 ‘발표회’,‘엄마참여수업’, ‘아빠참여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부모참여 프로그램 중 강화하길 원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아빠참여수업을 선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신규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필요도를 조사한 결과 교사는 부모 일일교사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 인터뷰 결과 아빠참여수업과 부모참여수업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참여의 활성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어린이집 모든 구성원의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A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maine an efficient field-specific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for the ``A`` parent cooperative daycare center. Using an action research design, one head director of the ``A`` childcare center was interviewed and 7 teachers from the ``A`` childcare center and 44 parents whose child are enrolled in the ``A`` childcare center were surveyed about thei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specific parent particip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satisfied with chlid’s work presentation, parent education, telephone counseling, and Kid``s notes/Kindergarten Handbook in its order. Also, they wanted to strengthen Kid``s notes/Kindergarten Handbook, CCTV public, and telephone counseling.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several new programs such as Parent teacher for one day, Parent’s talent donation, Camping with dad are needed. Third, the head director was interested in the activation of Parent teacher for one day and Dad participating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several field-specific parent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A`` childcare center.

      • KCI등재

        영유아교육기관의 적극적 형태 부모참여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윤정진(Jeongjin Yun),김지은(Jie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적극적 형태의 부모참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유아교육기관에 활용 가능한 정보제공을 통해 부모참여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기획, 구성, 실행, 평가 등 4단계를 거쳐 적극적 형태의 부모참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차 프로그램 시안은 문헌고찰과 요구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선정 및 조직, 운영 방법, 평가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1차 프로그램 시안은 전문가 협의를 통해 수정된 사항을 반영하여 2차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였다. 2차 프로그램 시안을 현장에 시범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개발 구성체계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참여를 활성화하는 것이며, 목표는 영유아교육기관의 질 향상, 부모와 교사 및 기관과의 소통 강화, 영유아교육기관의 이해 및 신뢰감 증진, 부모와 교사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 부모 역할 강화하기로 선정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내용은 부모참여의 적극적인 형태라 할 수 있는 자원봉사 ‘업무 도와주기’ 영역, 의사결정 ‘의견 제시하기’ 영역, 평가 ‘진단하기’ 영역 등 3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그에 따른 30개의 하위 세부 활동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모와 교사가 함께 협력한다는 점을 부각하여 ‘함께 나누기’ 부모참여활동 프로그램이라 명칭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은 사전교육과 프로그램 활동 참여로 나누어 부모 참여자 업무설계 및 관리체계를 통해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활동은 부모가 영유아교육기관을 방문하여 직접 참여하는 방법으로 부모 참여자의 요구에 따라 단일영역 활동 참여, 반나절(오전⋅오후) 프로그램, 하루일과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평가는 평가회와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적용과정 및 활동을 마친 후 변화된 점, 보완점 수렴 등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적극적 형태의 부모참여활동은 프로그램 운영 전반에 걸친 관리체계를 포함하고 있어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s an active parent participation activity program and provides information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difficulties due to lack of programs, thus vitalizing the parents participation. Methods An active parent participation activity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four stages of planning, organizatio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The first program draft was comprised of program purposes and goals,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management methods, and assessment based on literature study and needs analysis. By reflecting on the revisions made by consulting with experts, the researcher developed a second program draft based on the first one. The second program draft was applied in the field as a pilot,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develop the final version. Result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system of program development: first, the program set the purpose of vitalizing parents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ts goals were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reinforce parents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institutions,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relia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m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strengthen parents roles; second, the content of the program was organized into three domains driven by active parent participation: offering assistance to the work of volunteers, presenting opinion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making a diagnosis for evaluation. The program also provided 30 detailed activities in the domains. The program was named the Sharing Together Parent Participation Activity Program to highlight the collabor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hird, the management methods of the program were divided into pri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ctivities to run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work design and management system of participating parents. The activities of the program were organized into the activities of a single domain, half-day (morning and afternoon) programs, and whole-day programs according to the demand of participating parents as parents were asked to visi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ake part in first-hand in activities; finally, assessments consisted of evaluation sessions and satisfaction surveys following the application processes and activities of the program to collect opinions about changes and shortcomings from parents. Conclusions The study developed an active parent participation activity program with a management system throughout its operation to enable its easy applic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KCI등재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이현지(Lee Hyeonji),정혜욱(Chung 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107명과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각각 1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놀이 신념은 놀이지지 신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놀이참여는 주말 및 공휴일 놀이시간이 평일에 비해 높 았고, 대체로 부모는 자녀와의 놀이에 종종 참여하며 소극적인 수준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 고 만 5세 유아들은 대체로 높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 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로서,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 참여 빈도, 참여 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이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 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로서,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은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하는 방안 탐 색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 tendency of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s happines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s happines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7 5-year-olds children, and their 107 pairs of fathers and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showed highly, and the weekend and legal holiday play participation time appeared higher tha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time. Most parents often participated in the play with the children passively. The 5-year-olds children tended to feel high happiness. Second, the parents’ play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frequency, and level of the parents. Especially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n effect o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appiness.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had an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ird,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n effect o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the child’s happiness. It means that parents’ beliefs are connected with the action and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KCI등재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에 대한 국내,외 문헌 분석

        양소현 ( So-hyun Yang ),이미숙(교신저자) ( Mi-suk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parent involvement)라는 주제로 국내ㆍ외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국내ㆍ외학술연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1992년도 이후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부모참여(parent involvement)"와 "장애(disability)" 혹은 "특수(special)"가 논문 제목에 명시된 논문 중 국내연구 8편, 국외연구 1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개념, 형태, 영향요인 및 효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 그리고 특별한 형태의 부모참여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개념은 장애학생의 교육뿐만 아니라 모든 삶의 활동에 부모가 관여하여 자녀의 삶을 질을 높이는 것을 의미하였다. 둘째,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부모들은 가정기반 부모참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영향요인 및 효과는 다양하였으며, 자녀의 사회적 기술 향상 및 부모의 자녀에 대한 이해 등이 언급되었다. 넷째,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은 다양하였으며, 교사 및 부모의 상호작용과 협력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특정한 부모참여에는 각 학령기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개별화교육계획 관련부모참여, 전환 관련 부모참여, 다문화가정 부모참여가 제시되었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a recent trend of researches on parent involvement. Total of 19 researches, including 8 domestic and 11 international, were selected from a pool of researches published after 1992 with specific keywords in the title, such as ‘parent involvement’, ‘disability’, and ‘special’. Research questions were the definitions, forms, influential factors/effects, problems/developments and specific forms of parent involvement in these researches. First, the definitions of parent involvement were meant that the parents involved in not only their children’s education, but also every activities of their children’s lives. Second, the forms of parent involvement were varied, but parents preferred to home-based involvement. Third, the influential factors and effects of parent involvement were a lot, and those were separated by the aspects of students and parents. Fourth, the problems and developments of parent involvement were vari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arent and teacher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parent involvement. Fifth, the special forms of parent involvement in IEP, transition, and multi-cultural parent involvement were referred in this research. Regarding these results, the discussions were described.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부모참여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배지희 ( Ji Hi Ba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부모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고,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부모참여의 혜택과 이유, 그리고 부모참여 활동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에 대해서 심층면담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연구결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부모참여의 유형과 방법이 매우 다양하였으며, 강연회 형식의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낮은 반면 부모참여 수업 등 유아와 함께 하는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부모의 호응과 참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부모참여 활동이 유아, 부모, 교사 모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궁극적으로는 유아에게 가장 많은 혜택이 주어진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부모참여의 여러 유형 중에서도 부모가 자녀의 학급 활동에 직접 참여할 때 유아의 자신감이 높아지고 또래관계가 향상된다고 생각하였다. 부모참여 활동으로 인하여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부모참여 활동 준비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과중한 업무, 부모들이 참여하지 못하는 유아들이 소외됨으로 인한 염려, 그리고 부모가 참여했을 때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는 유아들로 인한 어려움 등이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ractices of parent involvement in kindergartens. In-depth interviews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n the benefits and difficulties of parent involvement. This study found various forms of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provided for parents who enroll their children in kindergartens. The teachers indicated that parents show a high level of interest in activities provided for parents and children together but the participation rate is very low for parent education workshops. Teachers also mentioned that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all benefit from parent involvement but children get the most benefits. The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parent involvement in the classroom helps children build self-confidence and facilitates peer relationships. The teachers pointed out the lack of time and an overwhelming amount of workloads as barriers to parent involvement and family-school partnerships. Teachers also mentioned that they were worried about children whose parents do not participate. Children who act differently in the presence of their parents created another challenge for them. Suggestions for effective parent involvement in early schooling are provided in detail.

      • KCI등재

        어린이집 부모참여와 부모역할 만족도-부모참여 만족도의 매개효과

        이혜순,이완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6 아동과 권리 Vol.20 No.4

        This study examined parents’ involvement to with a child care center for their childr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involvement, and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analyzed how the parents’ involvement to with a child care center impacted on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To perform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were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as well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parents’ involvement was high on in regards to communication part, and relatively low in the regards to decision-making part. The higher parents' involvement in a child care center for their children, the higher their involvement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 involvement at a child care center an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and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Also, parents‘ involvement in a child care cent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overall parental rol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어린이집 부모의 어린이집 참여 현황을 살펴보고,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 정도 및 부모참여 만족도가 이들의 전반적인 부모역할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도권 어린이집의 유아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는 어린이집과의 의사소통 부분에서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부모의 어린이집 참여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와 부모참여 만족도 및 부모역할 만족도의 변수 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는 부모참여 만족도를 매개로 전반적인 부모역할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이미숙,김경민,양소현,노진아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2

        The study investigated how parent involvement implemented in special schools and how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ived about parent involvement. The study included 129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he study surveyed about the necessity and the current status of parent involvement, the executive level of parent involvement, the teachers’ perception on parent involvement, the controversial issues of parent involvement, and the ways to improve parent invol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parent involvement, but the executive level was low, and the ways to involve the parents were not diverse.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difficult to involve the parents due to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a dual-income families or families’ economic status. As well, the special school teachers indicated the work adjustment and the a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s the ways to improve parent invol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the ways to activate parent involvement.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부모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부모참여를 운영하는 특수교사들이 부모참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129명의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유형별 필요성 및 실태, 부모참여 실행정도, 부모참여에 대한 교사 인식, 부모참여의 문제점, 그리고 부모참여의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교사는 부모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 그 실행 정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장애학생 부모의 참여를 위한 방법이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수학교 교사는 장애학생 부모의 참여가 어려운 이유로 맞벌이가정을 비롯한 가정형편 등의 부모 외적인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특수학교 교사들은 부모참여와 관련한 개선방안으로 교사의 업무조정, 학급과 가정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교육현장에서 장애학생의 부모참여가 활성화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장어린이집 이용 영아 부모의 부모참여 현황 및 부모참여에 관한 인식 연구

        이미현(Lee, Mi hyun),김계중(Kim, Gye J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6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참여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직장어린이집 부모참여 현황을 알아보고 부모참여에 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부모참여의 실제와 요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직장 어린이집 영아부모의 참여 형태는 면담, 가정통신문, 참관 및 참여 수업이 가장 활발하였고 전화대화, 강연회, 운영결정참여, 워크숍, 부모회 순으로 실시되었다. 가정방문, STEP·PET는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참여 횟수는 부모참여 유형에 따라 한학기에 1번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참여에 관한 인식은 부모와 교사 모두 꼭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부모는 개별면담, 알림장, 간담회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인식을, 교사는 알림장, 자원봉사자로의 부모참여, 보조교사로의 부모참여가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영아 부모의 부모참여를 돕기 위해서 현대사회의 맞벌이 부모 특성을 이해한 맞춤형 부모참여 형태를 고안, 진행할 필요가 있고 직장어린이집의 전문성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는 부모참여 프로그램 개발, 소셜 네트워킹 및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통한 협력 및 체험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parent involvement in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ractices and demands regarding the parent involvement by analyzing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arent involvement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active methods were the face-to-face talk and schools newsletter, followed by telephone conversation, class observation and parent involvement class, lecture, participation in operating decision, parent association, volunteers, home visit, and STEP ․ PET. Also, most of the parents involved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nce a semester according to the type of parent involvement.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s of parent involvement, both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essentially necessary. However, parents regarded the one-on-one talk, announce note and meeting as the most effective while teachers did the announce note, parent involvement as volunteers and teaching assistants as effective. In order to promote the parent involvement of infants parents, it is necessary to devise and implement the customized parent involvement typ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ouble-income parents. In addition, the current parent involvement must be extended by developing the new parent involvement programs which come up to the expectation regarding the specialization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providing the opportunity of cooperating and experiencing through the social networking and 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