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정필연(Pilyeon Ju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있어서 부모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재효과의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해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언어장애아동부모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언어장애아동부모에게 실시한 부모교육이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주제어를 통해 국내외 관련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의 포함과 제외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20개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부모교육을 통한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능력의 효과크기는 무선효과모델(random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언어발달장애, 발달장애 및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졌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유형은 Hanen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교육은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언어능력, 문법, 주고받기, 반응성 등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상호작용능력에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언어발달장애, 발달장애 및 표현언어지체아동 집단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능력에서 모두 효과적이며 임상에서 부모교육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 Objectives: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development. In order to facilitate the generalization of language intervention, parent training programs have been widely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metaanalys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xtant literature on parent training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on both children’s and parent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Method: Using Meta-Analysis (CMA2, Comprehensive Meta-Analysis-Ⅱ, 2005),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roach was taken to analyze 20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of our research. Effect sizes for children’s and parents’ overall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were analyzed via the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Hanen Program was found to be the most utilized parent training program. Additionally,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 for parent training was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s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 parent train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grammaticality, turntaking, responsiveness, and parent interaction. Lastly, three groups,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s and expressive language delay, benefited most from the parent train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arent training programs are effective and helpful for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increasing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Thus, paren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clinics for the best communicative outcome.

      • KCI등재

        「부모 참 역량」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정계숙,견주연,최은아,김지연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준전문가로서「부모 참 역량」컨설턴트를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증진 효과를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와 아동 어머니 14명을 대상으로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부모 참 역량」척도를 활용하여 이들의 「부모 참 역량」을 프로그램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후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부모 참 역량」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발달적 양육 역량을 비롯한 「부모 참 역량」의 5개 하위요인 모두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질적으로는 어머니들은 대부분 본 프로그램에 참여 후 자신의 양육 역량(양육지식의 변화, 부모 역할에 대한 반성적 태도의 태동), 자기체계 역량(어머니 자신에 대한 이해 및 존중적 태도, 남편에 대한 배우자로서의 자기 인식, 부모로서의 부드러운 시선 및 따뜻한 이해), 사회적역량(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의 움직임, 「부모 참 역량」컨설턴트로서의 역할 시도하기) 등의 변화를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신(Youngshin Park),이임순(Yimsoon Lee),이상희(Sanghee Lee),김태우(Taiou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이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관계는 부모 희생, 부모 존경, 부모에 대한 죄송함을 하위변인으로 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부모관계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을 하위변인으로 포함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학교 1학년 298명(남 169, 여 129)이었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α=.78∼.90이었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희생, 존경, 죄송함)는 자기효능감에 대해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자기효능감(부모관계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효도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부모관계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부모에게 효도하였다. 넷째, 부모자녀관계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업성취와 효도에 대해 간접효과가 있었는데, 특히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높은 청소년이 부모관계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가 증진되고 부모에 대한 효도를 많이 하였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on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This is end, various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while rotat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variables (conceptualized as parental sacrifice, respect towards parents and indebtedness towards parents), and self-efficacy variables (conceptualized as adolescent``s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siliency of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8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169 males, 129 females). The questionnaires displayed Cronbach alpha coefficients ranging from 0.78 to 0.90.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acrifice, respect, and indebtedness) on self-efficacy,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respect for parents on adolescent self-efficacy,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parents the greater the adolescent self-efficacy. Seco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self-efficacy (relational efficacy,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siliency of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elf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self-efficacy on filial piety,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on filial piety, that is the higher level of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resulted in greater displays of filial piety. Fourth, indirect effects were seen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upo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with the effects stronger for respect for parents and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their parents the higher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resulting in greater academic achievements and display of filial piety. Fifth,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 KCI등재

        부모와 전문 인력의 관계가 부모 임파워먼트를 통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정숙(Jung-suk Kang),강현아(Hyun Ah K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와 전문 인력의 관계가 부모의 임파워먼트를 통해 그들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저소득 부모에 초점을 두어 드림스타트 센터를 이용하는 있는 150여명의 부모 및 주양육자로 선정하였으며, 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주로 여성이었고, 연령은 30∼40대, 가정형태는 한 부모 가정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성과 요인적재량을 본 결과, 부모와 전문 인력의 관계, 부모 임파워먼트, 부모 양육효능감의 잠재요인이 측정변수들에 의해 적절히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부모와 전문 인력의 관계가 부모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부모 임파워먼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양육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전문 인력이 부모의 의사결정 권위를 존중하고 협력 관계를 형성하고 지속하는 그 과정 속에서 전문성을 높여 적용한다면 부모는 스스로 내적인 힘을 가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자녀를 잘 양육해 나갈수 있는 신념까지 높일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들의 양육효능감과 함께 부모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ocial work professionals on parental efficacy through parental empowerment. In addition, the study teste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parental efficacy . Data were collected via the survey method from 137 low-income parents who utilized Dream Start centers in the Daegu area of Korea. The survey asked the parents about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aseworkers at the Dream Start cent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ir levels of empowerment and parental efficacy.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were used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search model. The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mostly single mothers in their 3os and 40s. The results of the CFA showed that the latent construct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professionals, parental empowerment, and parental efficacy) could be properly measured by the indicators in the model. The results of SEM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professionals affected parental efficacy indirectly, through parental empowerment. In sum, finding suggest that professionals respect parents’ right to decide about and form and maintai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hich may empower the parents and increase their self-esteem to successfully raise their chilren. Based on the results,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부모를 폭행하는 청소년 아들에 영향을 미친 위험요인 연구

        박태영,임아리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어머니)를 상습적으로 폭행하는 청소년의 가족상담사례를 통해 아들의 폭력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발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사례의 대상은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4인으로 구성된 가족이며, 현재 아들은 보호관찰중에 있다. 가족상담은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총 21회기가 진행되었으며, 상담은 1~4회기 어머니상담, 5~6회기 아들상담, 7~8회기 딸상담, 9~11회기 아버지상담, 12회기 부부상담, 13회기 부모와 딸상담, 14~15회기 부자상담, 16회기 모자상담, 17회기 부모와 아들상담, 18회기 남매상담, 19회기 부모와 딸상담, 20회기 어머니상담, 21회기 모녀상담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상담축어록과 상담 시 녹화 된 음성녹음자료 및 치료자와 관찰자가 기록한 상담일지를 중심으로 도출된 개념들의 비교를 통하여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 아들이 부모를 폭행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크게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한국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아들의 부모 폭행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요인은 아들의 출생 당시의 건강문제와 주양육자의 잦은 변경, 대화상대 부재로 나타났다. 둘째, 아들의 부모 폭행에 영향을 미친 가족문화 요인으로는 지나치게 이성적인 부모, 비교하는 부모, 부모의 높은 학업 기대, 부모의 엄격한 훈육이 도출되었다. 셋째, 아들의 부모 폭행에 영향을 미친 한국사회문화적 요인으로는 장남에 대한 기대, 부모와 자녀간의 수직적 관계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온라인 게임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지연,도영임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6

        아동,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 이용과 관련된 여러 사회 문제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예방, 개 입하기 위해서는 핵심 이해 당사자인 부모의 온라인 게임 인식 및 이와 관련된 부모-자녀 관계 의 속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부모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 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8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부모의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은 온라인 게임 인식 질문지를 사용 하여 4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성별 및 자녀의 온라인 게임 이용 에 대한 태도 및 반응에서 유형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을 예측하는 변 인을 알아보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집단에서, 그리고 통제적인 양 육태도와 역기능적이지 않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각 온라인 게임 인식 유형과 관련 이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 환경 및 부모-자녀 관계의 맥락에서 아동, 청소년의 게임 이용 문제를 고찰하고, 부모의 게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arent's perception types of online game and their related factor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survey from 485 parents. As a result, the parent's perception types of online game were classified as 4 types. Each perception type shows differences in an attitude and reaction to online game and gender. Next, this study employ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xamine variables influencing the parent's perception types of online game. The result shows that parent's gender, controlling parental style,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s perception types of online game. This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in considering the game use of children in the contex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by exploring the parent's perception of online game and its influencing variables.

      • KCI등재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학습관여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홍영주 ( Young Ju Hong ),이지연 ( Jee Y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2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모의 학습관여를 1차 매개변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2차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부모의 학습관여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자녀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학업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해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데 고려해야 할 태도나 방법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소재 A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 부모의 학습관여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부모의 학습관여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학업성취에 직접효과도 있지만,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간접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많아질수록 부모의 학습관여가 촉진되며, 이로 인해 자녀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으로써 높은 학업성취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give parents tips about the parental attitude or method used for rearing their children so that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can be increased and academic achievements can be improved, by setting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s the first mediating variable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the second mediating variable and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process examining the effect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mak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Based on 216 children who are sixth grade students of A elementary school in Kyonggi-Provinc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variables. In addition, the mediated model was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achievements,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well a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s. Parental academic pressure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 regard to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achievements, it revealed that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had not only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s but also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ly, it appeared that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partly mediated on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other words, the more that parental expectation and interests fo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were, the more that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was promoted. Therefore,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was increased and it made academic achievement high. Implications and restrictions for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관계

        이연승,정선혜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2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Vol.- No.20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어린이집과 유치원 부모 4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부모의 자아개념은 가정적 자아, 도덕적 자아, 사회적 자아, 능력적 자아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은 정서적 가치, 부담적 가치, 도구·사회적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배경에 따라 살펴본 결과는 부모의 자아개념은 학력, 자녀구성, 취학아동 자녀유무, 교육기관 경험,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자녀가치 인식은 부모의 성별, 학력, 교육기관 경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 부모의 자아개념과 자녀가치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신체적 자아는 정서적 가치와 정적 상관관계를, 부담적 가치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능력적 자아, 도덕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는 정서적 가치와 정적 상관관계를, 도구·사회적 가치와 부담적 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건강한 자아개념을 가지는 것은 부모 스스로 성장하게 하며 자녀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긍정적 자녀가치인식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부모와 자녀의 긍정적인 관계에도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결과라 사료된다. 그러므로 부모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 할 수 있도록 부모 자신에 대한 통찰이 부모교육의 주된 목표로 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부모의 자녀가치 증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영유아기 부모 지원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 KCI등재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al attachment of children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ego-resiliency,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Methods The study used a sample of 948 pai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become a 5th grader in 12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9),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acto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However,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ne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to each. Second, the actor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were appeared. Thir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and ego-resiliency. In addition, children's ego-identity was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Moreover, the same patter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ego-resiliency, ego-identity,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 유아기 부모의 코칭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연구

        조경희 한국영유아보육교육학회 2018 영유아보육교육연구 Vol.1 No.2

        연구는 인성의 부재로 인한 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부모의 인성교육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인성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C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유아기 부모 16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프로그램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코칭프로그램(ACTIVE코칭 대화모델)을 활용하여 인성교육내용을 다루며 핵심내 용은 감성, 도덕성, 사회성을 포함하였다. 소집단형태로 각 회기별 2시간씩 총 6회기로 부모인성코칭을 통해 부모로서 바로서고 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인성코치사로서 부모역할을 설정하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족한 부모인성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하고, 부모들이 요구하는 인성교육의 접근기회가 부족한 상황에서 인성코칭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둘째, 부모인성코칭 프로그램은 코칭의 과정을 접목하여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우며, 인성코치로서의 부모의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 목표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코칭의 프로세스를 익힘으로써 부모의 역량을 키울 수 있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4 parents of day care centers in C cit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questions about recognitions and needs of such programs. Th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uses coaching program (ACTIVE coaching conversation model)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The essence of the program are sensibility, morality, and sociality. This program is made up of 6 two-hour sessions in small groups, and designed to set up the role of parents as personality coaches by understanding what the personality i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pplies the parent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nd helps them to perform positive roles of parents. Second, it enables the parents to be confident of themselves. Third, the parents can develop parent competency since this program helps them to learn coaching process which improv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